KR100663503B1 - Desktop type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Desktop type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3503B1 KR100663503B1 KR1020030098747A KR20030098747A KR100663503B1 KR 100663503 B1 KR100663503 B1 KR 100663503B1 KR 1020030098747 A KR1020030098747 A KR 1020030098747A KR 20030098747 A KR20030098747 A KR 20030098747A KR 100663503 B1 KR100663503 B1 KR 100663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mounting
- mounting portion
- battery
- cradl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부면에 충전을 위해 배터리가 장착되는 결합면이 제공된 배터리 장착부;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양 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 프레임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는 거치대 프레임이 배터리 장착부를 감싸는 상태에서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 전용 거치대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거치대 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위치에서는 단말기를 거치시켜 영화, TV 방송 등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ktop charging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ttery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oupling surface on which a battery is mounted for charging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radle frame surrounding both side surfaces and one end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so that the terminal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ttery mounting unit. Start the cradle. The desktop charging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battery charging cradle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rame surrounds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is easily portable. At the same time, the holder frame is rotated so that the terminal is mounted at an incline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ttery mount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watch a movie or TV broadcast.
단말기, 배터리, 거치대, 충전Terminal, Battery, Cradle, Charg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sktop charging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sktop charging cradle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탁상용 충전 거치대의 거치대 프레임이 배터리 장착부를 감싸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radle frame surrounding the desktop charging cradle shown in FIG. 1 surrounds a battery mounting part;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desktop charging cradle shown in Figure 1,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desktop charging cradle shown in FIG.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sktop charging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른 사용자 또는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 서비스, 벨소리, 게임, 모바일 뱅킹(mobile baking)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that a user can carry and communicate with another user or a base station, and is rapidly developing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itiall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were limited to other party calls, voice calls, etc., but the service areas such as video service, ringtones, games, and mobile baking gradually expanded, and users gradually became generalized from the youth to the elderly. It is becoming.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점차 일반화되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은 각각 배터리 충전을 위한 탁상용 충전기가 제공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는 그 자체에 충전회로가 내장되어, 배터리가 결합된 채로 단말기를 거치시켜 충전하거나,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를 단독으로 충전가능하게 되어 왔다. 휴대용 단말기와 함께 제공되는 탁상용 충전기는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단말기의 디자인에 상응하는 형상의 결합공간이 형성되어야만 한다.A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portable terminals become more common, terminals of various designs are appearing according to a user's taste. Each of these terminals is provided with a desktop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desktop charger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has a built-in charging circuit, it has been possible to charge by mounting the terminal while the battery is coupled, or to charge the batter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lone. The desktop charger provid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must have a coupling sp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sign of the terminal in order to mount the terminal.
따라서, 단말기와 함께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만 하는 탁상용 충전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교체하게 되면 함께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교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등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와 제조업자에게 공통적으로 인식되어, 서로 다른 단말기에도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기를 표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Therefore, the desktop charger, which must be basically provided with the terminal, must be replaced together when the user replaces the terminal. Therefore, not only the replacement cost increases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for the user. These problems are commonly recognized by users and manufacturer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standardize chargers for portable terminals so that they can be commonly used for different terminals.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의 탁상용 충전기는 탁상용 충전 거치대와, 충전회로를 내장한 충전기가 각각 제공되고 있다. 충전기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 넥터에 접속되어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며,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배터리는 전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충전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다른 기기들과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모든 단말기들이 동일한 기준에 따라 제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충전기는 어떠한 단말기와도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탁상용 충전기보다 소형화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여 출장, 여행 등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part of this effort, the conventional desktop charger is provided with a desktop charging cradle and a charger with a built-in charging circuit.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coupled to the terminal, the batter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is charged using a dedicated cradle. Since the interface connector of a portable terminal also functions to connect the terminal with other devices, all terminals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ame standard. Thus, such a charge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nect with any terminal. In addition, since it is smaller than a conventional desktop charger, i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business trips and travels.
결과적으로, 최근에 제작되는 단말기 및 그의 거치대는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용 거치대만 제공되고 있으며, 배터리 충전 전용 거치대는 충전회로가 내장되지 않고 별도의 충전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배터리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수단만을 구비하게 된다. 배터리 충전 전용 거치대는 충전회로를 내장한 탁상용 충전 거치대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교체하더라도, 한 번 구매한 충전기는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와 제조업자 모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recently manufactured terminals and their cradles are provided with a dedicated cradle for charging a batter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nd a battery charging cradle does not have a built-in charging circuit and supplies power from a separate charger. Only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o is provided. It is obvious that a battery charging cradle can be manufactured relatively cheaply than a desktop charging cradle having a charging circuit. Therefore, even if the user replaces the terminal, the charger once purchased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for both the user and the manufacturer.
이러한, 단말기 및 그의 충전기 등에 관한 구성의 변천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Such a chang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nd its charger, etc.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뿐만 아니라, 영화, TV 방송 시청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영화 또는 TV 방송 등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장시간 단말기를 들고 있어야 하거나 별도의 단말기 거치대를 구비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별도의 단말기 거치대를 구비하더라도 배터리 충전 전용 거치대와 함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함은 자명한 사실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not only a video serv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but also movies and TV broadcasts can be viewed. In order to watch a movie or TV broadcast, the user has to hold a terminal for a long time or has to provide a separate terminal holder. In addition, even if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terminal holder, it is obvious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with the battery charging hold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top charging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ktop charging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상부면에 충전을 위해 배터리가 장착되는 결합면이 제공된 배터리 장착부; 및A battery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oupling surface on which a battery is mounted for charging; And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양 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 프레임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개시한다.Wrapping both sides and one end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esktop charging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frame for mounting th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To start.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ktop charging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부면에 충전을 위해 배터리가 장착되는 결합면, 하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양 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회피홈 및 상기 회피홈과 인접한 위치에서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된 제1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는 배터리 장착부;Battery mount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surface on which the battery is mounted for charging on the upper surface, an escape groove provided on both sides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and first stopper protrus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avoidance groove, respectively. ;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양 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의 양 내측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스토퍼 및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인접한 위치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는 거치대 프레임을 포함하고,Wraps both side surfaces and one end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on both inner surfaces thereof, the guide stopper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is protrud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guide stopper. A cradle frame having a second stopper protrusion to be installed,
상기 거치대 프레임이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양 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는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가 상기 회피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서로 맞물려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를 개시한다.
The guide stopper is positioned in the avoidance groove at a position where the cradle frame surrounds both side surfaces and one end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Discloses a desktop charging crad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100)는 배터리 장착부(101)와 거치대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1 to 5, the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는 상부면(101a)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결합면(111)과 단말기(10)의 하단이 위치되는 안착면(112)이 제공되고, 양 측면(101c)에 회피홈(114a)과 제1 스토퍼 돌기(114b)가 구비되며, 일단부 면(101b)에 인터페이스 커넥터(113a)가 제공되고, 하부면(101b)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러버(rubber) 재질의 버튼(119)이 부착된다.The
상기 결합면(111)은 충전을 위하여 단말기(10)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위치에는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13b)를 구비하고, 양 측면(101c)에 각각 가이드 리브(115a)가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115a)의 단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배터리 홀더(115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면(111)의 단부에는 배터리 로커(locker)(117a)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로커(117a)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결합면(111) 상으로 소정의 로킹 후크(locking hook)(117b)를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로킹 후크(117b)는 상기 결합면(111)에 위치되는 배터리의 소정 위치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배터리 로커(117a)는 상기 결합면(111) 상에 거치되는 배터리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 로커(117a)의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1-77524호 (2001. 12. 7), 특허출원번호 제1999-55267호 (1999. 12. 6) 등을 응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상기 안착면(112)은 상기 결합면(111)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단말기(10)의 하단부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단말기(10)의 하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단말기(10)의 하단부가 상기 안착면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면(112)에는 스폰지 등의 완충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배터리 장착부(101)의 구성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의 일단부 면(101d)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13a)를 통해 충전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면(111) 상에 배터리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13a)에 충전기의 전원 케이블을 접속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13a)는 충전기의 전원 케이블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케이블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회피홈(114a)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 양 측면(101c)의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하부면(101b)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 연장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4b)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양 측면(101c)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피홈(114a)에 인접하게 위치된다.The
상기 버튼(119)은 러버(rubber) 등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가 탁자 등에 위치되었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The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양 측면(101c) 및 일단부 면(101d)을 감싸게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양 측면(101c) 및 일단부 면(101d)을 감싸는 위치에서,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일단부 면(101d)의 일부분,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13a)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탁상용 충전 거치대(100)는 배터리 충전 전용 거치대로 이용된다.The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양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스토퍼(121)와 제2 스토퍼 돌기(12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는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양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타단부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23)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양 내측면에서 각각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는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면서, 단말기(10)가 거치되었을 때 그 양 측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를 감싸는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는 상기 회피홈(114a)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4b)와 제2 스토퍼 돌기(123)가 서로 맞물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는 상기 회피홈(114a)에 맞닿아,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화살표 R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4b)와 제2 스토퍼 돌기(123)가 서로 맞물려,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23)는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내측면에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을 화살표 R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23)가 후퇴하면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4b)를 지나게 된다. 즉, 상기 회피홈(114a), 제1 스토퍼 돌기(114b), 가이드 스토퍼(121) 및 제2 스토퍼 돌기(123)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를 감싸는 위치에서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 in the position where the
또한,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를 감싸는 위치로부터 280도 내지 330도만 큼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상부면(101a)과 맞닿아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상태이다.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이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θ)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121)의 위치 또는 그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1 and 4, the
사용자는 경사진 상태의 거치대 프레임(102) 상에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시키고,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장치(11)를 통해 영화, TV 방송 등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The user mounts the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 상에 장착되는 단말기(10)의 하단부는 상기 안착면(112)에 위치된다. 상기 안착면(112) 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단말기(10)의 하단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미도시)에 상응하는 접속 단자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01)의 일단부 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1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10)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 기능을 제공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안착면(112)에 접속단자가 더 제공된다면, 상기 거치대 프레임(102)에 단말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면(111)에 배터리를 장착하여 충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단말기(10)에 장착된 배터리도 동시에 충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10 mounted on the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는 거치대 프레임이 배터리 장착부를 감싸는 상태에서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 전용 거치대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거치대 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위치에서는 단말기를 거치시켜 영화, TV 방송 등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sktop charging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battery charging cradle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rame surrounds the battery mounting part, and thus, it is easy to carry. At the same time, the holder frame is rotated so that the terminal is mounted at an incline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ttery mount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watch a movie or TV broadcast.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8747A KR100663503B1 (en) | 2003-12-29 | 2003-12-29 | Desktop type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8747A KR100663503B1 (en) | 2003-12-29 | 2003-12-29 | Desktop type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7733A KR20050067733A (en) | 2005-07-05 |
KR100663503B1 true KR100663503B1 (en) | 2007-01-02 |
Family
ID=3725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8747A KR100663503B1 (en) | 2003-12-29 | 2003-12-29 | Desktop type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35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3055B1 (en) | 2009-03-17 | 2011-03-24 | (주)상영이텍 | Gender Changer for Handpho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770B1 (en) * | 2006-09-19 | 2009-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Push-up type portable charging cradle with stereo speaker system |
KR100836153B1 (en) * | 2007-05-22 | 2008-06-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headset holder |
KR200452288Y1 (en) * | 2010-04-13 | 2011-02-16 | 주식회사 필리 | Cell phone holder |
KR101707119B1 (en) | 2015-06-08 | 2017-02-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
US11789494B2 (en) * | 2020-03-04 | 2023-10-17 | Iws Global Pty Ltd |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102580336B1 (en) * | 2021-01-15 | 2023-09-20 | 주식회사 필리 | Non-contact thermometer with date and time |
-
2003
- 2003-12-29 KR KR1020030098747A patent/KR10066350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3055B1 (en) | 2009-03-17 | 2011-03-24 | (주)상영이텍 | Gender Changer for Hand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7733A (en) | 2005-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4586B1 (en) |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 |
KR100802558B1 (en) | Step hinge | |
KR20130082285A (en)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 |
KR100663503B1 (en) | Desktop type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756476B1 (en) | Contact terminal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702709B1 (en) | Step hing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reof | |
JP3009875B1 (en) | Charger for wireless telephone | |
KR100663551B1 (en) | Desk top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452288Y1 (en) | Cell phone holder | |
KR20090079269A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
JP2000032105A (en) | Charger | |
JP2012055122A (en) | Battery charger | |
KR100260750B1 (en) | Mounting device of battery for cordless telephone | |
CN212969178U (en) | Combined wireless charger | |
JP3331324B2 (en) | AC adapter for mobile phone charging | |
CN213938041U (en) | Protective shell | |
CN220186258U (en) | Supporting structure | |
KR200187928Y1 (en) | A mobile phone holder | |
KR101169232B1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phone | |
KR100365799B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charger in portable radiotelephone | |
KR100768703B1 (en) | Device for supplying image using mobile phone | |
KR100630221B1 (en) | Mobile phone with battery pack having semi-auto rotation structure | |
JPH08340373A (en) | Telephone cradle for desk top and wall mount use | |
JP2007068315A (en) |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CN112956174A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