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디스플레이유니트를 구비하는 제1유니트와, 제2디스플레이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니트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도록 동작되는 제2유니트와, 상기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유니트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와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펼쳐지는 상태로 동작되게 하는 힌지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유니트는, 상기 제1유니트에 고정 설치되고 힌지축공이 형성된 힌지축통이 구비되는 고정힌지판과, 상기 고정힌지판의 힌지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를 연결하도록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에 걸쳐 설치되는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링크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유니트에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힌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유니트와 제2디스플레이유니트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하고 별개의 정보화면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한다.
상기 힌지유니트는 상기 가동힌지판의 가이드부와 힌지링크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링크가 가동힌지판에 대해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링크는 상기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의 외관을 관통하는 힌지슬롯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를 연결한다.
상기 힌지링크와 가동힌지판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니트의 외관 양측면에 해 당하는 부분에 위치되고 각각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이 상기 제1 및 제2 유니트의 외관 측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링크의 선단에는 걸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힌지판에는 걸이돌기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링크에서 상기 가동힌지판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힌지판은 상기 제1유니트의 배면 내측에 체결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에서 상대적으로 대화면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고,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양한 각도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 휴대용 컴퓨터와 듀얼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 휴대용 컴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략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유니트와 제2유니트가 서로 다양한 각도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힌지유니트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대응되는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가 그 후단에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유니트(35)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에는 각각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4)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1,34)은 윈도우 스크린(Window Screen) 영상을 출력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1,34)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하여야 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제1유니트(3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모듈(34)이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3)은 상기 힌지유니트(35)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니트(30,33)의 케이스 외곽까지의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3)이 하나의 화면을 분리하여 표시할 때, 화면이 분리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가 서로 겹쳐지고 펼쳐지도록 연결하는 상기 힌지유니트(35)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힌지유니트(35)중 상기 제1유니트(30)와 연결되는 부분은 고정힌지판(37)이다. 상기 고정힌지판(37)은 상기 제1유니트(30)의 후단 내측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힌지판(37)에는 힌지축통(39)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통(39)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서 힌지축공(40)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통(39)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힌지축(45)과 힌지축공(40)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공(40)과 제1힌지축(45)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제1힌지축(45)이 지나치게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힌지축통(39)의 내부에 댐핑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게 하여 상기 제1힌지축(45)이 지나치게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힌지판(37)은 체결나사(41)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나사(41)가 체결되는 위치는 상기 힌지축통(39)의 길이방향 상하부에 해당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공(40)은 상기 제1유니트(30)의 높이방향 중앙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링크(43)는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해 주는 것이다. 상기 힌지링크(43)에는 상기 고정힌지판(37)의 힌지축공(4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게 제1힌지축(45)이 구비된다. 상기 제1힌지축(45)은 상기 힌지축공(4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링크(4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다수개의 스토퍼홈(47)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홈(47)은 상기 제1유니트(30)에 대해 제2유니트(34)가 소정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그 자중에 의해 힌지링크(43)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힌지링크(43)의 선단에는 걸이돌기(49)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49)는 상기 힌지링크(43)가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힌지판(53)과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실제로 상기 제1유니트(30)에 대해 제2유니트(33)가 다른 부분에서 연결되지 않았을 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다른 부분에 소정의 구성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돌기(49)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힌지링크(43)가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를 연결하여 이들이 서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에 힌지슬롯(51,52)이 각각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힌지슬롯(51)은 상기 제1유니트(30)의 외관 상면과 배면에 걸쳐서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힌지슬롯(52)은 상기 제1유니트(30)의 외관 배면에 형성된 힌지슬롯(51)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2유니트(30)의 상면과 배면에 걸쳐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힌지유니트(35)는 적어도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를 2군데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의 양단에 각각 힌지슬롯(51,5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유니트(33)에는 가동힌지판(53)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힌지판(53)은 상기 제2유니트(33)가 제1유니트(31)에 대해 회동되는 것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힌지링크(43)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동힌지판(53)에는 일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부(55)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55)에는 상기 힌지링크(43)의 일면 양단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57)이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레일(57)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55)를 차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힌지판(53)에는 상기 걸이돌기(49)가 안착되어 안내되는 걸이돌기채널(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돌기채널(59)은 상기 가동힌지판(53)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 길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돌기(49)를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걸이돌기채널(59)의 끝부분에 걸이돌기(49)가 걸어지면 힌지링크(43)가 더 이상 상기 가동힌지판(53)에 대해 상대운동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반대방향의 운동은 가능하다.
상기 가동힌지판(53)에는 스토퍼통공(61)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통공(61)에는 판스프링형태의 스토퍼(63)가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63)는 그 중앙 선단이 상기 스토퍼통공(61)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55)의 내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3)는 그 양단이 상기 가동힌지판(53)에 나사(65)로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부(55)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63)의 선단은 상기 스토퍼홈(47)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2유니트(33)가 상기 힌지링크(43), 궁극적으로는 제1유니트(30)에 대해 특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동힌지판(53)은 상기 제2유니트(33)의 내부에서 제2힌지축(6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힌지축(67)은 상기 제2유니트(33)의 내부에 고정된 힌지축통(69)의 내부로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힌지판(53)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축통(69)의 내부에는 상기 제2힌지축(67)의 회전이 임의로 되지 못하게 하는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디스플레이타입 휴대용 컴퓨터의 제어와 관련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유니트(30)나 제2유니트(33)의 내부에는 씨피유(110), 메인 메모리(111), 노스 브리지(112), 비디오 컨트롤러(113), 사우스 브리지(114),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 제2 디스플레이 모듈(14), 키보드 컨트롤러(117), I/O 컨트롤러(118), 터치 스크린 디지타이저(119) 등이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은, 원도우 스크린(Window Screen) 영상을 출력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은, 유저 선택(User Select)에 의해 지정된 임의의 한 언어의 키보드(Keyboard) 자판 영상을 출력 표시하거나, 또는 원도우 스크린을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출력 표시 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13)에 구비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영상을 출력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13)에 구비된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영상을 출력 표시하게 되는 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즉 터치 스크린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지타이저(Touch Screen Digitizer)가 설치되어, 유저가 선택 터치하는 위치의 좌표 값이, 상기 I/O 컨트롤러(18)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컨트롤러(117)에는, 유저가 선택 지정하는 키 버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 요청하기 위한 토글(Toggle) 키 값을 검출하게 되는 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이 윈도우 스크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이 키보드 자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통상적인 제1 디스플레이 모드(Display Mode 1) 상태에서, 상기 토클 키가, 유저 선택에 의해 한번 눌러지게 되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13)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에 윈도우 스크린 영상을 모두 출력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13)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에 윈도우 스크린 영상을 모두 출력 표시하게 되는 경우, 즉 제2 디스플레이 모드(Display Mode 2)에 해당하는 듀얼 디스플레이(Dual Display)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유저 선택에 의해 수평 방향의 듀얼 디스플레이, 또는 수직 방향의 듀얼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듀얼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시스템 부팅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S10), 임의의 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에는, 원도우 스크린 영상이 출력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에는, 키보드 자판 영상이 출력 표시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1).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구비한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모듈(31)을 통해 윈도우 스크린을 볼 수 있게 되며, 또한 제2디스플레이모듈(34)을 통해 키보드 자판을 선택 입력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사용자가 자판 언어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S12), 예를 들어 한국어 키보드 자판에서, 일본어 키보드 자판으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디스플레이모듈(31)에 출력 표시되는 키보드 자판 영상을, 사용자가 변경 요청하는 일본어 자판 영상으로 변경하여 출력 표시하게 된다(S13)
그리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모듈(31)에 원도우 스크린 영상을 출력 표시하고, 제2디스플레이모듈(34)에 키보드 자판 영상을 출력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재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드를, 듀얼 디스플레 이(Dual Display) 모드인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 요청하는 경우(S14), 사전에 기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선택 지정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Dual Display Type)을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이,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의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인 경우(S15),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4)에 원도우 스크린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모두 출력 표시하게 되고(S16),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이, 수평 방향으로의 듀얼 디스플레이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4)에, 원도우 스크린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모두 출력 표시하게 된다(S17).
한편, 상기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4)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모두 출력 표시되는 윈도우 스크린 영상은, 각각 독립된 영상이 개별적으로 출력 표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비디오 영상, 예를 들어 동영상 비디오 등과 같은 대화면의 스크린 영상이 분할 표시될 수 있는 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대화면의 영화를 감상하거나, 또는 캐드(CAD) 작업 혹은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등과 같은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디스플레이모듈(34)에 원도우 스크린 영상을 모두 출력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재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일반적인 제1 디스플레이로 변경 요청하는 경우(S18), 제1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 설정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에는, 원도우 스크 린 영상이 출력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34)에는, 키보드 자판 영상이 출력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판 언어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본어 키보드 자판에서, 한국어 키보드 자판으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디스플레이모듈(34)에 출력 표시되는 키보드 자판 영상을, 사용자가 변경 요청하는 한국어 자판 영상으로 변경하여 출력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시스템이 오프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S19).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디스플레이타입 휴대용 컴퓨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휴대용 컴퓨터는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를 상대적으로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니트(30)에 대해 제2유니트(33)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위치되게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유니트(31)와 제2디스플레이유니트(34)가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유니트(31)와 제2디스플레이유니트(34)가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 상기 제1유니트(30)에 대해 제2유니트(33)가 회동되는 것을 도 7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는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가 서로 겹쳐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힌지링크(43)는 상기 제1유니트(30)에서 제2유니트(33) 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힌지판(53) 역시 상기 힌지링크(43)의 기울어진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유니트(33)가 제1유니트(30)에 대해 펼쳐지기 시작하면, 상기 힌지링크(43)가 상기 제1힌지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힌지판(53)의 가이드부(5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힌지판(53)은 상기 제2힌지축(6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7b에는 상기 제1유니트(30)에 대해 상기 제2유니트(33)가 예각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계속하여 상기 제2유니트(33)가 회전하면 도 7c와 도 7d의 상태를 거치게 된다. 도 7c와 도 7d의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니트(30)에 대해 제2유니트(33)가 임의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제1힌지축(45)과 힌지축통(39) 그리고 제2힌지축(67)과 힌지축통(69) 사이의 마찰력 의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니트(33)가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링크(43)를 따라 하강되는 것은 상기 스토퍼홈(47)에 상기 스토퍼(63)의 중앙 선단이 안착됨에 의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63)의 선단은 상기 제2유니트(33)가 제1유니트(30)에 대해 회전함에 의해 그 안착되는 스토퍼홈(47)의 위치가 달라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유니트(30)의 제1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2유니트(33)의 제2디스플레이모듈(34)이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가 도 7e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힌지링크(43)가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의 배면에 형성된 힌지슬롯(51,52)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한편, 상기 걸이돌기(49)는 상기 제2유니트(30)의 회전중에 회전반경이 가장 큰 상태에서 상기 걸이돌기채널(59)의 끝부분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힌지링크(43)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른 부분에서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의 결합이 없을 경우 이들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와 스토퍼홈의 구성은 제2유니트(33)가 제1유니트(30)에 대해 특정한 몇개의 각도로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를 연속적으로 가능하게 스토퍼홈을 없애고 스토퍼가 탄성력으로 힌지링크(43)에 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힌지링크(43)와 가동힌지판(53)은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의 외관의 외부 측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힌지슬롯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45)과 제2힌지축(67)이 각각 상기 제1유니트(30)와 제2유니트(33)의 외관을 관통하여 내외부로 연장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