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079B1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brightness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brightn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7079B1 KR100667079B1 KR1020050080859A KR20050080859A KR100667079B1 KR 100667079 B1 KR100667079 B1 KR 100667079B1 KR 1020050080859 A KR1020050080859 A KR 1020050080859A KR 20050080859 A KR20050080859 A KR 20050080859A KR 100667079 B1 KR100667079 B1 KR 100667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mma
- signal
- luminance
- brightness
-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42—Out-of-phase 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counter stages
- H03K23/44—Out-of-phase 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counter stag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휘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n automatic brightness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자동휘도 조절부의 내부 구성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unit.
도 3은 도 2의 A/D 컨버터로 전달되는 기준전압 신호를 결정하는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hysteresis for determining a reference voltage signal transferred to the A / D converter of FIG. 2.
도 4는 수평동기 신호에 따른 자동휘도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도이다.4 is a timing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광의 휘도에 따라 표시 패널의 휘도를 제어하는 자동휘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including an automatic luminan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the ambient light.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리 기판 또는 투명한 유기 필름 위에 도포한 형광체에 전계를 인가하여 발광시키는 평면 자기 발광형 디스플레이이다. 전계발광(Electro Luminescence)이란 반도체로 이루어진 형광체에 전계가 인가될 때, 발광하는 현상을 가리킨다.In genera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is a flat self-emission display that emits light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to a phosphor coated on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organic film. Electroluminescence refers to a phenomenon of emitting light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a phosphor made of a semiconductor.
최근, 경량, 박형 등의 특성으로 휴대용 정보기기에 액정표시장치 LCD와 유기 EL 표시장치 OLED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휘도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여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 LCDs and organic EL display OLEDs have been used for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due to their light weight and thinnes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s because they have better luminance an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than liquid crystal displays.
통상,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AMOLED에 형성된 화소는 R, G, B 부화소로 구성되고, 각 R, G, B 부화소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를 구비한다. 각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각 R, G, B 유기발광층을 개재하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R, G, B 유기발광층으로 형성된 유기막으로부터 소정의 광을 발광한다. Typically, pixels formed in the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MOLED are composed of R, G, and B subpixels, and each of the R, G, and B subpixels inclu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ement. Each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formed from an organic film formed of an R, G, B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a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through each R, G, B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Emits light.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EL 표시장치 AMOLED는 전압 기입 방식(Voltage programming method) 또는 전류 기입 방식(Current programming method)을 사용하여 N*M 개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들을 구동시킨다.In addition, the active matrix organic EL display device AMOLED drives the N * M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ements by using a voltage programming method or a current programming method.
한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변광의 변화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휘도 범위로 발광하는데 있어, 주변광이 어두울 경우에 쓸데없이 높은 휘도로 발광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emits light in a predetermined luminance range irrespective of changes in ambient light, and emits light with unnecessarily high luminance when the ambient light is dark.
본 발명과 관련되고,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즉, 전류량에 반비례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수명은 불필요한 높은 휘도로 인하여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수명이 단축되며, 쓸데없이 높은 휘도를 발생시키는 전류량으로 인하여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lifespan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urrent shortens the lif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ue to unnecessary high luminance, and ha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due to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ing unnecessarily high lumin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자동휘도 조절부가 주변광의 변화를 마지막 주사라인의 수평동기 신호(Hsync)에 동기시킴으로써, 높은 휘도를 발생시키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휘도 변화하는데 걸리는 출력지연시간을 단축하여 주변광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to generate a high luminance by 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uni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synchronize the change of the ambient light to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of the last scanning line,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the brightness change It reduces the output delay time required to make it react quickly to changes in ambient l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변광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화소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은 화소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를 인가하는 발광제어 구동부; 주변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에 해당하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포토 센서; 및 상기 광 감지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출력전압에 해당하는 휘도로 감마값을 조절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감마기준전압을 인가하는 자동 휘도 조절부를 포함하며,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display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t various lumin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mbient light; A scan driver for outputting a scan signal for sequentially selecting the plurality of pixels; A data driver for applying a data signal to the pixel selected by the scan signal; A light emission control driver which applies a light emission control scene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pixel to which the data signal is applied; A photo sensor for detecting ambient light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light; And an automatic luminanc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output voltage of the photo detector and adjusts the gamma value to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to apply the gamma reference voltage to the data driver.
상기 자동 휘도 조절부는 상기 광 감지부의 출력전압을 마지막 주사라인의 수평동기신호(Hsync)에 동기시켜 주변광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ambient light by synchroniz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light detector with a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Hsync) of the last scan line.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휘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n automatic brightness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발광제어 구동부(400), 포토 센서(500) 및 자동휘도 조절부(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먼저, 표시 패널(100)은 열 방향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m), 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스캔 라인(S1-Sn), 행 방향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발광제어 라인(EMI1-EMIn) 및 다수의 픽셀(P11-Pnm)로 구성된다.First, the
즉, 상기 다수의 픽셀(P11-Pnm)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m), 다수의 스캔 라인(S1-Sn) 및 다수의 발광제어 라인(EMI1-EMIn)이 교차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픽셀(P11-Pnm)은 상기 다수의 픽셀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이미 탑재된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OLE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동작을 실행한다.That is, the plurality of pixels P11 -Pnm are defined by regions where a plurality of data lines D1 -Dm, a plurality of scan lines S1 -Sn, and a plurality of emission control lines EMI1 -EMIn cross each other.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ixels P11-Pnm execute a display operation throug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LED OLED already mounted by the plurality of pixel circuit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다음, 상기 주사 구동부(200)는 다수의 스캔 라인(S1,S2,S3,..,Sn)과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픽셀(P11-Pnm)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Next, the
다음,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2,D3,..,Dm)과 연결되어 상기 주사 구동부(200)의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된 픽셀이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Next, the
즉,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구동 전류가 상기 픽셀에 인가되고, 상기 구동 전류는 상기 픽셀에 형성된 픽셀 회로에 전기적인 연결 흐름에 따라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OLED로 전달된다. 그 결과,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OLED는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is applied to the pixel, and the driving current is transferred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L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flow to the pixel circuit formed in the pixel. As a result,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LED is displayed.
다음, 상기 발광제어 구동부(400)는 다수의 발광제어라인(EMI1,EMI2, EMI3,..,EMIn)과 연결되어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 신호를 인가한다.Next, the
다음, 상기 포토 센서(500)는 주변광 휘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광 휘도에 따른 소정의 전압 신호 Vout를 생성한다.Next, the
다음,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0)는 상기 포토 센서(5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신호 Vout의 크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인가되는 감마 기준전압을 조절한다. 즉, 주변광의 휘도에 따라 감마 기준전압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전체적인 휘도를 제어한다.Next,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0)는 감마 기준전압의 범위를 4단계로 나누어 감마 레지스터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감마 기준전압의 범위를 확장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automatic
이를 통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0)은 주변광이 밝을 경우엔 전체적인 휘도 레벨을 높여 영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조절되며, 주변 이 어두운 경우엔 전체적인 휘도 레벨을 낮쳐 영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조절된다.Through this, the
도 2는 자동휘도 조절부의 내부 구성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unit.
도 2를 참조하면, 자동휘도 조절부(600)는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 A/D 컨버터(602), 제 2 휘도조절 제어부(603), 수평동기신호 카운터(604), 신호처리 프로세서(605), 감마 조절부(606) 및 감마 회로부(607)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먼저,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는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를 자동휘도 조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자동휘도 조절신호 ABON에 의해 상기 A/D 컨버터(602), 수평동기 카운터(604), 신호처리 프로세서(605) 및 감마 조절부(606)는 활성화된다.First, the first
다음, 상기 A/D 컨버터(602)는 포토 센서로부터 전달된 소정의 전압 신호 Vout를 인가받아 상기 전압 신호 Vout에 상응하는 2 비트의 디지털 신호인 휘도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A/D 컨버터(602)는 상기 포토 센서(500)에 의해 인식된 전압 신호 Vout에 따라 4 단계의 휘도(Very Dark : 00, Dark : 01, In Door : 10, Out Door : 11)로 조절된다.Next, the A /
또한, 상기 A/D 컨버터(602)는 제 2 휘도조절 제어부(603)로부터 6 비트의 디지털 신호인 히스테리시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포토 센서(500)의 전압 신호 Vout와 비교하는 기준전압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2 비트의 휘도레벨 신호를 출력 한다.In addition, the A /
다음, 상기 수평동기 카운터(604)는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카운터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수평동기신호 카운터(604)는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로부터 전달되는 각 2비트의 카운터 제어신호인 00, 01, 10, 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카운터하여 출력한다. 만약, 00의 카운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수평동기 카운터(604)는 상기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매번 출력하고, 01의 카운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수평동기 카운터(604)의 2회분 중에 1번 상기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출력한다. 또한, 10의 카운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수평동기 카운터(604)의 3회분 중에 1번 상기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출력하고, 11의 카운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4회분 중에 1번 상기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출력한다.Next,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counter 604 counter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다음, 상기 신호처리 프로세서(605)는 상기 A/D 컨버터(602)로부터 2비트의 휘도레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 카운터(604)로부터 전달된 수평동기 신호 Hsync를 동기화 및 샘플링시킨 후, 상기 감마 조절부(606)로 소정의 출력값을 전달한다.Next, the
즉, 상기 신호처리 프로세서(605)는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로부터 3비트의 디지털 신호인 주기선택 신호 ABT[2:0]를 수신받아, 상기 수평동기신호 카운터(604)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 신호 Hsync와 샘플링시켜 휘도조절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테이블로 정리하면 [표 1]과 같다.That is, the
상기 [표 1]에 따르면, 상기 제 1 자동휘도 제어부(601)로부터 출력되는 3비트의 주기선택 신호 ABT[2:0]는 상기 수평동기 신호를 배수화시켜 상기 휘도조절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처리 프로세서(605)는 상기 A/D 컨버터(602)로부터 전달된 2비트의 휘도레벨 신호와 상기 휘도조절 동기신호를 동기화시켜 디지털 휘도조절 동기신호를 생성한다.According to [Table 1], the 3-bit period selection signal ABT [2: 0] output from the first automatic
여기서, 상기 샘플링 및 동기화는 순서적으로 바뀌어도 회로 해석적으로 무관하며 결과값인 상기 2비트의 디지털 휘도조절 동기신호가 상기 신호처리 프로세서(605)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이 요지이다.In this case, the sampling and synchronization are irrelevant in circuit analysis even if they are changed in sequence, and the two-bit digital luminance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is outputted through the
다음, 상기 감마 조절부(606)는 감마 레지스터(616), 감마 셋팅 레지스터(626), 감마 선택부(636) 및 감마 출력부(646)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처리 프로세서(605)로부터 출력되는 2비트의 디지털 휘도조절 동기신호를 인가받아 감마값을 조절한다.Next, the
세부적으로, 상기 감마 레지스터(616)는 Very Dark 영역의 감마값을 저장하는 감마 레지스터 0, Dark 영역의 감마값을 저장하는 감마 레지스터 1, In Door 영역에 감마값을 저장하는 감마 레지스터 2 및 Out Door 영역에 감마값을 저장하는 감마 레지스터 3으로 나뉜다. 또한, 상기 감마 레지스터(616)는 레드, 그린, 블루 각각의 감마값을 저장한다.Specifically, the
다음, 상기 감마 셋팅 레지스터(626)는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6)가 오프되면, 이미 초기에 저장된 각각의 레드, 그린, 블루의 감마 초기값을 사용한다. 즉,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6)가 오프되면, 상기 감마 셋팅 레지스터(626)는 이미 저장된 감마 초기값을 적용시킨다.Next, when the auto
다음, 상기 감마 선택부(636)는 상기 신호처리 프로세서(605)에서 출력되는 2비트의 디지털 휘도조절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감마 레지스터(616)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레드, 그린 블루의 감마 기준값을 선택하여 상기 감마 출력부(646)로 전달한다.Next, the
다음, 상기 감마 출력부(646)는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에 의해 자동휘도 조절신호 ABON가 온되면, 상기 감마 선택부(636)는 스위칭되어 상기 감마 레지스터 중 하나를 선택한다. 반면에 상기 자동휘도 조절신호 ABON가 오프되면, 상기 감마 셋팅 레지스터(626)를 선택한다. 즉, 상가 감마 출력부(646)는 상기 제 1 휘도조절 제어부(601)의 자동휘도 조절신호 ABON에 따라, 상기 감마 레지스터(616)로부터 출력되는 각 레드, 그린 블루의 감마 기준값 또는 감마 셋팅 레지스터(626)로부터 출력되는 각 레드, 그린 블루의 감마 초기값을 전달받아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6)의 감마 회로부(607)로 출력한다.Next, when the auto luminance control signal ABON is turned on by the first
다음,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6)의 감마 회로부(607)는 상기 감마 출력부(646)로부터 전달된 감마 기준값/감마 초기값을 수신하여 생성된 감마 기준전압/감마 초기전압을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300)에 인가한다.Next,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0)는 상기 포토 센서(500)에서 감지된 주변광의 휘도를 나타내는 전압 신호 Vout에 따라 미리 저장된 4단계의 휘도 중 어느 하나의 감마 기준전압을 데이터 구동부에 인가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표시 패널의 전체 휘도를 변경한다.The automatic
단, 상기 포토 센서(500)에서 감지된 주변광의 전압 신호 Vout가 상기 자동휘도 조절부(600)에 인식됨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까지 상기 감마 기준전압 또는 감마 초기전압이 출력되는데 걸리는 시간(지연 시간)을 수평동기 신호 Hsync가 어떻게 동기되는가에 따라 달려 있다.However, as the voltage signal Vout of the ambient light detected by the
또한, 선택된 기준전압 신호는 상기 제 2 휘도조절 제어부(603)를 통해 도 3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그래프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elected reference voltage signal is determined by the hysteresis graph of FIG. 3 through the second
도 3은 도 2의 A/D 컨버터로 전달되는 기준전압 신호를 결정하는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hysteresis for determining a reference voltage signal transferred to the A / D converter of FIG. 2.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히스테리시스 그래프의 가로축은 포토 센서의 전압 신호 Vout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휘도[cd/m2]를 나타낸다. 즉, 0부터 최저전압(VL)까지 Very Dark 영역으로 약 10 [cd/m2]이고, 최저전압(VL)부터 중간전압(VM)까지 Dark 영역으로 약 100 [cd/m2]이다. 그리고, 중간전압(VM)부터 최고전압(VH)까지 In Door 영역으로 약 200 [cd/m2]이며, 최고전압(VH) 이상은 Out Door 영역으로 약 300 [cd/m2]이다.Referring to FIG. 3, the horizontal axis of the hysteresis graph represents the voltage signal Vout of the photosensor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luminance [cd / m 2 ]. That is, it is about 10 [cd / m 2 ] in the very dark region from 0 to the lowest voltage (VL) and about 100 [cd / m 2 ] in the dark region from the lowest voltage (VL) to the intermediate voltage (VM). The intermediate voltage VM to the highest voltage VH is about 200 [cd / m 2 ] in the In Door region, and the maximum voltage VH or more is about 300 [cd / m 2 ] in the Out Door region.
상기와 같이 포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광에 따른 전압 신호 Vout는 상기 도 3의 히스테리시스 그래프 중에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2비트의 휘도레벨 신호가 출력된다.As the voltage signal Vout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sensed by the photosensor corresponds to any one region of the hysteresis graph of FIG. 3, a corresponding 2-bit luminance level signal is output.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히스테리시스 그래프는 정상 모드(스탭 1)와 히스테리시스 모드(스탭 2 또는 스탭 3)으로 나뉜다. 즉, 상기 정상 모드 (히스테리시스 : 오프(off))이면, 도 3 그래프 중 가운데 전압값(VL1, VM1, VH1)들이 기준전압 신호로 결정되며, 히스테리시스 모드이면, 도 3의 그래프 중 왼쪽 또는 오른쪽 전압값(VL2, VM2, VH2(스탭 2) 또는 VL3, VM3, VH3(스탭 3))들이 기준전압 신호로 결정된다.In more detail, such a hysteresis graph is divided into a normal mode (step 1) and a hysteresis mode (
여기서, 상기 정상 모드(스탭 1) 및 히스테리시스(스탭 2 또는 스탭 3)의 기준전압 신호는[표 2],[표 3]및[표 4]와 같이 나타낸다.Here, the reference voltage signals of the normal mode (step 1) and hysteresis (
* 고딕체는 기본 값(default value)을 나타낸다.* Gothic type represents the default value.
* 고딕체는 기본 값(default value)을 나타낸다.* Gothic type represents the default value.
* 고딕체는 기본 값(default value)을 나타낸다.* Gothic type represents the default value.
상기 표와 같이 정상 모드 및 히스테리시스 모드에 따른 기준전압 신호는 상기 [표 2],[표 3]및[표 4]와 같이 설정된다. 상기 모드의 선택은 제 2 휘도조절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설정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의 고딕체에 해당하는 기본값은 기준전압 신호로 초기에 설정된다. 단, 상기 기본값은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As shown in the table, reference voltage signals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and the hysteresis mode are set as shown in [Table 2], [Table 3], and [Table 4]. The selection of the mode is set to a mod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 brightness control controller.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default value corresponding to the gothic body of the table is initially set as the reference voltage signal. However, the default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as much as described in the above table.
도 4는 수평동기 신호에 따른 자동휘도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도이다.4 is a timing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도 4를 참조하면, 포토 센서의 출력신호(Vout)는 수평동기 신호 Hsync인 휘도조절 동기신호에 의해 동기화된다. 다시 말해, 마지막 주사라인(예를들어, QVGA의 경우 320번째라인)의 수평동기 신호 Hsync 마다 한번씩 포토 센서의 전압 신호 Vout를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utput signal Vout of the photosensor is synchronized by the luminance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In other words, the voltage signal Vout of the photo sensor is sensed once per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of the last scan line (eg, the 320th line for QVGA).
도 4와 같이, 포토 센서의 전압 신호 Vout가 In Door 영역 레벨에서 Dark 영역 레벨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휘도조절 동기신호인 마지막 주사라인의 수평동기 신호 Hsync의 카운팅 포인터 시점에서 상기 포토 센서의 전압 신호 Vout의 변화를 인식하며, 감마기준전압 출력신호는 그 다음 번 마지막 주사라인의 수평동기 신호 Hsync에 출력되어 전체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voltage signal Vout of the photo sensor is changed from the In Door area level to the dark area level, the voltage signal of the photo sensor at the point of time of the counting pointer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of the last scan line, which is the luminance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Recognizing the change in Vout, the gamma reference voltage output signal is then output to the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of the last scan lin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displa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자동휘도 조절부가 주변광의 변화를 마지막 주사라인의 수평동기 신호 Hsync에 동기시킴으로써, 주변 밝기에 따라 전류량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휘도 변화하는데 걸리는 출력지연시간을 단축하여 주변광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게 하는 효과를 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unit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synchronizes the change of the ambient light to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of the last scanning line,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hange the luminance. It shortens the output delay time and makes it react quickly to changes in ambient ligh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0859A KR100667079B1 (en) | 2005-08-31 | 2005-08-31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brightn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0859A KR100667079B1 (en) | 2005-08-31 | 2005-08-31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brightn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7079B1 true KR100667079B1 (en) | 2007-01-10 |
Family
ID=3786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0859A KR100667079B1 (en) | 2005-08-31 | 2005-08-31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brightn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707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7352A (en) * | 2016-12-28 | 2018-07-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ata drive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CN111354318A (en) * | 2018-12-20 | 2020-06-30 | 硅工厂股份有限公司 |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ck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62856A (en) | 2000-06-06 | 2002-02-28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JP2003228330A (en) | 2002-02-01 | 2003-08-15 | Sanyo Electric Co Ltd | Display device |
KR20040051476A (en) * | 2002-12-11 | 2004-06-18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gamma voltage |
KR20050036246A (en) * | 2003-10-15 | 2005-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isplay device having photo sensor |
KR20060050070A (en) * | 2004-07-12 | 2006-05-19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Organic el display device |
-
2005
- 2005-08-31 KR KR1020050080859A patent/KR1006670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62856A (en) | 2000-06-06 | 2002-02-28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JP2003228330A (en) | 2002-02-01 | 2003-08-15 | Sanyo Electric Co Ltd | Display device |
KR20040051476A (en) * | 2002-12-11 | 2004-06-18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gamma voltage |
KR20050036246A (en) * | 2003-10-15 | 2005-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isplay device having photo sensor |
KR20060050070A (en) * | 2004-07-12 | 2006-05-19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Organic el display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7352A (en) * | 2016-12-28 | 2018-07-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ata drive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KR102659541B1 (en) * | 2016-12-28 | 2024-04-2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ata drive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CN111354318A (en) * | 2018-12-20 | 2020-06-30 | 硅工厂股份有限公司 |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ck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
CN111354318B (en) * | 2018-12-20 | 2024-06-07 | 硅工厂股份有限公司 |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ck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4136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uto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 |
CN113129831B (en) | Driv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unit | |
JP5032807B2 (en) | Flat panel display and control method of flat panel display | |
US805907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5449641B2 (en) | Display device | |
US8633877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TWI389077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TWI443640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20090033685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2008209886A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e method therefor | |
KR10157227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WO2006106451A1 (en) | A led display system | |
US874945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pable of adjusting a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applied to pixel | |
US8330684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 |
JP2004354635A (en) | Electrooptical apparatus, driving method of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160082752A (en) | Data converter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 |
JP2008122516A (en) | Display device and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 |
KR100741977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
US20150070377A1 (en) |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 |
KR101885824B1 (en) | Data converter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 |
JP2006119465A (en) | Self-emission type display device | |
KR100667079B1 (en)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brightness | |
JP2007164003A (en) | Self-luminous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lighting time length control device, and program | |
KR100815755B1 (en) | Gamma correction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reof | |
KR20160092335A (en) | Method and device for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