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66699B1 -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699B1
KR100666699B1 KR20050023382A KR20050023382A KR100666699B1 KR 100666699 B1 KR100666699 B1 KR 100666699B1 KR 20050023382 A KR20050023382 A KR 20050023382A KR 20050023382 A KR20050023382 A KR 20050023382A KR 100666699 B1 KR100666699 B1 KR 10066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act
resistor
generating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5002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821A (ko
Inventor
정덕영
홍재석
신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2005002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699B1/ko
Priority to TW094117777A priority patent/TWI272539B/zh
Priority to US11/145,332 priority patent/US7605805B2/en
Priority to CN2005100752108A priority patent/CN1705232B/zh
Publication of KR2006010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6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공개한다. 이 전기적 접촉센서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기준 신호를 지연하여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신호 발생부와,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의 접촉시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보다 더 많이 지연하고, 비접촉시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보다 작게 지연하여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도성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일정이상의 전하 축적 능력을 가진 접촉 물체이면 접촉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하나의 접촉 패드만으로도 접촉 물체의 접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레이아웃을 감소시켜 준다.

Description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electrical touch sensor and Human Interface Device using it}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적 접촉센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a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하지 않았을 경우의 동작 회로도.
도 1c는 도 1a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한 경우의 동작 회로도.
도 2는 도 1a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된 경우와 접촉되지 않은 경우의 전기적 접촉센서의 출력 레벨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전기적 접촉센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전기적 접촉센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4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하지 않았을 경우의 동작 회로도.
도 5b는 도 4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하지 않은 경우의 신호 파형도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도 4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한 경우의 동작 회로도.
도 5d는 도 4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있어서, 접촉 물체가 접촉한 경우의 신호 파형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마우스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마우스의 동작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a은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마우스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b은 도 8a의 전기적 접촉센서에 연결되는 접촉 패드들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접촉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촉 물체의 접촉 유무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통보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촉센서는 크게 기구적 방법으로 동작하는 푸시버튼과 비기구적 방법으로 동작하는 전기적 접촉센서로 나뉜다.
푸시버튼은 제품의 생산 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접촉 물체의 선택을 감지하기 위한 기구적 접점과 버튼의 복원력을 위한 스프링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도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전기적 접촉센서는 제품의 생산 비용은 푸시 버튼에 비해 많이 소요되나 소형화에 더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전기적 접촉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적 접촉센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전기적 접촉센서의 기본 회로도이고, 도 1b는 접촉 물체가 접촉하지 않았을 경우의 전기적 접촉센서의 동작 회로도이고, 도 1c는 접촉 물체가 접촉한 경우의 전기적 접촉센서의 동작 회로도이다.
계속하여 도 1a를 참조하면, 전기적 접촉센서는 접촉 물체가 접촉되는 두개의 접촉 패드들(또는 접촉 핀들)(PAD1, PAD2)과, 접촉물체로부터 전달되는 정전기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제 1 저항(R1)과, 능동 소자 N형 FET(Q1)와, N형 FET(Q1)의 바이어스 전압 설정을 위한 제 2 저항(R2)과, N형 FET(Q1)의 부하(load)가 되는 제 3 저항(RL)과, N형 FET(Q1)의 출력 전압을 버퍼하는 출력 버퍼(B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접촉센서에 접촉 물체가 접촉하지 않으면, 도 1b의 회로도와 같이, 접촉 패드들(PAD1, PAD2)은 개방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N형 FET(Q1)의 게이트는 제 2 저항(R2)을 통해 접지전압과 연결된다.
접지 전압과 게이트가 연결된 N형 FET(Q1)는 오프가 되고, N형 FET(Q1) 및 제 3 저항(RL)을 통한 전류의 흐름은 없게 된다. 이에 N형 FET(Q1)의 드레인에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고, 출력 버퍼(B1)는 N형 FET(Q1)의 드레인에 인가된 전원 전압(VDD)을 입력 받아 "H"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반면에 전기적 접촉센서에 접촉 물체가 접촉하게 되면, 전기적 접촉센서는 도 1c의 동작 회로도를 가지게 된다.
이때의 접촉 물체는 일반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저항체인 사람의 손가락이 된다.
계속하여 도 1c를 참조하면, 두개의 접촉 패드들(PAD1, PAD2)은 저항체(RH)를 통해 연결되며, 저항체(RH)를 통해서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GND)의 전압차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하에서는 접촉 패드에 접속된 사람의 저항체(RH)를 제 4 저항(RH)으로 칭하기로 한다.
그러면 N형 FET(Q1)의 게이트에는 "전원 전압(VDD) × 제 2 저항(R2)/(제 1 저항(R1) + 제 4 저항(RH))"의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N형 FET(Q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N형 FET(Q1)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 이하 Vth)보다 크게 되면, N형 FET(Q1)는 온이 되어 N형 FET(Q1)와 제 3 저항(RL)을 통해서 "A × (VG - Vth)2"의 드레인 전류(IL)가 흐르게 된다. 이때 A는 각 FET의 고유 상수값이고, Vth는 각 FET의 문턱 전압값이다.
즉, N형 FET(Q1)의 드레인에는 "전원 전압(VDD) - 드레인 전류(IL) × 제 3 저항(RL)"의 전압(VD)이 인가되게 된다.
특히, N형 FET(Q1)의 게이트에 "드레인 전류(IL) × 제 3 저항(RL) > 전원 전압(VDD)"으로 계산되는 드레인 전류(IL)를 흐르게 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N형 FET(Q1)의 드레인 전압은 "0"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개의 접촉 패드들(PAD1, PAD2)에 충분히 작은 저항값을 가지는 접촉 물체가 접촉하게 되면, N형 FET(Q1)의 드레인에는 "0"에 근접한 값을 가지는 드레인 전압이 발생하게 되고, 드레인 전압은 출력 버퍼(B1)를 거쳐서 "L" 신호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두개의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전도성 이 있는 접촉 물체가 동시에 두 접촉 패드에 접촉되면 이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여 주었다.
종래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기구적 구성없이 순수하게 전기적 접촉으로만 접촉 사실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각종 전기 전자 기기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개의 접촉 패드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종래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두개의 접촉 패드를 반드시 구비해야 함에 따라 소형화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인간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저항 성분을 이용하여 접촉 여부를 감지하므로, 두개의 접촉 패드에 접촉되는 접촉 물체도 반드시 일정한 저항 성분을 을 가진 물체여야 하는 제약을 가진다.
이에 사람의 손가락이 전기적 접촉 패드에 접촉되었으나, 사람이 비전도성을 가지는 장갑을 끼거나, 맨손이라 할지라도 손의 표면이 건조하여 충분한 전도성을 가지게 못하게 되면, 전기적 접촉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접촉 패드들(PAD1, PAD2)에 접촉 물체가 접촉되었음(구간 (1), 구간 (3))에도 불구하고 접촉 물체가 충분한 전도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면, 접촉 패드들(PAD1, PAD2)에는 매우 높은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이 연결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N형 FET(Q1)에는 미소한 전류만이 인가되어 전기적 접촉센서는 "H"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적 접촉센서의 경우, 접촉 물체가 접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접촉 물체가 충분한 전도성을 가지게 못하게 되면, 전기적 접촉센서는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오동작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이 충분하지 않은 접촉 물체가 접촉되어도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접촉 패드만으로도 접촉 물체의 접촉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기준 신호를 지연하여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신호 발생부와,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의 접촉시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보다 더 많이 지연하고, 비접촉시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보다 작게 지연하여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접촉 센서와, 상기 접촉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접촉 센서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기준 신호를 지연하여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의 접촉시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보다 더 많이 지연하고, 비접촉시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보다 작게 지연하여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을 구비하고, 접촉 물체가 상기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패드에 접촉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신호 들을 발생하는 전기적 스크롤 장치와, 상기 접촉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된 상기 접촉 패드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접촉 패드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화면을 스크롤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스크롤 장치는 상기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에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 센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전기적 접촉센서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기준 신호 발생부(10)와, 제 1 신호 발생부(21)와, 제 2 신호 발생부(22)와, 접촉 신호 발생부(30)와, 필터부(40)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준 신호 발생부(10)는 AC(Alternate Current) 신호 또는 클럭 신호를 기준 신호(ref_sig)로서 발생하여 제 1 신호 발생부(21)와 제 2 신호 발생부(22)에 각각 인가한다.
제 1 신호 발생부(21)는 접촉 물체의 접촉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기준 신호(ref_sig)를 항상 제 1 시간 지연하여 제 1 신호(sig1)를 발생한다.
제 2 신호 발생부(22)는 접촉 물체가 접촉되는 접촉 패드(PAD)를 구비하고, 접촉 패드(PAD)에 접촉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 기준 신호(ref_sig)를 지연하지 않고, 접촉 패드(PAD)에 접촉 물체가 접촉되면 기준 신호(ref_sig)를 제 1 시간 보다 더 많이 지연하여 제 2 신호(sig2)를 발생한다.
즉, 제 2 신호 발생부(22)는 접촉 물체의 비접촉시에는 제 1 신호(sig1)의 위상보다 빠른 위상을 가지는 제 2 신호(sig2)를 생성하고, 접촉시에는 제 1 신호(sig1)의 위상보다 느린 위상을 가지는 제 2 신호(sig2)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접촉 물체는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모든 물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많은 량의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사람의 인체가 있다.
접촉 신호 발생부(30)는 제 1 신호(sig1)에 동기되어 제 2 신호(sig2)를 샘플링 및 래치하여 접촉 신호(con_sig)를 발생한다.
그리고 필터부(40)는 접촉 신호(con_sig)를 수신하고, 접촉 신호 발생부(30)의 접촉 물체가 접촉 패드에 접촉하는 순간 또는 접촉 물체의 불안정하게 접촉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각종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고, 안정화 및 평활화하여 출력 신호(out_sig)를 발생한다.
도 4는 도 3의 전기적 접촉센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신호 발생부(21)는 기준 신호 발생부(10)와 접촉 신호 발생부(3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R11)과, 제 1 저항(R11)과 접촉 신호 발생부(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접지 전압(VSS)과 연결되는 캐패시터(CAP)를 포함하고, 제 2 신호 발생부(22)는 기준 신호 발생부(10)와 접촉 신호 발생부(3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저항 (R12)과, 제 2 저항(R12)과 접촉 신호 발생부(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정전용량을 가지는 접촉물체가 접촉되도록 하는 접촉 패드(PAD)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저항(R11, R12)은 기준 신호 발생부(10)와 캐패시터(CAP)간의 지연 성분과 기준 신호 발생부(10)와 접촉 패드(PAD)간의 지연 성분을 동일하도록 하는 저항으로, 극히 미약한 지연 성분을 가진다.
이때 캐패시터(CAP)는 접촉물체의 정전용량 보다 작은 정전용량을 가지도록 한다. 즉, 사람의 인체가 평균적으로 가지는 정전용량 보다 작은 정전용량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접촉 신호 발생부(30)는 디플립플롭(D-flipflop)으로 구현하고, 필터부(40)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로 구현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전기적 접촉센서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는 접촉 물체의 비접촉시의 전기적 접촉센서(40)의 동작 회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전기적 접촉센서(40)의 신호 파형도이고, 도 5c는 접촉 물체의 접촉시의 전기적 접촉센서(40)의 동작 회로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전기적 접촉센서(40)의 신호 파형도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접촉 물체의 비접촉시에 수행되는 전기적 접촉 센서(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접촉 물체의 비접촉시에 제 1 신호 발생부(21)의 지연 성분은 제 1 저항(R11)과 제 1 캐패시터(CAP1)가 되고, 제 2 신호 발생부(22)의 지연 성분은 제 2 저항(R12)이 된다.
여기서, 제 1 저항(R11), 제 2 저항(R12), 및 제 1 캐패시터(CAP1)은 도 4의 제 1 저항(R11), 제 2 저항(R12), 및 캐패시터(CAP1)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 그리고 이때의 제 1 저항(R11) 및 제 2 저항(R12)은 매우 작은 지연 성분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저항(R11, R12)에 따른 지연 시간은 무시하기로 한다.
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호 발생부(21)는 제 1 캐패시터(CAP1)에 따라 기준 신호(ref_sig)를 제 1 시간 만큼 지연시킨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 발생부(22)는 기준 신호(ref_sig)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 2 신호(sig2)를 각각 발생한다.
즉, 제 2 신호(sig2)의 위상은 제 1 신호(sig1)의 위상보다 빨라져, 제 2 신호(sig2)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가 발생하고, 제 1 시간이 경과해야 제 1 신호(sig1)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가 발생한다.
그러면 디플립플롭(30)은 제 1 신호(sig1)의 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제 2 신호(sig2)의 로우 레벨을 획득하고, 로우 레벨을 가지는 접촉 신호(con_sig)를 발생하고, 로우 패스 필터(40)는 접촉 신호(con_sig)를 필터링하여 로우 레벨을 가지는 출력 신호(out_sig)를 발생한다.
이어서,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접촉 물체의 접촉시에 수행되는 전기적 접촉 센서(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도 5c를 참조하면, 접촉 물체의 접촉시에 제 1 신호 발생부(21)의 지연 성분은 도 5a와 동일하나 제 2 신호 발생부(22)의 지연 성분은 접촉 물체의 정전용량(CAP2) 만큼 더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호 발생부(21)는 제 1 캐패시터(CAP1)에 따라 기준 신호(ref_sig)를 제 1 시간 만큼 지연시킨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 발생부(22)는 접촉 물체의 정전용량(CAP2)에 따라 제 1 시간 보다 더 지연시킨 제 2 신호(sig2)를 각각 발생한다.
즉, 제 1 신호(sig1)의 위상은 제 2 신호(sig2)의 위상보다 빨라져, 제 1 신호(sig1)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가 먼저 발생되고, 제 2 신호(sig2)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가 나중에 발생된다.
그러면 디플립플롭(30)은 제 1 신호(sig1)의 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제 2 신호(sig2)의 하이 레벨을 획득하고, 하이 레벨을 가지는 접촉 신호(con_sig)를 발생하고, 로우 패스 필터(40)는 접촉 신호(con_sig)를 필터링하여 하이 레벨을 가지는 출력 신호(out_sig)를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접촉 물체가 정전용량을 가지고, 접촉 물체의 정전용량에 따라 접촉 신호의 위상이 변경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접촉 패드(PAD) 만으로도 접촉 물체의 접촉여부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접촉 물체가 전도성이 없는 부도체라 할지라도 소정량 이상의 정전용량을 보유한 물체이면 접촉 물체의 접촉여부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의 접촉 신호 발생부(30)를 제 1 신호(sig1)의 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동작되는 디플립플롭(30)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의 적용예에서는 제 1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제 2 신호(sig2)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동작을 수행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디플립플롭 이외에도 제 1 신호에 동기되어 접촉 신호를 획득 및 래치할 수 있는 JK 플립플롭 및 래치회로등으로도 접촉 신호 발생부(30)를 구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4의 필터부(30)를 로우 패스 필터로 한정하였으나, 로우 패스 필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필터를 통해서도 도 4의 필터부(30)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도 6과 도 8a는 도 3의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마우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의 마우스는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마우스이고, 도 8a의 마우스는 다수개의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는 마우스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마우스(60)는 마우스의 상부면에 설치된 접촉패드(PAD)에 연결되어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 및 통보하는 전기적 접촉센서(61)와, 접촉패드(PAD)에 접촉 물체가 접촉함을 통보받은 경우에만 마우스 및 전원 공급부(64)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62)와, 획득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이미지 센서(63)와, 마우스의 동작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부(64)와, MCU(62)와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65)와, 키버튼(66)과, 스크롤 장치(67)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마우스(90)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마우스(60)의 상부면에 손을 접촉하여야 한다.
이에 도 6의 MCU(62)는 도 7의 구간(2) 및 구간(4)와 같이 전기적 접촉센서(61)를 통해 마우스의 상부면에 사람의 손이 접촉되지 않았음을 감지하면, 전원 공급부(64)의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각 구성 요소(63, 65, 66, 67)로의 동작 전원을 공급을 차단하여 마우스의 동작을 비활성화한다.
반면에 MCU(62)는 도 7의 구간(1) 및 구간(3)과 같이 전기적 접촉센서(61)를 마우스의 상부면에 사람의 손이 접촉되었음을 감지하면, 전원 공급부(64)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 구성 요소(63, 65, 66, 67)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마우스의 동작을 활성화한다.
이에 도 6의 마우스는 사람이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마우스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경우에만 마우스의 동작을 활성화하여, 이미지 센서(63)를 통해 계산된 움직임 값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65)를 통해 컴퓨터에 제공하여 준다.
도 6의 마우스(60)가 무선 마우스이면 충전지 또는 건전지를 전력원으로 사용하여 사용시간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최대한으로 사용시간을 늘리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우스(60)는 상기에서와 같이 사람이 마우스(60)를 사용하기 위해 접촉한 경우에만 각 구성요소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여 마우스(60)의 동작을 활성화함으로써, 전력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무선 마우스(60)의 사용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려 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기적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장치로 마우스를 한정하여 설명하였 지만, 전력 소모의 감소를 위해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만 동작될 필요가 있는 모든 종류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의 방법을 채택하여 줄 수 있다.
이어서 도 8a를 참조하면, 마우스(70)는 도 6에서와 같이 이미지 센서(63)와, 전원 공급부(64)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65)와, 키버튼(66)를 구비하되, 도 6의 스크롤 장치(67)와 MCU(62)를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센서들(71)와 MCU(72)로 대체한다.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센서들(71)는 도 8b와 같이 소정의 패턴을 가지며 마우스 상부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PADS)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스크롤 장치를 구현한다. 이때 전기적 접촉센서들(71) 각각은 도 6의 전기적 접촉센서(61)에 같이 접촉패드(PAD)에 대한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 및 통보한다.
MCU(72)는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 센서들(7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조합하여 스크롤 방향을 파악하고, 해당 방향으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크롤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 데이터를 발생하여 컴퓨터에 전송한다.
이에 도 8a의 마우스는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센서들(71)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파악하고, MCU(72)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롤 방향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크롤 하도록 하는 스크롤 데이터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8b와 같이 상하로 일렬 배치된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PADS) 중 하측에 배치된 일부 접촉 패드들(P5, P6)에만 접촉하면, 이 일부 접촉 패드들(P5, P6)에 대응되는 일부 접촉 센서들만이 하이 레벨을 가지는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MCU(72)는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P1~P6) 중 하측에 배치된 일부 접촉 패드들(P5, P6)이 접촉되었음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아래쪽으로 스크롤 하기 위한 스크롤 데이터를 발생하여 준다.
도 8a의 마우스 장치는 종래의 기계적 스크롤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아주 얇은 두께의 마우스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고 마모성이 강한 기계적 장치를 제거함으로 장치의 내구성을 증대한다.
이외에도 도 9a와 도 9b에서와 같이, 도 3의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 센서는 각 전기적 접촉 센서와 연결되는 접촉 패드들(PADS)을 휴대 단말기 또는 MP3 플레이어의 문자 배열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하고, 스크롤 장치 또는 위치 추적 장치 또는 위치 입력 장치로써 이용할 수 도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접촉 패드들을 위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 이동을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위치 입력 장치로서 이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 센서는 하나의 접촉 패드만을 구비하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접촉 유무 또는 접촉 위치의 변화를 활용하는 어떠한 장치에 손쉽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센서는 전도성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일정이상의 전하 축적 능력을 가진 접촉 물체이면 접촉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제공하여 준다. 이는 특히, 날씨의 습도 유무와 사람간이 전도성 차이나 장갑 등의 피복 착용 유무에 상관없이 전기적 접촉센서가 안정적으로 동작 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전기적 접촉센서는 하나의 접촉 패드만으로도 접촉 물체의 접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레이아웃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기적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스크롤 동작하는 것과 같이 보다 향상되고 다양해진 기능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Claims (14)

  1.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
    제1저항과 제1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1캐패시터를 통해 지연시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신호 발생부;
    제2 저항과 하나의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접촉 패드를 통해 제1신호보다 더 많이 지연시키고, 비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저항에 따라 상기 제1신호보다 더 적게 지연시켜 제2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1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은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접촉 신호 발생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제1저항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접촉 물체보다 작은 정전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항은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접촉 신호 발생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제2저항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획득 및 래치하여 상기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신호를 획득 및 래치하여 상기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접촉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래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래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센서는
    상기 접촉 신호를 안정화 및 평활화한 후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센서.
  10.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접촉 센서; 및
    상기 접촉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접촉 센서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
    제1저항과 제1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1캐패시터를 통해 지연시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신호 발생부;
    제2 저항과 하나의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접촉 패드를 통해 제1신호보다 더 많이 지연시키고, 비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저항에 따라 상기 제1신호보다 더 적게 지연시켜 제2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1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입력 장치.
  11.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을 구비하고, 접촉 물체가 상기 복수개의 접촉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패드에 접촉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신호들을 발생하는 전기적 스크롤 장치; 및
    상기 접촉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된 상기 접촉 패드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접촉 패드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화면을 스크롤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스크롤 장치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제1저항과 제1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1캐패시터를 통해 지연시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신호 발생부와, 제2 저항과 하나의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접촉 패드를 통해 제1신호보다 더 많이 지연시키고, 비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저항에 따라 상기 제1신호보다 더 적게 지연시켜 제2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신호 발생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전기적 접촉 센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상기 접촉 물체가 접촉된 접촉 패드들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항목을 선택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KR20050023382A 2004-06-03 2005-03-21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382A KR100666699B1 (ko) 2005-03-21 2005-03-21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TW094117777A TWI272539B (en) 2004-06-03 2005-05-31 Electrical touch sensor and human interface device using the same
US11/145,332 US7605805B2 (en) 2004-06-03 2005-06-03 Electrical touch sensor and human interface device using the same
CN2005100752108A CN1705232B (zh) 2004-06-03 2005-06-03 电接触传感器和使用该电接触传感器的人机界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382A KR100666699B1 (ko) 2005-03-21 2005-03-21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21A KR20060101821A (ko) 2006-09-26
KR100666699B1 true KR100666699B1 (ko) 2007-01-09

Family

ID=3763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33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699B1 (ko) 2004-06-03 2005-03-21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007A1 (en) * 2007-06-28 2008-12-31 Atlab Inc. Automatic impedance adjus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32906A1 (ko) * 2008-09-19 2010-03-25 주식회사 애트랩 센서, 센서의 센싱 방법, 및 센서의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6434B2 (en) 2006-06-22 2013-06-04 Atlab Inc. Touch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971501B1 (ko) 2008-10-24 2010-07-21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센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657A (ja) * 1992-04-30 1995-11-21 Varitronix Ltd タッチセンス装置
KR20000058684A (ko) * 2000-06-24 2000-10-05 유재희 터치형 마우스
KR20050115170A (ko) * 2004-06-03 2005-12-07 주식회사 애트랩 전기적 접촉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657A (ja) * 1992-04-30 1995-11-21 Varitronix Ltd タッチセンス装置
KR20000058684A (ko) * 2000-06-24 2000-10-05 유재희 터치형 마우스
KR20050115170A (ko) * 2004-06-03 2005-12-07 주식회사 애트랩 전기적 접촉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007A1 (en) * 2007-06-28 2008-12-31 Atlab Inc. Automatic impedance adjus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38879B1 (ko) 2007-06-28 2010-01-27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 감지 센서 및 이 센서의 자동 감도 조절방법
WO2010032906A1 (ko) * 2008-09-19 2010-03-25 주식회사 애트랩 센서, 센서의 센싱 방법, 및 센서의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21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5805B2 (en) Electrical touch sensor and human interface device using the same
US12181943B2 (en) Reducing sleep current in a capacitance sensing system
JP4014660B2 (ja) 携帯用コンピュータデバイス
KR102093021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8314780B2 (en) Touch device
JP4880299B2 (ja) 実体化したボタン機能付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8860683B2 (en) Integrated button activation sensing and proximity sensing
US7583092B2 (en)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that uses a combined guard and sensing electrode
US874952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sensing
US5495077A (en) Object position and proximity detector
US8624609B2 (en)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KR101105279B1 (ko) 터치 센서 ic
WO2016192641A1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WO2005043595A3 (en) Electric field proximity keyboards and detection systems
KR20220145425A (ko) 터치 입력 자극을 결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센서 및 방법
KR100642497B1 (ko) 전기적 접촉센서
KR100666699B1 (ko)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KR20050115704A (ko) 휴먼입력장치의 스크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입력장치
US7667693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using varying signal delay input to a flip-flop
JP2004020210A (ja) 静電容量式センサ
Munteanu et al. Capacitive Touch Sensor Used In Visually Impaired Aid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3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