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54923B1 -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23B1
KR100654923B1 KR1020050123905A KR20050123905A KR100654923B1 KR 100654923 B1 KR100654923 B1 KR 100654923B1 KR 1020050123905 A KR1020050123905 A KR 1020050123905A KR 20050123905 A KR20050123905 A KR 20050123905A KR 100654923 B1 KR100654923 B1 KR 10065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solvent
mixture
pur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민
김정남
Original Assignee
(주)씨엘에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엘에스랩 filed Critical (주)씨엘에스랩
Priority to KR102005012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6Preparation of optical is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2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31/24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5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58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 중간체인 하기 화학식 (I)의 키랄(Chiral) 아미드 화합물을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1
본 발명의 아미드 화합물의 제조 및 정제방법에 따르면, 실라스타틴(Cilastatin)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키랄 중간체를 제조한 후 99.7% 이상의 고순도 및 99.0~99.9% 수준의 높은 키랄순도로 정제할 수 있다.
아미드 화합물, 이미페넴, 실라스타틴, 키랄화합물

Description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PROCESS FOR CONTINUOUSLY PREPARING HIGH PURITY CHIRAL AMIDE COMPOUND}
본 발명은 의약 중간체의 새로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순도의 실라스타틴 중간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라스타틴은 카바페넴(Carbapenem) 항생제인 이미페넴(Imipenem)과 혼합되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 이미페넴의 분해를 차단하여 항균성능을 발휘시켜 주는 화합물로 제품의 화학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2
유럽특허 제 48301호에는 실라스타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다음 반응도식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I)의 중간체를 알파케토산 화합물(A)와 축합반응시켜 화합물(B)를 만든 후 아미노산인 L-씨스테인(C)를 부가하여 제조한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3
따라서 상기 화학식 (I)의 키랄 중간체 화합물이 실라스타틴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핵심물질이며 이를 통해 용이하게 실라스타틴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참고문헌: 미국특허 제 5166417호, 미국특허 제 5243070호 및 미국특허 제 5273903호].
상기 화합물(I)은 광학활성을 가지며 최종제품인 실라스타틴의 제품순도는 상기 화합물의 광학순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화합물을 만드는 주요 방법은 라세미체(racemate)를 키랄 분리시약과 결합한 후 분리하는 방법[참고문헌: 미국특허 제 5166417호 및 미국특허 5243070호]인데, 이 경우 목적물을 얻기 위해 라세미체를 키랄 분리시약과 결합시킨 후 각 이성질체를 분리하고 다시 키랄 분리시약과 이성질체를 분리해야 하는 등 복잡한 분리(resolution) 과정을 거치며 일반적으로 라세미체로부터 원하는 광학순도 98% 이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20% 이하 수준의 낮은 수율로 목적물이 제조되며 이 역시 그대로 실라스타틴 제조에 사용되기에는 반대 에난티오머가 1% 가까이 존재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데 일반적인 원료 의약품의 불순물 허용치가 0.1% 이하임을 감안하면 의약품 중간체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미국특허 제 5273903호에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라세미체로부터 생물학적 분리법(biological resolution)을 통해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다음 반응도식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세미체를 아미다제(amidase)효소를 이용하여 선택적 가수분해를 통해 상기 화합물 (I)을 제조한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4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93 % 수준의 광학순도로 제품을 제조하므로 앞에 전술한 화학적 분리법(Chemical Resolution)과 동일하게 의약품 중간체로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반대 에난티오머 불순물 함량이 3.5%에 달해 적합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라스타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핵심 키랄 중간체를 복잡한 과정없이 간단히 고효율로 생산하며 높은 광학순도로 의약품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매우 간단하게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약 중간체인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5
즉, 본 발명은 라세미체를 비교적 저렴한 키랄 분리시약(Chiral Resolving Agent)인 L-멘톨과 결합시키고 각각의 디아스테레오머 이성질체를 간단히 재결정법으로 분리하여 원하는 S-폼은 제품으로 만들고 반대 이성질체는 키랄분리시약인 L-멘톨과 분리할 필요없이 동일한 반응기내에서 다시 라세미체로 이성질체화시킨 후 연속적으로 재결정법을 통해 계속 원하는 S-폼의 제품만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S-폼을 약 90~95% 정도의 키랄 순도로 얻을 수 있었다.
이를 간단히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6
또한 본 발명자가 찾아낸 두 이성질체의 매우 특이한 물리적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재결정과정을 통해 놀랍게도 99.0~99.8% 수준의 키랄순도를 가지는 고순도 제품제조가 가능하였다.
즉,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의 두가지 에난티오머, 즉, 상기 화학식(I)에 표현된 S-에난티오머와 하기 화학식(II)에 표현된 R-에난티오머가 각각 에난티노머임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용매에 대해서는 결정성(Crystallization)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새로이 발견하여 유용한 S-에난티오머만을 순수하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얻어진 S-에난티오머는 반대이성질체 함량이 불순물로서 제품품질에 문제가 되지 않는 0.1% 이하로서 고품질 제품제조가 가능하며 기존제품 대비 월등 히 우수한 제품품질을 기대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7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연속 제조 및 정제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첫째, 연속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i) 하기 화학식 (K)의 화합물과 L-멘톨의 축합반응에 의해 하기 화학식(L)과 하기 화학식(M)의 에스테르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8
(ii) 상기 화학식(L)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M)의 1:1 혼합물을 재결정으로 분리하여 하기 화학식(L)의 화합물만을 결정으로 수득하고 상기 화학식(M)의 농축된 화합물을 정제없이 동일한 반응기내에서 라세미화하여 다시 상기 화학식(L)과 상기 화학식(M)의 1:1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09
(iii) 상기 화학식(L)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하기 화학식(N)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0
(iv) 상기 화학식(N)의 화합물을 염소화 반응시킨 후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1
둘째,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정제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v) 하기 화학식(II)의 R-폼 화합물이 소량 포함된 상기 화학식(I)의 S-폼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적정한 온도범위와 교반범위를 통해 결정화시켜 R-폼 에난티오머가 다량 포함된 R폼과 S폼의 혼합물을 걸러내고 유용한 S-폼 화합물의 양이 의약품 용도로 제품화에 충분한 순도인 S폼 화합물의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2
(vi) 상기 S-폼 화합물의 용액으로부터 적당한 2차 용매를 사용, 의약품 용도로 제품화에 충분한 순도의 S-폼 제품을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연속제조 방법 및 정제방법을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단계: 화학식(L)과 화학식(M)의 혼합물 제조
하기 화학식(L)과 (M)의 혼합물은 하기 화학식 (K) 의 화합물을 L-멘톨과 산 촉매하에서 축합 반응시켜 얻는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3
이때, 산 촉매로는 염산, 황산, 질산, 초산,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메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인산, PPA(Poly phosphoric acid), 티타늄 등의 금속을 함침시킨 실리카, 제올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K)를 기준으로 0.000005~0.5 당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반응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용매,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 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된다.
제 2 단계: 화학식(L)의 화합물의 분리 및 화학식(L)과 (M)의 라세미화
하기 화학식(L)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L)과 하기 화학식(M)의 1:1 혼합물을 간단한 재결정법으로 분리하여 얻어진다.
이때 사용가능한 재결정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석유에테르, 디알킬에테르, t-부틸알킬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t-부탄올, n-부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혹은 이 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L)은 45%에 달하는 수율(이론수율: 50%) 및 95% 정도의 광학 순도(optical purity)로 제조된다.
화학식(L)의 화합물을 결정으로 수득하고 남은 상기 화학식(M)의 농축된 화합물은 정제없이 동일한 반응기내에서 라세미화하여 다시 상기 화학식(L)과 상기 화학식(M)의 1:1 혼합물을 수득하여 계속 재결정을 통해 결국 화합물(L)만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라세미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시약으로는 알칼리금속, 알칼리금속의 탄산, 히드록시드, 히드리드, 알콕시드, 아미드, 치환된 아미드, 알킬화합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칼리토금속의 탄산, 히드록시드, 히드리드, 알콕시드, 아미드, 치환된 아미드, 알킬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L)과 (M)의 혼합물을 기준으로 0.000001~1.0 당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반응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석유에테르, 디알킬에테르, t-부틸알킬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포옥시드 등의 극성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t-부탄올, n-부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재하에서 이루어진다.
반응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인데, 10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150℃를 초과하면 부반응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4
제 3 단계: 화학식(N)의 화합물의 제조
하기 화학식(N)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L)의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얻는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5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시약으로는 알칼리금속, 알칼리금속의 탄산, 히드록시드, 히드리드, 알콕시드, 아미드, 치환된 아미드, 알킬화합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칼리토금속의 탄산, 히드록시드, 히드리드, 알콕시드, 아미드, 치환된 아미드, 알킬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L)을 기준으로 0.000001~1.0 당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t-부탄올, n-부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혹은 이 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60℃인데, 6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120℃를 초과하면 부반응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제 4 단계: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N)의 화합물과 다양한 염소화시약 및 암모니아의 부가반응을 통해 얻는다.: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6
염소화시약으로는 염소, SOCl2, SO2Cl2, POCl3, PCl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N)을 기준으로 1.0~2.0 당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의 반응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된다.
반응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인데, -3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60℃를 초과하면 부반응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제 5 단계: 고순도의 화학식(I)의 S-폼 화합물 용액의 제조
상기 화학식(II)의 R-폼 화합물이 소량(약 2~3%) 포함된 상기 화학식(I)의 S-폼 화합물를 적당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적정한 온도범위와 교반범위를 통해 결정화시키면 R-폼 에난티오머의 용해도가 S-에난티오머에 비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R폼이 다량 포함된 R폼과 S폼의 혼합물이 결정화되어 석출된다. 이 혼합물을 걸러내면 용액 안에는 유용한 S-폼 화합물이 의약품 용도로 제품화에 충분한 순도인 99.5~99.9%수준으로 존재하여 고순도의 상기 화학식(I)의 S-폼 화합물 용액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단계의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석유에테르, 디알킬에테르, t-부틸알킬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포옥시드 등의 극성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t-부탄올, n-부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하에서 수행된다.
결정화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인데, -80℃ 미만이면 R-폼의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고 20℃를 초과하면 재결정 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 6 단계: 고순도의 화학식(I)의 S-폼 화합물의 제조
고순도의 상기 화학식(I)의 S-폼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I)의 S-폼 화합물용액으로부터 적당한 2차 용매를 사용, 의약품 용도로 제품화에 충분한 순도의 S-폼 제품을 석출시켜 고순도의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의 용매로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등의 탄화수소 용매,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가 가능하다.
이 단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인데 30℃를 초과하면 키랄순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의 키랄 화합물은 중간체로서 앞에서 설명한 (참고: 유럽특허 제 48301호) 바와 같이 실라스타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교반장치, 콘덴서 및 온도계가 장착된 2,00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100g의 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화합물(K))과 125g의 L-멘톨, 10g의 파라톨루엔술폰산, 500g의 톨루엔을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온도를 110℃로 유지하면서 반응물을 환류하면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물에 300g의 물과 100g의 10% 탄산나트륨을 천천히 가하고 15분간 교반한 다음, 물층과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유기층을 농축하여 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L-멘틸에스테르(화합물(L)과 화합물(M)의 1:1 혼합물)를 감압증류하여 수득하였다(100~101℃/3.0mmHg; 수율: 90.1%, 순도: 99.0%). Rf = 0.85(노르말-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 1H NMR (CDCl3, 300MHz) : 4.68(t,d, 1H, J=11.1 Hz, J=4.50 Hz); 1.92(m, 2H); 166(m, 2H); 1.50 ~ 1.35(m, 3H); 1.17(d, 6H, J=10.8 Hz); 1.12 ~ 0.96(m, 3H); 0.90(d, 6H, J=6.90 Hz); 0.85 ~ 0.81(m, 3H); 0.76(d, 3H, J=6.90 Hz).
실시예 2
교반장치, 콘덴서, 및 온도계가 장착된 1,00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100g의 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L-멘틸에스테르(화합물(L)과 화합물(M)의 1:1 혼합물)와 200g의 이소프로판올을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온도를 60℃로 올려 반응물을 용해시킨 후, 천천히 5℃까지 냉각하여 결정을 석출시킨다. 생성된 결정은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걸러내고 소량의 이소프로판올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L-멘틸에스테르(화합물(L))를 수득하였다.(수율: 45.0%, 순도: 99.1%, 키랄순도: 95.2%).
걸러진 액은 상압증류하여 농축후 반응물에 1.5g의 t-부톡시칼륨을 가하고 온도를 120℃로 올린 후 반응시켜 라세미화를 진행시킨다. 라세미화가 완결되면 실시예1에서 제조한 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L-멘틸에스테르(화합물(L)과 화합물(M)의 1:1 혼합물)을 45g 투입한 후 200g의 이소프로판올을 투입한다.
그런 다음, 온도를 60℃로 올려 반응물을 용해시킨 후, 천천히 5℃까지 냉각하여 결정을 석출시킨다. 생성된 결정은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걸러내고 소량의 이소프로판올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L-멘틸에스테르(화합물(L))를 연속적으로 수득하였다(수율: 44.0%, 순도: 99.2%, 키랄순도: 95.2%). Rf = 0.85(노르말-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 1H NMR (CDCl3, 300MHz) : 4.68(t,d, 1H, J=11.1 Hz, J=4.50 Hz); 1.92(m, 2H); 166(m, 2H); 1.50 ~ 1.35(m, 3H); 1.17(d, 6H, J=10.8 Hz); 1.12 ~ 0.96(m, 3H); 0.90(d, 6H, J=6.90 Hz); 0.85 ~ 0.81(m, 3H); 0.76(d, 3H, J=6.90 Hz).
실시예 3
교반장치, 콘덴서 및 온도계가 장착된 2,00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100g의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L-멘틸에스테르(화합물(L))와 500g의 메탄올을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온도를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70g의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투입하였다. 반응물을 환류시키고, 반응이 종결된 후, 반응물을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한 후 반응물에 500g의 물과 500g의 디클로로메탄을 을 가하고 15분간 교반한 다음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시킨다. 물층을 35%염산으로 산성화시킨 후 물층에 디클로로메탄을 가하고 15분간 교반한 다음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시킨다. 유기층에서 용매 및 저비점 유기물은 증류시켜 회수하고 S-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화합물(N))을 수득하였다(수율: 93.3%, 순도: 99.0%, 키랄 순도: 95.1%). Rf = 0.5(n-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 1H NMR (CDCl3, 300MHz) : 1.55(dd, 1H, J=7.95 Hz, J=5.42 Hz); 1.19(s, 3H); 1.16(s, 3H); 1.13(dd, 1H, J=4.98 Hz, J=4.89 Hz); 0.92(dd, 1H, J=7.98 Hz, J=4.42 Hz).
실시예 4
교반장치, 콘덴서 및 온도계가 장착된 2,00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100g의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화합물(N))과 400g의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온도를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104g의 티오닐클로라이드를 천천히 투입하였다. 가스발생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15℃로 유지하면서 45g의 암모니아를 투입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에 700 ml의 물을 가하고 15분간 교반 한 다음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시키고, 유기층에서 용매 및 저비점 유기물은 증류시켜 회수하고 담황색의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I))를 수득하였다(수율: 92.1%, 순도: 99.2%, 키랄 순도: 95.0%). Rf = 0.3(노르말-헥산/에틸아세테이트, 1/1). 1H NMR (CDCl3, 300MHz) : 5.59(br,s, 2H,); 1.29(dd, 1H, J=7.91 Hz, J=5.40 Hz); 1.17(s, 3H); 1.12(s, 3H); 1.06(dd, 1H, J=5.40 Hz, J=4.84 Hz); 0.74(dd, 1H, J=7.92 Hz, J=4.34 Hz).
실시예 5
교반장치, 콘덴서 및 온도계가 장착된 1,00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100g의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I))와 200g의 에탄올을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환류시켜 완전히 용해시킨다. 반응물을 10℃까지 천천히 냉각시키면서 결정을 석출시킨다. 결정을 거름종이로 걸러내고 걸러진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농축시킨다. 농축된 반응물에 200g의 노르말 헵탄을 투입하고 격렬히 교반시켜 결정을 석출시킨 뒤 거름종이로 생성된 결정을 걸러내어 건조시켜 백색결정상의 고순도의 S-2,2-디메틸씨클로프로판 카르복스아미드를 수득하였다(수율: 82.0%, 순도: 99.8%, 키랄 순도: 99.8%). Rf = 0.3(노르말-헥산/에틸아세테이트, 1/1). 1H NMR (CDCl3, 300MHz) : 5.59(br,s, 2H,); 1.29(dd, 1H, J=7.91 Hz, J=5.40 Hz); 1.17(s, 3H); 1.12(s, 3H); 1.06(dd, 1H, J=5.40 Hz, J=4.84 Hz); 0.74(dd, 1H, J=7.92 Hz, J=4.34 Hz).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키랄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실라스타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중간체를 위험한 반응단계 없이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그리고 고수율 및 99.8% 이상의 높은 순도와 99.8% 이상의 높은 키랄순도로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실라스타틴 제조에 적용하면 경제적으로 그리고 고순도로 위험한 단계없이 목적물 제조가 가능하며 이는 상업적 생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7
    (i) 하기 화학식 (K)의 화합물과 L-멘톨의 축합반응에 의해 하기 화학식(L)과 하기 화학식(M)의 에스테르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8
    (ii) 상기 화학식(L)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M)의 1:1 혼합물을 재결정으로 분리하여 하기 화학식(L)의 화합물만을 결정으로 수득하고 상기 화학식(M)의 농축된 화합물을 정제없이 동일한 반응기내에서 라세미화하여 다시 상기 화학식(L)과 상기 화학식(M)의 1:1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19
    (iii) 상기 화학식(L)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하기 화학식(N)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20
    (iv)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N)의 화합물의 염소화 반응 후 암모니아와의 부가반응을 통해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21
    (v) 하기 화학식(II)의 R-폼 화합물이 소량 포함된 상기 화학식(I)의 S-폼 화합물를 적당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적정한 온도범위와 교반범위를 통해 결정화시켜 R-폼 에난티오머가 다량 포함된 R폼과 S폼의 혼합물을 걸러내고 유용한 S-폼 화합물의 양이 의약품 용도로 제품화에 충분한 순도인 S폼 화합물의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Figure 112005073434617-pat00022
    (vi) 상기 S-폼 화합물의 용액으로부터 적당한 2차 용매를 사용, 의약품 용도로 제품화에 충분한 순도의 S-폼 제품을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 단계의 용매가 할로겐용매로서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 에테르 용매로서의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석유에테르, 디알킬에테르 및 t-부틸알킬에테르, 극성 용매로서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술포옥시드, 및 알코올 용매로서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t-부탄올 및 n-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vi) 단계의 용매가 탄화수소 용매로서의 펜탄, 헥산, 헵탄 및 옥탄, 및 할로겐용매로서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23905A 2005-12-15 2005-12-15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5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905A KR100654923B1 (ko) 2005-12-15 2005-12-15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905A KR100654923B1 (ko) 2005-12-15 2005-12-15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23B1 true KR100654923B1 (ko) 2006-12-06

Family

ID=3773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9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4923B1 (ko) 2005-12-15 2005-12-15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58B1 (ko) 2008-09-11 2009-02-19 디에이치씨 (주) 고수율 및 고 광학순도의 광학활성 아미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956A (en) 1983-07-20 1984-12-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nthyl 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and resolution of the same
US5273903A (en) 1991-03-06 1993-12-28 Lonza Ltd. Biotechnologic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2,2-dimethylcyclopropanecarboxamide
KR20040004744A (ko) * 2002-07-05 2004-01-14 임광민 아미드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956A (en) 1983-07-20 1984-12-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nthyl 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and resolution of the same
US5273903A (en) 1991-03-06 1993-12-28 Lonza Ltd. Biotechnologic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2,2-dimethylcyclopropanecarboxamide
US5360731A (en) 1991-03-06 1994-11-01 Lonza Ltd. Bacteria capable of stereospecifically hydrolyzing R-(-)-2,2-dimethylcyclopropanecarboxamide
KR20040004744A (ko) * 2002-07-05 2004-01-14 임광민 아미드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58B1 (ko) 2008-09-11 2009-02-19 디에이치씨 (주) 고수율 및 고 광학순도의 광학활성 아미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0613A (ko) (치환된) (r)- 또는 (s)-만델산의 동적 분할 방법
CN110590635A (zh) 左乙拉西坦及其中间体的制备方法
US20110257401A1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carboxylic acid
JP6137185B2 (ja) (r)−1,1,3−トリメチル−4−アミノインダンの製造方法
KR100511534B1 (ko) 아미드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0654923B1 (ko) 고순도의 광학활성아미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JP5188475B2 (ja) 2−(3−ニトロベンジリデン)アセト酢酸イソプロピルの製造方法
US7094926B2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carboxylic acid substituted in 2-position
US5274131A (en) 2-chloropropionaldehyde trim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4032861B2 (ja) β−オキソニトリル誘導体又はそのアルカリ金属塩の製法
US7038091B2 (en) Process for producing acetylene compound
EP1489066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optically active carboxylic acid
KR100884558B1 (ko) 고수율 및 고 광학순도의 광학활성 아미드의 제조방법
JP4873207B2 (ja) 光学活性カルボン酸クロリドの精製方法
JP2002371060A (ja) 光学活性アミノピペ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5397706B2 (ja) 高純度1−ベンジル−3−アミノピロリジンの製造方法
JP4030289B2 (ja) β−ケトニトリル類の製法
WO1990008126A1 (en) Resolution process
JP2006312644A (ja) β−ケトニトリル類の製法
JP3808931B2 (ja) 光学活性な4,5−ジフェニル−1,3−ジアルキル−2−ハロゲノイミダゾリニウム・ハロゲニド
US20240368082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evetiracetam and intermediate thereof
JP5704182B2 (ja) 光学活性テトラヒドロフラン−2−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KR20020047859A (ko) 1-브로모에틸 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JP2006290753A (ja) 2−(10、11−ジヒドロ−10−オキシジベンゾ〔b、f〕チエピン−2−イル)プロピオン酸の製造方法
JPH0940621A (ja) 光学活性インダニルメチルアミ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