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54583B1 -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583B1
KR100654583B1 KR1020040101437A KR20040101437A KR100654583B1 KR 100654583 B1 KR100654583 B1 KR 100654583B1 KR 1020040101437 A KR1020040101437 A KR 1020040101437A KR 20040101437 A KR20040101437 A KR 20040101437A KR 100654583 B1 KR100654583 B1 KR 10065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nd
water quality
fish farm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564A (ko
Inventor
여희주
송동석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to KR102004010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5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25Biological purification using sources of oxygen other than air, oxygen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양어장 수질관리시스템(100)이 산소용입수단(110)과 수온조절수단(120)과 수질감지센서(130)와 설정값과 허용한계 입력부(140)와 용수정화시스템(500) 및 호지수질콘트롤러(101)를 포함한다. 용수정화시스템(500)은 호지청소수단(510)과 정수수단(520) 및 급수수단(530)을 포함한다. 호지청소수단(510)은 용수회전수단과 양수수단 및 오염물여과수단을 포함한다. 용수회전수단(512)은 호지내의 급수위치와 호지중앙을 연결한 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일방향으로 용수를 방출하여 급수하는 급수노즐에 의해 구성된다. 양수수단은 호지 중앙의 바닥에 흡입구(514)를 두고 비스듬히 배치한 양수관(513)을 포함한다. 오염물여과수단은 거친 오염물을 걸러내는 철망필터와 미세한 오염물을 걸러내는 수차 및 고압송풍에어로 구성된다. 정수수단(520)은 자외선으로 살균하고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해 정화시키는 정화조(522)를 포함한다. 용수는 양수관(513)의 흡입구(514)를 통해 오염물과 함께 빨려들어가서 1차 여과기(515)와 2차 여과기(516)와 저수조(521)와 정화조(522)를 통과하면서 정수되고 급수도관(532)과 급수관(511)을 통해 호지로 돌려보내지는 방식으로 순환한다.
양어장, 용수, 청소, 정수, 수질, 회전, 양수, 산소, 온도

Description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및 원격관리시스템 {Water Purification System In Fish Farm And Water Quality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It}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의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의 용수정화시스템에서의 용수순환을 도시한 기능블록선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수정화시스템의 산소공급장치 및 용수회전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요소중 원추형 용해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용수에서 오염물을 여과하고 정화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100" :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
110 : 산소용입수단
120 : 수온조절수단
130 : 수질감지센서
140 : 입력부
210, 220, 220', 220" : 관측정보획득수단
300 : 메인콘트롤러
400 : 양어장제어컴퓨터
500 : 용수정화시스템
이 발명은 양어장의 용수정화시스템 및 그러한 용수정화시스템을 포함한 수질개선메커니즘의 작동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수질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하게는, 양어장의 수질을 상시적으로 측정하고 호지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며 용수를 정수하여 재사용하면서 수질이 설정된 값을 유지하면서 허용한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적시에 수질개선조치를 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양어장 내 다수의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수질상태정보 및 별도의 양어장 관리시스템에 의해 관측되는 관측정보를 관리자 및 기타의 정보수요자에게 제공해주는 양어장원격관리시스템도 제공한다.
양어장의 수질을 이루는 일반적인 요소로는 용존산소농도, 수온, 산도(pH), 암모니아농도, 질소화합물농도, 아질산염농도, 탁도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용존산소농도와 수온이 가장 중요하다.
양어장의 수질을 저해하는 주요 오염원으로는 양식되는 어류의 배설물과 사체 및 먹다 남은 잔존사료이다. 즉, 오염원은 회피할 수 없는 필요악으로 존재하는 것이므로 차단하는 것은 불가하며, 지속적으로 수질상태를 감시하면서 적시에 오염물을 제거하고 수질개선제를 투입하는 등의 개선조치가 요구된다.
원시적인 수질개선조치로는,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호지에 저수된 용수를 교란시켜 포말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중의 산소가 녹아들게 하는 산소용입과, 투입되는 용수의 냉온수혼합비를 조절하거나 히터로 용수를 가열하는 수온조절과 호지로부터 오염수를 제거하고 신선수를 투입해주는 용수교체 및, 주기적으로 호지 바닥에 가라앉은 오염물을 제거해 내는 호지청소를 행하는 것이었다.
산소용입과 수온조절은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수질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공기중의 산소를 용입시키는 방법 대신에 순도가 높은 산소를 용입시킨다거나 히터 또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성능을 개선하기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용수교체나 호지청소는 그 비용이나 그에 따른 부작용이 적지 않은 것이어서 그 효율을 높이거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적지 않았다.
즉, 용수교체는 대량의 신선수 소비를 요구하며 호지청소는 청소과정에서 호지 바닥의 오염물이 부유되어 용수를 과도하게 혼탁시키기 때문에 양식되는 어류가 죽거나 질병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용수를 정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신선수 소비를 최소화 하면서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용수정화시스템이 요구된다.
한편, 용수내의 용존산소농도는 상시적으로 최적의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즉, 용존산소농도가 낮아지면, 어류가 사료를 잘 섭취 하지 못하고 소화불량을 일으키거나, 스트레스를 받아 성장이 둔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짧은 순간에 대량의 어류폐사를 일으킬 수도 있다. 반대로, 용존산소농도가 과도하게 높아져도 어류의 기포병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산소용입 비용도 낭비된다. 더 나아가서, 허용한계 내의 변화일지라도 용존산소농도의 등락이 심할 경우에는 어류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질병에 걸리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용수내의 용존산소농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적량의 산소를 용수내에 용입시켜 용존산소농도를 상시적으로 최적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산소용입제어가 요구된다.
수온도 어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어종에 따라 적정수온이 다르고 수온에 대한 민감성도 다르지만, 어종을 불문하고 양어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적성장조건의 수온을 유지할 것이 요구되며, 수온에 민감한 어종은 수온조절에 실패하면 폐사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용수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적시에 히터를 작동시키거나 냉온수혼합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수온을 상시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 게 하는 급열제어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용존산소농도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를 각각의 호지에 설치하고 양어장 관리자가 수시로 순찰하면서 계측치를 확인하고 용수의 탁도 등을 살피면서 산소용입장치나 히터 또는 보일러를 작동시키면서 용수를 교체하고 호지를 청소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양어장 관리는 막대한 노력이 요구되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용존산소농도나 수온을 상시적으로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가 어렵고, 자칫하면 시기를 놓쳐 양어에 실패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수질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위와 같은 용수정화시스템이나 산소용입수단 또는 수온조절수단을 적시에 작동시켜 용존산소농도와 온도를 상시적으로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수질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질관리가 요구된다.
위와 같은 수질관리를 자동화한다면 궁극적으로는 양어장 관리자가 양어장에 상주하지 않고도 관리할 수 있는 원격관리가 가능해진다.
원격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수질관리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수질상태에 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양어장 내에 외부침입자가 있는지 또는 각각의 호지내의 어류의 활동 및 양육 상태는 어떠한지에 관한 관측정보도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측정보는 수요자가 양어장에 방문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어류의 생육상태를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게 하는 상품정보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 발명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류의 양육에 필요한 최적의 성장 조건을 맞추어 주어 양질의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양어장 관리를 위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호지내의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호지청소수단과,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 및,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보내는 급수수단을 포함하는 용수정화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와 같은 용수정화시스템과 함께 산소용입수단 및 수온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수질감지센서 및 각각의 호지별 용수정화시스템이나 산소용입수단 또는 수온조절수단을 적시에 작동시키는 호지수질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수질관리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와 같은 수질관리시스템 및 양어장 주변과 호지외측의 상황에 관한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수단과 호지내의 상황에 관한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양어장 내의 모든 호지의 수질관리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 및 수질관리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수질상태에 관한 정보와 호지 내외의 관측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양어장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양어장 용수정화 시스템은 호지내의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용수와 함께 끌어내어 걸러내는 호지청소수단 및,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호지청소수단은 호지에 저수된 용수를 호지의 중앙에 중심을 둔 동심원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용수회전수단과, 호지 중앙의 바닥 근처에서 용수를 오염물과 함께 끌어내는 양수수단 및, 양수된 용수에서 오염물을 걸러내는 오염물여과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용수정화시스템이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 보내어 재사용하게 하는 급수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발명에 따른 양어장 수질관리시스템은 호지내의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용수와 함께 끌어내어 걸러내는 호지청소수단과,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과,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보내는 급수수단과, 용수 내에 산소가 녹아들게 하는 산소용입수단과, 용수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수온조절수단과, 수질감지센서와, 요구되는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허용한계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질상태에 따라 상기 호지청소수단과 상기 정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산소용입수단 및 상기 수온조절수단의 각각을 적시에 작동시키는 호지수질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이 발명에 따른 양어장 원격관리 시스템은 양어장 내의 하나 이상의 호지의 각각에서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용수와 함께 끌어내어 걸러내는 호지청소수단 과,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과,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보내는 급수수단과, 용수 내에 산소가 녹아들게 하는 산소용입수단과, 용수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수온조절수단과, 수질감지센서와, 요구되는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허용한계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허용한계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질상태에 따라 상기 호지청소수단과 상기 정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산소용입수단 및 상기 수온조절수단의 각각을 적시에 작동시키는 호지수질콘트롤러, 양어장 내의 모든 호지의 호지수질콘트롤러에 연결되어 호지별 수질상태정보를 받고 모든 호지콘트롤러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와, 양어장 주변과 호지외측의 상황에 관한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수단과, 호지내의 상황에 관한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및, 수질상태에 관한 정보와 호지 내외의 관측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전송수단이 상기 호지청소수단과 상기 정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산소용입수단과 상기 수온조절수단과 상기 호지수질콘트롤러와 상기 메인콘트롤러와 상기 관측정보획득수단들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도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양어장 원격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예에 따른 양어장 원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이 실시예가 적용된 양어장은 3개의 호지를 갖고 있다. 도 1에 보이듯이, 이 실시예에 따른 양어장 원격관리 시스템은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100, 100', 100") 및 양어장 주변과 호지외측의 상황에 관한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수단(210)과 각각의 호지내의 상황에 관한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수단(220, 220', 220")을 포함한다.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100, 100', 100")은 메인콘트롤러(300)에 연결되어 있고, 메인콘트롤러(300)는 양어장제어컴퓨터(400)에 연결되어 있다.
양어장제어컴퓨터(400)로는 퍼스널컴퓨터(PC)가 이용되며, 메인콘트롤러(300)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제어시스템이 이용된다.
관측정보획득수단(210, 220, 220', 220")은 양어장 주변과 호지 내외의 전경과 호지내의 어류양육상태를 촬영하여 양어장제어컴퓨터(400)로 전송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CCD 카메라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는 침입자 감지용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호지별 수질관리시스템(100, 100', 100")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며, 도 2에 보이듯이, 그 각각은 용수 내에 산소가 녹아들게 하는 산소용입수단(110)과, 용수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수온조절수단(120)과, 수질감지센서(130)와, 요구되는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허용한계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부(140)와, 호지 내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용수를 정수하는 용수정화시스템(500) 및,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수질상태의 설정값 유지와 허용한계와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수질상태에 따라 산소용입수단(110)과 수온조절수단(120) 및 용수정화시스템(500)의 각각을 적시에 작동시키는 호지수질콘트롤러(101)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보이듯이, 이 실시예에 따른 산소용입수단(110)은 액체산 소를 기화시켜 용수 내에 녹아들게 하도록 구성되며, 액체산소공급원(111)과 액체산소기화기(112) 및 급기조절밸브(113)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수온조절수단(120)은 보일러(도시 안됨)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지하수를 냉각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호지 내의 용수를 거의 교체하지 아니 하므로, 용수의 온도변화가 그다지 심하지 아니 하며, 대기의 기온변화에 따른 온도변화만 보상해주면 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수질감지센서(130)는 용존산소량감지센서(131)와 감온센서(132)이다. 그러나, 산도감지센서, 암모니아농도감지센서, 질소화합물농도감지센서, 아질산염농도감지센서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용존산소량감지센서(131)와 감온센서(132)는 호지의 형태나 호지 내에서의 수류형태 또는 호지에 저수된 용수의 깊이 등을 고려하여 평균적이고 대표적인 측정치를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호지수질콘트롤러(101)도, 메인콘트롤러(300)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시스템이 이용된다.
입력부(140)는 호지수질콘트롤러(101)로 이용되는 제어 시스템에 부속되게 구성하거나 메인콘트롤러(300)로 이용되는 제어 시스템에 부속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양자에 중복해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양어장제어컴퓨터(400)로 이용되는 PC에서 입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용수정화시스템(500)은, 도 3에 보이듯이, 호지내의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호지청소수단(510)과,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520) 및,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보내는 급수수단(530)을 포함한다.
호지청소수단(510)은 호지에 저수된 용수를 호지의 중앙에 중심을 둔 동심원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용수회전수단과, 호지 중앙의 바닥 근처에서 용수를 오염물과 함께 끌어내는 양수수단 및, 양수된 용수에서 오염물을 걸러내는 오염물여과수단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보이듯이, 용수회전수단은 호지내의 급수위치와 호지중앙을 연결한 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일방향으로 높은 압력의 용수를 방출하여 급수하는 급수노즐에 의해 구성된다. 즉, 급수관(511)은 호지의 바닥 근처에 그 선단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그 선단은 막혀 있고, 그 선단 근처로부터 급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512)이 일렬로 천공되어 있다. 이 급수관(511)은 구멍(512)이 급수관과 호지중앙을 연결한 선에 대해 직각인 일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호지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보이듯이 배치된 급수관(511)의 구멍(512)을 통해 급수를 방출하면 호지에 저수된 용수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용수의 회전으로 인해 호지 내의 오염용수는 호지의 중앙으로 모여들어 바닥에 침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용수회전은 양식되는 어류의 적절한 운동을 유발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양수수단은 호지 중앙의 바닥에 흡입구(514)를 두고 비스듬히 배치한 양수관(513)을 포함한다. 양수관(513)의 흡입구(514) 근처는 어류가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류의 크기보다 작은 격자로 이루어진 필터(517)로 감싼다.
필터(517)는 물고기가 흡입구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120도 각도로 3군데에 5mm의 홈을 한 각도에 20개 정도 만들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오염물여과수단은 양수관(513)의 출구에서 낙하하는 용수에서 거친 오염물을 걸러내는 철망필터로 구성되는 1차 여과기(515)와 수차 및 고압송풍에어로 미세한 오염물을 걸러내는 2차 여과기(516)로 구성된다. 2차여과기(516)의 근처에는 수차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도시 안됨) 4개를 배치한다.
정수수단(520)은 오염물여과수단(513)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저장해 두는 저수조(521)와 자외선으로 살균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해 정화시키는 정화조(522)를 포함한다.
정화조에서 정화된 용수는 펌프(531)와 급수도관(532) 및 급수밸브(도시 안됨)로 구성되는 급수수단(530)을 통해 용수회전수단(510)을 이루는 급수관(511)으로 보내진다. 또한, 급수수단(530)은 호지의 저수량을 보충하거나 수온조절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하수를 공급하는 지하수급수도관(도시 안됨)을 포함한다.
급수도관(532)의 중간에는 액체산소기화기(112)에서 기화된 산소가 급수되는 용수 내에 혼합되어 녹아들 수 있도록 벤츄리관(114)을 배치하며, 액체산소기화기(112)와 벤츄리관(114)의 사이에는 산소역류방지밸브(115)와 산소압력센서(116)가 배치된다. 급수도관(532)에는 펌프압력센서(도시 안됨)가 배치된다.
기화된 산소가 용수에 용해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원추형 용해기(117)가 이용된다. 원추형 용해기의 최종 아래 단에는 파이프에 아래로 향한 개구를 갖는 직경이 50mm 정도인 구멍이 7개 정도 천공되어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 산소가 용해된 용수가 배출구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즉, 용수는 양수관(513)의 흡입구(514)를 통해 오염물과 함께 빨려 들어가서 1차 여과기(515)와 2차 여과기(516)와 저수조(521)와 정화조(522)를 통화하면서 정수되고 급수도관(532)과 급수관(511)을 통해 호지로 돌려보내지는 방식으로 순환한다.
이러한 용수순환과 산소공급량과 지하수공급량 및 보일러작동은 호지수질콘트롤러(101)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3개의 호지의 수질이 각각 관리된다.
3개의 호지의 수질관리시스템(100, 100', 100")의 호지수질콘트롤러(101)들은 메인콘트롤러(300)에 연결되어 수질관리정보를 전달하며, 메인콘트롤러(300)는 이 정보를 양어장제어컴퓨터(400)에 전달한다. 양어장제어컴퓨터(400)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수질관리정보 및 관측정보 등을 휴대폰이나 무선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을 통해 관리자 및 기타의 정보수요자에게 전송하게 한다.
양어장제어컴퓨터(400)에서는 호지수질콘트롤러(101) 및 메인콘트롤러(300)에서 이루어지는 수질관리에 관한 각종 제어파리미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호지 내에는 수온계 등과 같은 계측기를 배치하여 관리자가 수질상태를 현장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게 할 수도 있으며, 호지수질콘트롤러(101)나 메인콘트롤러(300)에 의해 제어되며 수질의 허용한계초과나 수질관리기기의 고장 등을 알리는 경광등이나 알람벨 등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핸드폰에 문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수질관리시스템과 용수정화시스템을 이용하면 용수를 교체함이 없이 재생 사용함으로써 폐수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용수비용이나 인건비등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양식되는 어류의 폐사나 질병 발생비율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어류의 양육에 필요한 최적의 성장조건을 맞추어 줄 수 있어 양어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양어장 용수의 수질이 설정값을 유지하면서 정해진 허용한계를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하는 수질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호지내의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용수와 함께 끌어내어 걸러내는 호지청소수단과,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과,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보내는 급수수단과,
    용수 내에 산소가 녹아들게 하는 산소용입수단과,
    용수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수온조절수단과,
    수질감지센서와,
    요구되는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허용한계치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수질상태의 설정값 및 허용한계치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질상태에 따라 상기 호지청소수단과 상기 정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산소용입수단 및 상기 수온조절수단의 각각을 적시에 작동시키는 호지수질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관리시스템.
  4.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양어장의 수질상태 및 관측정보를 파악해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양어장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호지의 각각에서 오염물을 부유시킴이 없이 용수와 함께 끌어내어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호지청소수단과,
    호지에서 끌어낸 용수를 정수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수단과,
    정수된 용수를 호지로 되돌려보내는 하나 이상의 급수수단과,
    용수 내에 산소가 녹아들게 하는 하나 이상의 산소용입수단과,
    용수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수온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수질감지센서와,
    요구되는 수질상태의 설정값과 허용한계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수질상태의 설정값 및 허용한계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질상태에 따라 상기 호지청소수단과 상기 정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산소용입수단 및 상기 수온조절수단의 각각을 적시에 작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호지수질콘트롤러와,
    양어장 내의 모든 호지의 호지수질콘트롤러에 연결되어 호지별 수질상태정보를 받고 모든 호지콘트롤러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와,
    양어장 내외의 상황을 관측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관측정보획득수단과,
    수질관리정보 및 관측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이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정보가 상기 호지청소수단과 상기 정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산소용입수단과 상기 수온조절수단과 상기 호지수질콘트롤러와 상기 메인콘트롤러와 상기 관측정보획득수단으로 이루어진 수질관리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와 상기 관측정보획득수단에 연결된 양어장제어컴퓨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양어장제어컴퓨터에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측정보획득수단이 양어장 주변과 호지 내외의 전경을 촬영하여 상기 양어장제어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CCD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관리정보 및 관측정보를 인터넷에 게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 원격관리시스템.
KR1020040101437A 2004-12-03 2004-12-03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KR10065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437A KR100654583B1 (ko) 2004-12-03 2004-12-03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437A KR100654583B1 (ko) 2004-12-03 2004-12-03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564A KR20060062564A (ko) 2006-06-12
KR100654583B1 true KR100654583B1 (ko) 2006-12-06

Family

ID=3715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437A KR100654583B1 (ko) 2004-12-03 2004-12-03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5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54B1 (ko) 2007-10-18 2009-09-17 안호선 하수처리장의 정보처리장치
KR101086049B1 (ko) * 2009-01-16 2011-11-22 씨앤에치아이앤씨(주) 지하수 수질 관리 시스템
KR101200886B1 (ko) * 2010-03-30 2012-11-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해수의 열을 이용한 양식장의 수온조절 시스템
CN104137795A (zh) * 2014-07-22 2014-11-12 浙江科技学院 远程控制式珍珠工厂化室内养殖智能系统
CN106527545A (zh) * 2016-09-28 2017-03-22 吕子含 一种草鱼高密度养殖水自动控制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03609B1 (ko) * 2015-10-16 2017-12-28 이용복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537966B1 (ko) 2022-06-14 2023-05-31 (주)오투컴퍼니 Ai를 이용한 유휴양식장에서의 물고기 양식 및 판매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37B1 (ko) * 2007-05-15 2009-09-02 영어조합법인보전수산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어류와 해삼의 복합 양식 방법 및 그장치
KR200471104Y1 (ko) * 2012-04-19 2014-02-05 김유진 어항관리장치
CN102696514B (zh) * 2012-05-30 2014-04-30 瞿宗敏 生态养鱼及生物净水一体化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CN102893937B (zh) * 2012-11-09 2014-09-03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鲤鱼零换水池塘养殖方法
KR101525845B1 (ko) * 2012-11-20 2015-06-10 주식회사 글로비트 해상 가두리 자가 진단 시스템
CN102972315A (zh) * 2012-12-03 2013-03-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松浦镜鲤鱼种池塘高效培育方法
CN104885987A (zh) * 2015-05-07 2015-09-09 大连交通大学 一种家庭养鱼装置的水质检测系统
CN105075954A (zh) * 2015-09-16 2015-11-25 浙江长兴创意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蛙苗孵化的水循环孵化池
CN105210947B (zh) * 2015-10-16 2017-09-15 中国农业大学 一种改善和增进观赏鱼类体征品质的调控方法
CN105475211A (zh) * 2015-12-30 2016-04-13 桂林市逸仙中学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智能鱼缸
KR102068772B1 (ko) * 2018-10-29 2020-02-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슬기 양식 수조의 바닥 찌꺼기 제거 장치
CN112772541A (zh) * 2021-01-21 2021-05-11 李京翰 一种基于互联网鱼池水循环系统
CN116835814A (zh) * 2023-08-02 2023-10-03 深圳市海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水质净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4093A (ja) * 1988-01-16 1989-07-21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ヒートポンプ式熱殺菌装置および熱殺菌方法
JPH03188999A (ja) * 1989-12-18 1991-08-16 Energy Support Corp 池の水質保全システム
JPH06292483A (ja) * 1993-04-08 1994-10-21 Janome Sewing Mach Co Ltd 観賞魚飼育装置
JPH09276622A (ja) * 1996-04-15 1997-10-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槽水の浄化装置
KR100296887B1 (ko) 1998-10-09 2001-10-26 조현서 해산어육상축양장의수질개선방법및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4093A (ja) * 1988-01-16 1989-07-21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ヒートポンプ式熱殺菌装置および熱殺菌方法
JPH03188999A (ja) * 1989-12-18 1991-08-16 Energy Support Corp 池の水質保全システム
JPH06292483A (ja) * 1993-04-08 1994-10-21 Janome Sewing Mach Co Ltd 観賞魚飼育装置
JPH09276622A (ja) * 1996-04-15 1997-10-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槽水の浄化装置
KR100296887B1 (ko) 1998-10-09 2001-10-26 조현서 해산어육상축양장의수질개선방법및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54B1 (ko) 2007-10-18 2009-09-17 안호선 하수처리장의 정보처리장치
KR101086049B1 (ko) * 2009-01-16 2011-11-22 씨앤에치아이앤씨(주) 지하수 수질 관리 시스템
KR101200886B1 (ko) * 2010-03-30 2012-11-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해수의 열을 이용한 양식장의 수온조절 시스템
CN104137795A (zh) * 2014-07-22 2014-11-12 浙江科技学院 远程控制式珍珠工厂化室内养殖智能系统
KR101803609B1 (ko) * 2015-10-16 2017-12-28 이용복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06527545A (zh) * 2016-09-28 2017-03-22 吕子含 一种草鱼高密度养殖水自动控制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537966B1 (ko) 2022-06-14 2023-05-31 (주)오투컴퍼니 Ai를 이용한 유휴양식장에서의 물고기 양식 및 판매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564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583B1 (ko)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KR100906732B1 (ko)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US10059612B2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recirculating aquaculture
KR101752608B1 (ko)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US5081954A (en) Method of raising fish
KR102242705B1 (ko) 바이오플락 발효조와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US7442306B2 (en) Autotrofic sulfur denitration chamber and calcium reactor
US20150373954A1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recirculating aquaculture
KR100926277B1 (ko) 살아있는 갑각류 유통 및 보관용 용기 또는 컨테이너
KR101704970B1 (ko)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KR101259698B1 (ko)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TWI655600B (zh) 使用ict的鰻魚水產養殖系統
US10772308B2 (en) System for the treatment and recirculation of freshwater or saltwater to restore water quality to optimum levels in fish farming cages
KR102379024B1 (ko) 나노버블수 생성장치
KR20220026459A (ko)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CN106614232A (zh) 一种智能控温养殖水循环系统
CN108380053A (zh) 一种环保养殖用水处理装置和方法
US9475719B2 (en) Pool water purifying device
CN206390030U (zh) 一种智能循环水养殖系统
CN208612198U (zh) 一种环保养殖用水处理装置
CN203424172U (zh) 用于水产养殖的集成控制集装箱
JP2004305813A (ja) 消毒薬剤注入装置
CN108318652B (zh) 一种抗干扰型自来水生物毒性连续监测装置系统
KR102281915B1 (ko) 산소용해기가 부착된 바이오플락 양식 시스템용 수류발생장치
KR102557675B1 (ko)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