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43963B1 -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963B1
KR100643963B1 KR1020040104130A KR20040104130A KR100643963B1 KR 100643963 B1 KR100643963 B1 KR 100643963B1 KR 1020040104130 A KR1020040104130 A KR 1020040104130A KR 20040104130 A KR20040104130 A KR 20040104130A KR 100643963 B1 KR100643963 B1 KR 10064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bracket
coupled
stabilizer bar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306A (ko
Inventor
김성대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963B1/ko
Priority to DE102005051827A priority patent/DE102005051827B9/de
Priority to US11/299,711 priority patent/US7243932B2/en
Publication of KR2006006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9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크로스멤버(21)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크로스멤버(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형성되어 차체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서포트브라켓트(41)와, 스태빌라이저바(1)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상에 안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시(11)와, 상기 부시(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치모양으로 형성되는 부시브라켓트(43)와, 일단은 상기 부시브라켓트(43)의 양단 바깥면에 수직한 방향성을 갖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양측면을 지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스터드볼트(45)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스터드볼트(45)에 의해 관통되어지는 파이프부재(47)와, 상기 파이프부재(47)를 관통한 스터드볼트(45)의 선단에 체결되는 조립너트(49)를 매개로 설치되어져, 스태빌라이저바(1)의 설치시 부시브라켓트(43)가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게 됨으로써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부시브라켓트(43)의 조립 및 해체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stabilizer bar for vehicle}
도 1 내지 도 3은 스태빌라이저바의 종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태빌라이저바 11 - 부시
21 - 크로스멤버 41 - 서포트브라켓트
41a - 상판부재 41b,41c - 측판부재
43 - 부시브라켓트 45 - 스터드볼트
47 - 파이프부재 49 - 조립너트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바를 설치할 때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도록 하여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 및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현가장치중에는, 코너링 주행중 차체에 발생되는 롤링(rolling)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행안정성을 도모하는 스태빌라이저바가 함께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1과 도 2에는 종래 구조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바(1)는 탄성을 구비한 원봉의 형태로서 제작되어 그 양단은 스태빌라이저 링크(도시않됨)를 매개로 현가아암(로어암)에 결합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스태빌라이저바(1)의 양단과 현가아암에 각각 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어져, 차량의 자세에 따라 스태빌라이저바(1)의 좌우 유동(차체의 폭방향 유동)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는 보통 두 군데 정도가 부시(11)와 결합되어 지고, 상기 부시(11)는 부시브라켓트(13)에 의해 감싸여지게 되며, 상기 부시브라켓트(13)는 조립볼트(15)와 용접너트(17)의 체결력에 의해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되어 진다.
즉, 상기 부시브라켓트(13)는 부시(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아치부(13a)와, 상기 아치부(13a)의 양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평면부(13b)로 구성된다.
상기 부시브라켓트(13)의 평면부(13b)는 크로스멤버(21)의 측면에서 용접결합된 서포트브라켓트(23)상에 중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조립볼트(15)는 부시브라켓트(13)의 평면부(13b)와 서포트브라켓트(23)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서포트브라켓트(23)의 밑면에 용접결합된 용접너트(17)와 체결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의 양단은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매개로 현가아암(로어암)에 결합되고, 중간의 두군데 정도는 부시(11)와 부시브라켓트(13)를 매개로 조립볼트(15)와 용접너트(17)의 체결력에 의해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설치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브라켓트(13)의 평면부(13b)가 조립볼트(15)를 통해 서포트브라켓트(23)에 결합될 때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는 구조이므로, 주변 부품들 특히 연료필러의 넥파이프(31)와 간섭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부시브라켓트(13)의 평면부(13b)와 간섭되어지는 주변 부품들(넥파이프)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내구성이 점점 약해져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설치구조는 조립볼트(15)의 조립 및 해체작업시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과,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시브라켓트의 형상 및 서포트브라켓트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도록 함으로써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는, 일단은 크로스멤버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크로스멤버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형성되어 차체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서포트브라켓트와, 스태빌라이저바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브라켓트상에 안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치모양으로 형성되는 부시브라켓트와, 일단은 상기 부시브라켓트의 양단 바깥면에 수직한 방향성을 갖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의 양측면을 지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스터드볼트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스터드볼트에 의해 관통되어지는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관통한 스터드볼트의 선단에 체결되는 조립너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코너링 주행중 차체에 발생되는 롤링(rolling)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행안정성을 도모하는 스태빌라이저바가 함께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구비한 원봉의 형태로서 제작되며, 그 양단은 스태빌라이저 링크(도시않됨)를 매개로 현가아암(로어암)에 결합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스태빌라이저바(1)의 양단과 현가아암에 각각 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어져, 차량의 자세에 따라 스태빌라이저바(1)의 좌우 유동(차체의 폭방향 유동)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는 보통 두 군데 정도가 부시(11)와 결합되어 지고, 상기 부시(11)는 아치(arch)모양으로만 형성된 부시브라켓트(43)에 의해 감싸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브라켓트(43)의 양단 바깥면에는 한 쌍의 스터드볼트(45)가 각각 수직한 방향성을 갖도록 용접결합되는데, 그 선단은 차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언더바디의 강성을 증대시키키기 위해 차체의 폭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멤버(21)에는 서포트브라켓트(41)가 용접결합을 통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선단은 상기 크로스멤버(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부시브라켓트(43)에 결합된 한 쌍의 스터드볼트(45)는 상기 부시(11)가 서포트브라켓트(41)상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양측면을 지나 차체의 하방으로 동일한 길이로서 돌출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양측면에는 파이프부재(47)가 각각 용접결합되는 바, 상기 파이프부재(47)는 스터드볼트(45)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47)를 관통한 스터드볼트(45)의 선단에는 조립너트(49)가 체결되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부시브라켓트(43)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는 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는 윗면에 상기 부시(11)가 안착되는 상판부재(41a)와, 상기 상판부재(41a)에서 크로스멤버(21)쪽을 향하는 일측면과 반대방향의 타측면이 차체의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각각의 바깥면에는 파이프부재(47)가 수직한 방향으로 용접결합되는 두 개의 측판부재(41b,41c)로 구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측판부재(41b,41c) 중 상기 크로스멤버(21)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판부재(41a)에서 굴곡 형성되는 어느 한 개의 측판부재(41b)는, 상기 측판부재(41b)에 결합된 파이프부재(47)가 상기 크로스멤버(21)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크로스멤버(21)에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굴곡형성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부시브라켓트(43)의 형상을 개선하고, 또한 부시브라켓트(43)와 서포트브라켓트(41)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스태빌라이저바(1)의 설치시 상기 부시브라켓트(43)와 주변 부품들간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시브라켓트(43)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부시브라켓트(13)에서 평면부(13b)가 삭제된 형상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시브라켓트(43)가 설치될 때에는 삭제된 평면부(13b)의 크기만큼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부시브라켓트(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바(1)의 설치시 주변 부품들 특히 연료필러 넥파이프(31)와의 사이에 갭(G)을 갖출 수 있게 됨으로써, 서로간에 간섭발생을 피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부시브라켓트(43)와 주변 부품들은 그만큼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시브라켓트(43)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공간사에 제약을 받지 않는 조립너트(49)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의 증대에도 큰 도움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시 부시브라켓트가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게 됨으로써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부시브라켓트의 조립 및 해체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으로 인해 생산성의 증대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일단은 크로스멤버(21)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크로스멤버(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형성되어 차체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서포트브라켓트(41)와;
    스태빌라이저바(1)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상에 안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시(11)와;
    상기 부시(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치모양으로 형성되는 부시브라켓트(43)와;
    일단은 상기 부시브라켓트(43)의 양단 바깥면에 수직한 방향성을 갖도록 용접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양측면을 지나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스터드볼트(45)와;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스터드볼트(45)에 의해 관통되어지는 파이프부재(47)와;
    상기 파이프부재(47)를 관통한 스터드볼트(45)의 선단에 체결되는 조립너트(49);
    를 매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서포트브라켓트(41)는,
    윗면에 상기 부시(11)가 안착되는 상판부재(41a)와;
    상기 상판부재(41a)에서 크로스멤버(21)쪽을 향하는 일측면과 반대방향의 타측면이 차체의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각각의 바깥면에는 파이프부재(47)가 수직한 방향으로 용접결합되는 두 개의 측판부재(41b,41c);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41a)에서 크로스멤버(21)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어느 한 개의 측판부재(41b)는,
    상기 측판부재(41b)에 결합된 파이프부재(47)가 상기 크로스멤버(21)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크로스멤버(21)에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굴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KR1020040104130A 2004-12-10 2004-12-10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4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130A KR100643963B1 (ko) 2004-12-10 2004-12-10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DE102005051827A DE102005051827B9 (de) 2004-12-10 2005-10-28 Montagestruktur für einen Stabilisator eines Fahrzeugs
US11/299,711 US7243932B2 (en) 2004-12-10 2005-12-12 Mounting structure of stabilizer bar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130A KR100643963B1 (ko) 2004-12-10 2004-12-10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306A KR20060065306A (ko) 2006-06-14
KR100643963B1 true KR100643963B1 (ko) 2006-11-10

Family

ID=3650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1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3963B1 (ko) 2004-12-10 2004-12-10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43932B2 (ko)
KR (1) KR100643963B1 (ko)
DE (1) DE102005051827B9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33B1 (ko) * 2011-12-14 2013-10-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바가 장착되는 리어 서브프레임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6166A1 (en) * 2006-08-14 2008-02-14 Meritor Suspension Suystems Company, Us Self-locking sleeve for stabilizer bar
US8505940B1 (en) * 2012-04-09 2013-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abilizer bar bushing attachment assembly
US9004511B1 (en) 2013-10-09 2015-04-14 Honda Motor Co., Ltd. Stabilizing bar mounting structure
GB2539695B (en) * 2015-06-25 2019-12-18 Ford Global Tech Llc A bush and clamp assembly
CN111469924A (zh) * 2020-05-13 2020-07-31 安美科(安徽)汽车电驱有限公司 一种新型副车架前横梁结构
CN111843948B (zh) * 2020-06-01 2023-03-14 浙江美力汽车弹簧有限公司 一种稳定杆试验用可调转向工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311A (ja) * 1982-04-16 1983-10-21 Nissan Motor Co Ltd 懸架装置
JPH0242805U (ko) * 1988-09-20 1990-03-23
JPH0577632A (ja) * 1991-09-18 1993-03-30 Nissan Motor Co Ltd スタビライザ取付装置
KR19980056566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고정장치
JPH10258763A (ja) * 1997-03-18 1998-09-29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構造
JP2001182767A (ja) 1999-12-24 2001-07-06 Kinugawa Rubber Ind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318A (en) * 1987-01-21 1989-11-14 Tokai Rubber Industries, Ltd. Slidable vibration-isolating rubber member
US5224790A (en) * 1992-01-07 1993-07-06 Gencorp Inc. Stabilizer bar slip bushing with axial restraint
JPH08244431A (ja) * 1995-03-09 1996-09-24 Tokai Rubber Ind Ltd スタビライザバー用ブッシュ
US5678845A (en) * 1996-01-29 1997-10-21 Reyco Industries, Inc. Stabilizer for a steer axle air ride suspension of a vehicle
US5971654A (en) * 1997-01-31 1999-10-26 Sweeney, Jr.; Thomas J. Full floating axle rotating caps
US6854750B2 (en) * 2001-12-14 2005-02-15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Variable rate bushing for stabilizer bar
US7318593B2 (en) * 2004-10-15 2008-0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abilizer bar and bushing assembly
US20060103101A1 (en) * 2004-11-18 2006-05-18 Meritor Suspension Systems Company, U.S. Angled bushing mount for stabilizer ba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311A (ja) * 1982-04-16 1983-10-21 Nissan Motor Co Ltd 懸架装置
JPH0242805U (ko) * 1988-09-20 1990-03-23
JPH0577632A (ja) * 1991-09-18 1993-03-30 Nissan Motor Co Ltd スタビライザ取付装置
KR19980056566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고정장치
JPH10258763A (ja) * 1997-03-18 1998-09-29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構造
JP2001182767A (ja) 1999-12-24 2001-07-06 Kinugawa Rubber Ind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の取付構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58763
581803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33B1 (ko) * 2011-12-14 2013-10-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바가 장착되는 리어 서브프레임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51827A1 (de) 2006-06-14
KR20060065306A (ko) 2006-06-14
DE102005051827B4 (de) 2008-04-24
US7243932B2 (en) 2007-07-17
US20060125202A1 (en) 2006-06-15
DE102005051827B9 (de)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79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motorcycle
JP5182650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US7328909B2 (en) Tower connecting bar structure
WO2017065086A1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426564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0643963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JP7170577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3975570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CN102218981B (zh) 一种汽车扭转梁半独立悬架结构
JP4743004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4637751B2 (ja) 車両の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JP4857927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2755942B1 (ko) 차량용 레터럴암 장치
KR20070063844A (ko) 커플드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의 보강구조
KR100980881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CN107696821A (zh) 一种横向稳定杆总成及汽车
JP2010076541A (ja) ロアロッド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11490B1 (ko) 트레일링 암 고정부
KR101189353B1 (ko) 리어 서스펜션 암 장착부 구조
KR101556984B1 (ko) 쇽 업소버 마운팅 유닛
KR20090049479A (ko) 스태빌라이저 바의 부시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20050100176A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