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984B1 - Prefab Tile Exterior - Google Patents
Prefab Tile Exteri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9984B1 KR100649984B1 KR1020060036884A KR20060036884A KR100649984B1 KR 100649984 B1 KR100649984 B1 KR 100649984B1 KR 1020060036884 A KR1020060036884 A KR 1020060036884A KR 20060036884 A KR20060036884 A KR 20060036884A KR 100649984 B1 KR100649984 B1 KR 100649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 support
- support block
- protrusion
- prefabric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에 상기 타일이 삽입 결합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갖는 타일; 상기 타일을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타일이 슬라이드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타일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요홈 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일수용부를 갖는 지지블록;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결합될 때, 상기 타일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수용되어 타일이 지지되도록 요홈 또는 단차 형상의 수직가이드레일을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타일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어 타일이 지지되도록 요홈 형상의 수평가이드레일을 갖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삽입 체결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될 때, 상기 타일과 상기 타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그 양측면에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타일수용부와 대응되도록 돌출 또는 단차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타일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계돌출부와, 그 상하면에 상기 타일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상기 타일의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경계가이드레일을 갖는 경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ti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a tile, the tile comprising: a tile having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n both sides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groove or stepped shap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in such a manner that a support portion into which the tile is inserted into the slide to support the til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ile are provided. Support block having a ti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When the ti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sequentially, and when the last til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a vertical guide having a groove or step shape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ile to support the tile. A support frame including a vertical frame having a rail and a horizontal frame having a groove-shaped horizontal guide rail such that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ti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ile; When the tiles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 and sequentially arranged, the tiles are protruded or stepped to correspond to the til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tiles and the tiles. A boundary member having a boundary projec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il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having a concave reces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tile, and the boundary guide rail in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tile is inserted; And it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relates to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ish cover integral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외장재는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타일을 조립식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어, 타일의 시공이 신속 원활하게 되고,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tiles prefabricated us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frame, anyone can easily install the tiles prefabricated even if not a professional tiler, the construction of the tiles quickly and smoothly, the construction cost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that can be reduc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도시한 분해도.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tile facing material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tile sheathing material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abric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의 타일,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A - A'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le, a support block, and a support frame of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ember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도시한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tile facing material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마감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cover is coupled to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ember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tile sheathing material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abrica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의 타일,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B - B'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le, a support block, and a support frame of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의 타일,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C - C'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e,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ember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5: 지지블록 11, 16: 지지부10, 15:
12, 18: 타일수용부 14, 19: 안내돌기12, 18:
20, 25: 타일 22, 27: 제 1 돌출부20, 25:
24, 28: 제 2 돌출부 30, 35: 경계부재24, 28:
32, 37: 경계돌출부 34, 38: 경계가이드레일32, 37:
40: 지지프레임 41, 43: 수직프레임40:
42, 44: 수직가이드레일 45 : 수평프레임42, 44: vertical guide rail 45: horizontal frame
46: 수평가이드레일 50: 마감커버46: horizontal guide rail 50: finishing cover
본 발명은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타일을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that anyone can easily build a prefabricated tile even if not a professional tiler.
일반적으로 타일은 외형을 아름답게 하거나, 부식 등을 막기 위한 것으로, 일반 주택의 주방, 화장실, 목욕탕, 세면장 등 물이 많이 접하는 부분과 건물의 외장 마감재로 방수와 청결유지 및 미감을 필요로 하는 곳에 시공한다.In general, tiles are used to beautify their appearance or to prevent corrosion, and they should be installed where water, such as kitchens, toilets, bathrooms, washbasins, etc. in general houses are exposed to water, and where exterior finishes of buildings require waterproofing, cleanliness, and aesthetics. do.
또한, 근래에는 원적외선 방사, 습도조절, 탈취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타일을 사용하여 타일 자체만으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 실내의 습도 조절, 암모니아 등의 유해가스 정화 및 세균 등의 서식을 방지하기도 한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by using tiles having far-infrared radiation, humidity control, deodorizing effect and antibacterial effect, the metabolism of the human body is promoted only by the tile itself, humidity control in the room, purification of harmful gases such as ammonia, and prevention of habitats such as bacteria. do.
이러한 타일을 건물에 시공하는 방법은 시멘트와 모래에 물을 부어 반죽한 몰탈(mortar)을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에 다수의 타일들을 벽과 바닥 등 필요한 부분에 모자이크(mosaic)형태로 촘촘히 붙여나감으로써 벽과 바닥 전체 또는 필요한 부위에 덧씌우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tile in a building is by using a mortar kneaded with cement and sand, and attaching a plurality of tiles to the necessary parts in the form of mosaics on the required parts such as walls and floors. Overlays are usually used to cover the entire floor or the required area.
그러나 종래의 타일 시공법은 다수의 타일을 줄눈을 정확히 맞추면서 일일이 벽면에 부착해야 하는데, 이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시공하기 어려워서 타일을 전문적으로 시공하는 타일공에게 의뢰해야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ile construction method, a plurality of tiles are required to be attached to the wall while aligning joints precisely, which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not experts, to request a tiler who specializes in tile construction.
이처럼 타일을 시공할 때마다 타일공에게 의뢰하는 것은 복잡하고 바쁜 공사 현장에 있어서,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인건비가 추가로 지출되어 결국 공사 비용을 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requesting a tiler every time a tile is constructed is complicated and busy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work is cumbersome, time consuming, and additional labor costs, resulting in a construction cost increas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타일을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일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tiles prefabricated us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frame, so that anyone can easily install the tiles prefabricated even if not a professional tiler, shortening the tile construction time And it aims at providing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which can reduce construction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일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에 상기 타일이 삽입 결합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갖는 타일; 상기 타일을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타일이 슬라이드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타일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요홈 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일수용부를 갖는 지지블록;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결합될 때, 상기 타일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수용되어 타일이 지지되도록 요홈 또는 단차 형상의 수직가이드레일을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타일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어 타일이 지지되도록 요홈 형상의 수평가이드레일을 갖는 수평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타일이 상기 지지블록에 삽입 체결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될 때, 상기 타일과 상기 타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그 양측면에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타일수용부와 대응되도록 돌출 또는 단차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타일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계돌출부와, 그 상하면에 상기 타일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상기 타일의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경계가이드레일을 갖는 경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til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the tile, the tile having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n both sides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groove or stepped shap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in such a manner that a support portion into which the tile is inserted into the slide to support the til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ile are provided. Support block having a ti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When the ti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sequentially, and when the last til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a vertical guide having a groove or step shape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ile to support the tile. A support frame including a vertical frame having a rail and a horizontal frame having a groove-shaped horizontal guide rail such that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ti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ile; When the tiles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 and sequentially arranged, the tiles are protruded or stepped to correspond to the til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tiles and the tiles. A boundary member having a boundary projec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il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having a concave reces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tile, and the boundary guide rail in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tile is inserted; And formed to accommod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provides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ish cover integral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일의 재질이 도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tile is made of porcelai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블록의 전제적인 단면의 형상이 ' H ' 자 또는 ' T '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block 'H' or 'T' sha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이 지지될 때, 보다 견고하게 지지 및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지지부의 상단 및 하단에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upport frame is supported on the support block,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to be more firmly supported and coupled, the guide protrusion is It provides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upport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의 타일,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A - 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tile facer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tile facer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prefabricat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le, a support block and a support frame of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ember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FIG. 4 is a prefabricated embodiment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a tile exterior material.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 외장재(1)는 건물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 등에 설치되며, 타일(20), 상기 타일(20)을 지지하는 지지블록(10), 경계부재(30), 지지프레임(40), 및 마감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the prefabricated
타일(20)은 건물의 방수와 청결유지 및 미감을 필요로 하는 곳에 시공하는 것으로, 양 측면 및 상하면에 제 1 돌출부(22) 및 제 2 돌출부(24)가 형성된다.The
제 1 돌출부(22)는 타일(20)이 지지블록(10)에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될 때, 타일(2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블록(10)의 후술하는 타일수용부(12) 또는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레일(42)에 제 1 돌출부(22)가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제 2 돌출부(24)는 타일(20)이 지지블록(10)에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될 때, 타일(20)의 상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경계부재(30)의 후술하는 경계가이드레일(34) 또는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가이드레일(46)에 제 2 돌출부(24)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타일(20)의 재질은 여러가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 실내의 습도 조절, 암모니아 등의 유해가스 정화 및 세균 등의 서식을 방지하는 도자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지지블록(10)은 상기 타일(20)이 지지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어 건물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 등에 설치될 때, 타일(2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1), 타일수용부(12) 및 안내돌기(14)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지지부(11)는 상기 타일(20)이 지지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어 건물의 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 등에 설치될 때, 타일(2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타일(20)이 슬라이드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타일수용부(12)는 상기 지지부(11)에 상기 타일(20)이 슬라이드로 삽입될 때, 또는 상기 지지부(11)에 경계부재(30)의 후술하는 경계돌출부(32)가 슬라이드로 삽입될 때, 상기 타일(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22), 또는 경계부재(30)의 후술하는 경계돌출부(32)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부(11)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안내돌기(14)는 지지블록(10)이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프레임(4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블록(10)의 지지부(11)의 상측과 하측에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가이드레일(46)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내돌기(14)가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가이드레일(4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지지블록(10)은 지지부(11), 타일수용부(12) 및 안내돌기(14)를 갖도록 구성되고, 지지블록(10)의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은 지지부(11) 및 타일수용부(12)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 에 도시된 A-A' 단면도와 같이 그 일단면이 ' H ' 자 인 것이다.Thus, the
경계부재(30)는 타일(20)이 지지블록(10)에 삽입 체결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될 때, 타일(20)과 타일(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 로, 판형으로 형성되며, 경계돌출부(32) 및 경계가이드레일(34)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경계돌출부(32)는 타일(20)이 삽입된 지지블록(10)에 상기 경계부재(30)가 슬라이드로 삽입될 때, 경계부재(30)의 양측면에 상기 지지블록(10)의 타일수용부(12) 또는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레일(42)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10)의 타일수용부(12) 또는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레일(42)에 경계부재(30)의 경계돌출부(32)가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경계가이드레일(34)은 타일(20)이 삽입된 지지블록(10)에 상기 경계부재(30)가 슬라이드로 삽입될 때, 경계부재(30)의 상하면에 타일(20)의 제 2 돌출부(24)와 대응되도록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일(20)의 제 2 돌출부(24)에 경계부재(30)의 경계가이드레일(3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이처럼 경계부재(30)는 타일(20)이 지지블록(10)에 삽입 체결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될 때, 지지블록(10)에 삽입된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위치되어, 타일(20)과 타일(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As such, the
지지프레임(40)은 지지블록(10) 및 지지블록(10)에 삽입 결합된 타일(20)과 경계부재(3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프레임(41) 및 수평프레임(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수직프레임(41)은 상기 타일(20) 및 상기 경계부재(30)가 지지블록(10)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상기 타일(20)이 상기 지지블록(10)에 결합될 때, 타일(20) 및 경계부재(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타일(20)의 제 1 돌출부(22) 또는 상기 경계부재(30)의 경계돌출부(32)와 대응되도록 요홈 형상의 수직가이드레일(42)이 형성된다.The
그래서 상기 수직프레임(41)의 수직가이드레일(42)에 타일(20)의 제 1 돌출부(22) 또는 상기 경계부재(30)의 경계돌출부(32)가 삽입 결합되어, 타일(20) 및 경계부재(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us, the
수평프레임(45)은 상기 타일(20) 및 상기 경계부재(30)가 지지블록(10)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상기 타일(20)이 상기 지지블록(10)에 결합될 때, 마지막으로 결합되는 타일(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타일(20)의 제 2 돌출부(24), 또는 지지블록(10)의 안내돌기(14)와 대응되도록 요홈 형상의 수평가이드레일(46)이 형성된다.The
그래서 상기 수평프레임(45)의 수평가이드레일(46)에 경계부재(30)에 결합된 타일(20)의 제 2 돌출부(24) 및 지지블록(10)의 안내돌기(14)와 삽입 결합되어, 타일(20) 및 지지블록(1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처럼 조립식 타일 외장재(1)는 지지블록(10)에 타일(20)과 경계부재(30)가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지지프레임(40)에 의해 이들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타일(20)을 조립식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prefabrica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에 마감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cover is coupled to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 외장재(1)는 타일(20)과 경계부재(30)가 지지블록(10)에 삽입 결합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마지막 타일(20)이 지지블록(10)에 결합된 후, 지지프레임(40)에 의해 지지블록(10) 및 지지블록(10)에 삽입 결합된 타일(20)과 경계부재(30)가 지지될 때,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마감커버(50)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prefabricated
마감커버(50)는 지지프레임(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는데, 보 다 상세하게는 그 내주면의 상하면이 일측면에 수직가이드레일(42 : 도 2 도시)이 형성되는 수직프레임(41)의 타측면에 위치되고, 이와 동시에 그 내주면의 양측면이 일측면에 수평가이드레일(46 : 도 2 도시)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45)의 타측면에 위치되어 지지프레임(40)의 수직프레임(41) 및 수평프레임(4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된다.The
이처럼 조립식 타일 외장재(1)의 지지프레임(40)이 마감커버(5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1)가 분해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Since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의 타일,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B - B'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의 타일,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C - C'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tile sheathing material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prefabricated, Figure 7 is a tile, the support block and the prefabricated tile sheathing material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coupled, Figure 8 is a C-C'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e,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prefabricated tile casing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t is a cross section.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 외장재(1)는 지지부(16)와 타일수용부(18)를 갖는 지지블록(15)의 일단면이 ' T ' 자로 형성되고, 타일(2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27), 경계부 재(3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경계돌출부(37), 지지프레임(40)의 수직프레임(43)에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레일(44)이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타일(25) 외장재와 동일하다.6 to 8, the
즉, 타일(25)의 상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경계부재(35)의 경계가이드레일(38) 또는 지지프레임(40)의 수평가이드레일(46)에 삽입 결합되는 제 2 돌출부(28)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타일(25)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블록(15)의 타일수용부(18) 또는 지지프레임(40)의 수직가이드레일(44)에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되는 제 1 돌출부(27)의 위치가 상기 제 2 실시예의 지지블록(15)의 타일수용부(18)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15)은 타일(25) 또는 경계부재(35)를 지지하도록 지지부(16), 타일수용부(18) 및 안내돌기(19)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먼저 지지부(16)는 상기 타일(25) 또는 경계부재(35)가 지지블록(15)에 삽입될 때, 타일(25) 또는 경계부재(35)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타일(25) 또는 경계부재(35)가 슬라이드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And the
타일수용부(18)는 상기 지지부(16)에 상기 타일(25)이 슬라이드로 삽입될 때, 또는 상기 지지부(16)에 경계부재(35)가 슬라이드로 삽입될 때, 상기 타일(2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27), 또는 경계부재(3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경계 돌출부(37)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부(16)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6)와 타일수용부(18)를 갖는 지지블록(15)의 일단면이 ' T ' 자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안내돌기(19)는 지지블록(15)이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프레임(4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블록(15)의 지지부(16)의 상측과 하측에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가이드레일(46)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내돌기(19)가 지지프레임(40)의 후술하는 수평가이드레일(4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이처럼 타일(25)과 경계부재(35)가 상기 지지블록(15)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될 시, 타일(25)의 제 1 돌출부(27) 및 경계부재(35)의 경계돌출부(37)가 상기 제 2 실시예의 지지블록(15)의 타일수용부(18)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타일(25)과 경계부재(35)가 상기 지지블록(15)의 타일수용부(18)에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지지프레임(40)은 타일(25) 및 경계부재(35)가 지지블록(15)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타일(25)이 지지블록(15)에 결합될 때, 마지막으로 결합되는 타일(25) 및 지지블록(15)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타일(25)의 제 2 돌출부(28) 및 지지블록(15)의 안내돌기(19)가 삽입되는 수평가이드레일(46)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45)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타일(25)과 경계부재 (35)를 지지하는 수직프레임(43)이 다르게 구성된다.The
즉, 상기 제 2 실시예의 지지프레임(40)의 수직프레임(43)은 상기 타일(25) 및 상기 경계부재(35)가 지지블록(15)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마지막 상기 타일(25)이 상기 지지블록(15)에 결합될 때, 타일(25) 및 경계부재(35)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타일(25)의 제 1 돌출부(27) 또는 상기 경계부재(35)의 경계돌출부(37)와 대응되도록 단차 형상의 수직가이드레일(4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수직프레임(43)의 수직가이드레일(44)에 타일(25)의 제 1 돌출부(27) 또는 상기 경계부재(35)의 경계돌출부(37)가 삽입 결합되어, 타일(25) 및 경계부재(35)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이처럼 타일(25)과 경계부재(35)가 상기 지지블록(15)에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될 시, 타일(25)과 경계부재(35)가 상기 지지블록(15)의 타일수용부(18)에 슬라이드로 삽입 결합되고, 지지프레임(40)의 수직프레임(43)에 타일(25)의 제 1 돌출부(27) 또는 상기 경계부재(35)의 경계돌출부(37)가 삽입 결합되며, 지지프레임(40)의 수평프레임(45)에 타일(25)의 제 2 돌출부(28) 및 지지블록(15)의 안내돌기(19)가 삽입 결합된다. 그래서 타일(25), 경계부재(35) 및 지지블록(15)이 지지프레임(40)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타일 외장재는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에 타일과 경계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타일을 조립식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iles and the boundary member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frame, so that anyone without a professional tiler can easily install the tiles prefabricated. hav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외장재는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전문 타일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타일을 조립식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어, 타일의 시공이 신속 원활하게 되고,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타일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tile prefabricated us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frame, anyone can easily install the tile prefabricated even if not a professional tiler, the construction of the tile is quick and smooth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refabricated tile exterior material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6884A KR100649984B1 (en) | 2006-04-24 | 2006-04-24 | Prefab Tile Exteri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6884A KR100649984B1 (en) | 2006-04-24 | 2006-04-24 | Prefab Tile Exteri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49984B1 true KR100649984B1 (en) | 2006-11-28 |
Family
ID=3771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68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9984B1 (en) | 2006-04-24 | 2006-04-24 | Prefab Tile Exteri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9984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556B1 (en) | 2007-07-05 | 2008-01-17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라인건축 | Internal wall structure |
KR100821903B1 (en) * | 2008-01-02 | 2008-04-16 | (주)원건축사사무소 | Prefab tile structure of building wall |
KR100996878B1 (en) * | 2009-09-07 | 2010-12-01 | 심정택 | Prefab tile assembly |
KR101066332B1 (en) | 2011-03-18 | 2011-09-20 | 오명구 | Salted floor t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127538B1 (en) * | 2009-07-27 | 2012-03-23 | 강석찬 | Block system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 |
WO2012036505A3 (en) * | 2010-09-16 | 2012-07-19 | Park Chihyung | Prefabricated member for a building having a cube structure and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building having a cube structure using the prefabricated member |
KR101295416B1 (en) * | 2011-09-30 | 2013-08-09 | 장태섭 | A Tile Construction Structure by Sliding |
KR101693118B1 (en) * | 2015-08-27 | 2017-01-04 | 김상민 | standing-type Fireplace decorated with ceramic tiles |
KR101861837B1 (en) * | 2017-12-29 | 2018-05-28 | 박재홍 | Wall Structure with Wedge-Shape Joint Block and Frame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30530U (en) | 1986-08-15 | 1988-02-27 | ||
JPH02144931U (en) * | 1989-05-10 | 1990-12-10 | ||
KR20010074254A (en) * | 2001-05-03 | 2001-08-04 | 이경관 | Method of on-line educating for network apparatus using simulation interfa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same |
-
2006
- 2006-04-24 KR KR1020060036884A patent/KR1006499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30530U (en) | 1986-08-15 | 1988-02-27 | ||
JPH02144931U (en) * | 1989-05-10 | 1990-12-10 | ||
KR20010074254A (en) * | 2001-05-03 | 2001-08-04 | 이경관 | Method of on-line educating for network apparatus using simulation interfa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sam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001742540000 *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556B1 (en) | 2007-07-05 | 2008-01-17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라인건축 | Internal wall structure |
KR100821903B1 (en) * | 2008-01-02 | 2008-04-16 | (주)원건축사사무소 | Prefab tile structure of building wall |
KR101127538B1 (en) * | 2009-07-27 | 2012-03-23 | 강석찬 | Block system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 |
KR100996878B1 (en) * | 2009-09-07 | 2010-12-01 | 심정택 | Prefab tile assembly |
WO2011028071A3 (en) * | 2009-09-07 | 2011-06-23 | Sim Jung-Taek | Fit-together tile connecting body |
CN102482885A (en) * | 2009-09-07 | 2012-05-30 | 沈贞泽 | Fit-Together Tile Connecting Body |
WO2012036505A3 (en) * | 2010-09-16 | 2012-07-19 | Park Chihyung | Prefabricated member for a building having a cube structure and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building having a cube structure using the prefabricated member |
KR101066332B1 (en) | 2011-03-18 | 2011-09-20 | 오명구 | Salted floor t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295416B1 (en) * | 2011-09-30 | 2013-08-09 | 장태섭 | A Tile Construction Structure by Sliding |
KR101693118B1 (en) * | 2015-08-27 | 2017-01-04 | 김상민 | standing-type Fireplace decorated with ceramic tiles |
KR101861837B1 (en) * | 2017-12-29 | 2018-05-28 | 박재홍 | Wall Structure with Wedge-Shape Joint Block and Frame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tructure |
WO2019132264A1 (en) * | 2017-12-29 | 2019-07-04 | 박재홍 |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
CN111315943A (en) * | 2017-12-29 | 2020-06-19 | 朴宰弘 | Wall structure using block and frame formed with wedge-shaped joint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US10822792B2 (en) | 2017-12-29 | 2020-11-03 | Jea Hong Park |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
JP2021502501A (en) * | 2017-12-29 | 2021-01-28 | セン ブロ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A wall structure using a block and a frame on which a wedge-shaped joint is form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using this |
CN111315943B (en) * | 2017-12-29 | 2021-07-30 | 朴宰弘 | Wall structure using block and frame formed with wedge-shaped joint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9984B1 (en) | Prefab Tile Exterior | |
KR101334320B1 (en) | Device for fixing terracotta panel on building | |
KR100923558B1 (en) | Installation method of prefabricated lightweight panel and prefabricated lightweight panel | |
WO2007020615A1 (en) | A flooring system of sandwich-like floor elements having a core of insulating material | |
RU79304U1 (en) | WALL PROTECTION FOR BUILDINGS AND STRUCTURES (OPTIONS) | |
KR20130086879A (en) | Low noise type wall panel for prefabricated bathroom | |
KR20120000702A (en) |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unit with lightweight molding material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60090639A (en) | installing apparatus of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 |
KR20070079709A (en) | Prefab Tile Exterior | |
KR20090046140A (en) | Prefabricated Hanok consisting of unit structure | |
JP4436530B2 (en) | Thermal insulation outer panel and thermal insulation outer wall structure | |
KR10147830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ual side integrated unit wall and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wall using the same | |
KR101295416B1 (en) | A Tile Construction Structure by Sliding | |
KR101680738B1 (en) | Wall to block noise of apartment house | |
US5103607A (en) | Channel element for ground channels in swimming-pools with vertical water flow | |
KR200219015Y1 (en) | Prefabricated bathroom wall made by connecting wall panels with brackets for flat and corner connections | |
KR20210158536A (en) | Prefabricated finish insulation panel | |
KR100354718B1 (en) | Prefabricated Bathroom with the Integrated Polyurethane Wall | |
KR20030025145A (en) | Metal stud partition system of triple stair formula | |
KR200306356Y1 (en) | Base material of prefab panel for building | |
KR200301776Y1 (en) | Panel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s | |
KR20210001236A (en) | module type bathroom and build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58625B1 (en) | Prefabricated module | |
KR20100119608A (en) | An escarp finish between underground spac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 |
KR100501772B1 (en) | Partition mount structure of assembly member for appartment 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