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49734B1 -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734B1
KR100649734B1 KR1020050095086A KR20050095086A KR100649734B1 KR 100649734 B1 KR100649734 B1 KR 100649734B1 KR 1020050095086 A KR1020050095086 A KR 1020050095086A KR 20050095086 A KR20050095086 A KR 20050095086A KR 100649734 B1 KR100649734 B1 KR 10064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le
camera
cover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7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카메라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폰 외피에 형성된 구멍;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그 일 측단은 상기 휴대폰 외피의 내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 측단은 손잡이를 형성한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에 일치하여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구멍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구멍을 닫거나, 상기 구멍에 윈도우 부재를 일치시켜 카메라 모듈의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렌즈의 긁힘, 파손 및 이물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카메라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 렌즈, 윈도우 창, 렌즈 보호용 커버, 휴대폰, 카메라 폰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A Mobile Phone Having A Cover for Protecting A Camera Lens}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이드 레일 식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 커버 부재와 카메라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에서 카메라 모듈이 커버 부재에 의해서 보호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부분 절개 정면도, b)도는 부분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에서 카메라 모듈이 윈도우 부재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배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부분 절개 정면도, b)도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5.... 카메라 모듈 10..... 렌즈
12... 휴대폰 외피 15.... 구멍
30.... 커버 부재 32.... 손잡이
36.... 힌지 구멍 38.... 힌지 축
40.... 호형 가이드 구 50.... 윈도우 부재
100.... 종래의 휴대폰 110.... 카메라
120.... 본체 부 124.... 키패드(Key-pad)
130.... 폴더 부 132.... 외측 액정표시부
140.... 힌지 부 200.... 종래의 휴대폰
210.... 카메라 렌즈 220.... 플래시
235.... 멈춤 턱 300.... 덮개 판
400.... 가이드레일 410.... 가이드 홈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윈도우 부재(Window Member)가 긁히거나 파손되고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카 메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 들어 통신 기술 및 휴대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의 휴대폰이 출시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휴대폰은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휴대폰으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 결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휴대폰으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휴대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폰(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100)은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 형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카메라(110)는 그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100) 중에서 폴더형은 통상적으로 본체 부(120)와 폴더 부(130)가 힌지 부(14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고, 본체 부(120)에 대해 폴더 부(130)가 개방되며, 상기 본체 부(120)에는 마이크(미 도시)를 포함하는 송신부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키 버튼(Key-Buttons)으로 이루어진 키패드(Key-pad)(124)가 설치되며, 상기 폴더 부(130)에는 그 내 측면에 문자 및 숫 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가 배치되고, 그 외측으로는 일자, 요일 및 시간 등을 표시하는 외측 액정표시부(132)와 카메라 윈도우 창(112) 등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100)은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게 되며, 사용자가 그 자신이 아닌 타 대상물을 촬영할 때에는 상기 폴더 부(130)의 외 측면에 구비된 카메라(110)의 촬영방향이 촬영 대상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폴더 부(130)의 내 측면에 구비된 액정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보면서 카메라(110)의 촬영방향 및 초점을 조절해 가면서 촬영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도록 된 휴대폰(100)은 카메라 렌즈(미 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폴더 부(130)의 외 측면에는 렌즈 보호용 윈도우 창(Window Glass)(112)이 고정 장착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윈도우 창(112)은 휴대폰(100)의 사용중에 외부 물체와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될 수 있고, 외부 물체와의 마찰로 인하여 그 표면에 긁힘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카메라 윈도우 창(112)은 외부 이물질과 미세 먼지 등에 항상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지날수록 그 표면에는 이물질이 퇴적되어 사진 촬영시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등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윈도우 창(112)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를 장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폰(200)으로서, 카메라 렌즈(210)와 플래시(220)를 덮을 수 있는 덮개 판(300)과, 상기 덮개 판(300)의 양 끝단과 결합 가능한 홈 형상의 가이드 홈(410)이 덮개 안착 부(20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 판(300)은 양 끝단이 가이드 홈(410)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상기 덮개 안착 부(20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메라렌즈(210)와 플래시(220)를 개폐시키도록 작동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00)은 한쪽이 막힌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 판(300)이 상기 가이드레일(400)과 결합하여 본체(215) 안쪽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하여 카메라렌즈(210)와 플래시(220)를 가리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더 이상 본체(215) 안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 판(300)이 덮개 안착 부(205)의 개방된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이드레일(400)로부터 이탈하여 본체(215)와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덮개 안착 부(205)의 외측 끝단에는 덮개 판(300)의 이동을 간섭하는 멈춤 턱(235)을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가 덮개 판(300)을 용이하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덮개 판(300)의 외 측면에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3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영상촬영기능을 실행시키지 아니할 때에는 덮개 판(300)을 카메라 렌즈 측으로 닫아놓음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손잡이(320)를 손으로 잡아 본체(215)의 외측 방향으로 덮개 판(300)을 이동시키면, 카메라 렌즈(210)와 플래시(220)가 외부로 노출되어 영상촬영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 안착 부(205)의 외측 끝단에는 덮개 판(300)의 슬라이딩운동을 간섭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멈춤 턱(235)이 형성되어있어, 덮개 판(300)을 최대한 바깥쪽으로 밀어 이동시켜도 가이드 레일(40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200)은 상대적으로 구조가 약한 덮개 판(300)과 가이드 레일(400) 등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어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거나 덮개 판(300)이 가이드 레일(400)로부터 떨어져 나가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내구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메라 렌즈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긁힘, 파손 및 이물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그에 따라서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카메라 렌즈 보 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카메라 윈도우 창의 긁힘, 파손 및 이물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폰 외피에 형성된 구멍;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그 일 측단은 상기 휴대폰 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 측단은 손잡이를 형성한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에 일치하여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구멍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구멍을 닫거나, 상기 구멍에 윈도우 부재를 일치시켜 카메라 모듈의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1)은 카메라 모듈(5)을 내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5)의 렌즈(10)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폰 외피(12)에 형성된 구멍(15)을 갖는다.
상기 구멍(15)은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5)의 렌즈(10) 직 상부에 렌즈(10)와 동축(coaxially)으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외피(1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5)과 상기 구멍(15) 사이에 배치되고, 그 일 측단은 상기 휴대폰 외피(12)의 내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 측단은 손잡이(32)를 형성한 커버 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 부재(3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4 분할 원판형, 즉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호를 이루는 외측부의 곡률 반경 중앙 부분, 즉 커버 부재(30)의 모서리 부분에는 힌지 구멍(36)이 형성되며, 이 힌지 구멍(3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외피(12)의 내 측면에 돌출된 힌지 축(3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0)는 상기 힌지 구멍(36)의 반대 측으로, 즉 외측부의 곡률 형성부위(30a)의 일측에 돌출된 손잡이(32)를 갖추며,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구멍(15)에 인접하여 형성된 휴대폰 외피(12)의 호형 가이드 구(40)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외피(12)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30)가 상기 힌지 축(38)과 힌지 구멍(36)을 통하여 상기 휴대폰 외피(12)의 내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32)가 호형 가이드 구(40)를 통하여 휴대폰 외피(12)의 외측으로 돌출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2)를 호형 가이드 구(40)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휴대폰 외피(12)의 내측에서 커버 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호형 가이드 구(40)는 그 곡률이 상기 커버 부재(30)의 손잡이(32)와 힌지 구멍(36) 사이의 거리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 구멍(36)을 중심으로 손잡이(32)까지의 거리가 형성하는 반경을 갖는 가상 원호상의 곡률에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형 가이드 구(40)의 폭은 상기 손잡이(32)의 폭에 대략 일치하여 상기 손잡이(32)가 그 내측에 끼워져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 부재(30)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15)에 일치하여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5)의 렌즈(10)가 구멍(15)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50)는 광 투과성의 유리 재료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30)의 일 측에서 일정 영역을 차지하면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 부재(50)가 상기 구멍(15)에 일치하여 위치되면, 구멍(15)으로부터 유입된 광은 윈도우 부재(50)를 통과하여 그 후면의 카메라 모듈(5)의 렌즈(10) 측으로 투과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커버 부재(30)가 힌지 축(38)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윈도우 부재(50)가 상기 휴대폰 외피(12)의 구멍(15)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상기 커버 부재(30)는 윈도우 부재(50)를 제외하고는 광을 투과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구멍(15)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1)은 카메라 모듈(5)을 내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5)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 부재(30)의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30)를 회전시키고, 커버 부재(30)가 구멍(15)을 막아주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커버 부재(30)는 상기 구멍(15)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5)의 렌즈(10)측으로 외부로부터 미세 먼지나 이물질들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커버 부재(30)가 구멍(15)을 막아 주게 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5)은 휴대폰(1)의 내측에서 안전하게 보호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도 파손 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5)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 부재(30)의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3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커버 부재(30)에 형성된 윈도우 부재(50)가 상기 구멍(15)의 하부 측에 위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윈도우 부재(50)는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에 무반사 코팅(AR Coating) 된 것으로서, 상기 구멍(15)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5)의 렌즈(10) 측으로 외부 광이 투과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5)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5)의 사용 후에는 다시 커버 부재(30)를 회전시켜 윈도우 부재(50)가 구멍(15)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고, 커버 부재(30)로 구멍(15)을 막아 주게 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5)은 휴대폰(1)의 내측에서 안전하게 보호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을 휴대폰의 폴더 부에 내장하고,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 이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 렌즈의 긁힘, 파손 및 이물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카메라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 부재를 커버 부재에 형성하고 이를 휴대폰 외피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윈도우 부재의 표면 긁힘, 파손 및 이물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윈도우 부재의 품질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폰 외피에 형성된 구멍;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그 일 측단은 상기 휴대폰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 측단은 손잡이를 형성한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에 일치하여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구멍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구멍을 닫거나, 상기 구멍에 윈도우 부재를 일치시켜 카메라 모듈의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렌즈 직 상부에 렌즈와 동축(coaxially)으로 상기 휴대폰 외피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그 모서리 부분에 힌지 구멍이 형성되며, 이 힌지 구멍은 상기 휴대폰 외피의 내 측면에 돌출된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4 분할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 구멍은 원호를 이루는 외측부의 곡률 반경 중앙 부분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구멍에 인접하여 형성된 휴대폰 외피의 호형 가이드 구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가이드 구는 그 곡률이 상기 힌지 구멍을 중심으로 손잡이까지의 거리가 형성하는 반경을 갖는 가상 원호상의 곡률에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호형 가이드 구의 폭은 상기 손잡이의 폭에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광 투과성의 유리 재료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무반사 코팅(AR Coating)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KR1020050095086A 2005-10-10 2005-10-10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Expired - Fee Related KR10064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86A KR100649734B1 (ko) 2005-10-10 2005-10-10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86A KR100649734B1 (ko) 2005-10-10 2005-10-10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734B1 true KR100649734B1 (ko) 2006-11-27

Family

ID=3771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9734B1 (ko) 2005-10-10 2005-10-10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7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99B1 (ko) 2007-06-18 2008-04-0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폰의 카메라 보호장치
WO2009137600A3 (en) * 2008-05-07 2010-02-25 Weiss David G Computer, pda or telephone lens cover
CN106304831A (zh) * 2015-05-14 2017-01-04 广东木几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贴片机的集成相机结构
KR20170115222A (ko) * 2016-04-06 2017-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조사 장치의 렌즈 어셈블리
CN109218595A (zh) * 2018-11-30 2019-01-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遮挡装置及具有该遮挡装置的电子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99B1 (ko) 2007-06-18 2008-04-0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폰의 카메라 보호장치
WO2009137600A3 (en) * 2008-05-07 2010-02-25 Weiss David G Computer, pda or telephone lens cover
CN106304831A (zh) * 2015-05-14 2017-01-04 广东木几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贴片机的集成相机结构
KR20170115222A (ko) * 2016-04-06 2017-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조사 장치의 렌즈 어셈블리
KR102506370B1 (ko) 2016-04-06 2023-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조사 장치의 렌즈 어셈블리
CN109218595A (zh) * 2018-11-30 2019-01-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遮挡装置及具有该遮挡装置的电子设备
CN109218595B (zh) * 2018-11-30 2024-04-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遮挡装置及具有该遮挡装置的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058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US20060234786A1 (en) Portable terminal
KR10088098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카메라 도어 개폐 장치
KR100649734B1 (ko)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KR10079015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617817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05323049A (ja) 撮像装置
JP2005173249A (ja) 撮像装置
KR100474035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US8179473B2 (en) Pivoting structure coupled to a rotatable housing structure
KR100494652B1 (ko) 카메라 덮개가 장착된 휴대폰
EP2198341A1 (en) Shutter arrangement for covering a camera lens
KR100880728B1 (ko) 동적 다기능 모듈을 구비한 전자 통신 장치
KR100729640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KR20070111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557067B1 (ko) 수직 방향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딩-업 타입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JP2007006146A (ja) 撮像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100860697B1 (ko) 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31192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310222B1 (ko)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CN2681174Y (zh) 具内置数码相机的便携式电子装置
KR20100117458A (ko) 회전형 렌즈 캡을 갖춘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