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817B1 -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7817B1 KR100647817B1 KR1020050006538A KR20050006538A KR100647817B1 KR 100647817 B1 KR100647817 B1 KR 100647817B1 KR 1020050006538 A KR1020050006538 A KR 1020050006538A KR 20050006538 A KR20050006538 A KR 20050006538A KR 100647817 B1 KR100647817 B1 KR 100647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d water
- water coil
- air conditioner
- blower case
- connection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송풍케이스와 냉수코일 사이에 별도의 이송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별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겨울철 냉수코일 내부의 물이 얼어 냉수코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조효율을 향상시킴으로서,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냉수코일과 상기 냉수코일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상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송풍케이스에서 냉수코일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수단, 체결수단, 냉수코일, 냉동기, 연결배관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 중 송풍케이스와 냉수코일 사이에 이송수단이 형성되고, 연결배관이 냉수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2 는 도 1의 평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중 이송수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면개략도
도 4 는 도3의 평단면도
도 5a 는 본 발명 중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5b 는 본 발명 중 보조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냉수코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6 은 보조이송수단의 다른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풍케이스 12 : 흡입구
14 : 배출구 16 : 송풍수단
18 : 에어필터 19 : 개폐구
20 : 냉수코일 30 : 이송수단
32 : 바퀴 34 : 이송레일
36 : 롤러 38 : 지지편
40 : 연결배관 50 : 체결수단
52 : 플랜지 54 : 고정수단
56 : 패킹 80 : 보조이송수단
82 : 판재 84 : 구동바퀴
90 : 펌프 100 : 냉동기
110 : 냉각수단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가정에서 실내공기의 냉각, 정화, 가열을 위해 송풍기로 실내에 냉각 또는 가열 및 정화된 상태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규모나 송풍방식에 따라 중앙식과 개별식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그 중 대형건물이나 지하철 역사와 같이 규모가 큰 공간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통해 건물의 각 실내로 동시에 냉기를 공급하는 중앙식 공기조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앙식 공기조화기의 공기냉각 방식은, 송풍케이스 내에 형성된 일반적인 냉각수단을 통해 냉매를 팽창시킴으로서 냉각된 공기를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실내로 공급하는 직접 냉각방식과,
냉각수단이 구비된 냉동기와, 송풍수단 및 냉수코일이 구비된 송풍케이스를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 각각 위치시키고, 내부에 물이 들어있는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냉수코일과 냉각수단의 증발기를 연결하여 증발기내부의 냉매 팽창에 의해 연결배관 내부의 물이 간접 냉각되도록 하고, 이렇게 냉각된 물이 냉수코일을 지나는 동안 냉수코일을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간접 냉각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간접 냉각방식 중, 냉수코일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배관은 그 일단부가 냉수코일의 상측과 연결되되, 냉수코일의 내부와 연결배관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연결배관의 소정부분은 증발기의 냉매관과 별도로 증발기에 배설된다. 그리고 증발기에 배설된 연결배관의 타단부는 다시 냉수코일의 하측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냉동기의 냉동사이클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증발기의 냉매관 내부 전체에 분포됨에 따라 증발기를 통과하는 연결배관내부의 물은 증발기의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증발기를 통과하는 연결배관의 소정위치에는 별도의 펌프가 구비되어 연결배관내부 물의 순환을 돕는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물은 연결배관을 따라 냉수코일로 이동되고, 냉수코일을 통과한 냉수는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냉수코일의 하측에 연결된 연결배관을 따라 다시 증발기에 배설된 연결배관 쪽으로 이동하여 냉각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송풍케이스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냉수코일을 통과하면서 각각의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냉수코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수코일 내부의 냉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간접방식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냉동기의 냉매흐름을 반대로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방법을 통해 온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지하철역사와 같이 여름철에는 상기와 같은 간접냉각방식을 통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되, 겨울철에는 열교환 되지 않은 외부공기만 단순히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 목적으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상기 냉수코일은 여름철에만 사용될 뿐, 겨울철에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내부에 물이 차있는 냉수코일과 연결배관을 겨울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의 물이 얼어 결국 냉수코일이나 연결배관이 동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수코일이나 열결배관의 하단부에 별도의 드레인관을 설치하여 냉수코일 및 연결배관 내부의 물을 외부로 빼내, 동파를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물을 빼내는 과정에서 드레인관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물의 배수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냉수코일이나 연결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간접방식의 공기조화기에서 냉수코일은 송풍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이거나 그 크기가 대형이기 때문에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보관 장소에 보관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은 물빼기 작업으로만 동파를 방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동파된 냉수코일이나 연결배관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 및 인력과 작업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기 때문에, 냉수코일이 동파되었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송풍케이스 내부로 들어가 수리해야 하므로, 수리하는 동안에는 환기에 필요한 송풍기 작동을 중지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더불어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외부공기를 단순히 실내로 공급하는 비 냉방기간에도 항상 냉수코일이 송풍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송풍케이스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송풍기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냉수코일과 접촉되어 흐름의 방해를 받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송풍기의 출력은 냉방이 이루어지는 여름철과 동일한 출력을 사용하게 되어 전력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별도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 보관이 용이하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냉수코일과 연결배관이 상호 분해 및 연결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냉수코일이나 연결밸브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파에 따른 수리비용과 인력 및 작업시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송풍수단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송풍케이스 내부의 압력손실을 방지함으로서, 송풍수단에 소요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증발기를 포함한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진 냉동기와, 송풍수단과 냉수코일이 설치된 송풍케이스를 별도로 분리하여 설치하되, 냉수코일과 증발기는 별도의 연결밸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 기본구성 중 냉수코일과 송풍케이스 사이에 별도의 이송수단을 구비시 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냉수코일과 연결배관의 분리 및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케이스(10)는 후술하는 냉수코일(20) 및 송풍수단(16)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수단(16)을 이용하여 실내로 보내기 위한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케이스(10)의 흡입구(12)와 송풍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수코일(20) 사이에 별도의 에어필터(18)를 구비시켜, 최초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에어필터(18)를 통해 여과된 상태로 냉수코일(20)을 통과해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송풍케이스(10) 중 상기 냉수코일(20)이 위치되는 부분의 벽면에는 별도의 개폐구(19)를 설치하여 냉수코일(20)이 외부로 인출되기 쉽도록 한다.
상기 냉수코일(20)은 열교환을 통해 외부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송풍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되, 송풍케이스(10)의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냉수코일(20)의 하부와 송풍케이스(10) 사이에 별도의 이송수단(30)을 구비시킴으로서, 냉수코일(20)을 쉽게 이동시켜 송풍케이스(10) 외부로 분 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수단(30)은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코일(20)의 하단부에 바퀴(32)를 형성시킨 구조로 구성 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32)의 크기 및 개수는 냉수코일(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송풍케이스(10) 바닥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퀴(32)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의 이송레일(34)을 형성시키고, 상기 이송레일(34)에 각각의 바퀴(32)가 삽입된 상태로 냉수코일(20)을 위치시킴으로서, 냉수코일(20)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고, 송풍케이스(10)로부터 분리된 냉수코일(20)을 다시 송풍케이스(10)에 설치할 경우 동일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레일(34)의 높이는 바퀴의 높이, 즉 냉수코일(20)의 바닥면과 송풍케이스(10)간의 거리(S)만큼 돌출 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냉수코일(20)과 송풍케이스(10) 사이에는 바퀴(32)에 의해 공간부(P)가 형성되는데, 송풍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냉수코일(2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공간부(P)를 통해 배출구(14)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송레일(34)의 높이(L)를 상기 공간부(P)의 높이(S)만큼 형성시켜 모든 외부공기가 냉수코일(20)과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송레일(34)의 높이뿐만 아니라, 냉수코일(20) 폭방향의 바퀴간격(B)도 고려하여, 상기 바퀴간격(B)에 맞추어 형성된 각각의 이송레일간의 간 격(C)이 냉수코일(20)의 폭(A)을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30)은 앞에서 설명한 바퀴(32) 및 이송레일(34)의 구조뿐만 아니라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케이스(10)의 바닥면, 즉 냉수코일(20)의 바닥면과 송풍케이스(10)가 접촉되는 부분에 다수의 롤러(36)를 형성시키고, 상기 롤러(36)의 양측에는 롤러(3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38)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도 변형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송수단(30)을 적용시킬 경우에도 지지편(38)의 높이(D)를 송풍케이스(10)와 냉수코일(20)의 바닥면간의 간격(E)이상으로 돌출시켜 롤러(36)와 롤러(36)간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36)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송풍케이스(10)의 바닥면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롤러(36)의 일부분이 송풍케이스(10) 바닥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 앞에서 예시한 실시예를 통해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시릴 때, 상기 송풍케이스의 천정벽면에 별도의 보조레일(200)을 구비시켜 냉수코일(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이송수단(30)에 의해 송풍케이스(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냉수코일(20)의 일측에는 별도의 연결배관(4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배관(40)의 일단부는 연결배관(40) 내부의 냉수가 냉수코일(20) 로 유입되는 냉수코일(20)의 하측부와 연결되고, 연결된 연결배관(40)의 소정부분은 증발기에 배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에 배설된 연결배관(40)은 다시 냉수코일(20)쪽으로 인출되는데, 이렇게 인출된 연결배관(40)의 타단부는 냉수코일(20)의 상측부와 연결되어 냉수코일(20)을 통과한 냉수가 증발기 쪽으로 다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배관(40)과 냉수코일(20)의 연결부위에는 별도의 체결수단(50)을 구비시켜, 냉수코일(20)과 연결배관(40)이 손쉽게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코일(20)의 상?하측 단부와 연결배관(40)의 양단부에 각각 플랜지(52)를 구비시키고, 고정수단(54)을 통해 상호 맞닿는 플랜지(52)들을 체결 및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플랜지(50)를 통해 연결된 부위는 강한 밀폐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대향되는 플랜지 사이에 별도의 패킹부재(56)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50)의 구조는 도면에 예시된 플랜지(52) 외에도 일반적으로 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공지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와 같이 냉수코일(20)과 송풍케이스(10) 사이에 이송수단(30)을 구비하고, 냉수코일(20)과 연결배관(40)을 체결수단(50)에 의해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완전 분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만약, 이송수단(30)을 냉수코일(20) 바닥에 형성된 바퀴(32)형태로 형성시키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케이스(10)가 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빼낼 경우에는 송풍케이스(10)의 개폐구(19) 하단부와 지면과의 높이차가 거의 생기지 않으므로 바퀴(32)를 이용하여 쉽게 빼낼 수 있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케이스(10)가 지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 경우에는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송풍케이스(10)와 지면간의 높이차와 냉수코일(20)의 무게에 의해 냉수코일(20)의 일부분이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조이송수단(80)을 이용하여 송풍케이스(10)와 지면과의 간격을 매우도록 하여 냉수코일(20)을 안전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이송수단(8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이송수단(80)의 일측높이를 냉수코일이 안착된 송풍케이스(10)의 바닥면과 지면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보조이송수단(80)의 타측의 높이는 지면과 거의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보조이송수단(80)에 의해 냉수코일(20)에 형성된 바퀴(32)가 보조이송수단(80)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지면으로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0)을 바퀴(32)형태가 아닌 송풍케이스(10)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36) 형태로 사용했을 시에는, 냉수코일(20)이 송풍케이스(10)의 외부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냉수코일(20)을 이동시킬 기능이 없기 때문에 냉수코일(20)을 보관장소까지 이동시키기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로 빼낸 냉수코일(20)을 보관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보조이송수단(80)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조이송수단(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코일(20)이 안착될만한 크기의 판재(82) 하부에 다수의 구동바퀴(84)가 형성된 구조로 구현해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이송수단(80)을 이용하여 냉수코일(20)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빼내기 전에 보조이송수단(80)을 송풍케이스(10)의 개폐구(19)에 위치시킨다.
그 후 송풍케이스(10)에 형성된 롤러(36)를 이용하여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빼냄과 동시에 냉수코일(20)이 상기 보조이송수단(80)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도록 한 후, 보조이송수단(80)을 이동시켜 냉수코일(20)을 보관장소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이송수단(80)의 판재(82)상에도 롤러(36)를 형성시킨다면, 냉수코일(20) 바닥 전체면이 보조이송수단(80)의 판재(82)상에 안정감 있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하절기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에는, 냉동기(100)의 냉각수단(110)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에 의한 냉매사이클을 통해 냉매관의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하면서 증발기에 배설된 연결배관(40) 내부의 물이 냉각된다.
이렇게 냉각된 냉수는 연결배관(40)을 따라 냉수코일(20)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수는 냉수코일(20) 전체면적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송풍케이스(10)의 흡입구(12)를 통해 송풍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내부에 냉수가 분포된 냉수코일(20)를 통과하는 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된 상태로 타측의 송풍수단(16)에 의해 각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냉수코일(20)을 통과한 물은 펌프(90)에 의해 다시 증발기에 배설되어 있는 연결배관(40)쪽으로 이동되면서 다시 냉각작용이 반복되는 것이다.
동절기에 냉동기(100) 및 냉수코일(20)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외부공기만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목적의 송풍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먼저, 냉수코일(20)에 형성되어 있는 드레인관(미도시)을 통해 냉수코일(20) 및 연결배관(40)내부에 들어 있는 물을 빼낸다.
물빼기 작업이 완료되면 냉수코일(20)과 연결배관(40)에 형성된 체결수단(50)을 해제시켜 냉수코일(20)과 연결배관(40)을 상호 분리시킨다.
그 후, 송풍케이스(10)의 개폐구(19)를 개방시키고 연결배관(40)과 분리된 냉수코일(20)을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송풍케이스(10) 외부로 빼낸다.
이때, 송풍케이스(10)가 지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된 경우이거나 이송수단(30)을 송풍케이스(10)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36) 형태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이송수단(80)을 사용하여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 외부로 빼내고 별도의 보관 장소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켜 별도의 보관 장소로 이동시킴으로서, 냉수코일(20)이 동파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수코일(20)을 송풍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실내에 공급시킬 경우, 송풍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아무런 방해없이 곧바로 송풍수단(16)으로 흡입됨으로서, 송풍케이스(10) 내부의 압력손실을 막아 적은 출력으로도 원활하게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냉수코일과 송풍케이스 사이에 별도의 이송수단을 구비시키고, 냉수코일과 연결밸브를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는,
첫째, 별도의 이송수단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냉수코일의 별도 보관이 가능하고 동절기에 냉수코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냉수코일을 송풍케이스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보조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냉수코일을 이동시킴으로서, 이동 시 냉수코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 손쉽게 냉수코일을 보관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냉수코일 및 연결배관의 동파를 방지함으로서, 동파에 따른 수리비용과 인력 및 작업시간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냉수코일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송풍케이스 내부의 압력손실을 최대한 줄여 적은 출력으로도 송풍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 증발기를 포함한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진 냉동기와,상기 증발기와 냉수코일을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되는 냉수가 내부에 순환하는 연결배관과,일측에 상기 연결배관이 연결되고, 공조용 공기유통경로 상에 위치되는 냉수코일과,상기 냉수코일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상기 냉수코일과 연결배관의 상호 분리 및 연결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이 형성되고,상기 송풍케이스의 일측에는 냉동코일을 반,출입 시키기 위한 개폐구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냉수코일과 송풍케이스 사이에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냉수코일의 반,출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수단은 냉수코일에 형성된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수단은상기 바퀴의 양측에 형성되되,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안내레일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수단은하나 이상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수단은 연결배관과 냉수코일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는 냉수코일의 끝단부와 연결배관의 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 호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538A KR100647817B1 (ko) | 2005-01-25 | 2005-01-25 |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538A KR100647817B1 (ko) | 2005-01-25 | 2005-01-25 |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5733A KR20060085733A (ko) | 2006-07-28 |
KR100647817B1 true KR100647817B1 (ko) | 2006-11-23 |
Family
ID=3717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6538A KR100647817B1 (ko) | 2005-01-25 | 2005-01-25 |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78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9412A1 (ko) * | 2011-12-14 | 2013-06-20 | 삼성물산 (주) | 지하터널 온도유지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682A (ja) * | 1992-07-10 | 1994-02-04 | Matsushita Seiko Co Ltd | 熱交換型換気ユニットの摺動レール固定装置 |
JPH0763372A (ja) * | 1993-08-27 | 1995-03-07 | Kimura Kohki Co Ltd | システム型空気調和機 |
JP2001349574A (ja) | 2000-06-02 | 2001-12-21 | Shimizu Corp | 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
JP2002235932A (ja) | 2001-02-09 | 2002-08-23 | Shinko Kogyo Co Ltd |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
KR200342074Y1 (ko) | 2003-02-26 | 2004-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
2005
- 2005-01-25 KR KR1020050006538A patent/KR1006478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682A (ja) * | 1992-07-10 | 1994-02-04 | Matsushita Seiko Co Ltd | 熱交換型換気ユニットの摺動レール固定装置 |
JPH0763372A (ja) * | 1993-08-27 | 1995-03-07 | Kimura Kohki Co Ltd | システム型空気調和機 |
JP2001349574A (ja) | 2000-06-02 | 2001-12-21 | Shimizu Corp | 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
JP2002235932A (ja) | 2001-02-09 | 2002-08-23 | Shinko Kogyo Co Ltd |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
KR200342074Y1 (ko) | 2003-02-26 | 2004-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9412A1 (ko) * | 2011-12-14 | 2013-06-20 | 삼성물산 (주) | 지하터널 온도유지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5733A (ko) | 2006-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03552A1 (en) | Window-mounted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 |
CN100523628C (zh) | 嵌入式空调器室外机 | |
KR101340725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CN103827586A (zh) | 室外机及制冷装置 | |
CN101520210B (zh) | 室内埋入型热源机 | |
CN108224574A (zh) | 一种带蒸发式冷凝的热管排热系统 | |
CN201892282U (zh) | 一种泵循环节能空调 | |
CN106322531A (zh) | 一种带新风的全室外换热空气调节装置 | |
KR100954492B1 (ko) | 열차용 냉방장치 | |
KR102167073B1 (ko) | 열회수형 결로방지장치가 장착된 지열시스템 | |
US20060037354A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5070572B2 (ja) | 地下鉄車輌の空調システム | |
KR100647817B1 (ko) |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 |
KR102076274B1 (ko) | 수냉식 에어컨 | |
CN114526518B (zh) | 一种缝通道辐射对流的空调系统及其方法 | |
KR101930760B1 (ko) | 건축물 구조를 이용한 외기 냉방 시스템 | |
CN204047015U (zh) | 一种模块化数据中心的模块单元及模块化数据中心 | |
KR101844581B1 (ko) |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 |
CN104949227A (zh) | 空调机组 | |
CN208186534U (zh) | 一种带蒸发式冷凝的热管排热系统 | |
CN208108591U (zh) | 冷藏柜及冷藏柜排热系统 | |
CN112996369A (zh) | 数据中心用地板下空调系统 | |
KR100953690B1 (ko) | 실외기 유닛 | |
KR200466286Y1 (ko) | 열차용 냉방장치 | |
CN205090558U (zh) | 氟盘管驱动侧吸风顶出风变风量垂直向上风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