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33579B1 -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579B1
KR100633579B1 KR1020040114298A KR20040114298A KR100633579B1 KR 100633579 B1 KR100633579 B1 KR 100633579B1 KR 1020040114298 A KR1020040114298 A KR 1020040114298A KR 20040114298 A KR20040114298 A KR 20040114298A KR 100633579 B1 KR100633579 B1 KR 10063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value
sensor
light transmission
det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498A (ko
Inventor
권오일
정신수
이종현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5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65H7/125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sensing the double feed or separation without contac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의 겹침 여부를 감지하는 용지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이송 공간을 이동하는 용지의 일부만이 겹쳐 있는 경우에도 이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센서를 복수 개 구비한 용지 상태 검출 장치에서 용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은 소정의 센서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용지 이송 공간을 용지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지의 빛 투과량을 순차적으로 복수 회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감지된 빛 투과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감지된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값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값 또는 제2 값을 순차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상기 센서와 연관하여 각각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값의 개수 또는 상기 제2 값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영역에서의 용지 겹침 여부를 상기 센서와 연관하여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를 센서별로 각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지로 용지 또는 지폐의 일부가 겹치는 경우에도 이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함에 따라 지로 용지 또는 지폐의 일부가 겹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금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용지, 겹침, 감지

Description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ETECTING CONDITION OF PAPER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 및 센서별 용지의 상태가 감지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에서 센서별 용지 겹침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지 상태 검출 장치
110: 감지부 120: 산출부
130: 저장부 140: 판단부
150: 메시지 출력부
본 발명은 용지의 겹침 여부를 감지하는 용지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이송 공간을 이동하는 용지의 일부만이 겹쳐 있는 경우에도 이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는 인입되는 지로 용지 또는 지폐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지로 용지 또는 상기 지폐를 이용하여 금융 업무에 관련된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는 인입되는 지로 용지 또는 지폐가 2매 이상 겹치는 경우 상기 지로 용지 또는 상기 지폐를 통한 금융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 하게 된다. 그러므로,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는 상기 지로 용지 또는 상기 지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종래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지폐 겹침 검출 장치 및 방법 중 하나인 국내 공개특허 특2002-0076014호(이하 "특허 발명"이라고 함)는 수발광소자의 어레이를 통하여 지폐의 전체적인 면에 대한 빛의 투과량을 검출하고, 그 투과량의 평균값을 통해 지폐의 겹침을 검출한다. 하지만, 상기 특허 발명은 용지의 전체에 대한 빛 투과량이 평균값에 기초하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 용지 겹침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2매의 용지가 동시에 투입되었으나 용지 전체가 아니라 1 ~ 40퍼센트 정도와 같이, 용지의 일부만 겹쳐진 경우에는 용지가 겹쳐져 있다는 것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지폐의 전체적인 면에 대한 빛 투과량에 대한 평균값을 통해 지폐의 겹침을 검출함으로써 지폐의 일부에서만 겹침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검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이송 공간을 이동하는 용지의 작은 영역에서만 용지 겹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설치되어 지로 용지 또는 지폐가 2매 이상 겹치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는 용지 상태 검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 용지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센서를 복수 개 구비한 용지 상태 검출 장치에서 용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은 소정의 센서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용지 이송 공간을 용지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지의 빛 투과량을 순차적으로 복수 회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감지된 빛 투과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값을 산출하고, 상기 감지된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값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값 또는 제2 값을 순차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상기 센서와 연관하여 각각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값의 개수 또는 상기 제2 값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영역에서의 용지 겹침 여부를 상기 센서와 연관하여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를 센서별로 각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의 각 영역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는 용지 상태 검출 장치는 상기 용지의 이송에 따라 센서별로 상기 용지의 빛 투과량을 복수 회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빛 투과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값으로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센서별로 상기 제1 값 또는 상기 제2 값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센서별로 상기 제1 값의 개수와 상기 제2 값의 개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센서별로 제1 값의 개수와 제2 값의 개수를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별로 상기 용지의 겹침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 하나 이상의 센서에 대해 겹침 상태가 결정된 경우 상기 용지가 겹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는 감지부(110), 산출부(120), 저장부(130), 판단부(140), 및 메시지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도 2는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에서 용지의 겹침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10)에서 감지부(1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센서는 이송 공간(도시하지 않음)을 이동하는 용지의 각 영역에서의 빛 투과량을 상기 용지의 이송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감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부(110)에 포함되는 센서들의 배열 및 상기 각 센서가 감지하는 용지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총 8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110)는 상기 이송 공간을 분할하도록 각각 배열된 복수 개의 센서(제1 센서(311) 내지 제8 센서(318))를 포함한다. 제1 센서(311) 내지 제8 센서(318)는 각각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지(320)가 상기 이송 공간에서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센서(311) 내지 제8 센서(318)는 용지(320)의 각 영역의 빛 투과량을 용지의 이송에 따라 복수 회 순차적으로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1 센서(311)는 용지(320) 중 영역(321)에 포함되는 각 지점의 빛 투과량을 감지한다.
단계(S220)에서 산출부(12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빛 투과량이 기준값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감지부(110)는 경우 제1 값으로 산출하고(단계(S230)), 판단 결과 상기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감지부(110)는 제2 값을 산출한다(단계(S240)).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준값은 감지부(110)에 포함된 센서의 종류, 상기 용지의 종류, 또는 상기 용지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준값은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의 관리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은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단계(S250)에서 저장부(130)는 감지부(110)의 각 센서별로 상기 제1 값 또는 상기 제2 값을 각각 저장한다. 도 4는 저장부(130)에 센서별로 저장되는 제1 값 또는 제2 값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감지부(110)에 포함되는 각 센서는 용지(320)가 이송함에 따라 총 8번 해당 영역에서의 빛 투과량을 감지하고,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 값으로서 "1"을,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 값으로서 "2"를 산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센서(311)는 용지(320)가 이동하는 경우, 용지(320)의 영역(321)에 포함되는 각 지점에서의 빛 투과량을 10번 감지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센서(311)는 용지(320)의 영역(321)의 각 지점에서의 빛 투과량을 10번 감지한 결과, 빛 투과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제2 값이 산출된 경우가 두 번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단계(S260)에서 판단부(140)는 센서별로 상기 제1 값의 개수와 상기 제2 값의 개수를 각각 산출한다.
또한, 단계(S270)에서 판단부(140)는 센서별로 산출된 상기 제1 값의 개수와 상기 제2 값의 개수를 각각 비교하여 용지의 겹침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140)는 제1 센서(311)에 의해 용지(320)의 영역(321)의 각 지점에서 감지된 빛 투과량으로부터 산출된 값들이 각각 "1, 2, 1, 1, 1, 2, 1, 1, 1, 1"인 경우, 제1 값의 개수는 8이고, 제2 값의 개수는 2이다.
판단부(140)는 센서(311)에 대해 산출된 상기 제1 값의 개수 및 상기 제2 값의 개수를 이용하여 용지(320)의 겹침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140)는 센서별로 제2 값의 개수가 소 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부분에서 용지의 겹침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140)는 제2 값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부분에서 용지의 겹침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제1 센서(311)에 대해 산출된 제2 값의 개수는 2개로 소정값(3개) 미만이므로, 판단부(140)는 제1 센서(311)에 의해 측정되는 용지(320)의 영역(321)에서는 용지의 겹침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도 4의 도면부호(401) 참조).
제2 센서(312)에 대해 산출된 제2 값의 개수는 5개로 상기 소정값 이상이므로, 판단부(140)는 제2 센서(312)에 의해 측정되는 용지(320)의 영역(322)에서는 용지의 겹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140)는 센서별로 전체 감지 횟수와 제2 값의 개수의 비율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부분에서 용지의 겹침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140)는 전체 감지 횟수와 제2 값의 개수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부분에서 용지의 겹침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제1 센서(311)에 대해 산출된 제2 값의 개수는 2개이고, 전체 감지 횟수는 10번이므로, 전체 감지 횟수와 상기 제2 값의 개수의 비율은 20%이므로, 판단부(140)는 제1 센서(311)에 의해 측정되는 용지(320)의 영역(321)에서는 용지의 겹침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도 4의 도면부호(401) 참조).
제2 센서(312)에 대해 산출된 제2 값의 개수는 5개이므로, 전체 감지 횟수와 상기 제2 값의 개수의 비율은 50%이므로, 판단부(140)는 제2 센서(312)에 의해 측 정되는 용지(320)의 영역(322)에서는 용지의 겹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판단부(140)는 각 센서별로 용지(320)의 각 영역(321 내지 328)에 대해 각각 용지의 겹침 여부를 판단하고, 어느 한 영역에서라도 용지의 겹침이 발생된 경우에는 용지(320)에 대해 용지 겹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센서(311)이 감지하는 영역(321)에서는 용지의 겹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센서(312)가 감지하는 영역(322)에서는 용지의 겹침이 발생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는 상기 이송 공간을 이동하는 용지(320)에 용지 겹침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게 된다.
즉,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는 용지의 각 영역을 감지하여 어느 한 영역에서만 용지의 겹침이 발생하면 전체적으로 용지 겹침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용지의 일부만이 겹친 경우에도 그 겹침 여부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어, 상기 특허 발명에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센서(312)가 감지한 영역(322)에서만 용지 겹침이 발생한 경우(즉, 영역(322)에서의 빛 투과량이 적은 경우)에도, 상기 특허 발명은 전체적인 빛 투과량의 평균값이 크다면 용지 겹침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나,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는 센서별로 그 용지 겹침을 판단하여 제2 센서(312)에 의해 영역(322)에서 용지 겹침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용지의 겹침으로 판단하여, 용지 겹침 여부를 보다 정교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가 개별적으로 각각 용지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가 작동하지 않 는 경우라도 용지 겹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311)이 고장 등으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센서(312)에 의해 영역(322)에서만 겹침이 발생해도 결과적으로 전체 용지(320)에 대해 용지 겹침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일부 센서에서 고장이 발생해도 정확하게 용지의 겹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메시지 출력부(150)는 판단부(140)에서 판단 결과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시지 출력부(150)는 상기 용지가 겹침 상태인 경우 용지 겹침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상태 검출 장치(100) 및 장치(100)에서의 용지 상태 검출 방법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설치되어, 지폐의 겹침 여부 또는 지로 용지의 겹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 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이송 공간을 이동하는 용지의 작은 영역에서만 용지 겹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 자동화 기기에 설치되어 지로 용지 또는 지폐가 2매 이상 겹치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하여, 지로 용지 또는 지폐의 일부가 겹치는 경우에 발생되는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금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용지 상태 검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 용지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가 용지의 상태를 각각 감지함에 따라 일부 센서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용지 겹침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센서를 복수 개 구비한 용지 상태 검출 장치에서 용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용지 이송 공간을 용지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지의 빛 투과량을 순차적으로 복수 회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감지된 빛 투과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감지된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2 값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값 또는 제2 값을 순차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상기 센서와 연관하여 각각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값의 개수 또는 상기 제2 값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영역에서의 용지 겹침 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는 각 센서별로 각각 수행되고,
    상기 제4 단계는,
    1) 상기 제1 값의 개수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용지의 상기 감지되는 영역에서 용지 겹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2) 상기 제1 값의 개수 및 상기 제2 값의 개수로부터 산출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영역에서의 용지 겹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상기 센서의 종류, 상기 용지의 종류, 또는 상기 용지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상태 검출 방법.
  5. 제4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용지의 각 영역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는 용지 상태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용지 이송 공간을 용지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지의 빛 투과량을 순차적으로 복수 회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빛 투과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빛 투과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2 값으로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센서별로 상기 제1 값 또는 상기 제2 값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센서별로 상기 제1 값의 개수와 상기 제2 값의 개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센서별로 제1 값의 개수와 제2 값의 개수를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별로 상기 용지의 겹침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 하나 이상의 센서에 대해 겹침 상태가 결정된 경우 상기 용지가 겹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1) 상기 제1 값의 개수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용지의 상기 감지되는 영역에서 용지 겹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2) 상기 제1 값의 개수 및 상기 제2 값의 개수로부터 산출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영역에서의 용지 겹침 여부를 상기 센서와 연관하여 판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용지 이송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배열되고,
    상기 기준치는 상기 센서의 종류, 상기 용지의 종류, 또는 상기 용지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상태 검출 장치.
  7. 삭제
KR1020040114298A 2004-12-28 2004-12-28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3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298A KR100633579B1 (ko) 2004-12-28 2004-12-28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298A KR100633579B1 (ko) 2004-12-28 2004-12-28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498A KR20060075498A (ko) 2006-07-04
KR100633579B1 true KR100633579B1 (ko) 2006-10-16

Family

ID=3716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2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3579B1 (ko) 2004-12-28 2004-12-28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5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396A (ko) * 1997-12-08 1999-07-26 아끼구사 나오유끼 용지 처리 장치
KR20030064611A (ko) * 2002-01-28 2003-08-0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확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396A (ko) * 1997-12-08 1999-07-26 아끼구사 나오유끼 용지 처리 장치
KR20030064611A (ko) * 2002-01-28 2003-08-0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확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498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71273C1 (en) Paper money detection and counting device and detection and counting method
JP5645271B2 (ja) 紙葉類識別装置
US20120241283A1 (en) Money handling apparatus
JP5208623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方法及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EP1688892B1 (en) Bill discrimination apparatus
US10643419B2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KR100633579B1 (ko) 용지 상태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JPH0714048A (ja) 紙幣鑑別装置
JPH0520521A (ja) 硬貨鑑別装置
EP2369557A2 (en) Check deposit apparatus
JP4880953B2 (ja) 紙葉類の厚さ判別装置
KR101871439B1 (ko) 매체 이송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그의 금융기기
KR10265751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큐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1413954B1 (ko) 매체 감지 장치 및 금융기기
JP7192444B2 (ja) 紙葉搬送装置
JPH10269399A (ja) 紙幣入出金機及びその紙幣処理方法
JPS645354B2 (ko)
JPH02108185A (ja) 紙葉類鑑別装置
JP2911164B2 (ja) 媒体搬送判定装置
JP2000285278A (ja) 紙葉類の斜行検知方法、紙葉類の斜行検知装置、および紙葉類計数機
JP2006315801A (ja) 紙葉類搬送装置
KR2023014295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반송 게이트 운용 방법
CN113284291A (zh) 介质倾斜角度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H06191680A (ja) 重走検知装置
KR101022432B1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의 매체이송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