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31588B1 - 앰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앰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588B1
KR100631588B1 KR1019980027825A KR19980027825A KR100631588B1 KR 100631588 B1 KR100631588 B1 KR 100631588B1 KR 1019980027825 A KR1019980027825 A KR 1019980027825A KR 19980027825 A KR19980027825 A KR 19980027825A KR 100631588 B1 KR100631588 B1 KR 10063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receiving member
ampoules
receiv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762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나오키 고이케
야스히로 시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659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8959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9001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과제) 랜덤수납식의 앰플공급장치에 있어서 앰플수납용기로부터 하나씩 앰플을 꺼낼때에 꺼냄수단 부근이 막히거나, 꺼냄의 헛동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꺼낼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바닥판(1a)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앰플수납용기(1)내에 랜덤상으로 수납된 앰플(A)을 정렬받이부재(2)에서 정렬상으로 받아 들어올려 최상위치에 오면 받이면(7)의 경사로 측벽(5) 밖으로 앰플(A)을 떨어뜨리고, 그 앰플(A)을 분출수단(3)의 반송벨트(26)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앰플(A)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앰플공급장치{AMPOULE FEEDER}
본 발명은 수납용기내에 랜덤으로 수납된 앰플이나 바이얼 등의 주사약을 처방전의 지시에 따라 공급하는 앰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용기내에 랜덤한 상태로 앰플을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앰플을 꺼내어 공급하는 앰플공급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7-300237호 공보, 일본 특개평 8-230826호 공보, 일본 특개평 8-225140호 공보 등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제1 공보의 물품격납장치는 랜덤상태로 수납용기내에 수납한 앰플을 바닥부에 몰입해 있는 상면이 오목면으로 홈을 갖는 헤드를 실린더로드로 밀어올려서 상면에 실려 있는 앰플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 흡인식의 흡착부로 흡착하여 컨베이어로 옮겨싣는 방식의 것이다.
제2 공보의 약제공급용기는, 앰플을 랜덤상으로 수납하는 수납용기내에 칸막이판을 좌우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칸막이판으로 분할된 2개의 수납실의 용적을 가변으로 하고, 각 실에 상부에 받이부재를 갖는 밀어올리는 로드를 설치하고, 받이부재를 소정높이 들어올리면 받이부재의 경사에 접속하는 반송라인에 접속되어 받이부재상의 앰플을 배출공급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공보의 앰플불출장치는, 앰플수납용기의 바닥판을 경사상으로 하고, 그 일부에 설치한 구멍을 따라 상하운동하는 밀어올리는 부재로 앰플을 1개만 들어올려, 소정높이 위치에 밀어올리는 부재의 경사가 일치하는 또 하나의 경사바닥판상에 낙하시켜, 이 또 하나의 경사바닥판의 일부에 설치한 또 하나의 밀어올리는 부재에서 한번 더 앰플을 상승시켜 앰플을 1개만 정확히 파손시키는 일없이 꺼내어 공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랜덤수납방식의 앰플공급장치는, 앰플을 수납용기에 정연하게 수납유지하는 정렬방식의 것에 비하여 앰플의 수납조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앰플공급장치로서 주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앰플을 랜덤상태로 수납용기내에 수납하여 그들중에서 1개 또는 몇 개 정도를 꺼내어 정렬시킨 후 하나씩 공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앰플을 꺼내기 위한 피크수단의 주변에 다수의 앰플이 집합하고, 따라서 꺼냄구멍 주변에서 막히기 쉽고, 즉석으로 피크수단을 용기내에서 승강시키기 때문에 피크수단에 앰플이 실려 있지 않은 채로 상승하고 앰플의 꺼냄이 헛동작으로 된다는 점에서 앰플을 꺼내는 확율이 낮고, 확실히 피크수단으로 앰플을 꺼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앰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에 유의하여 다수의 앰플이 랜덤상으로 수납되는 수납용기로부터 정렬상으로 이송하여 앰플을 하나씩 꺼냄으로서 앰플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앰플을 꺼내어 공급할 수 있는 고효율의 간이, 심플한 구성의 앰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앰플이 랜덤으로 수납되는 앰플수납용기를 그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경사 하방의 측벽 내측을 따라 승강이 자유롭고, 또한 측벽을 따라 복수의 앰플을 앰플직경에 상당하는 폭의 받이면으로 정렬상으로 받아들여 유지하는 정렬받이부재와, 이 정렬받이부재의 받이면상의 앰플을 정렬방향으로 외부로 하나씩 배출하는 불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앰플공급장치의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앰플공급장치는 다수의 앰플을 랜덤상으로 수납한 상태에서 앰플을 다음과 같이 하나씩 효율좋게 헛동작을 적게 하여 확실히 불출할 수가 있다.
수납용기내에 투입되어 있는 앰플은 수납용기의 바닥판이 일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그 경사하방측으로 자연히 자중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정렬받이부재의 상면을 바닥판의 경사하방측 끝의 높이에 맞추면 다수의 앰플이 정렬받이부재상에 실리고, 일부가 걸리는 상태로 되고, 다음에 정렬받이부재를 상승시키면 이 정렬받이부재의 받이면 폭이 앰플직경에 상당하는 폭이기 때문에 받이면상에 실리지 않은 앰플은 낙하하고, 들어올려지는 앰플은 받이면 폭내에 실리는 것만으로 되고, 필연적으로 앰플을 정렬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리하여 정렬상태로 들어올려진 복수의 앰플을 불출수단으로 정렬방향으로 불출수단에 의하여 불출하면, 앰플은 하나씩 차례로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다만, 상기 불출수단은 외부로 배출하기까지 정렬받이부재상에 정렬상태로 가지런히 된 앰플을 그대로 정렬방향으로 불출하거나, 혹은 수납용기의 측벽 외로 정렬상태대로 옮겨싣고, 그 후 정렬방향과 병행하게 쳐내거나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더욱이, 앰플수납용기는 공급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이 설치할 수도 있다. 착탈이 자유로운 형식으로 하는 경우는, 수납용기를 떼어냈을 경우에, 앰플이 수납용기로부터 넘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렬받이부재에 접하는 측의 주고받는 부분에 개폐식의 셔터를 설치하고, 개폐장치에 의하여 이 셔터를 개폐하도록 하고, 정렬받이부재에 인접하여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상에 수납용기를 장착할 때에 개폐장치를 회전시켜 셔터를 개방하도록 구성한다.
앰플수납용기의 바닥판은, 한 방향으로 경사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바닥판의 경사를 경사조정기구에 의하여 조정한다. 경사각도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도 좋지만, 수단계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불출수단의 후방에는 배출수단을 접속할 수가 있다. 이 배출수단은 필요한 수의 앰플을 곧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앰플을 대기중으로 미리 저류하고, 배출지령에 의하여 곧 앰플을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배출수단은, 예를 들면, 로터에 앰플을 받아들이는 복수의 받아들이는 홈을 설치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위치에서 받아들이는 홈이 불출수단의 불출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로서 원활하고 확실하게 동시에 신속히 앰플을 필요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측면도이다. 이 앰플공급장치는 앰플을 수납하는 앰플수납용기(1)와, 그의 일측벽을 따라 설치되는 앰플의 정렬받이부재(2)와, 이 정렬받이부재상의 측벽 밖에 설치된 앰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불출수단(3)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1)의 배출부의 외측에는 앰플받이(4)가 설치되고, 그 옆에 로터(41)를 갖는 배출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앰플수납용기(1)는 다수의 앰플(A)을 랜덤상으로 수납하는 용기이다. 밑바닥의 바닥판(1a)이 한 방향으로 경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바닥판(1a)의 경사의 하방측에 설치되는 측벽(5)을 따라 승강하는 정렬받이부재(2)가 설치되고, 측벽(5)의 내측면은 정렬받이부재의 가이드면의 역할도 한다. 이 측벽(5)보다 약간 내측 근처에 설치한 셔터(6)와의 사이에서 정렬받이부재(2)는 승강한다. 셔터(6)의 상단(上端)은 정렬받이부재(2)의 하단(下端)에 접속되어 있다. 셔터(6)는 정렬받이부재(2)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그 하방의 스페이스로 앰플(A)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정렬받이부재(2)는 도시의 예에서는 측벽(5)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뻗어있고, 적어도 앰플길이의 1.5배 이상의 길이로 하고, 이 길고 가느다란 후(厚)판을 옆으로 하여 승강시키는 것이고, 상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측으로 하강하는 경사면으로서 이를 앰플의 정렬받이면(7)으로 하고 있다. 정렬받이부재(2)의 두께는 대략 앰플의 직경과 같은 정도이다. 5x는 측벽(5)의 절결(切欠)부이고, 앰플을 측벽(5)의 외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정렬받이부재(2)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측벽(5)의 외측에 설치한 구동부의 상세를 도시한다. 11은 승강지지판, 12는 승강용 모터이고, 상기 지지판(11)에 불출수단(3)의 반송모터(도시 생략)를 직접 지지하고, 또 모터의 출력축이 연결되는 풀리축(15)으로 구동되는 풀리(16)를 고정지지판(11x)으로 지지하고 있다. 승강지지판(11)에는 그의 양단에 한쌍의 연결아암(17)이 설치되고, 이 연결아암(17)은 측벽(5)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홈(18)을 관통하여 측벽(5)의 내측의 정렬받이부재(2)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지지판(11)의 대략 중앙에는 승강용 로드(19)가 지지판(11)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끼워통하여 병설되고, 이 로드(19)의 일면에 새겨만든 래크톱니형(20)에 피니온(21), 기어군(22)으로 이루어지는 감속기구가 걸어맞춤하고, 이 감속기구에 승강용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하면 승강지지판(11) 전체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19a, 19b는 로드(19)의 상하단의 지지부재이다.
23은 센서설치판이고, 그의 상하 양단에 설치한 2개의 승강센서 PS에 대하여 상기 지지아암(11a)의 끝의 검출판(24)이 통과하면 차광되어 정렬받이부재(2)의 승강이 상, 하단위치에서 검출되어, 그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승강이 정지된다. 25는 설치판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IV-IV로부터 본 단면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불출수단(3)은 풀리(16)간에 건너지른 무단벨트(26)로 이루어지는 반송장치이고, 상술한 반송모터(13)에 의하여 구동되어 정렬받이부재(2)상에서 흘러내린 앰플(A)을 정렬방향과 병행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앰플받이(4)는 배출된 앰플(A)을 배출수단(40)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바닥판이 배출수단(40)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고 이 바닥판상을 구른 앰플(A)이 배출수단(40)의 로터(41)로 오면 앰플(A)은 그의 받아들이는 홈(43)에 몰입한다. 이 로터(41)를 모터(42)로 회전시키므로서 앰플(A)은 하나씩 도 4, 도 7에 도시한 배출구(44)로부터 공급된다.
더욱이,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44)의 직전에는 앰플의 통과를 검출하는 한쌍의 센서(P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불출수단(3)의 외측에는 무단벨트(26)로 이송되는 앰플(A)이 벨트상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한쌍의 앰플검출센서(PH)가 설치되어 있고, 앰플(A)이 존재하면 발광측으로부터의 빛이 수광측에서 수광할 수 없는 것으로 앰플(A)의 존재를 검출한다.
도 5에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0)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다. 이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0)은 만일 앰플(A)이 정렬받이부재(2)상에서 직립상으로 들어올려진 경우에 앰플을 정렬하여 이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0)은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판(31)에 회전자유로이 연결한 링크(32, 33, 34)를 회전중심의 핀(35)으로 회전자유로 하고, 링크(34)에 연결된 솔레노이드(36)의 로드(36a)를 진퇴운동시키면 링크(32)가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판(31)을 밀어 이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판(31)이 핀(31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앰플을 쳐서 떨어뜨린다.
도 6은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0)에 의한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0)은 비동작시에는 도 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1)이 수직으로 직립해 있지만, 앰플공급장치가 앰플공급동작을 개시하면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판(31)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상으로 되어 정렬받이부재(2)가 상승하여 오는 것을 기다린다.
정렬받이부재(2)가 상승하고, 그 위에 직립상으로 앰플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작업인이 육안으로 확인, 혹은 센서로 검출하면, 입력신호 또는 그의 검출신호로 솔레노이드(36)를 작동시켜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판(31)을 회전시켜 도 6b와 같이 직립상의 앰플을 용기 내측으로 쳐서 떨어뜨린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에서는 앰플공급이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앰플수납용기(1)내에는 미리 다수의 앰플(A)이 랜덤상태로 투입되어 공급상태에 있다. 앰플공급개시의 트리거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그 때, 정렬받이부재(2)가 측벽(5)의 임의의 높이위치에 있으면 반드시 일단 정렬받이부재(2)가 강하하고, 그의 받이면(7)을 용기(1)의 바닥판(1a)의 경사하방의 위치에 일치시킨다.
받이면(7)이 바닥판(1a)의 경사하방에 일치하면, 바닥판(1a)상에 있는 다수의 앰플(A) 몇 개가 받이면(7)상으로 이동하고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정렬받이부재(2)가 상승을 시작하면 받이면(7)에 일부만이 실려 있는 앰플은 떨어지게 되고, 받이면(7)상에 완전히 실려 있는 앰플만이 필연적으로 정렬상태로 되어 유지되고, 들어올려진다. 다만 앰플(A)이 직립상으로 받이면(7)상에 유지되는 일이 있고, 그 경우는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30)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은 상술한 대로이다.
정렬받이부재(2)가 상승하여 최상한 위치에 도달하면, 그때 측벽(5)은 상단이 정렬받이부재(2)의 받이면(7)의 경사하방끝위치보다 낮은 높이까지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받이면(7)의 경사에 의하여 앰플(A)은 자중으로 외측으로 굴러 떨어져 불출수단(3)의 무단벨트(26)상으로 옮겨 탄다. 무단벨트(26)상에 실린 앰플(A)은 무단벨트(26)로 이송되어 배출단(端)으로부터 앰플받이(4)로 배출되고, 더욱 더 배출수단(40)으로 이송되어, 이 배출수단으로 하나씩 배출된다.
도 8에 제2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를 도시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공통부분이 많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동일구성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렬받이부재(2')는 그 상면이 앰플(A)을 받기 쉬운 오목면(7')상으로 동시에 이 오목면(7')이 수평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면(7')상에 앰플(A)을 들어올리는 것만으로는 불출할 수가 없으므로, 불출수단(3')에는 단면이 발끝처럼 돌출한 쳐서 떨어뜨리는 부재(3a')와, 제1 실시형태의 불출수단(3)과 같은 무단벨트(26)로 이루어지는 불출구동부(3b')가 포함된다. 쳐서 떨어뜨리는 부재(3a')는 정렬받이부재(2')와 같은 정도의 길이이고,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생략의 구동부로 왕복운동한다.
기타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작용에 대하여도 오목면(7')상의 앰플(A)을 쳐서 떨어뜨리는 부재(3a')로 쳐서 떨어뜨리는 점만이 다를 뿐이므로 다른 작용은 완전히 제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도 10에 제3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와 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도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같고, 이하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동일구성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렬받이부재(2")는 그의 받이면(7")이 평평한 평면상이고, 동시에 불출수단(3")으로서 무단벨트(26)를 정렬받이부재(2")의 위가장자리에 짜넣은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불출수단(3")에 의한 불출로는 정렬받이부재(2")의 위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벽(5) 외측으로의 불출로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측벽(5)은 수납용기(1)의 타 측벽과 같은 높이까지 뻗어 있다. 다만, 불출로가 측벽(5)과 직교방향의 측벽과 교차하는 부분은 절결부(1x)를 설정하여 불출구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앰플공급장치에서는, 정렬받이부재(2")로 들어올려진 정렬상의 앰플(A)을 그대로의 위치에서 수평으로 무단벨트(26)로 수평이동시켜 불출하는 것으로 된다. 기타의 구성, 작용에 대하여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도 11, 도 12에 제4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도 수납용기(1), 정렬받이부재(2)에 대하여는 제1 실시형태와 완전히 같지만, 불출수단(3'") 및 정렬받이부재(2)의 구동부가 약간 다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수단(3'")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반원상의 앰플가이드(26'")로 이루어지고, 이 앰플가이드(26'")를 승강모터(12)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구동부 지지판(11)의 끝에 별도 설치한 지지아암(17x)의 상단의 아암헤드(17h)로 그의 한쪽 끝 근처 위치를 승강시켜, 다른 끝은 회전지지축(28)으로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정렬받이부재(2)가 승강되면 그에 동반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플가이드(26'")가 경사→수평상태로 되고, 이로서 정렬받이부재(2)에 의한 앰플(A)의 들어올림→앰플가이드(26'")로의 옮겨실음이 행해지고, 정렬받이부재(2'")의 하강에 동반하여 앰플가이드(26'")가 기울어지고, 앰플(A)의 불출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설치판(5'")의 외측에는 제1 실시형태와 꼭같은 승강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26s는 스토퍼이다.
도 13에 제 5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14에 화살표 N-N로부터 본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정렬받이부재(2"")가 하반(下半) 받이부재(2x)상에 이 하반받이부재와 분리할 수 있는 상반(上半) 받이부재(2y)를 포갠 것으로 이루어지고, 불출수단(3"")이, 정렬받이의 기능을 갖는 상반받이부재(2y)와 이 상반받이부재(2y)가 도 14에 도시한 돌려 기울이는(傾轉) 수단(3x)의 작용으로 기울어짐으로서 앰플(A)을 쳐서 떨어뜨려 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타의 실시형태의 것과 다르다.
하반받이부재(2x)는 단순히 상반받이부재(2y)를 들어올리는 것뿐으로, 앰플을 정렬시키는 기능은 없고, 상반받이부재(2y)는 그 폭을 하반받이부재(2x)와 같은 정도의 폭으로 동시에 정상면을 오목면(7')으로 함으로서, 앰플(A)을 정렬시키는 기능과 불출기능을 함께 갖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반받이부재(2x)는 그의 일단이 일부절결부(27)로 절결되어 있고, 절결부(27)의 시단(始端)에는 상반받이부재(2y)의 이면의 일부에 설치한 걸어맞춤편(3L)이 핀(3k)으로 하반받이부재(2x)에 걸어맞춤하여 이것을 지점으로 상반받이부재(2y)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3k)과 이하의 회전걸음부(3H) 등에 의하여 돌려 기울이는 수단(3x)이 구성되어 있다. 상반받이부재(2y)의 일단에는 L자상의 아암(3N)이 설치되고, 그의 선단을 회전걸음부(3H)를 갖는 걸음지주(3M)에 걸리도록 하여 선단이 상반받이부재(2y)를 하반받이부재(2x)에 의하여 도시한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에 그 이상은 상승하지 않도록 하면, 더욱 더 하반받이부재(2x)를 상승시켰을 때 핀(3k)으로 상반받이부재(2y)를 밀어올리므로서 상반받이부재(2y)를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더욱이, 27a은 절결부(27)로부터 앰플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커버이다. 또, 상반받이부재(2y)가 상하이동하는 부분의 측벽은 홈(1X)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불출수단(3"")으로 불출된 앰플(A)을 일정량 체류시켜 하나씩 앰플의 통과를 확인하면서 공급하는 앰플체류공급수단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배출슈트(45)상에 불출된 앰플(A)은, 슈트(45)상에서 솔레노이드(46)의 푸시로드(46a)를 돌출시켜 앰플(A)을 도시의 예에서는 2개 체류시켜 종단측의 솔레노이드(46)를 여므로서 앰플(A)이 하나씩 낙하공급된다. 낙하하는 앰플(A)을 검출센서(PXH)로 검출하고 앰플(A)을 카운트한다.
더욱이, 도 16의 앰플체류공급수단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로터식의 것에 대신하여 상술한 어느 실시형태의 장치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의 5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것이나 앰플수납용기(1)는 장치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앰플수납용기(1)를 장치에 대하여 착탈 자유로이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7∼도 19에 착탈식의 앰플수납용기(1')의 개략구성을 도시한다.
도시의 앰플수납용기(1)는 앰플공급장치의 선반에서 떼어내도록 되어 있고, 정렬받이부재(2)와 앰플수납용기(1)의 경계부는 도 19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S)로 개폐가 자유로이 되어 있다.
앰플수납용기(1)는 상기 경계부분에 도 1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S)가 구비되고, 앰플수납용기(1)는 앰플공급장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셔터(1S)가 개방하고, 앰플수납용기(1)를 슬라이드하여 자기앞으로 인출하여 앰플공급장치로부터 떼어내면, 상기 셔터(1S)가 폐쇄하여 수납된 앰플(A)이 정렬받이부재(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앰플공급장치의 각 선반에는 상기 앰플수납용기(1)를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와, 앰플수납용기(1)에 구비된 셔터(1S)를 개폐하는 구동기어(1G)를 구동하기 위한 수납선반래크(1R)가 구비되고, 상기 앰플수납용기(1)를 장착하면, 수납선반래크(1R)에 구동기어(1G)가 맞물리고 회전하면서 도 18a와 b에 기록한 바와 같이 앰플수납용기(1)가 장착된다.
이 구동기어(1G)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1G)에 마주 대하여 설치한 셔터래크(1SR)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18b 셔터래크(1SR)의 이동에 동반하여, 셔터(1S, 1S)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고, 앰플수납용기(1)내의 앰플이 정렬받이부재(2)로 옮겨실음가능으로 된다.
셔터(1S)는 앰플수납용기(1)에 가이드되어 있고 이 용기셔터(1S)의 선단부(1ST)는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것보다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의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앰플수납용기(1)를 뗄 때에는 선단부(1ST)가 직선상이면, 수납된 앰플(A)이 셔터(1S)의 선단부(1ST)에 끼워져서 앰플이 깨지는 등의 문제가 생겨, 상기와 같이 선단부(1ST)를 곡선으로 함으로서 이 문제는 해소된다.
도 20에 상기 착탈식의 앰플수납용기(1')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0에서는 앰플수납용기(1')의 밑바닥 하방으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보고 있다. 구동기어(1G)가 셔터래크(1SR)에 걸어맞춤하고, 앰플수납용기(1')을 뗀 상태에서는 셔터(1S, 1S)가 서로 선단부(1ST)에서 닫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동기어(1G)는 그의 하방에서 장치의 선반에 설치되어 있는 수납선반래크(1R)에 걸어맞춤한다.
도 21∼도 24에, 상술한 착탈이 자유로운 앰플수납용기(1')를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적용한 경우의 제6 실시형태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21은 도 1에 상당하는 주요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플수납용기(1')를 설치하기 위한 선반(50)이 정렬받이부재(2)의 측방에 설치되고, 그 위에 앰플수납용기(1')가 그의 아래다리부(1c)와 아래다리판(1c')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삽입, 뽑아내어져 착탈된다.
정렬받이부재(2)와의 사이에는 선반측판(51)이 설치되고, 이 선반측판(51)에 의하여 정렬받이부재(2)와의 사이를 격리하고 있다. 선반측판(51)의 상단내측에 앰플수납용기(1')의 셔터(1S, 1S)가 정렬받이부재(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자유로이 개폐된다. 선반(50)의 상면(50a)에는 대(台)판(52)이 설치되고, 그 위에 고정한 수납선반래크(1R)에 구동기어(1G)가 삽입시에 걸어맞춤하고, 그의 회전을 셔터래크(1SR)에 전달하여 셔터(1S, 1S)가 개방되는 것에 대하여는 상술한 대로이다.
더욱이, 도시한 예는 앰플수납용기(1')가 착탈자유로운 점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고, 기타의 점은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같고, 동일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앰플수납용기(1')는 형상이 제1 실시형태와 약간 다르지만(도 2와 도 22 참조) 기본기능을 바꾼 것은 아니다.
도 24에 장치로부터 앰플수납용기(1')를 제거한 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선반(50)상의 대판(52)상에 수납선반래크(1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앰플수납용기(1')를 착탈을 자유롭게 하는 것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적용한 제6 실시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 이외에도 제2∼제5의 실시형태에 꼭같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상세도를 도시할 것도 없이 가능한 것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한 이 실시형태로 앰플수납용기(1')를 도 22와 같이 장착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앰플수납용기(1')를 선반(50) 위에 태워 도 24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밀어넣으면, 앰플수납용기(1')의 뒤쪽의 구동기어(1G)가 도 24에 도시한 수납선반래크(1R)에 걸어맞춤한다.
상기 수납선반래크(1R)의 길이는, 구동기어(1G)가 걸어맞춤하여 그 길이를 따라 이동하므로서 회전이 셔터래크(1SR, 1SR)에 전달되어 셔터래크(1SR, 1SR)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22에 도시한 개방상태로 될 때까지 셔터(1S, 1S)가 개방되는 길이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앰플수납용기(1')를 선반(50)상에 삽입하여 밀어넣는 것만으로 정렬받이부재(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장착된다.
도 25∼도 28에 상기 제6 실시형태의 앰플수납용기(1')의 바닥판(1a)을 경사자유로이 설치한 제7 실시형태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25∼도 28의 각각은 도 21 ∼도 24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기능, 부재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a)을 수평인 지지축(1AX) 둘레로 회전자유로이 설치하고 있는 점이 앞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1a'는 바닥판 앞끝 가장자리부재이고, 이 가장자리부재(1a')에 일체의 뒤(裏)바닥판(1b)이 수평으로 수납용기(1')의 밑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a)을 경사 자유로이 경사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경사조정기구(60)가 선반(50)의 정상판(50a)과 상기 앰플수납용기(1')의 뒤바닥판(1b)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조정기구(60)는, 갈고리(鉤)형의 밀어올리는 부재(61)와 이를 회전구동하는 모터(62)로 이루어진다.
모터(62)는 정상판(50a)의 이면에 설치되고, 그의 출력축에 설치한 피니온(63)이 밀어올리는 부재(61)의 반경부 내측의 반월형 기어에 걸어맞춤하고, 밀어올리는 부재(61)는 회전축(61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밀어올리는 끝(61a)에 의하여 바닥판(1a)의 이면을 밀어올리므로서 바닥판(1a)이 기울어진다.
밀어올리는 부재(61)의 밀어올리는 끝(61a)이 정상판(50a)과 뒤바닥판(1b)을 꿰뚫고 나가 돌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상판(50a)과 뒤바닥판(1b)에는 밀어올리는 부재(61)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각각 폭이 좁은 슬릿상의 개구(50b, 1p)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구(50b, 1p)의 형상에 대하여는 도 28,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1af는 바닥판(1a)의 선단에 설치되는 커버부재이고, 탄력성이 있는 고무, 포 등을 사용하여 바닥판(1a)이 기울어졌을 때 생기는 간극을 메우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닥판(1a)은 경사각도가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수단계의 각도로 경사조정이 행해진다.
도 29, 도 30의 앰플수납용기(1')을 착탈이 자유롭게 하고, 그의 앰플수납용기(1')의 바닥판(1a)을 경사 자유롭게 한 구성부분을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 적용한 제8 실시형태의 주요도(단면도,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6, 제7의 실시형태와 꼭같이 앰플수납용기(1')를 착탈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고, 바닥판(1a)을 경사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상세한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도 34에 제8 실시형태의 앰플받이(4)와 배출수단(40)의 구성부분을 변형한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제8 실시형태와 같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앰플받이(4)는 생략되어 있고, 배출수단(40)의 받아들이는 홈(43)의 하나가 불출수단(3")의 불출방향과 일직선상으로 되도록, 동시에 불출수단(3)의 출구측과 받아들이는 홈(43)의 경사가 일치하도록 작은 각도(도시의 예에서는 18°) 기울어져 배출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수단(40)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것이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아들이는 홈(43)이 5군데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는 이 받아들이는 홈(43)에 저류시키는 앰플수를 많게 하기 위함이다.
배출수단(40)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0a)내에 다수의 홈(41a)이 설치되어 있고, 이중 몇 개에 로터디스크(41") 복수개를 끼워맞추고 타의 로터디스크(41')와 함께 회전축(46)에 설치하여 로터(41)를 형성하여 이를 내장하고, 모터(42)의 회전력을 풀리 47a(소), 47b(대)와 벨트(48)를 통하여 회전축(46)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45는 앰플이 받아들이는 홈(43)에 삽입되었을 때의 정지판이다. 더욱이, 로터(41)를 복수매의 로터디스크(41")로 분할형성하고 있는 것은 앰플의 크기에 의하여 압출수단(40)의 사이즈가 여러가지로 같지 않은 경우에도 공통의 로터디스크(41")에 의하여 로터(41)를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5)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정렬받이부재(2")의 상단에 설치되는 불출수단(3")의 무단벨트(26)는 상방의 주행부분이 작은 풀리(16')로 일부가 들어올려지고, 작은 풀리(16')로부터 풀리(16)까지의 사이가 약간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고, 이 경사가 배출수단(40)의 경사에 가까운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5)의 끝에서 직각으로 돌출한 단(端)벽(5')에 앰플(A)의 통과구멍(5H)이 설치되어 있고 이를 통과하여 앰플(A)이 배출수단(40)으로 보내진다.
로터디스크(41'와 41")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설치하고 있고, 그 간극에 투광되는 앰플도입센서(PR, PRa)가 이 위치에서 본체(40a)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도입센서는 PR이 발광소자, PRa이 수광소자이고,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소자(PRa)는 2개가 소정각도범위내에 설치되어 있다.
수광소자(PRa)를 2개 설치하는 것은 그중의 어느 것으로 앰플(A)의 받아들이는 홈(43)으로의 도입이 검출되면 앰플(A) 있다고 판정하기 위함이고, 수광소자(PRa)가 하나만으로는 확실히 앰플(A)의 도입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 PQ는 로터(41)의 정위치센서이다. 로터(41)의 정위치에 설치한 반응소자(자성체 등)(t)에 반응하여 정위치가 오면 그 차례로간에 신호를 발하여 정위치를 검출한다.
도 33b에 받아들이는 홈(43)으로부터 앰플(A)이 낙하하는 하나 바로 앞에서 앰플(A)이 대기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대기센서(PW, PWa)가 받아들이는 홈(43)의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으로 차광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대기센서도 수광측의 센서(PWa)가 2개, 발광측의 센서(PW)가 한 개로 이루어진다. 도입센서(PR, PRa)와 꼭같이 검출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이 제9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여 앰플을 공급한다. 우선, 최초에 앰플(A)이 앰플수납용기(1')내에 가득차 있는 것으로 설명을 한다.
앰플(A)이 랜덤으로 가득차 있는 상태에서는, 앰플수납용기(1')의 바닥판(1a)은 기준상태로서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앰플수납용기(1')를 소정상태로 세트하면 셔터(1S, 1S)가 열리고, 정렬받이부재(2)가 하강하면 그의 주고 받는 부분으로부터 정렬받이부재(2")의 상면에 몇 개의 앰플(A)이 올라앉는다. 또, 정렬받이부재(2)가 하강하였을 때부터 정렬받이부재(2")에 설치되어 있는 불출수단(3)의 무단벨트(26)를 역전시킨다.
실시형태의 경우, 무단벨트(26)를 역전(逆轉)시키므로서 포개져 있던 앰플이 배제되고 정렬받이부재(2")에 남는 앰플(A)은 대략 2개이고,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2개의 앰플(A)을 정렬받이부재(2")의 무단벨트(26)상에 태운 채로 이를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무단벨트(26)를 정전(正轉)시켜 배출수단(40)의 받아들이는 홈(43)으로 앰플(A)을 내보낸다. 2개의 앰플(A)의 선두편이 받아들이는 홈(43)으로 들어가면, 무단벨트(26)는 역전시킨다. 그리하면, 뒤의 앰플(A)은 본래의 셔터(1S, 1S)간의 개방위치로 낙하한다.
앰플(A)이 받아들이는 홈(43)내로 보내지면, 그의 송입력만으로는 충분히 받아들이는 홈(43)내에 투입하지 않는(앰플(A)의 어느 한끝이 일부 로터(41)로부터 나온 채로) 경우가 있고, 그대로 로터(41)를 회전시키면 앰플(A)을 파손할 위험성이 있다. 이 때문에, 모터(42)를 정전, 역전시켜 로터(41)를 약간의 회전각도만큼 정역방향으로 여러번 반복하여 회전시킨다.
이리하여 로터(41)를 약간 회전시키면, 그 사이에 앰플(A)이 받아들이는 홈(43)내로 충분히 올라타고, 정지판(45)에 맞닿아 멈춘다. 이 상태에서 도입센서(PR, PRa)에 의하여 받아들이는 홈(43)으로의 도입의 유무를 검출하고, 앰플(A)의 도입이 확인되면 도 33a의 받아들이는 홈(43)의 1피치분 로터(41)가 회전하여 정지한다.
더욱이, 불출수단(3)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앰플(A)은 도 33a의 앰플(A1)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배출수단(40)과 불출수단(3)과의 관계는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앰플(A)이 이송되면, 더욱더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도 33a와 같이 앰플(A1, A2, A3)이 이송되고, 앰플(A3)을 대기센서(PW, PWa)가 검지함으로서 배출수단(40)은 대기상태로 된다. 이 대기상태는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원통상으로 다수의 것이 동시에 상하다단상으로 쌓여서 설치되고, 각각의 장치에는 같지 않은 종류의 앰플이 수납저류되어 있다. 이리하여, 다종류의 앰플이 저류되어 있는 것중에서, 호스트컴퓨터(도시 생략)에 입력된 의사의 처방전에 의한 약제데이터의 신호가 각각의 환자마다 로컬 컴퓨터로 이송되어 오면, 그 신호에 의하여 특정의 앰플을 불출하도록 지령이 발하게 된다.
이 때, 이 불출신호로 지정된 앰플공급장치의 앰플수납용기(1')로부터 필요한 앰플을 하나씩 들어올려 배출수단(40)까지 이송한다고 하면, 불출신호가 있더라도 곧 필요한 앰플이 불출되지 않기 때문에, 앰플의 집합이 늦어지므로, 불출신호가 입력되면 곧 앰플을 외부로 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가능한 3개의 받아들이는 홈(43)에 앰플(A1, A2, A3)를 저류하여 대기하지만, 상기 3개의 앰플을 저류하는 도중, 혹은 그들을 불출하여 사용한 후에 받아들이는 홈(43)에 앰플을 보충할 경우에 정렬받이부재(2)상에 앰플을 들어올릴 때마다 반드시 목적한 대로 꼭 올라탄다고는 할 수 없고, 들어올림이 헛동작으로 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헛동작은 정렬받이부재(2)를 들어올려서 불출수단(3)에 의하여 앰플(A)을 이송한 후 배출수단(40)의 도입센서(PR, PRa)로 일정시간내에 앰플의 도입이 없는 것을 검지함으로서 확인되고, 앰플을 2회 헛동작하였을 때는 그 신호에 의하여 앰플수납용기(1')의 바닥판(1a)을 약간 기울이고 또 본래위치로 되돌리는 식으로 바닥판(1a)을 상하로 흔들리게 하여 앰플을 교반하고, 그후 다시 앰플(A)을 들어올리고, 불출하고, 배출수단(40)에서의 도입을 확인함으로서 헛동작을 없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앰플의 헛동작이 계속되는 일도 있고, 그 경우는 앰플(A)이 사용되어 앰플수납용기(1')내의 저류량에서 감소하고 있기 때문으로서, 예를 들면 바닥판의 경사각도를 단계적으로 약간씩 증가시켜 각 단계마다의 경사각도를 중심으로 바닥판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앰플수납용기(1')로부터 앰플(A)이 약간씩 불출되고 앰플의 양이 감소하면, 바닥판을 상하이동시키더라도 앰플이 불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헛동작이 3회 계속 되면 이미 앰플수납용기(1')내에 앰플이 없다고 하고 결품표시를 하여 이의 공급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앰플수납용기의 착탈버튼을 누르면 바닥판(1a)이 수평인 원위치로 내려가고, 다시 한번 착탈버튼을 누르면 록이 해제되고, 앰플수납용기를 떼내기 가능으로 한다. 이 록의 해제는 도 25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경사조정기구(60)의 밀어올리는 부재(61)를 더욱더 모터(62)에 의하여 회전시켜 밀어올리는 끝(61a)을 뒤바닥판(1b)보다 내리므로서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불출, 배출작업이 행해지기 때문에, 이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는 더욱더 앰플공급동작이 확실하고, 필요할 때 곧 앰플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앰플공급장치는 바닥판이 한 방향으로 경사한 랜덤수납형 용기와, 앰플을 앰플직경과 같은 폭 정도의 받이면으로 앰플을 정렬상으로 받아 소정높이까지 들어올리는 정렬받이부재와, 거기서 정렬방향으로 이송하여 하나씩 앰플을 불출하는 불출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정렬받이부재상에 자중으로 올라탄 앰플을 들어올리므로서 필연적으로 정렬하여 들어올리고, 정렬방향으로 이송함으로서 앰플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헛동작하는 일없이 효율좋게 확실히 앰플을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심플하고 간이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장치 전체를 경제적인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2는 상동의 평면도,
도 3은 상동의 측면도,
도 4는 상동의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IV-IV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의 개략도,
도 6은 상동의 작용 설명도,
도 7은 배출수단의 주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10은 상동의 평면도,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12는 상동의 측면도,
도 13은 제5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N-N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상동의 작용 설명도,
도 16은 앰플체류공급수단의 다른 예의 개략도,
도 17은 착탈이 자유로운 셔터달린 앰플수납용기의 개략평면도, 측면도,
도 18은 상동의 셔터개폐동작의 설명도,
도 19는 앰플수납용기 착탈과 셔터동작관계의 설명도,
도 20은 셔터달린 앰플수납용기의 외관사시도,
도 21은 제6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측면도의 주요단면도,
도 22는 상동의 평면도,
도 23은 도 21의 화살표 XXIII-XXIII로부터 본 측면도,
도 24는 앰플수납용기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25는 제 7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측면도의 주요단면도,
도 26은 상동의 평면도,
도 27은 도 25의 화살표 XXVII-XXVII에서 본 측면도,
도 28은 앰플수납용기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29는 제8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주요단면도,
도 30은 상동의 평면도,
도 31은 제9 실시형태의 앰플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2는 상동의 배출수단 부근의 요부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화살표시 XXXIII-XXXIII에서 본 단면도,
도 34는 상동의 작용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앰플수납용기 2 : 정렬받이부재
3 : 불출(拂出)수단 4 : 앰플받이
5 : 측벽 6 : 셔터
7 : 정렬받이면 26 : 무단벨트
30 :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 50 : 선반
60 : 경사조정기구 61 : 밀어올리는 부재

Claims (12)

  1. 다수의 앰플이 랜덤하게 수납되는 앰플 수납 용기를 그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 형상으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경사 아래쪽의 측벽 내측을 따라 승강 자유롭고, 또한 측벽을 따라 복수의 앰플을 앰플 직경에 상당하는 폭의 받이면으로 정렬된 형상으로 받아들여 유지하는 받이 부재와, 이 받이 부재의 받이면을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이 경사면을 내려와 정렬 방향으로 불출하도록 형성하고, 받이면으로부터 불출한 앰플을 한 방향으로 반송하는 불출 수단을 구비하고, 앰플을 외부로 하나씩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2. 다수의 앰플이 랜덤하게 수납되는 앰플 수납 용기를 그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 형상으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경사 아래쪽의 측벽 내측을 따라 승강 자유롭고, 또한 측벽을 따라 복수의 앰플을 앰플 직경에 상당하는 폭의 받이면으로 정렬된 형상으로 받아들여 유지하는 받이 부재와, 이 받이 부재의 받이면에 앰플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를 형성하고, 받이 부재에 옮겨 실은 앰플을 측벽 밖으로 밀어내고, 그 앰플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불출 수단을 구비하고, 앰플을 외부로 하나씩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3. 다수의 앰플이 랜덤하게 수납되는 앰플 수납 용기를 그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 형상으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경사 아래쪽의 측벽 내측을 따라 승강 자유롭고, 또한 측벽을 따라 복수의 앰플을 앰플 직경에 상당하는 폭의 받이면으로 정렬된 형상으로 받아들여 유지하는 받이 부재와, 이 받이 부재의 표면부에 설치한 벨트 형상의 반송 부재에 의해 앰플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불출 수단을 구비하고, 앰플을 외부로 하나씩 배출하도록 구성한 앰플 공급장치.
  4. 다수의 앰플이 랜덤하게 수납되는 앰플 수납 용기를 그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 형상으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경사 아래쪽의 측벽 내측을 따라 승강 자유롭고, 또한 측벽을 따라 복수의 앰플을 앰플 직경에 상당하는 폭의 받이면으로 정렬된 형상으로 받아들여 유지하는 받이 부재와, 이 받이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받이 부재의 경사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에 의해 받이 부재를 회전시켜 받이면을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앰플을 소정 방향으로 보내는 불출 수단을 구비하고, 앰플을 외부로 하나씩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 수단을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상반받이 부재와 하반받이 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상반받이 부재의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수평이고 폭방향 단면이 앰플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또한 그 길이 방향의 일단 근처에 설치한 경사회전축을 통하여 하반받이 부재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게 하고, 하반받이 부재는 승강하도록 설치하여, 하반받이 부재가 소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반받이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측벽의 고정부에 걸리게 하고, 또한 그 상승력을 이용하여 경사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반받이 부재를 경사지게 하고, 이것에 의해 앰플을 소정 방향으로 보내도록 불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로 직립 형상으로 들어올려진 앰플을 쳐서 떨어뜨리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상에 또는 불출 수단상에 앰플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앰플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납 용기를 받이 부재의 측방에 설치한 선반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앰플 수납 용기가 떼어지면 받이 부재로의 주고받기부를 폐쇄하는 셔터와, 이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앰플 수납 용기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납 용기를 받이 부재의 측방에 설치한 선반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앰플 수납 용기가 떼어지면 받이 부재로의 주고받기부를 폐쇄하는 셔터와, 이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앰플 수납 용기에 구비하고, 상기 셔터를 2개의 슬라이드 이동하는 셔터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이 양 셔터 부재가 맞닿아 닫히는 셔터끝을 파형의 곡선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납 용기를 받이 부재의 측방에 설치한 선반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앰플 수납 용기가 떼어지면 받이 부재로의 주고받기부를 폐쇄하는 셔터와, 이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앰플 수납 용기에 구비하고, 상기 앰플 수납 용기를 받이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하고, 수납 용기의 받이 부재에 면하는 주고받기부에 셔터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개폐 장치를 셔터 모퉁이부에 형성한 래크와 이것에 걸어맞추는 구동 기어로 구성하고, 이 구동 기어를 상기 선반에 앰플 수납 용기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배치한 래크에 걸어맞추어지게 하여, 앰플 수납 용기를 끌어내면 셔터를 닫아 앰플 수납 용기 내의 앰플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납 용기의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 자유롭게 하고, 이 바닥판의 경사를 경사조정기구에 의해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납 용기의 바닥판을 한 방향으로 경사 자유롭게 하고, 이 바닥판의 경사를 경사조정기구에 의해 조정하도록 하고, 불출 수단으로부터 불출되는 앰플을 소정 수 저장하고, 배출신호를 받으면 필요 수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불출 수단에 접속하여 설치하고, 배출수단은 앰플을 받아들이는 복수의 받이 홈을 갖는 로터와 이 로터를 회전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앰플을 받아들이는 위치에 있는 받이 홈을 불출 수단의 불출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공급장치.
KR1019980027825A 1997-07-31 1998-07-10 앰플공급장치 KR100631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59897A JP3989597B2 (ja) 1997-03-25 1997-07-31 アンプル供給装置
JP97-206598 1997-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62A KR19990013762A (ko) 1999-02-25
KR100631588B1 true KR100631588B1 (ko) 2007-04-25

Family

ID=6589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825A KR100631588B1 (ko) 1997-07-31 1998-07-10 앰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8240B2 (ja) * 1997-08-06 2007-12-0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アンプル供給装置
KR101508066B1 (ko) * 2013-11-11 2015-04-07 조철희 스트로우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기
CN110217565B (zh) * 2019-07-01 2024-01-30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全自动弯管生产供料线及其应用的弯管生产方法
KR102568832B1 (ko) * 2023-07-21 2023-08-21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무인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62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9597B2 (ja) アンプル供給装置
JP5564868B2 (ja) 薬剤払出装置
JP2007302300A5 (ko)
JP2007302300A (ja) キャップ供給装置
JP4360744B2 (ja) 錠剤容器供給装置
JP2007117708A (ja) 薬剤払出装置
JPH1048032A (ja) カプセル重量測定装置
US6981609B2 (en) Injection drug feeding device
KR20060126672A (ko) 물품취득 게임장치
JPH08225140A (ja) アンプル払出し装置
JP4964199B2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KR100631588B1 (ko) 앰플공급장치
KR100502992B1 (ko) 앰플공급장치
KR100553238B1 (ko) 앰풀공급장치
KR20210007751A (ko) 액상앰플자동공급기
JP2020036978A (ja) 薬剤払出装置
US6041963A (en) Ampule collector
JP2008079758A (ja) 景品払出機
JPH08315242A (ja) 物品払出装置
JP2005237712A (ja) 薬品払出装置
JPH0131819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