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39729B1 -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729B1
KR100639729B1 KR1020040095579A KR20040095579A KR100639729B1 KR 100639729 B1 KR100639729 B1 KR 100639729B1 KR 1020040095579 A KR1020040095579 A KR 1020040095579A KR 20040095579 A KR20040095579 A KR 20040095579A KR 100639729 B1 KR100639729 B1 KR 10063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attachment
arm
cylinder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823A (ko
Inventor
사또신이찌
모리시따시게끼
우시따니겐지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되는 유압 호스를 보호하는 것이다.
링크 기구(24)를 구성하는 제2 링크(27)의 선단부측과 작업구 착탈 장치(16) 사이를 결합하는 제3 연결 핀(29)에,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고정하는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에 의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유압 호스(35)가 크게 굴곡되어 작업구 착탈 장치(16) 등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압 호스(35)를 보호할 수 있다.
링크 기구, 연결 핀, 유압 관로 고정 부재, 유압 호스, 작업구 착탈 장치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WORK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적용된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는 도1 중 아암, 작업구 착탈 장치 등을 버킷의 클라우드 자세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3은 아암, 작업구 착탈 장치 등을 도2 중 화살표 Ⅲ-Ⅲ 방향으로부터 본 좌측면도.
도4는 아암, 작업구 착탈 장치 등을 버킷의 덤프 자세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5는 아암, 작업구 착탈 장치 등을 도4 중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좌측면도.
도6은 작업구 착탈 장치, 유압 관로 고정 부재 등을 도3 중 화살표 Ⅵ-Ⅵ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의 단면도.
도7은 작업구 착탈 장치, 유압 관로 고정 부재 등을 도5 중 화살표 Ⅶ-Ⅶ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의 단면도.
도8은 작업구 착탈 장치, 유압 관로 고정 부재 등을 도7 중 화살표 Ⅷ-Ⅷ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9는 아암, 유압 호스, 호스 보유 지지 부재를 도6 중 화살표 Ⅸ-Ⅸ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10은 제2 링크, 유압 관로 고정 부재 등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1은 변형예로서 아암의 선단부측에 그래플 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4와 동일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작업 장치
12 : 붐
14 : 아암
16 : 작업구 착탈 장치(유압식 어태치먼트)
20, 51 : 어태치먼트 실린더
23 : 블록
24 : 링크 기구
25 : 제1 링크
26 : 제1 연결 핀
27 : 제2 링크
27B : 선단부측 보스부
28 : 제2 연결 핀
29 : 제3 연결 핀
30 : 작업구 실린더
31 : 버킷
32 : 유압 관로
33 : 유압 배관
33A : 선단부 부위
34 : 커플링부
35 : 유압 호스
35A : 굴곡부
37 : 스위블 커플링
38 : 유압 관로 고정 부재
39 : 슬리브
40 : 나사 시트
41 : 호스 클램프(클램프 부재)
53 : 그래플 장치(유압식 어태치먼트)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및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에 설치되어 토목 작업 등을 행하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사의 굴착 작업 등에 이용되는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대략 자주(自走)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의 작업 장치는 통상 차체에 부앙(俯仰) 이동 가능하게 부 착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작업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 장치의 아암 선단부측에 부착되는 작업구로서는 버킷, 그래플 장치, 브레이커 등이 있고, 이들 종류가 다른 작업구를 교환하여 아암의 선단부측에 부착됨으로써, 굴착 작업, 하역 작업, 파쇄 작업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이들 각종의 작업구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아암의 선단부측에 작업구 착탈용의 유압식 어태치먼트를 부착한 작업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유압식 어태치먼트는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의해 서로 접근 및 이격하는 2개의 갈고리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각 갈고리 부재를 작업구측에 고정된 2개의 축에 대해 결합 및 이탈시킴으로써, 종류가 다른 작업구를 아암의 선단부측에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으로, 이 유압식 어태치먼트는 작업구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107307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식 어태치먼트는 아암의 선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유압식 어태치먼트와 아암에는 링크 기구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과 링크 기구 사이에 설치된 작업구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유압식 어태치먼트는 링크 기구를 통해 작업구와 같이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식 어태치먼트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실린더에는, 유압 셔블의 차체(상부 선회체) 등에 배치된 유압원으로부터의 압유를 배급하기 위한 유압 호스가 접속되고, 이 유압 호스는 통상 아암의 상면 혹은 측면을 따라서 유압식 어태치먼트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측은 좁은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압식 어태치먼트가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면, 유압식 어태치먼트 내에 수용된 유압 호스가 아암과 유압식 어태치먼트 사이에서 크게 굴곡되어, 유압식 어태치먼트 등에 닿아 조기에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압 호스가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 각도로 추종될 수 없어 유압 호스가 절단되거나 절곡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압식 어태치먼트에 버킷을 부착하고, 이 버킷을 이용하여 굴착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버킷과 함께 유압식 어태치먼트나 아암도 땅속에 몰입시킨 상태에서 유압식 어태치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버킷에 의해 땅속을 굴착하게 된다. 이 때,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호스가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완되고, 아암의 상면으로부터 크게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아암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유압 호스가 아암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에 간섭하여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되는 유압 호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유압 호스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차체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과, 작업구 또는 그 일부분으로서 상기 아암의 선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식 어태치먼트와, 상기 유압식 어태치먼트와 아암과 접속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해 유압식 어태치먼트를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시키는 작업구 실린더와, 아암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선단부측이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관로를 구비하고, 링크 기구는 기단부측이 아암에 제1 연결 핀을 이용하여 핀 결합된 제1 링크와, 기단부측이 상기 제1 링크의 선단부측과 작업구 실린더와 제2 연결 핀을 이용하여 핀 결합되어 선단부측이 제3 연결 핀을 이용하여 유압식 어태치먼트에 핀 결합된 제2 링크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되는 구성의 특징은, 유압 관로는 아암의 기단부측으로부터 도중 부위까지 아암에 따라서 연장되어 선단부 부위가 붐을 향해 절곡되어진 유압 배관과, 위 유압 배관의 선단부 부위에 마련된 커플링부와, 아암의 상면에 따라서 연장되어 기단부 부위가 위 커플링부에 접속되어 선단부 부위가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호스에 의해 구성하고, 유압 호스의 도중 부위에는 커플링부로부터 어태치먼트 실린더를 향해 되접히고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에 따라서 변형되는 만곡된 굴곡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제3 연결 핀에는 유압 관로의 도중 부위를 고정하는 유압 관로 고정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제2 링크가 제3 연결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이 삽통되는 보스부를 갖고, 유압 관로 고정 부재는 제3 연결 핀을 이용하여 보스부와는 별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유압 관로 고정 부재가 제3 연결 핀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된 슬리브와, 위 슬리브에 설치된 나사 시트와, 위 나사 시트에 부착되어 유압 관로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유압 관로의 선단부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스위블 커플링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유압 관로를 접속하는 블록을 설치하고, 위 블록에는 제3 연결 핀의 축 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지고 유압 관로의 선단부 부위를 접속하는 스위블 커플링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유압 셔블의 작업 장치를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1)의 차체는 대략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주행체(2)의 전단부측에는 배토판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작업 장치(11)와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카운터 웨이트(6)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6)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7)을 상측으로부터 덮는 캐노피(8)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 프레임(5)의 전방측에는 좌우측 방향으로 요동하는 스윙 포스트(9)가 설치되고, 상기 스윙 포스트(9)에는 후술하는 작업 장치(11)가 부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11은 스윙 포스트(9)를 통해 선회 프레임(5)의 전방측에 좌우측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상기 작업 장치(11)는 후술한 붐(12), 아암(14), 작업구 착탈 장치(16), 버킷(31) 등에 의해 구성되고, 토사 등의 굴착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부호 12는 스윙 포스트(9)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으로, 상기 붐(12)은 길이 방향의 도중 부위가 く자형으로 굴곡된 각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기단부측은 스윙 포스트(9)에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붐(12)은 스윙 포스트(9) 사이에 설치된 붐 실린더(13)에 의해, 스윙 포스트(9)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부앙 이동하는 것이다.
부호 14는 붐(12)의 선단부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으로, 상기 아암(14)은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각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기단부측은 붐(12)의 선단부측에 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14)의 기단부측에는, 후술한 작업구 실린더(30) 등이 부착되는 실린더 브래킷(14A)이 설치되고, 아암(14)의 선단부측에는 후술한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핀 결합되는 원통형의 보스부(14B)와 후술하는 제1 링크(25)가 핀 결합되는 원통형의 보스부(14C)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도6 참조). 그리고, 아암(14)은 붐(12) 사이에 설치된 아암 실린더(15)에 의해, 붐(1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부앙 이동하는 것이다.
부호 16은 작업구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유압식 어태치먼트로서의 작업구 착탈 장치로, 상기 작업구 착탈 장치(16)는 아암(14)의 선단부측에 연결 핀(17)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구 착탈 장치(16)는 후술한 버킷(31), 그래플, 브레이커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과 같이 작업구를 구성하고, 이들 버킷(31) 등을 아암(14)의 선단부측에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구 착탈 장치(16)는 도6 내지 도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한 고정 갈고리 부재(18), 가동 갈고리 부재(19), 어태치먼트 실린더(2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18은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베이스가 되는 고정 갈고리 부재로, 상기 고정 갈고리 부재(18)는 예를 들어, 두꺼운 강판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아암(14)의 선단부측을 끼워 좌우측 방향에서 대면한 좌우측의 측판(18A, 18A)과, 이들 각 측판(18A) 사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갈고리 부재(18)를 구성하는 각 측판(18A)의 기단부측에는, 연결 핀(17)이 삽통되는 핀 삽통 구멍(18B)과, 후술하는 제3 연결 핀(29)이 삽통되는 핀 삽통 구멍(18C)이 간격을 두고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선단부측에는 반원호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 분할 파이프(18D)가 고정 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반 분할 파이프(18D)는 좌우측의 측판(18A)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버킷(31)의 한 쪽의 부착 축(31B)에 대해 결합 및 이탈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좌우측의 측판(18A)에 의해 아암(14)의 선단부측을 협입한 상태에서,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핀 삽통 구멍(18B)과 아암(14)의 보스부(14B)와 연결 핀(17)을 삽통함으로써,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고정 갈고리 부재(18)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 연결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19는 고정 부재(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갈고리 부재로, 상기 가동 갈고리 부재(19)는 예를 들어, 두꺼운 강판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각 측판(18A) 사이에 협입된 상태로 좌우측 방향에서 대면한 좌우측의 측판(19A, 19A)과, 이들 각 측판(19A) 사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 갈고리 부재(19)를 구성하는 각 측판(19A)의 기단부측에는 핀 삽통 구멍(19B)이 형성되고, 상기 핀 삽통 구멍(19B)과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핀 삽통 구멍(18C)과 후술하는 제3 연결 핀(29)을 삽통함으로써, 가동 갈고리 부재 (19)는 제3 연결 핀(29)을 통해 고정 갈고리 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갈고리 부재(19)의 선단부측에는 반원호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 분할 파이프(19C)가 고정 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반 분할 파이프(19C)는 좌우측의 측판(19A)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버킷(31)의 다른 쪽의 부착 축(31C)에 대해 결합 및 이탈하는 것이다.
부호 20은 고정 갈고리 부재(18)와 가동 갈고리 부재(19) 사이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실린더로,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20)는 가동 갈고리 부재(19)를 고정 갈고리 부재(18)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어태치먼트 실린더(20)는 튜브(20A)와, 상기 튜브(20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피스톤으로 고정되어 선단부측이 튜브(20A)로부터 돌출된 로드(2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20A)의 보텀측은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각 측판(18A)에 핀(21)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로드(20B)의 선단부측은 가동 갈고리 부재(19)의 각 측판(19A)에 핀(22)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 실린더(20)의 로드(20B)를 신축시킴으로써, 가동 갈고리 부재(19)는 제3 연결 핀(29)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 갈고리 부재(18)에 대해 접근 및 이격하도록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23은 어태치먼트 실린더(20)의 튜브(20A)에 고정하여 설치된 유압 관로 접속용의 블록으로, 상기 블록(23) 내에는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배급되는 압유 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블록(23)과 튜브(20A)의 보텀측 유실 사이는 유압 배관(23A)에 의해 접속되고, 블록(23)과 튜브(20A)의 로드측 유실의 사이는 유압 배관(23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23)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압유를 배급하기 위한 2개의 압유 배급 포트(23C, 23C)가 설치되고, 상기 각 압유 배급 포트(23C)에는 후술한 스위블 커플링(37)을 통해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24는 아암(14)의 선단부측과 작업구 착탈 장치(16)에 접속된 링크 기구로, 상기 링크 기구(24)는 후술한 작업구 실린더(30)가 신축됨으로써,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링크 기구(24)는 후술하는 제1 링크(25)와, 제2 링크(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25, 25는 아암(14)을 좌우측 방향으로부터 협지하여 설치된 좌우측의 제1 링크로, 상기 각 제1 링크(25)는 へ자형으로 굴곡된 강판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크(25)의 기단부측은 제1 연결 핀(26)을 이용하여 아암(14)의 보스부(14C)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부호 27은 제1 링크(25)와 같이 링크 기구(24)를 구성하는 제2 링크로, 상기 제2 링크(27)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원통형의 기단부측 보스부(27A, 27A)와, 동일하게 좌우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원통형의 선단부측 보스부(27B, 27B)와, 이들 각 기단부측 보스부(27A)와 각 선단부측 보스부(27B)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2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27)의 기단부측 보스부 (27A)는 제2 연결 핀(28)을 이용하여 제1 링크(25)의 선단부측과 작업구 실린더(30)의 로드(30B)와 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2 링크(27)의 선단부측 보스부(27B)에는 제3 연결 핀(29)이 삽통되고, 상기 제3 연결 핀(29)은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구성하는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핀 삽통 구멍(18C)과, 가동 갈고리 부재(19)의 핀 삽통 구멍(19B)과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핀(28)은 제1 링크(25)의 선단부측과, 제2 링크(27)의 기단부측 보스부(27A)와, 작업구 실린더(30)의 로드(30B)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하고 있다. 또, 제3 연결 핀(29)은 제2 링크(27)의 선단부측 보스부(27B)와,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고정 갈고리 부재(18)와 가동 갈고리 부재(19)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제3 연결 핀(29)의 축 방향의 도중 부위에는, 제2 링크(27)의 각 선단부측 보스부(27B) 사이에 위치하여 후술한 슬리브(39)가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30은 아암(14)과 링크 기구(24) 사이에 설치된 작업구 실린더로, 상기 작업구 실린더(30)는 보텀측이 아암(14)의 실린더 브래킷(14A)에 핀 결합된 튜브(30A)와, 상기 튜브(30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피스톤으로 고정되어 선단부측이 튜브(30A)로부터 돌출된 로드(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로드(30B)의 선단부측은 제1 링크(25)의 선단부측과 제2 링크(27)의 기단부측 보스부(27A)와, 제2 연결 핀(2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실린더(30)는 로드(30B)를 신축시킴으로써, 제1 연결 핀(26) 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링크(25)를 회전시키고, 이 제1 링크(25)의 회전을 제2 링크(27)에 전함으로써, 제2 링크(27)의 선단부측에 제3 연결 핀(29)을 통해 결합된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연결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이다.
부호 31은 작업구 착탈 장치(16)에 부착된 굴착 작업용의 버킷으로, 상기 버킷(31)은 아암(14)의 선단부측에 부착된 작업구 착탈 장치(16)와 같이 작업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버킷(31)의 기단부측에는 좌우측 방향에서 대면하는 좌우측의 브래킷(31A)이 돌출 설치되고, 이들 좌우측의 브래킷(31A) 사이에는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부착 축(31B, 31C)이 서로 이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고정 갈고리 부재(18)에 설치한 반 분할 파이프(18D)를 한 쪽의 부착 축(31B)에 결합시키고, 가동 갈고리 부재(19)에 설치한 반 분할 파이프(19C)를 다른 쪽의 부착 축(31C)에 결합시킴으로써, 버킷(31)을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통해 아암(14)의 선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32는 아암(1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유압 관로로, 상기 유압 관로(32)는 기단부측이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된 유압 펌프 등의 유압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선단부측이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접속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유압원으로부터의 압유를 배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압 관로(32)는 후술한 각 유압 배관(33)과, 각 커플링부(34)와, 각 유압 호스(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33, 33은 아암(14)의 상면측에 고정하여 설치된 2개의 유압 배관으로, 이들 각 유압 배관(33)은 중공인 금속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고,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그 도중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각 유압 배관(33)의 기단부측은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된 유압원에 유압 호스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각 유압 배관(33)의 선단부 부위(33A)는 아암(14)의 도중 부위로부터 붐(12)을 향해 작업구 착탈 장치(16)와는 역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부호 34, 34는 각 유압 배관(33)의 선단부 부위(33A)에 각각 마련된 커플링부로, 상기 각 커플링부(34)는 유압 배관(33)과 후술하는 유압 호스(35) 사이를 접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플링부(34)는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에 후술하는 환형의 굴곡부(35A)를 형성하기 위해, 아암(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붐(12)을 향해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호 35, 35는 유압 관로(32) 중 아암(14)의 길이 방향 도중 부위로부터 선단부 부위까지의 사이를 구성하는 2개의 유압 호스로, 이들 각 유압 호스(35)는 가요성을 갖는 고무 호스 등에 의해 구성되고, 아암(14)의 상면(14D)에 따라서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 호스(35)의 기단부 부위는 각 유압 배관(33)의 선단부 부위(33A)에 마련된 커플링부(34)에 접속되고,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는 후술한 스위블 커플링(37)을 통해,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설치된 블록(2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는 아암(14)의 상면(14D)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된 2개의 호스 보유 지지 부재(36, 36)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 보유 지지 부재(36)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유압 호스(35)를 간극을 두고 걸치는 コ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아암(14)의 상면(14D)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보유 지지 부재(36)는 2개의 유압 호스(35)가 아암(1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아암(14)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부호 35A, 35A는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에 각각 마련된 굴곡부로, 상기 굴곡부(35A)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12)을 향해 절곡되어진 유압 배관(33)의 선단부 부위(33A)에 부착한 커플링부(34)로부터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향해 되접혀짐으로써, 커플링부(34)와 호스 보유 지지 부재(36) 사이에 거의 환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유압 호스(35)의 굴곡부(35A)는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실린더(30)의 신축에 의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이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에 수반하는 각 유압 호스(35)의 이완에 따라서,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확장 축소하도록 변형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실린더(30)가 신장하고,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버킷(31)과 같이 붐(12)에 접근하는 방향(클라우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각 유압 호스(35)의 이완이 작아지기 때문에, 굴곡부(35A)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축소되도록 변형된다. 한편,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실린더(30)가 축소되고,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버킷(31) 과 같이 붐(1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덤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각 유압 호스(35)의 이완이 커지기 때문에, 굴곡부(35A)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확장하도록 변형된다. 또, 아암(14)의 좌우측의 측면에 유압 호스(35)를 끼우는 가이드판 등(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한 경우에는, 유압 호스(35)의 굴곡부(35A)가 직경 확장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판에 충돌함으로써, 굴곡부(35A)가 아암(14)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각 유압 호스(35)가 이완을 발생시켰다고 해도, 이 유압 호스(35)의 이완을 굴곡부(35A)가 직경 확장 축소되도록 변형되어 흡수할 수 있어, 유압 호스(35)가 아암(14)의 측방으로 크게 비어져 나와 상기 아암(14)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37, 37은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설치한 블록(23)의 각 압유 배급 포트(23C)에 부착된 스위블 커플링으로, 상기 스위블 커플링(37)은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를, 블록(23)의 각 압유 배급 포트(23C)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27)와 작업구 착탈 장치(16) 사이를 결합하는 제3 연결 핀(29)의 축 중심선을 A-A라 하면, 각 스위블 커플링(37)은 제3 연결 핀(29)의 축 중심선 A-A와 평행한 축선 B-B를 중심으로 하여 블록(23)에 대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스위블 커플링(37) 은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추종하여 블록(23)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블록(23)의 압유 배급 포트(23C)와 각 유압 호스(35) 사이를 접속한다. 이에 의해, 각 유압 호스(35)가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무리하게 굴곡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유압 호스(3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38은 링크 기구(24)를 구성하는 제2 링크(27)와 작업구 착탈 장치(16) 사이를 결합하는 제3 연결 핀(2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 관로 고정 부재로, 상기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는 아암(14)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로 연장되는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는 제3 연결 핀(29)을 이용하여 제2 링크(27)의 각 선단부측 보스부(27B)와는 별개로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한 슬리브(39)와, 나사 시트(40)와, 각 호스 클램프(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39는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의 베이스가 되는 슬리브로, 상기 슬리브(39)는 제2 링크(27)를 구성하는 각 선단부측 보스부(27B)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39)는 제2 링크(27)의 각 선단부측 보스부(27B)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연결 핀(29)의 축 방향의 도중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39)의 외주면에는 후술한 각 호스 클램프(41)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시트(40)가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부호 41, 41은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나사 시트(40)에 부착하는 클램프 부재로서의 호스 클램프로, 상기 호스 클램프(41)는 예를 들어, 장방형의 얇은 판자재를 P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클램프(41)는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볼트(42)를 이용하여 나사 시트(4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암(14)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로 연장되는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는 호스 클램프(41)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서, 제3 연결 핀(29)에 대해 회전 가능해진 슬리브(39)의 나사 시트(4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의 슬리브(39)가 제3 연결 핀(29)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에 고정된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와, 어태치먼트 실린더(20)의 블록(23)에 접속된 각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 사이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가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크게 굴곡되어 작업구 착탈 장치(16) 등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유압 호스(35)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장치(11)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하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를 신축시킴으로써, 고정 갈고리 부재(18)의 반 분할 파이프(18D)를 버킷(31)의 한 쪽의 부착 축(31B)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동 갈고리 부재(19)의 반 분할 파이프(19C)를 버킷(31)의 다른 쪽의 부착 축(31C)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아암(14)의 선단부측에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통해 버킷(31)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구 실린더(30)를 신축시키면, 링크 기구(24)의 제1 링크(25)가 제1 연결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 제1 링크(25)의 회전이 제2 링크(27)를 통해 작업구 착탈 장치(16)에 전해진다. 이에 의해,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연결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고, 작업구 착탈 장치(16)에 부착된 버킷(31)이 붐(12)에 접근하는 클라우드 자세(도2의 자세)와, 붐(12)으로부터 이격하는 덤프 자세(도4의 자세) 사이에서 회전함으로써, 버킷(31)에 의해 토사 등의 굴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아암(14)에 고정하여 설치된 각 유압 배관(3)의 커플링부(34)와, 작업구 착탈 장치(16)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실린더(20)의 블록(23) 사이를 접속하는 각 유압 호스(35)는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는 데 따라서 이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링크(27)의 선단부측과 작업구 착탈 장치(16) 사이를 결합하는 제3 연결 핀(29)에, 상기 제3 연결 핀(29)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된 슬리브(39)와,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슬리브(39)의 나사 시트(40)에 부착되는 호스 클램프(41)로 이루어지는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에 의해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아암(14)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의 슬리브(39)가 제3 연결 핀(29)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에 고정된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와, 어태치먼트 실린더(20)의 블록(23)에 접속된 각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 사이의 거리를 항상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가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크게 굴곡되어 작업구 착탈 장치(16) 등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유압 호스(35)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아암(14)의 상면(14D)에 따라서 연장되는 각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에는, 유압 배관(33)의 커플링부(34)와 아암(14)의 상면(14D)에 설치된 호스 보유 지지 부재(36) 사이에 위치하여, 거의 환형으로 굴곡된 굴곡부(35A)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버킷(31)과 같이 붐(12)에 접근하는 방향(클라우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유압 호스(35)의 이완이 작아졌을 때에는, 각 유압 호스(35)의 굴곡부(35A)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가 버킷(31)과 같이 붐(1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덤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유압 호스(35)의 이완이 커졌을 때에는 유압 호스(35)의 굴곡부(35A)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각 유압 호스(35) 가 이완을 발생시켰다고 해도, 이들 각 유압 호스(35)의 이완을 굴곡부(35A)가 직경 확장 축소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완을 발생시킨 각 유압 호스(35)가 아암(14)의 측방으로 크게 비어져 나와 상기 아암(14)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유압 호스(35)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설치한 블록(23)에는 스위블 커플링(37)이 부착되고, 각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는 스위블 커플링(37)을 통해 블록(23)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위블 커플링(37)는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추종하여 블록(23)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블록(23)의 압유 배급 포트(23C)와 각 유압 호스(35) 사이를 접속하기 때문에, 각 유압 호스(35)의 선단부측이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무리하게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유압 호스(3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14)의 선단부측에 부착되는 유압식 어태치먼트로서, 어태치먼트 실린더(20)를 구비한 작업구 착탈 장치(16)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변형예와 같이 어태치먼트 실린더(51)에 의해 한 쌍의 갈고리 부재(32, 52)가 개폐되는 그래플 장치(53)를 유압식 어태치먼트로서 이용하고, 이 어태치먼트 실린더(51)에 접속되는 유압 호스(35)의 도중 부위를 제3 연결 핀(29)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유압 관로 고정 부재(38)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구 착탈 장치(16)의 어태치먼트 실린더(20)에 배관 접속용의 블록(23)을 부착하고, 이 블록(23)에 설치된 압유 배급 포트(23C)에 스위블 커플링(37)을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아, 예를 들어 블록(23)을 이용하는 일 없이, 어태치먼트 실린더(20)의 보텀측 유실에 개구하는 압유 배급 포트와 로드측 유실에 개구하는 압유 배급 포트와 각각 스위블 커플링(37)을 부착하고, 상기 스위블 커플링(37)에 유압 호스(35)의 선단부 부위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작업구 실린더가 신축되면 이 작업구 실린더의 신축이 링크 기구를 통해 유압식 어태치먼트에 전해지고, 유압식 어태치먼트는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한다. 이 때, 붐을 향해 절곡되어진 유압 배관의 선단부위에 마련된 커플링부와 어태치먼트 실린더의 사이를 접속하는 유압호스의 도중 부위에 커플링부로부터 어태치먼트 실린더를 향해 되접히고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에 따라서 변형되는 만곡된 굴곡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압식 어태치먼트가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함으로써 유압 호스가 이완을 발생시켰다고 해도, 이 유압 호스의 이완을 아암의 상면에서 굴곡하는 것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완을 발생시킨 유압 호스가 아암의 외부로 크게 비어져 나와 위 아암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위 유압 호스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관로의 도중 부위는 제2 링의 선단부측과 유압식 어태치먼트 사이를 결합하는 제3 연결 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 관로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압식 어태치먼트가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유압 관로 고정 부재가 제3 연결 핀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유압 관로 고정 부재에 고정된 유압 관로의 도중 부위와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관로의 선단부 부위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관로가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크게 굴곡되어 유압식 어태치먼트 등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위 유압 관로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유압 관로 고정 부재는 제2 링크의 보스부에 삽통되는 제3 연결 핀에 상기 보스부와는 별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유압식 어태치먼트가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유압 관로 고정 부재가 제3 연결 핀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유압 관로가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크게 굴곡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유압 관로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제3 연결 핀에 슬리브를 회전 가능하게 삽통하고, 이 슬리브에 설치한 나사 시트에 유압 관로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부재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유압 관로의 도중 부위를 제3 연결 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유압 관로의 선단부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스위블 커플링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유압식 어태치먼트가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할 때에, 스위블 커플링이 유압식 어태치먼트에 추종하여 회전함으로써,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유압 관로가 무리하게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유압 관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어태치먼트 실린더에는 유압 관로를 접속하는 블록을 설치하고, 상기 블록에는 제3 연결 핀의 축 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해진 스위블 커플링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유압식 어태치먼트가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할 때에, 스위블 커플링이 제3 연결 핀의 축 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유압 관로가 무리하게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삭제

Claims (7)

  1. 건설 기계의 차체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과, 작업구 또는 그 일부분으로서 상기 아암의 선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식 어태치먼트와, 상기 유압식 어태치먼트와 상기 아암과 접속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해 상기 유압식 어태치먼트를 상기 아암의 선단부측에서 회전시키는 작업구 실린더와, 상기 아암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선단부측이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관로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기단부측이 상기 아암에 제1 연결 핀을 이용하여 핀 결합된 제1 링크와, 기단부측이 상기 제1 링크의 선단부측과 상기 작업구 실린더와 제2 연결 핀을 이용하여 핀 결합되어 선단부측이 제3 연결 핀을 이용하여 상기 유압식 어태치먼트에 핀 결합된 제2 링크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 관로는 상기 아암의 기단부측으로부터 도중 부위까지 상기 아암에 따라서 연장되어 선단부 부위가 상기 붐을 향해 절곡되어진 유압 배관과, 상기 유압 배관의 선단부 부위에 마련된 커플링부와, 상기 아암의 상면에 따라서 연장되어 기단부 부위가 상기 커플링부에 접속되어 선단부 부위가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접속된 유압 호스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유압 호스의 도중 부위에는 상기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를 향해 되접히고 상기 유압식 어태치먼트의 회전에 따라서 변형되는 만곡된 굴곡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 핀에는 상기 유압 관로의 도중 부위를 고정하는 유압 관로 고정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3 연결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이 삽통되는 보스부를 갖고, 상기 유압 관로 고정 부재는 상기 제3 연결 핀을 이용하여 상기 보스부와는 별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관로 고정 부재는 상기 제3 연결 핀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설치된 나사 시트와, 상기 나사 시트에 부착되어 상기 유압 관로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에는 상기 유압 관로의 선단부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스위블 커플링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에는 상기 유압 관로를 접속하는 블록을 설치하고, 상기 블록에는 상기 제3 연결 핀의 축 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유압 관로의 선단부 부위를 접속하는 스위블 커플링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7. 삭제
KR1020040095579A 2003-12-05 2004-11-22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KR100639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7810A JP4213576B2 (ja) 2003-12-05 2003-12-05 建設機械の作業装置
JPJP-P-2003-00407810 2003-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823A KR20050054823A (ko) 2005-06-10
KR100639729B1 true KR100639729B1 (ko) 2006-10-30

Family

ID=3472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579A KR100639729B1 (ko) 2003-12-05 2004-11-22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13576B2 (ko)
KR (1) KR100639729B1 (ko)
CN (1) CN128388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39B1 (ko) 2011-09-20 2013-11-29 상진옥 크라샤용 버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7760B2 (en) * 2008-10-15 2011-11-01 Clark Equipment Company Integral power or electrical conduit coupler
JP4806049B2 (ja) * 2009-03-27 2011-11-02 日立建機株式会社 2部材連結装置
KR101754289B1 (ko) * 2013-05-09 2017-07-19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건설 기계
CN104723277A (zh) * 2015-03-26 2015-06-24 中南林业科技大学 适用于园林机械上的快速接头
JP7183116B2 (ja) * 2019-06-04 2022-12-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316A (ja) * 1999-07-22 2001-02-0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配管構造
JP2002235335A (ja) * 2001-02-09 2002-08-2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アタッチメント連結装置の油圧系統保護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316A (ja) * 1999-07-22 2001-02-0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配管構造
JP2002235335A (ja) * 2001-02-09 2002-08-2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アタッチメント連結装置の油圧系統保護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39B1 (ko) 2011-09-20 2013-11-29 상진옥 크라샤용 버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63495A (ja) 2005-06-23
CN1624254A (zh) 2005-06-08
JP4213576B2 (ja) 2009-01-21
CN1283883C (zh) 2006-11-08
KR20050054823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9033A (en) Augering accessory for backhoe or the like
US5971455A (en) Universal attachment device for tools
US8020799B2 (en) Hydraulic crusher
JPH05248160A (ja) 把持組立体
US6453586B1 (en) Bucket assembly
KR100639729B1 (ko)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US20030014887A1 (en) Winch attachment for backhoe machines
JP2023138884A (ja) 建設機械
JP2004108055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JP3706259B2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装置
JP5789158B2 (ja) 建設機械のシリンダ装置
KR20110021703A (ko) 건설 기계
EP3369866B1 (en) Front loader
JP2001082414A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シリンダーロッドカバー
JP6934459B2 (ja) 建設機械
JP4535092B2 (ja) 建設機械
JP2009133084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フロント装置
JP3602770B2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JP2001329559A (ja) 掘削作業車の作業機配管構造
JP3454725B2 (ja) 掘削作業機および該作業機用のブーム構造体
KR200245906Y1 (ko) 굴삭기
JP2015086540A (ja) 建設機械
JP7374831B2 (ja) 建設機械
JPH07317329A (ja) 油圧作業車両の配管構造
JP3100366B2 (ja) 伸縮アームの油圧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