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26621B1 -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 Google Patents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621B1
KR100626621B1 KR1020050104699A KR20050104699A KR100626621B1 KR 100626621 B1 KR100626621 B1 KR 100626621B1 KR 1020050104699 A KR1020050104699 A KR 1020050104699A KR 20050104699 A KR20050104699 A KR 20050104699A KR 100626621 B1 KR100626621 B1 KR 10062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ell
calibration
load
parallel
low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엔엘 filed Critical (주) 케이엔엘
Priority to KR102005010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6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1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 G01G23/012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with load cells comprising in-build calibration we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65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미콘 등의 유동성 혼합물이나 밀가루 등의 분체(粉體) 또는 타이어용 고무배합물과 같은 재료의 입출과정에서 계량(計量)이 이루어지는 호퍼 스케일의 로드셀 교정(오차)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 부가된 호퍼 스케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는 교정로드셀의 어느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상판과, 교정로드셀의 다른 쪽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하판과, 상기 체결부에 고정하는 교정로드셀이 하중의 인가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어느 일단이 고정된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상판과 하판에 하중을 인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상판의 평면 중심과 하판의 평면 중심에 각각 일단이 고정된 하중생성부 및 상기 하중생성부를 사이에 두고 교정로드셀과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하되 바람직하게는 하중생성부와 교정로드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어느 일단이 고정된 기준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드셀, 호퍼 스케일, 교정, 교정장치, 범용성, 클램프, 정밀도, 병렬설치

Description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 부가된 호퍼 스케일{Parallel Type Load Cell Calibrator and Hopper Scale with the same}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일 실시예의 상판과 하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교정로드셀의 높이가 간격유지부재의 높이보다 낮아 압축하중을 인가하면서 검사하는 경우를 나타낸 모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검사대상 교정로드셀에 인장하중을 가하면서 검사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단이 상판/하판에 고정되면서 다른 쪽 일단에 그립이 형성된 클램프나 파이프 클램프로 교정로드셀의 각 일단을 붙잡은 상태에서 하중을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 모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 스케일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상판 12, 14… 개구
16, 18, 19… 구멍 20… 하판
22, 24… 구멍 26… 개구
30… 기준로드셀 40… 하중생성부
50… 간격유지부재 60… 교정로드셀
70… 비교연산장치 80… 클램프
81… 그립 90… 호퍼
100… 연결부재 W… 천장
본 발명은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 부가된 호퍼 스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등의 유동성 혼합물이나 밀가루 등의 분체(粉體) 또는 타이어용 고무배합물과 같은 재료의 입출과정에서 계량(計量)이 이루어지는 호퍼 스케일(hopper scale)의 로드셀 교정(오차)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게(또는 하중) 측정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로드셀(load cell)이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재료 배출과 재료 보충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호퍼 스케일에서는 다점지지 방식으로 다수의 로드셀이 배치되어 하중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호퍼 스케일에서는 가감되는 재료의 무게가 상기 로드셀에서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검출되어 PC 등의 관리시스템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시스템에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한 해석이 수행되어 그 결과에 따라 재료의 입출에 관여하는 각 부가 상기 관리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기계요소가 그러하듯이 상기 로드셀도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측정 오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해진 시기에 로드셀의 정확도를 검사하여 오차를 보정해 주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로드셀의 교정과 관련된 종래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기술 1
분동(分銅)을 이용한 로드셀의 교정방법이 공용·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레미콘 생산공장의 호퍼 스케일 용량이 4ton이라 할 때 20㎏ 짜리 분동 200개를 호퍼에 직접 투입·적재하고, 그때 검출된 로드셀의 검출값으로부터 오차(교정값)를 산출하여 상기 로드셀을 교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 방법에 따르면 호퍼 스케일의 규격 및 사양 등이 사용처마다 다르기 때문에 교정작업을 자동화하기 어렵고, 분동의 적재작업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며, 로드셀의 교정에 긴 시간이 걸리면서도 정확한 교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 2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62-237326호에 개시된 “호퍼 스케일 검사장치”에 따르면, 모터로 구동되는 잭과 로드셀로 이루어진 인장장치를 호퍼의 네 귀퉁이에 각기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 등이 설정한 인가 하중에 대응되도록 상기 모터를 구 동하여 잭을 상승시킨 후 그때 검출된 로드셀의 검출값을 연산표시장치에서 입력받아 상기 작업자 등에 의해 설정된 인가 하중과 로드셀의 검출값을 비교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회전수의 제어가 극히 어려운 모터를 대상으로 인가 하중에 대응되는 회전수만큼 상기 모터가 회전되도록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연산표시장치에 인가 하중의 크기가 수치로서 표시되어 있어도 그러한 명령을 받아서 작동하는 인장장치에서 상기 하중이 정확히 생성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모터 제어를 얼마나 정밀하게 하느냐에 따라 로드셀 교정작업의 신뢰도가 달라져 버리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종래기술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1376호(명칭: 호퍼 스케일 교정방법 및 그 장치, 특허권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는 힘발생부-힘변환부-로드셀(검사대상)-기준힘감지부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힘발생부를 통해 하중을 인가하고, 그때 검출된 검사대상 로드셀의 검출값과 상기 기준힘감지부에서 검출된 검출값의 비교를 통해 로드셀을 교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따르면 검사대상 호퍼 스케일의 호퍼에 힘발생부-힘변환부-기준힘감지부가 일렬로 연결된 호퍼 연결부를 설치해야 때문에 긴 설치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고, 항상 호퍼 스케일을 통해 로드셀(검사대상)에 하중이 가해지므로 호퍼 스케일이 설치된 현장에서만 검사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로드셀의 교정작업을 신속하게 완수할 수 있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와 상기 교정장치가 영구적으로 설치되거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설치된 호퍼 스케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로 검사대상 로드셀(교정로드셀)과 기준로드셀에 일정한 하중(시험 하중)을 동시에 인가한 다음 이들 로드셀에서 검출된 검출값의 비교를 통해 교정로드셀의 교정값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교정로드셀의 교정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교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교정을 위해 현장에서 수거해 왔거나 현장으로 나가 직접 검사를 하게 된 로드셀(이후부터는 “ 교정로드셀 ”이라 함)에 대하여, 상기 교정로드셀보다 계측정밀도가 높은 기준로드셀이 병렬관계에 있도록 상기 교정로드셀 옆에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교정로드셀의 교정값을 신속히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대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기준로드셀의 검출값을 기준으로 교정로드셀의 오차 보정에 요구되는 교정값을 산출하고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한 오류가 배제될 수 있도록 하중 인가를 동시에 함으로써 교정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신속하게 수집되도록 한 것에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교정로드셀의 어느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상판 과, 교정로드셀의 다른 쪽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하판 과, 상기 체결부에 고정하는 교정로드셀이 하중의 인가방향에 나란히 놓이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판과 하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어느 일단이 고정된 간격유지부재 와, 상기 상판과 하판에 압축하중이나 인장하중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일단이 고정된 하중생성부 와, 상기 하중생성부를 사이에 두고 교정로드셀과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어느 일단이 고정된 기준로드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중생성부의 각 일단이 상판과 하판의 평면 중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기준로드셀이 하중생성부와 교정로드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교정로드셀과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A) 상기 구성요소 중 상판과 하판은 그 크기나 형상에 있어서 크게 제약을 받는 일은 없지만, 취급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서로 비슷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크기와 모양이 서로 엇비슷한 2개의 원판이나 사각형 판을 상판과 하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에는 교정로드셀, 기준로드셀, 하중생성부 등의 각종 요소가 설치될 것이므로, 모든 요소들의 배치가 완료 후의 균형유지를 위해 좌우대칭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교정로드셀의 고정에 사용되는 체결부가 구멍이나 개구(opening) 형태이면 상기 기준로드셀이 설치되는 지점에도 구멍이나 개구 형태의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4, 5, 6 참조)
또한, 고리부분을 가진 아이볼트나 아일릿(eyelet), 훅 등의 연결요소를 용접이나 볼트-너트를 이용한 기계적 접합으로 상기 상판/하판에 필요한 수만큼 설치할 경우 동 연결요소와 체결 가능한 기계요소의 사용을 통하여 호퍼 스케일 등의 계량수단과 동 계량수단이 설치된 건물의 천장 사이에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를 매달아 놓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과 하판의 형태에 따라 ① 예컨대 기준로드셀/교정로드셀/하중생성부/간격유지부재가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더 이상 아무것도 설치할 수 없는 형태가 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로드셀을 수거하여 교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고, ② 계량수단 등과 연결되는 요소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로드셀의 교정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다.
B)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하중생성부의 작동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판과 하판을 통해 그 하중을 기준로드셀과 교정로드셀에 동시 작용하는 요소이며, 길이의 변화가 없는 강체이거나 청구항 3에 기재된 유압실린더기구와 같이 길이가 변화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용접이나 볼트-너트에 의해 상판과 하판에 접합·고정 될 수 있으며, 결합 후의 구조 안정을 위해 적어도 3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강체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교정로드셀이 설치된 물체에 로드 등을 덧대어 길이를 연장하거나 물체의 일단을 잘라내어 단축하거나 상기 체결부에의 고정을 위한 나사가공과 같은 부가적 가공이 요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가변형 구조인 경우에는 교정로드셀이 설치된 물체의 길이에 따라 신축될 수 있으므로 부가적 가공의 일부 공정 또는 전 공정이 생략 가능하다.
C) 상기 하중생성부는 각 일단이 상판과 하판에 고정된 구성요소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유압실린더기구나 종래기술 2에 언급된 잭 또는 그 밖의 공지·공용된 승강수단-예컨대, 볼 스크루나 리드 스크루를 가지는 이송기구-등이 모두 채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하중생성부와 상기 간격유지부재 모두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기구인 경우에는 하나의 유압공급라인으로부터 필요한 유압을 각각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매우 용이한 일이다.
D) 상기 기준로드셀은 교정하려는 로드셀보다 계측정밀도가 높은 로드셀로서 바람직하게는 국제협약에 의해 정의된 국제표준기(IS)급의 스탠더드(Std.)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현실을 감안할 때 국가표준기(PS)급의 레퍼런스(Ref.)나 산업계 기준표준기(SS)급에 해당하는 프레시져(Prec.)를 사용해도 된다. 참고로, 계측기 는 측정정밀도에 따라 Std.-Ref.-Prec.-Normal의 4등급으로 분류되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는 바는 주로 Normal급의 현장 표준기(Working Standards)에 대한 교정문제이다.
상기 기준로드셀은 상판과 하판에 영구히 고정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청구항 4에서 청구되는 것처럼 필요에 따라 교체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교정로드셀의 등급에 따라 상기 기준로드셀의 등급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외에도 청구항 8에 기재된 호퍼 스케일을 제안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구조의 호퍼와 동 호퍼에 장입된 내용물의 총량을 검출하는 로드셀로 구성된 호퍼 스케일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보다 계측정밀도가 높은 기준로드셀이 상기 로드셀에 대해 병렬관계에 있도록 청구항 1 내지 6에 기재된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체결부에 상기 로드셀이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는 호퍼 스케일이 설치된 장소의 천장에 일면이 접촉하는 대면(對面)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아이볼트 등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될 수 있다. (청구항 9)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교정로드셀보다 계측정밀도가 높은 기준로드셀이 장착된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 상기 교정로드셀을 병렬로 설치한 상태에서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인가단계와, b) 상기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비교연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준로드셀 및 교정로드셀로부터 상기 하중에 비례하는 검출값을 전송받는 검출값전송단계 및 c) 상기 검출값전송단계에서 전송받은 각각의 검출값을 비교연산장치에서 계산하여 상기 교정로드셀의 교정값을 산출하는 교정값산출단계로 이루어진 로드셀 교정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동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첨부된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일 예의 상판과 하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a에서, 상판(10)의 네 귀퉁이와 중앙에 각각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간격유지부재와 하중생성부의 일단이 용접되는 지점을 나타내며, 좌·우측 부분의 개구(12, 14)에 추후 기준로드셀과 교정로드셀의 일단이 끼워진다. 상기 개구에 끼워진 일단은 하중생성부의 작동 시 상기 상판에 하중이 전달될 수 있도록 나중에 클램프에 의해 상판(10)과 고정된다.
도 1b는 하판(2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앙의 점선은 하중생성부의 일단이 용접되는 지점을 나타내고, 네 귀퉁이와 하판의 좌측 영역에 천공된 구멍(22, 24)은 각각 기준로드셀의 일단 또는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이 관통하여 너트 등 으로 고정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우측의 개구(26)에 추후 교정로드셀의 일단이 끼워져 클램프로 고정된다.
도 1c는 또 다른 예의 상판(10)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우측 영역의 개구(14)에 인접하여 다수의 구멍(19)이 천공되어 있고, 중앙에 점선으로 표시된 하중생성부의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게 동일한 거리를 두고 연결부재(100)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기준로드셀의 일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판의 좌측 영역에 구멍(16)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구멍(19)은 다수 행×다수 열의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거나 아예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면서 상판에서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8은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구멍을 나타낸다.
한편, 상술한 구성의 상판과 하판은 똑같은 형태의 것이 2개 1조로 채택되거나 각기 다른 형태의 것이 2개 1조로 채택되어 사용 가능하며, 각자가 가진 특징들을 서로 채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교정로드셀(60)의 높이가 간격유지부재(50)의 높이보다 낮아 상판(10)에 얹어 놓을 수 있는 경우 교정로드셀(60)의 상면을 클램프(80)로 고정한 상태에서 하중생성부(40)를 작동하여 압축하중을 인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동 구성에서, 교정로드셀의 상면에 접촉되는 클램프(80)는 생크(shank) 부분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어 상기 생크 부분에 체결된 너트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다 양한 높이의 교정로드셀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원론적으로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교정로드셀에는 어떤 하중도 작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일은 거의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하중생성부(40)가 작동되지 않은 무부하 상태에서 검출된 상기 교정로드셀의 검출값을 영점으로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영점 조정은 후술하는 비교연산장치에 표시되는 교정로드셀의 검출값을 리셋하거나 O으로 설정해 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좌측 영역에 설치된 기준로드셀(30)은 상·하단에서 연장된 생크 부분이 상판과 하판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하여 끝부분이 약간씩 노출되어 있는데, 이 끝부분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어 너트와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은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검사대상 교정로드셀의 상·하단에 생크가 연장되어 이를 그립(81)으로 붙잡을 수 있는 경우 상기 그립을 통해 교정로드셀에 인장하중을 가하면서 검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그 외 구성요소는 도 2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교정로드셀(60)의 고정에 사용되는 클램프(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트-나사 구조에 의해 승강할 수도 있지만, 생크 부분에 랙 기어치를 형성하고 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치합하는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승강할 수도 있고 상기 생크 부분에 유압실린더기구를 연결함으로써 동일 결과가 도 출되게 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단이 상판/하판에 고정되면서 다른 쪽 일단에 그립이 형성된 클램프나 파이프 클램프와 같은 각종 클램프(80)를 사용하여 교정로드셀(60)의 각 일단을 붙잡은 후 상기 하중생성부의 작동을 통해 하중이 인가되는 상태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교정로드셀에 인가하중 또는 압축하중을 전달할 수 있고 교정로드셀을 장착한 물체의 길이가 간격유지부재의 길이(높이)보다 긴 경우에도 검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로는 교정로드셀에 하중을 전달하면서 상판이나 하판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와 형상에 제한이 없으므로, 교정로드셀의 양단 형태와 상판/하판에 형성된 개구의 형태에 따라 당업자가 적당한 형태로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 스케일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듯이, 교정로드셀이 구비된 로드에 의해 호퍼(90)가 천장(W)에 매달려 있으며 상기 교정로드셀의 상·하로 연장된 로드의 일부분이 클램프(80)를 통하여 상판 또는 상판/하판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있다. 또한, 하중 인가에 따른 검출값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로드셀(30)과 교정로드셀(60)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가 전선을 통해 비교연산장치(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비교연산장치(70)로는 PC 또는 상기 PC를 이용한 전용장치 또는 마이크 로프로세서로 구현한 전용장치 등이 사용 가능하며, 무부하 상태에서 검출된 상기 기준로드셀의 검출값과 교정로드셀의 검출값을 영점으로 조정한 후 하중생성부의 작동을 통해 하중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의의 하중을 가하면 상기 기준로드셀과 교정로드셀로부터 상기 비교연산장치(70)에 검출값이 동시에 전송되고, 상기 비교연산장치에서는 이들 검출값을 계산하여 교정로드셀의 교정값을 산출함으로써 손쉽게 교정작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 의하면 신속한 검사작업에 의해 교정값이 산출됨으로 검사할 때의 주변 조건이 기준로드셀과 교정로드셀에 동시에 적용되어 외부 요인에 의한 오류가 상쇄되고 결과적으로는 매우 정확한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판체와 기준로드셀 및 유압실린더기구 등을 사용하여 소형·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기존의 호퍼 스케일 등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검사하려는 교정로드셀의 계측정밀도에 따라 그보다 한 단계 위의 기준로드셀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검사작업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9)

  1. 교정로드셀의 어느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상판;
    상기 교정로드셀의 다른 쪽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하판;
    상기 체결부에 고정하는 교정로드셀이 하중의 인가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어느 일단이 고정된 간격유지부재;
    상기 상판과 하판에 하중(인장하중 또는 압축하중)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일단이 고정된 하중생성부;
    상기 하중생성부를 사이에 두고 교정로드셀과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어느 일단이 고정된 기준로드셀; 을 포함하여 구성된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생성부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유압실린더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유압실린더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로드셀은 상기 상판과 하판에 대해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체결부는 상기 교정로드셀의 일단이 관통가능한 구멍으로서 상기 교정로드셀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 체결에 의해 교정로드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체결부는 교정로드셀의 일단이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되는 개구(opening)로서 상기 교정로드셀의 일단이 클램프에 의해 상판 또는 하판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7. 교정로드셀보다 계측정밀도가 높은 기준로드셀이 장착된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에 상기 교정로드셀을 병렬로 설치한 상태에서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인가단계;
    상기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비교연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준로드셀 및 교정로드셀로부터 상기 하중에 비례하는 검출값을 전송받는 검출값전송단계;
    상기 검출값전송단계에서 전송받은 각각의 검출값을 상기 비교연산장치에서 계산하여 상기 교정로드셀의 교정값을 산출하는 교정값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를 이용한 로드셀 교정방법.
  8. 호퍼와 상기 호퍼에 장입된 내용물의 총량이 압축하중 또는 인장하중의 형태로 검출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된 호퍼 스케일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보다 계측정밀도가 높은 기준로드셀이 상기 로드셀에 대해 병렬관계에 있도록, 상기 기준로드셀이 장착된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체결부에 상기 로드셀을 병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가 부설된 호퍼 스케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스케일이 설치된 장소의 천장과 상기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의 일면이 대면(對面)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가 부설된 호퍼 스케일.
KR1020050104699A 2005-11-03 2005-11-03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Expired - Fee Related KR10062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699A KR100626621B1 (ko) 2005-11-03 2005-11-03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699A KR100626621B1 (ko) 2005-11-03 2005-11-03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621B1 true KR100626621B1 (ko) 2006-09-25

Family

ID=3762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6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6621B1 (ko) 2005-11-03 2005-11-03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6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67B1 (ko) 2012-04-25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로드셀 검사장치
KR101344831B1 (ko) * 2013-06-24 2013-12-26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이동이 간편한 현장용 축하중 검출판의 무게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방법
KR101835728B1 (ko)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로보터스 6축 센서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365115B1 (ko) 2020-08-12 2022-02-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양한 형태의 로드셀을 위한 다축 교정장치
CN117723138A (zh) * 2023-11-20 2024-03-19 江苏康乾环境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厨余收集系统可实时检测的称重装置
CN118067229A (zh) * 2024-04-24 2024-05-24 上海电子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称重计量器及其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67B1 (ko) 2012-04-25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로드셀 검사장치
KR101344831B1 (ko) * 2013-06-24 2013-12-26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이동이 간편한 현장용 축하중 검출판의 무게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방법
KR101835728B1 (ko)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로보터스 6축 센서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365115B1 (ko) 2020-08-12 2022-02-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양한 형태의 로드셀을 위한 다축 교정장치
CN117723138A (zh) * 2023-11-20 2024-03-19 江苏康乾环境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厨余收集系统可实时检测的称重装置
CN118067229A (zh) * 2024-04-24 2024-05-24 上海电子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称重计量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9652B (zh) 一种测试螺栓预紧力的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2000362A1 (zh) 检定大型衡器的系统及其自定位加卸载载荷测量装置
CN108036894B (zh) 多用扭矩检测校准装置
CN106289622A (zh) 一种测量高强螺栓连接副扭矩系数的装置及方法
CN206787816U (zh) 道路栏杆水平推力加载试验装置
CN201765050U (zh) 检定大型衡器的系统及其自定位加卸载载荷测量装置
CN108896422B (zh) 一种反复荷载下筋材与混凝土粘结性能试验装置及方法
CN103712738A (zh) 一种石英晶片或晶组灵敏度标定装置
KR100626621B1 (ko) 병렬식 로드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과 상기 교정장치가부가된 호퍼 스케일
CN207850594U (zh) 钢弦式锚杆测力计检定装置
CN116046593A (zh) 一种汽车轮毂轴承单元旋转弯曲疲劳试验机校准装置及校准方法
CN204514533U (zh) 一种力值传感器校准装置
CN218955989U (zh) 一种应变片可靠性测试的装置
CN209992063U (zh) 一种集料计量皮带秤标定装置
RU2527129C1 (ru) Измеритель осевых сил в канатно-пучковой арматуре
CN203443659U (zh) 一种带水平检测及调整装置的料仓秤
CN110108344A (zh) 一种集料计量皮带秤标定装置及方法
KR200418473Y1 (ko) 수직 이중평행판식 구조의 토크센서를 구비한 디지털토크렌치 및 이를 이용한 토크측정 데이타처리자동화시스템
RU14500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опорных реакций
RU153096U1 (ru) Установка силовоспроизводящая
CN217466088U (zh) 力学计量检定校准试验台
CN219891010U (zh) 一种拉伸试验机校准辅助工具
CN216050256U (zh) 一种上置测力仪形式的料斗秤免码放校验装置
CN102393243B (zh) 检定大型衡器的自定位加卸载载荷测量装置
KR100205998B1 (ko) 볼트 축하중 측정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