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414B1 - Mask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ask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5414B1 KR100625414B1 KR1020050122235A KR20050122235A KR100625414B1 KR 100625414 B1 KR100625414 B1 KR 100625414B1 KR 1020050122235 A KR1020050122235 A KR 1020050122235A KR 20050122235 A KR20050122235 A KR 20050122235A KR 100625414 B1 KR100625414 B1 KR 100625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otective respirator
- holder
- vo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가 유해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호 호흡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진동판, 산소 공급부 및 연결 끈을 포함하는 방호 호흡기는 음성 진동판 전면에 장착되어 착용자와 제 3 자간의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기능 키; 음성 진동판과 대응하는 배면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소정 위치에 구성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는 홀더에 의하여 음성 진동판 전면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 수용부의 후면 부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음성 진동판과 대응하는 절개부가 구성된 지지편; 및 지지편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방호 호흡기의 고정 끈에 각각 체결되는 클립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rotective respirator configured to enable an operator to easily communicate while the body is not exposed to a hazardous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respirator comprising a voice diaphragm, an oxygen supply and a connection string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oice diaphragm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wearer and a third party.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 input unit configured at a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diaphragm to input a wearer's voice;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output a sound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voice diaphragm by a holder, the receiv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support pie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rear member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cutou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diaphragm; And clip portion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iece and fastened to the fixing straps of the protective respirator, respectively.
방호 호흡기, 무선 통신 단말기. Protective respirat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호흡기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state wearing a protective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호 호흡기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to the protective respirator shown in FIG.
도 3은 무선 통신 단말기를 방호 호흡기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moun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a protective respirator;
도 4는 홀더에 무선 통신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a holder;
도 5는 방호 호흡기의 정면도로서, 방호 호흡기의 전면에 형성된 음성 진동판, 홀더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기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protective respirator, in which the voice diaphragm, the holde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respirator are separated;
도 6은 또다른 구성을 갖는 홀더의 정면도. 6 is a front view of a holder having another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방호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단말기가 장착되어 제 3 자와의 통신이 가능한 방호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respi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respirator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third party.
예를 들어, 제철 공장, 원자력 발전소 및 방사선 관리 구역과 같은 오염 물질이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의 작업자들은 유해 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호 호흡기를 착용하고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For example, workers in contaminated environments, such as steel mills, nuclear power plants and radiation management zones, wear protective respirators and work to protect the body from harmful substances.
이러한 유해 환경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자들 간 또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하여 유선 전화 및 방송 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유선 전화가 가설된 장소로 이동하는 등,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비상시 신속한 상황 전파 및 조치를 기대하기 어렵다.In such hazardous environment workplaces, wired telephone and broadcasting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workers or the outside. However,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worker takes excessive time such as moving to a place where a landline is installed,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rapid situation propagation and action in an emergenc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 개개인이 작업장에서도 무선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들 간 그리고 외부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무선 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착용하고 있는 방호 호흡기를 벗어야만 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코와 입 등, 신체의 일부가 유해한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ach worker is carry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workplace. However, in order to use a cordless phone for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workers and the outside of the work site, the worker must remove the protective respirator that he or she is wearing. There is no direct exposure.
이와 같은 유해 작업장 내에서의 통신 불편으로 인하여 작업의 능률이 저하될 뿐 아니라 비상 상황 시 작업장 내부의 상황을 외부로 빠른 시간 내에 전달할 수 없어 비상 상황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기대하기 어렵다. Due to the inconvenience of communication in such harmful workplaces, not only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but also it is difficult to prompt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because the situation inside the workplace cannot be delivered to the outside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유해 환경의 작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통신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장착되어 있어 신체가 유해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호 호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difficulties occurring in the workplace of a hazardous environment,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rotective device configured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communicate in a state where the body is not exposed to the hazardous environ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spiratory system.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진동판, 산소 공급부 및 연결 끈을 포함하는 방호 호흡기는 음성 진동판 전면에 장착되어 착용자와 제 3 자 간의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기능 키; 음성 진동판과 대응하는 배면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소정 위치에 구성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protective respirator including a voice diaphragm, an oxygen supply unit and a connection string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front face of the voice diaphragm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wearer and a third party.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 input unit configured at a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diaphragm to input a wearer's voice;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output a sound signal.
본 발명에 사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는 홀더에 의하여 음성 진동판 전면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 수용부의 후면 부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음성 진동판과 대응하는 절개부가 구성된 지지편; 및 지지편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방호 호흡기의 고정 끈에 각각 체결되는 클립부를 포함한다.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voice diaphragm by a holder, the receiv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support pie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rear member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cutou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diaphragm; And clip portion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iece and fastened to the fixing straps of the protective respirator,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다이얼링 키 패드 및 음성 입력부(마이크부)를 구비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dialing keypad and a voice input unit (microphone unit) including an interface device.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호흡기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로서, 유해한 환경의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방호 호흡기의 전체적인 구조 및 기능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1 is a front view of a state wearing a protective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ve respirator worn by the worker in the workplace of the hazardous environment is a general matter,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서, 방호 호흡기(10)의 전면에는 착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 진동판(11)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외부로부터 착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12)가 위치한다. 방호 호흡기(10)의 양측에는 방호 호흡기(10)를 고정 끈(13)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고리(14)가 고정되어 있다. In Figure 1, the front of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호 호흡기(10)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무선 통신 단말기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호흡기(10)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20)는 별도의 다이얼링 키 패드(dialing key pad)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본 발명에 사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양 측부에 다수의 키(21A, 21B),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면에는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22)가 구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사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측부에 설치된 키(21A, 21B; 도 2에는 2개의 키만이 도시됨)는 전원 on/off 키, 메뉴 키, 전화 번호 검색용 업/다운 키 등이다. 메뉴 키를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메모리에 다수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전화 번호를 전화 번호 검색용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검색, 선택할 수 있다. Keys 21A and 21B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또한, 무선 통신 단말기(20)는 전화 번호를 음성으로 저장하거나, 단축 다이얼 형태로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외에도, 전화 번호 검색에 의하여 선택된 전화 번호를 음향 신호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 역시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각 기능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또한, 통신 단말기(20)의 측부에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능 키(21A, 21B)들을 구성할 수 있지만, 작업자들이 방호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키(21A, 21B)를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위하여 키와 키 사이에 충분한 공간 을 유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상부에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부(23)가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부에는 이어폰을 끼울 수 있는 또다른 신호 출력부(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되어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사시도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착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마이크부)가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2, which is a perspective view, an input unit (microphone unit) for inputting a wearer's voice signal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도 1에 도시된 방호 호흡기(10)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mounting the
홀더(30)는 무선 통신 단말기(1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부가 밀폐된 일정한 공간 형상의 수용부(31) 및 수용부(31)의 후면 부재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편(32)으로 구성된다. 지지편(32)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The
홀더(30)의 수용부(31)는 그 깊이가 제한된다. 즉, 작업자가 각 키(21A, 21B)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20)가 홀더(30)의 수용부(31)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양측부에 구성된 모든 키(21A, 21B)가 수용부(31) 밖으로 노출되어야만 한다. The
도 4는 홀더에 무선 통신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홀더(30)의 수용부(31) 내에 무선 통신 단말기(20)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양측부에 구성된 모든 키(21A, 21B)가 수용부(31)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a holder,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홀더(30)의 양 후면, 즉 지지편(32)의 양 측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방호 호흡기(20)의 고정 끈(13)에 체결되는 클립부(34)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클립부(34)는 홀더(30)를 방호 호흡기(10)의 고정 끈(13)에 연결하기 부재로서, 집게, 연결 고리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홀더(30)를 이용하여 방호 호흡기(10)에 장착하는 과정을 각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ttaching 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호 호흡기의 부분 정면도로서, 방호 호흡기(10)의 전면에 형성된 음성 진동판(11), 착용자의 두부(頭部)에 방호 호흡기(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끈(13)과 함께 방호 호흡기(10)에 홀더(30)와 무선 통신 단말기(10)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5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protective respirator shown in FIG. 1, a
먼저, 홀더(30)를 방호 호흡기(10)의 음성 진동판(11) 전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홀더(30)의 후면 지지판(32)과 방호 호흡기(10)의 음성 진동판(11)은 서로 대응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홀더(30)의 지지판(32)에 형성된 절개부(33)를 통하여 음성 진동판(11)은 외부로 노출된다.First, the
이 상태에서, 고정 끈(13)의 양단부를 홀더(30)의 양측에 구성된 클립(34)에 끼운 상태에서 방호 호흡기(10)의 양측에 설치된 연결 고리(14)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홀더(30)는 방호 호흡기(10)의 전면에 고정된다. 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호흡기(10)의 산소 공급부(12)는 전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방호 호흡기(10)의 음성 진동판(11) 전면에 위치하는 홀더(30)의 하단은 산소 공급부(12)에 의하여 형성된 턱 위에 위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이, 홀더(30)는 그 하단이 방호 호흡기(10)의 산소 공급부(13)에 의하여 형성된 턱에 지지되고 양측부는 클립(34)을 통하여 고정 끈(13)에 각각 지지됨으로서 홀더(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홀더(30)는 측방향으로 그리고 아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다. Thus, the
이와 같이, 방호 호흡기(10)의 전면에 홀더(30)를 부착한 상태에서 홀더(30)의 수용부(31)에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수용시키며, 이로써 방호 호흡기(10)에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장착하는 과정이 종료된다.As such, the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도 1에 도시된 방호 호흡기(10)에 장착하기 위하여 또다른 구조를 갖는 홀더의 정면도이다. FIG. 6 is a front view of a holder having another structure for mounting the
본 홀더(30-1)는 무선 통신 단말기(20; 점선으로 도시함)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부가 밀폐된 일정한 공간 형상의 수용부(31-1) 및 수용부(31-1)의 후면 부재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편(32-1)으로 구성된다. 지지편(32-1)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절개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The holder 30-1 is provided with a fixed space-shaped accommodating portion 31-1 and a accommodating portion 31-1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30-1 is capable of accommodating a lower por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shown by a dotted line). And a support piece 32-1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rear member. The predetermined part 33-1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piece 32-1.
도 6에 도시된 홀더(30-1)의 수용부(31-1) 역시 그 깊이가 제한된다. 즉, 작업자가 각 키(21A, 21B)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20)가 홀더(30-1)의 수용부(31-1)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양측부에 구성된 모든 키(21A, 21B)가 수용부(311-) 밖으로 노출되어야만 한다. The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31-1 of the holder 30-1 shown in FIG. 6 is also limited. That is, in order for the operator to operate the
도 4에 도시된 홀더(30)와 비교하여, 도 6에 도시된 홀더(30-1)의 가장 큰 특징은 지지편(32-1)의 상부 양측부에 소정 길이의 연장편(34-1, 3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Compared with the
홀더(30-1)를 방호 호흡기(10)에 고정하기 위하여, 홀더(30-1)의 지지편(32-1)을 방호 호흡기(10)의 진동판(도 1의 11)에 위치시키며, 이 때, 각 연장편(34-1, 34-2)을 방호 호흡기(10) 전면과 고정 끈 연결 고리 사이에 삽입시킨다. In order to fix the holder 30-1 to the
이와 함께, 홀더(30-1)는 그 하단이 방호 호흡기(10)의 산소 공급부(13)에 의하여 형성된 턱에 지지되며, 따라서, 홀더(30-1)는 방호 호흡기(10) 전면에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holder 30-1 is supported at its lower end by the jaw formed by the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홀더(30 또는 30-1)를 방호 호흡기(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홀더(30 또는 30-1)의 후면 지지편(32 또는 32-1)에 형성된 절개부(33또는 33-1)와 방호 호흡기(10)의 음성 진동판(11)이 대응되며, 따라서 홀더(30 또는 30-1)의 수용부(31 또는 31-1)에 수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20) 배면의 음성 입력부(마이크부)는 방호 호흡기(10)의 음성 진동판(11)과 직접적으로 대응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한편, 무선 통신 단말기(20)가 장착된 방호 호흡기(10)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의 해당 포트에 이어폰의 잭을 삽입하고 귀에 음성 출력단을 끼움으로써 통신 준비가 종료된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operator wearing the
이와 같이 방호 호흡기(10)에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사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us, the process of using the
먼저, 무선 통신 단말기(20)가 장착된 방호 호흡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홀더(30)의 수용부(31) 외부로 노출된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키(20A, 20B)를 조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한다. First, in order to use the
검색된 전화 번호에 대한 정보가 음향 신호로 표시되며, 작업자는 이어폰을 통하여 그 전화 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취한다. 작업자가 발신 키를 누름으로써 선택된 전화 번호의 단말기와 연결된다.Information about the retrieved telephone number is displayed as an acoustic signal, and the operator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earphone. The operator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by pressing the calling key.
통화 과정에서, 방호 호흡기(10)를 착용한 상태의 작업자의 음성(음성 신호)은 방호 호흡기(10)의 음성 진동판(11) 및 홀더(30)의 지지판(32)에 형성된 절개구(33)를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배면에 구성된 마이크부로 입력된다. In the call process, the voice (voice signal) of the worker wearing the
또한, 작업자는 신호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된 음성 신호(상대방의 통화 음성)를 이어폰을 통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listen to the voice signal (communication voice of the other party) output through the signal output unit through the earphone, and thus can listen to the voic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 외에도, 무선 통신 단말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예를 들어 5초 이상 누르는 경우, 단말기는 설정된 수신처(예를 들어, 통제실의 통신 장치)에 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작업장에서의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이러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작업장 내의 위급 상황을 통제실에 전파함으로써 위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presses any one key among a plurality of keys constitu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or more, the terminal sends the signal to a set destination (for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in a control room). Can be pass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the workplace, prompt response to the emergency can be achieved by spreading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workplace to the control room by such a simple operation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20)에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키 패드부가 구성되지 않는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다이얼링 키 패드부가 구성된 별도의 장치(물론, 음성 입력부가 구성되어 있는 장치임)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무선 통신 단말기(20)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mounting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호흡기는, 유해 환경 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방호 호흡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면에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을 위하여 방호 호흡기를 벗어야 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신체가 노출(예를 들어, 방사선 피폭)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two-way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front while a worker working in a hazardous environment wears a protective respirato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o be taken off and thereby causing the worker's body to be exposed (eg, radiation exposure).
또한, 이러한 구조의 방호 호흡기를 사용함으로써 비상 상황시 작업장의 상황을 신속하게 외부로 전파할 수 있으며, 간단한 방법으로 동일 공간의 다른 작업자들과 명확하게 의사를 교환할 수 있어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protective respirator of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spread the situation in the workplac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o communicate clearly with other workers in the same space in a simple wa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You can expect the effect.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과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within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rather than limitin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that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contained herein.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2235A KR100625414B1 (en) | 2005-12-13 | 2005-12-13 | Mask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2235A KR100625414B1 (en) | 2005-12-13 | 2005-12-13 | Mask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25414B1 true KR100625414B1 (en) | 2006-09-15 |
Family
ID=3763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2235A KR100625414B1 (en) | 2005-12-13 | 2005-12-13 | Mask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541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7316B1 (en) * | 2017-02-06 | 2018-12-10 |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 Detachable earphones for gas mask |
US11689933B2 (en) | 2021-04-26 | 2023-06-2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Face mask communication system with an embeddable micropho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5993A (en) * | 1986-11-11 | 1988-07-21 | 알란 디. 맥드날드 | Partially conductive cathode for electrolytic processing |
KR20000021481U (en) * | 1999-05-28 | 2000-12-26 | 문지권 | Mask which cellular phone is attachable |
KR200290420Y1 (en) | 2002-06-07 | 2002-09-27 | 함순복 | Gas mask mounted with mic and speaker phone |
US20020166557A1 (en) | 2001-05-09 | 2002-11-14 | David Cooper | Mask with a built-in microphone |
-
2005
- 2005-12-13 KR KR1020050122235A patent/KR1006254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5993A (en) * | 1986-11-11 | 1988-07-21 | 알란 디. 맥드날드 | Partially conductive cathode for electrolytic processing |
KR20000021481U (en) * | 1999-05-28 | 2000-12-26 | 문지권 | Mask which cellular phone is attachable |
US20020166557A1 (en) | 2001-05-09 | 2002-11-14 | David Cooper | Mask with a built-in microphone |
KR200290420Y1 (en) | 2002-06-07 | 2002-09-27 | 함순복 | Gas mask mounted with mic and speaker phon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019880005993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7316B1 (en) * | 2017-02-06 | 2018-12-10 |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 Detachable earphones for gas mask |
US11689933B2 (en) | 2021-04-26 | 2023-06-2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Face mask communication system with an embeddable micro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4780078A1 (en) | COMBINATION OF MOBILE PHONE AND REMOTE CONTROL TERMINAL | |
WO2006072968A1 (en) | Wristwatch with earphone function | |
SE0101276L (en) | Earmuff with speakers | |
JP4231525B2 (en) | Communication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 |
US20150312664A1 (en) | Communication System in Respiratory Protection Masks | |
US20050201548A1 (en) | Telephone interface for mask | |
KR100625414B1 (en) | Mask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00012009A (en) | Necklace style bluetooth earphone | |
KR102168692B1 (en) | Safety helmet with intergrat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 |
JP2002344590A (en) | Wrist holder for cellular phone | |
US20210264762A1 (en) | Improved Arboriculture Safety System | |
KR200290420Y1 (en) | Gas mask mounted with mic and speaker phone | |
JP2007150393A (en) | Telephone device | |
JPH0492542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US20080108387A1 (en) | Carrying case with integrated input-output device | |
KR100253828B1 (en) | A hands-free apparatus for a handheld telephone | |
KR20180091230A (en) | Detachable earphones for gas mask | |
KR100808634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wristwatch shape | |
KR102405469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neck microphone | |
JP2019145901A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 |
JP2009171002A (en) | Wireless telephone | |
KR20110138967A (en) | Apparatus for missing prevention of the potable device | |
KR101547138B1 (en) | Automatic calling system using emergency terminal | |
JP2002271881A (en) | Conversation aid device for protective mask | |
RU95201U1 (en) | HEADSET FOR CELL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