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02559B1 -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559B1
KR100602559B1 KR20057005359A KR20057005359A KR100602559B1 KR 100602559 B1 KR100602559 B1 KR 100602559B1 KR 20057005359 A KR20057005359 A KR 20057005359A KR 20057005359 A KR20057005359 A KR 20057005359A KR 100602559 B1 KR100602559 B1 KR 10060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switch
switches
electronic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5700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602A (ko
Inventor
다케시 곤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5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6Motorcy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어 장치(14)는,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차량(100B)에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윙커 스위차나 혼 스위치 등)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기동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전자 키(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수단(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 송신 회로(46) 및 송신 안테나(72))과 전자 키(12)로부터의 응답 신호(Sa)를 검지하는 수단(수신 회로(44) 및 응답 신호 대조 수단(82))과, 응답 신호(Sa)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라고 판별한 경우에, 액츄에이터(64)에 대해 록의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수단(84)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송수신기 또는 송신기(전자 키)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고, ID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인 경우에, 엔진의 시동 등을 행하는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 2륜차에 이용하기 적합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349110호 공보 나 일본국 특개 2001-349117호 공보가 있다. 이들 공보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핸들이나 트렁크 리드에 기동 수단(스위치)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들 기동 수단을 조작(기동)하면, 전자 키와의 교신을 개시하여, 전자 키로부터 송신된 ID와 제어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ID와의 대조를 행하여, ID 일치의 대조 결과가 얻어진 단계에서, 도어 록(lock) 등을 해제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4륜차의 각 도어에 송신 안테나를 설치하고, 휴대기가 접근하는 도어만을 차량의 다른 도어와는 독립하여 잠금해제 할 수 있는 전자 키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317754호 공보 참조).
이러한 전자 키 시스템을 2륜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4륜차의 도어 핸들에 설치된 기동 수단(스위치)에 상당하는 기동 수단을 어느 한 곳에 설치할 필요가 있 는데,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이나 헬멧의 출납(出納) 등을 고려하면, 핸들이나 시트 등과 같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손을 대는 위치에 기동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의 승차 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일련의 동작 중에서 자연스럽게 제어 장치를 기동할 수 있고, 전자 키에 의한 기동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동 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고, 소형, 경량 및 저비용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록 해제 지시가 공급될 때까지, 상기 차량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록시키는 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에 대해 리퀘스트(request)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응답 신호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라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록 장치에 대해 록의 해제 지시를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휴대형 송수신기와의 통신이 개시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의 승차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일련의 동작에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 간단히 행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제어 장치를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스위치(이하, 기동 스위치라고 한다)를 조작함으로써 기동이 행해지므로, 별도의 사람(정규 사용자가 아닌 사람)이 조작해도 기동 스위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없어, 도난 방지에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송신기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록 해제 지시가 공급될 때까지, 상기 차량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록시키는 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형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기초해 상기 제어 장치에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휴대형 송신기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접수하는 수단과, 상기 요구 신호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록 장치에 대해 록의 해제 지시를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도, 차량에의 승차시의 사용자의 일련의 동작 중에서 자연스럽게 제어 장치를 기동할 수 있어, 전자 키에 의한 기동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도난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통신을 행하는 회로 시스템에 대해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기동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회로 시스템에 대해 전력 공급을 행하는 수단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그 후, 기동 스위치가 ON 조작될 때까지 통신 관계의 회로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므로, 대기 중의 소비 전력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동 스위치를 ON 조작하지 않는 한, 외부와의 통신(휴대형 송수신기와의 통신이나 휴대형 송신기로부터의 요구 신호의 수신)을 행하지 않고, 기동 스위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없으므로, 도난 방지에도 유효하다.
또한, 상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통신을 행하는 회로 시스템에 대해 전력 공급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회로 시스템에 대해 항상 전력 공급을 행하는 수단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그 후, 기동 스위치가 ON 조작될 때까지 통신 관계의 회로에의 전력 공급이 간헐적으로 행해지므로, 대기 중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의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주행 중의 보안 및 상기 차량의 정지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여도 된다. 이 경우, 새롭게 기동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 경량 및 저비용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한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승차 검지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 승차 검지 스위치를 기동 스위치로 한 경우는, 사용자가 승차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제어 장치로부터 리퀘스트 신호가 출력되는, 혹은 휴대형 송신기로부터의 요구 신호의 접수를 개시하게 되므로,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자 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차량이 오토바이 타입에 있어서의 핸들의 주변 조작 스위치(기동 스 위치의 후보로서 들 수 있는 스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차량이 스쿠터 타입에 있어서의 핸들의 주변 조작 스위치(기동 스위치의 후보로서 들 수 있는 스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차량이 스쿠터 타입에 있어서, 시트의 앞 부분에 기동 스위치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a)는 차량에의 송신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7(b)는 그 평면도,
도 8(a)∼도 8(e)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자 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예를 들면 자동 2륜차용의 시스템에 적용한 몇 개의 실시 형태예를 도 1∼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A)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저(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송수신기(12)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14)를 가진다. 휴대형 송수신기(12)는, 그 외형이 열쇠 형상으로 내부에 IC 칩이 장착된 것이나, 외형이 카드 형상이고 내부에 IC 칩이 장착된 것 등이 있는데, 주로 키리스(keyless) 시스템으로서 적용시키는 경우는, 카드 형상이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 형상을 갖는 휴대형 송수신기(12)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휴대형 송수신기(12)는, 전자 키로서 일반적으로 호칭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휴대형 송수신기를 전자 키(12)라고 기술한다.
전자 키(12)는, 상술한 바와같이 카드 형상을 가지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부에, 배터리(20), 전원 회로(22), CPU(24), 수신 회로(26) 및 송신 회로(28)를 가진다.
전원 회로(22)는, 배터리(20)로부터의 전력을 수신 회로(26), 송신 회로(28) 및 CPU(24)에 공급하는 회로이다. 수신 회로(26)는, 도시하지 않은 수신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14)로부터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Sr) 등을 수신하여, 반송파(搬送波)로부터 취출해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CPU(24)에 공급된다. 리퀘스트 신호(Sr)의 반송파 주파수는 100kHz∼300kHz이다.
CPU(24)는, 적어도 2개의 프로그램(리퀘스트 신호 대조 수단(30) 및 응답 신호 생성 수단(32))을 실행한다. 리퀘스트 신호 대조 수단(30)은, 수신 회로(26)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리퀘스트 신호(Sr)인지 여부를 대조하고, 리퀘스트 신호(Sr)이면, 제어를 응답 신호 생성 수단(32)으로 옮긴다. 응답 신호 생성 수단(32)은, 리퀘스트 신호 대조 수단(30)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해, 도시하지 않은 ROM에 기록되 어 있는 ID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 ID 데이터에 응답을 표시하는 속성을 부가하여 송신 데이터(Dt)로서 송신 회로(28)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28)는, 도시하지 않은 송신 안테나를 가지고, 반송파를 CPU(24)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Dt)에 기초해 변조하고,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응답 신호(Sa)로서 송신한다. 이 응답 신호(Sa)의 반송파 주파수는 200MHz∼500MHz이다.
한편,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14)는, 예를 들면 시스템(LSI)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원 회로(40), CPU(42), 수신 회로(44), 송신 회로(46), 입력 회로(48), 제1 구동 회로(52)(액츄에이터 구동용) 및 제2 구동 회로(54)(메인 릴레이 구동용)를 가진다. 이 제어 장치(14)의 주변에는, 적어도 배터리(60), 메인 스위치(62), 핸들용 액츄에이터(64), 메인 릴레이(66), 기동 스위치(70), 송신 안테나(72)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62)는, 2개의 고정 접점(62a 및 62b)과 1개의 가동 접점(62c)을 가지고, 한쪽 고정 접점(62a)이 배터리(60)에 접속되고, 다른쪽 고정 접점(62b)이 메인 릴레이(66)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회로(48)에는, 기동 스위치(70)가 접속되고, 상기 기동 스위치(70)의 ON/OFF 상태가, 이 입력 회로(48)를 통해 CPU(42)에 공급된다.
기동 스위치(70)로는, 예를 들면 차량의 엔진 시동, 주행 중의 보안 및 상기 차량의 정지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바이(100A) 타입인 경우, 핸들(102)의 주변에 설치된 조광(lighting dimmer) 스위치(104), 클러치 스위치(106), 윙커 (winker) 스위치(108), 혼(horn) 스위치(110), 프론트 브레이크 스위치(112), 해저드(hazard) 스위치(114), 스타터 스위치(116)중 어느 것을 기동 스위치(70)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쿠터(100B) 타입인 경우, 기동 스위치(70)는, 핸들(120)의 주변에 설치된 조광 스위치(122), 리어 브레이크 스위치(124), 윙커 스위치(126), 혼 스위치(128), 프론트 브레이크 스위치(130), 해저드 스위치(132), 스타터 스위치(134)중 어느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70)의 설정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오토바이(100A)나 스쿠터(100B)를 구입했을 때에, 사용자가 예를 들면 판매점과의 계약에 의해서 미리 결정해 두고, 그 결정 사항에 기초해 공장에서 배선하는 등의 수법이 있다. 예를 들면 기동 스위치(70)로서 결정된 스위치와 제어 장치(14)의 입력 회로(148)를 접속하는 배선 등을 공장에서 행한다.
기동 스위치(70)로는, 상술과 같이 핸들(102 및 120)의 주변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 중 어느 것으로 해도 되지만, 예를 들면 스쿠터(100B)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140)의 근방에 특별히 기동 스위치(70)를 설치해도 된다.
스쿠터(100B)는, 시트(140) 아래에 도시하지 않은 헬멧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통상 승차하지 않는 경우는, 헬멧을 그 공간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스쿠터(100B)에 승차할 때는, 반드시 시트(140)를 개폐하여 헬멧을 꺼내는 동작이 행해지므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140)의 앞 부분에 기동 스위치(70)를 설치함으로써, 헬멧을 꺼내는 동시에 기동 스위치(70)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4)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40)는, 배터리(60)로부터의 전력을 CPU(42)나 수신 회로(44), 송신 회로(46) 등에 공급한다.
수신 회로(44)는, 도시하지 않은 수신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전자 키(12)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Sa) 등을 수신하여, 반송파로부터 취출하여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CPU(42)에 공급된다.
CPU(42)는, 적어도 3개의 프로그램(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 응답 신호 대조 수단(82) 및 감시 수단(84))을 실행한다.
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은, 기동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도시하지 않은 ROM으로부터 리퀘스트 데이터(Dr)(리퀘스트 신호(Sr)의 근원이 되는 데이터)를 읽어내 송신 회로(46)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46)는, CPU(42)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 데이터(Dr)에 기초해, 반송파를 변조하고, 리퀘스트 신호(Sr)로서 송신 안테나(72)를 통해 송신한다.
리퀘스트 신호(Sr)의 송신 가능 범위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으로서 예를 들면 스쿠터(100B)를 상정했을 때, 스쿠터(100B)에 장착된 송신 안테나(72)를 중심으로 한 반경 1∼1.5m의 구형상 범위(도 7(a) 및 도 7(b)에서 원 A로 표시하는 범위)로, 응답 신호(Sa)의 송신 가능 범위(전자 키(12)를 중심으로 한 반경 수m의 범위)에 비해 좁은 범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 키(12)와의 교신을, 승차 조작 시, 시트(140)를 여는 조작을 행할 때 등에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쿠터(100B)의 중앙 부근에 송신 안테나(7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쿠터(100B)의 중앙 부근이란, 전륜(142)의 중심(142a)과 후륜(144)의 중심(144a)을 연결하는 선분(146)을 생각했을 때, 예를 들면 전륜(142)의 중심(142a)을 기준으로 하여 선분(146)의 1/4의 지점 P1으로부터 3/4의 지점 P2까지의 범위이다. 이는 오토바이(100A) 타입이라도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140)의 앞 부분 근방에 송신 안테나(72)를 설치하고 있다.
응답 신호 대조 수단(82)은, 수신 회로(44)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응답 신호(Sa)인지 여부를 대조하고, 또한, 응답 신호(Sa)인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Sa)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등록된 ID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한다.
감시 수단(84)은,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기초해, 응답 신호(Sa)의 도래 유무(응답 신호 대조 수단(82)에서의 ID 일치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이, 리퀘스트 데이터(Dr)를 출력한 시점부터 응답 신호(Sa)의 입력을 기다려,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Sa)가 도래한 경우에, 제1 구동 회로(52)에 록 해제 신호를 출력하고, 제2 구동 회로(54)에 ON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구동 회로(52)는, CPU(42)로부터의 록 해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해 핸들용 액츄에이터(64)를 구동하여, 핸들(102 및 120)의 록 상태를 해제한다.
제2 구동 회로(54)는, CPU(42)로부터의 ON 신호의 입력에 기초해 ON 상태로 되고, 그 후, 메인 스위치(62)가 ON 조작됨으로써 메인 릴레이(66)가 ON으로 된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하고, 주행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메인 스위치(62)가 OFF 조작되면, 메인 릴레이(66)가 OFF로 되어, 엔진도 동시에 정지한다. 그리고, 잠금 조작, 예를 들면 핸들(108)을 록 상태로 조작하면, 제어 장치(14)에서의 응답 신호(Sa)의 대조 동작이 정지되고, 더불어 제2 구동 회로(54)가 OFF로 된다.
다음에, 제1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A)의 대표적인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 8(a)∼도 8(e)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리퀘스트 신호(Sr)는, 리퀘스트 데이터(Dr)에 기초한 펄스열을 갖는 신호이고, 응답 신호(Sa)는 ID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펄스열을 갖는 신호인데, 도 8(a)∼도 8(e)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각각 1펄스의 신호로서 기술되어 있다.
우선, 도 8(a)의 시점(t1)에서,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한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70)를 ON 조작하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로부터 리퀘스트 신호(Sr)가 송신되어(시점 t2 참조), 전자 키(12)와의 교신이 개시된다.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는, 전자 키(12)의 수신 회로(26)(도 2 참조)를 통해 리퀘스트 신호(Sr)가 수신된다. 전자 키(12)는,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해,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답 신호(Sa)를 송신한다(시점t3 참조). 응답 신호(Sa)는, 제어 장치(14)에 있어서의 수신 회로(44)( 도 3 참조)를 통해 CPU(42)에 공급되어, 응답 신호(Sa)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대조된다. ID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는, 도 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 및 제1 구동 회로(52)를 통해 핸들(108)의 록 상태가 해제(잠금 해제)된다(시점 t4 참조). 이 때, 제2 구동 회로(54)가 ON으로 된다.
이어서, 도 8(b)의 시점 t5에서, 메인 스위치(62)를 ON 조작하면, 엔진이 시동하여, 주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A)에서는, 핸들(102 및 120)의 주변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 중, 사용자가 미리 정한 스위치를 기동 스위치(70)로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기동 스위치(7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의 승차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기동 스위치(70)를 조작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단히 행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제어 장치(14)를 기동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스위치(70)는, 핸들(102 및 120)의 주변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 중, 예를 들면 판매점과의 계약시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스위치로 하였으므로, 별도의 사람(정규 사용자가 아닌 사람)이 조작해도 기동 스위치(70)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없어, 도난 방지에도 유효하다.
특히, 기동 스위치(70)로서, 차량의 엔진 시동, 주행 중의 보안 및 상기 차량의 정지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 중 어느 것으로 한 경우는, 새롭게 기동 스위치(70)를 설치하는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 경량 및 저비용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동 스위치(70)를 시트(140)의 앞 부분에 설치하도록 하면, 헬멧을 꺼내는 동시에 기동 스위치(70)의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설치된 스위치 중, 적어도 기동 스위치(70)로서 설정되는 스위치는, 기계 접점식의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 외, 정전(靜電)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나, 압전(壓電) 소자의 원리를 이용한 스위치나, 홀(hall) 소자를 이용한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B)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다. 또한, 도 2 및 도 3과 대응하는 부재나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표기해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B)에서의 전자 키(1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12)(도2 참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조작 스위치(150)를 가지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CPU(24)는, 적어도 1개의 프로그램(요구신호 생성수단(152))을 실행한다. 요구신호 생성수단(152)은, 조작 스위치(150)의 ON 조작에 기초해 기동되고, 도시하지 않은 ROM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를 읽어내, 이 ID 데이터에 응답을 표시하는 속성을 부가해 송신 데이터(Dt)로서 송신 회로(28)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28)는, 도시하지 않은 송신 안테나를 가지고, 반송파를, CPU(24)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Dt)에 기초해 변조하고,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요구 신호(Sq)로서 송신한다. 이 요구 신호(Sq)의 반송파 주파수는 200MHz∼500MHz이다.
한편,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1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14)(도 3 참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송신 회로(46) 및 송신 안테나(72)가 존재하지 않는 점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정지하는 스위칭 회로(160)를 가지는 점과, 스위칭 회로(160)에 대해 ON 신호(So)와 간헐 펄스 신호(Sk)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160)를 ON/OFF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회로(154)를 가지는 점에서 상이하다.
수신 회로(44)는, 도시하지 않은 수신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전자 키(12)로부터 송신되는 요구 신호(Sq) 등을 수신하고, 반송파로부터 취출하여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CPU(42)에 공급된다.
CPU(42)는, 적어도 3개의 프로그램(요구신호 대조수단(156), 감시 수단(84) 및 계시(計時) 수단(158))을 실행한다.
요구신호 대조수단(156)은, 수신 회로(44)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요구신호(Sq)인지 여부를 대조하고, 또한, 요구 신호(Sq)인 경우에, 상기 요구신호(Sq)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등록된 ID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한다.
감시 수단(84)은, 요구 신호(Sq) 도래의 유무(요구신호 대조수단(156)에서의 ID 일치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정규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 키(12)로부터의 요구 신호(Sq)를 검지한 경우에, 제1 구동 회로(52)에 록 해제 신호를 출력하고, 핸들(102, 120)의 록 상태를 해제하고, 더불어 제2 구동 회로(54)를 ON 상태로 한다. 그 후, 메인 스위치(62)가 ON 조작됨으로써 메인 릴레이(66)가 ON이 된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하여, 주행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메인 스위치(62)가 OFF 조작되면, 메인 릴레이(66)가 OFF로 되고, 엔진도 동시에 정지한다. 이 때, 제2 구동 회로(54)가 OFF 상태로 된다.
계시 수단(158)은, 기동 스위치(70)가 ON 조작된 시점 및 메인 스위치(62)가 ON 상태로 된 기간 및 메인 스위치(62)가 OFF 상태로 되고 나서부터 계시 수단(158)으로 소정치를 계수(計數)하기까지의 기간에서는, 스위칭 제어 회로(154)에 대해 계속 지시 신호(Sc)를 출력한다.
또한, 이 계시 수단(158)은, 메인 스위치(62)가 OFF된 시점부터 도시하지 않은 클록(clock) 발생기로부터의 기준 클록을 계수하고, 소정치까지 계수한 단계(예를 들면 2일, 혹은 1주일 등이 경과한 단계)에서 스위칭 제어 회로(154)에 대해 간헐 지시 신호(Sp)를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 회로(154)는, 계시 수단(158)으로부터 계속 지시 신호(Sc)가 공급되는 기간은, 스위칭 회로(160)에 대해 ON 신호(So)를 출력한다. 스위칭 회로(160)는, 공급되는 ON 신호(So)에 기초해 스위치(162)를 ON 동작하고, 이에 따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항상 계속되게 된다.
상기 계시 수단(158)으로부터 간헐 지시 신호(Sp)가 공급된 시점에서, 스위칭 제어 회로(154)는, 속성이 ON과 OFF로 간헐적으로 바뀌는 간헐 펄스 신호(Sk)를 생성하여 스위칭 회로(160)에 출력한다. 스위칭 회로(160)는 공급되는 간헐 펄스 신호(Sk)에 기초해 간헐적으로 ON 동작과 OFF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은 간헐적으로 되고, 제어 장치(14)는, 절약 전력 동작 모 드로 이행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절약 전력 동작 모드에서, 기동 스위치(70)가 ON 조작되면, 계시 수단(158)으로부터 스위칭 제어 회로(154)에 계속 지시 신호(Sc)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항상 계속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B)에서는, 차량이 소정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그 후, 기동 스위치(70)가 ON 조작될 때까지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간헐적으로 행해지므로, 대기중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C)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0과 대응하는 부재 및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C)에서 사용되는 전자 키(12)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12)(도 9 참조)와 동일하다.
제어 장치(14)도,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14)(도 10 참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스위칭 제어 회로(154)로부터 ON 신호(So)와 OFF 신호(Sf)가 출력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계시 수단(158)은, 기동 스위치(70)가 ON 조작된 시점, 메인 스위치(62)가 ON 상태로 된 기간 및 메인 스위치(62)가 OFF 상태로 되고 나서부터 계시 수단(158)으로 소정치를 계수하기 까지의 기간에는, 스위칭 제어 회로(154)에 대해 계속 지시 신호(Sc)를 출력한다.
또한, 이 계시 수단(158)은, 메인 스위치(62)가 OFF된 시점부터 도시하지 않은 클록 발생기로부터의 기준 클록을 계수하고, 소정치까지 계수한 단계에서 스위칭 제어 회로(154)에 대해 정지 지시 신호(Ss)를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 회로(154)는, 계시 수단(158)으로부터 계속 지시 신호(Sc)가 공급되는 기간은, 스위칭 회로(160)에 대해 ON 신호(So)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항상 계속되게 된다.
상기 계시 수단(158)으로부터 정지 지시 신호(Ss)가 공급된 시점에서, 스위칭 제어 회로(154)는, OFF 신호(Sf)를 출력한다. 스위칭 회로(160)는, 공급된 OFF 신호(Sf)에 기초해 스위치(162)를 OFF 동작하고, 이에 따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은 완전히 정지되게 된다.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 기간에, 기동 스위치(70)가 ON 조작되면, 계시 수단(158)으로부터 스위칭 제어 회로(154)에 계속 지시 신호(Sc)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항상 계속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 시스템(10C)에서는, 차량이 소정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그 후, 기동 스위치(70)가 ON 조작될 때까지 수신 회로(44)에의 전력 공급이 전혀 행해지지 않으므로, 대기중의 소비 전력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동 스위치(70)를 ON 조작하지 않는 한, 외부와의 통신(전자 키(12)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고, 기동 스위치(70)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없으므로, 도난 방지에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채용하여 얻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차량(100B)에 탑재된 제어 장치(14)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송수신기(12)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B)은, 록 해제 지시가 공급될 때까지, 상기 차량(100B)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록시키는 록 장치(64)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Sa)를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응답 신호(Sa)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라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록 장치(64)에 대해 록의 해제 지시를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B)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l4) 중, 적어도 통신을 행하는 회로 시스템(44, 46)에 대해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회로 시스템(44, 46)에 대해 전력 공급을 행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차량(100B)의 엔진 시동, 주행 중의 보안 및 상기 차량(100B)의 정지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100B)에 승차한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5. 차량(100B)에 탑재된 제어 장치(14)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송신기(12)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B)은, 록 해제 지시가 공급될 때까지, 상기 차량(100B)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록시키는 록 장치(64)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형 송신기(12)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기초해 상기 제어 장 치(14)에 요구 신호(Sq)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휴대형 송신기(12)로부터의 요구 신호(Sq)를 접수하는 수단과,
    상기 요구 신호(Sq)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라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록 장치(64)에 대해 록의 해제 지시를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B)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14) 중, 적어도 통신을 행하는 회로 시스템(44)에 대해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회로 시스템(44)에 대해 전력 공급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B)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14) 중, 적어도 통신을 행하는 회로 시스템(44)에 대해 전력 공급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회로 시스템(44)에 대해 항상 전력 공급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차량(100B)의 엔진 시동, 주행 중의 보안 및 상기 차량(100B)의 정지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100B)에 승차한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B)이 소정 기간에 걸쳐 기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14) 중, 적어도 통신을 행하는 회로 시스템(44, 46)에 대해 전력 공급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100B)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승차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미리 설정된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해 상기 회로 시스템(44, 46)에 대해 항상 전력 공급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KR20057005359A 2002-09-27 2003-09-25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2305 2002-09-27
JP2002282305A JP4121345B2 (ja) 2002-09-27 2002-09-27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602A KR20050057602A (ko) 2005-06-16
KR100602559B1 true KR100602559B1 (ko) 2006-07-19

Family

ID=3204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5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559B1 (ko) 2002-09-27 2003-09-25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279807B2 (ko)
EP (1) EP1544067B1 (ko)
JP (1) JP4121345B2 (ko)
KR (1) KR100602559B1 (ko)
CN (1) CN100423973C (ko)
BR (1) BR0314734A (ko)
CA (1) CA2500235C (ko)
ES (1) ES2382152T3 (ko)
MX (1) MXPA05002971A (ko)
MY (1) MY140861A (ko)
TW (1) TW593032B (ko)
WO (1) WO2004028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5706B2 (ja) 2004-11-12 2007-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WO2006111585A1 (es) * 2005-04-19 2006-10-26 Fundacion Para La Investigacion Y Desarrrollo En Automocion (Fundacion Cidaut) Sistema de seguridad para motocicletas, ciclomotores y similares
JP4680671B2 (ja) * 2005-05-12 2011-05-11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エンジン付き乗物の盗難防止装置
JP4766978B2 (ja) * 2005-10-03 2011-09-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を備えた鞍乗型車両
JP2007099050A (ja) * 2005-10-03 2007-04-19 Yamaha Motor Co Ltd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を備えた鞍乗型車両
KR100767479B1 (ko) * 2005-12-29 200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보안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키시스템
US7711349B2 (en) * 2006-04-24 2010-05-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generating an alert to notify emergency personnel of a vehicular emergency
JP4523584B2 (ja) * 2006-12-28 2010-08-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EP1988513B1 (de) * 2007-04-30 2010-12-15 Delphi Technologies, Inc. Komfort- und Zugangskontrollsystem
JP4982873B2 (ja) * 2008-02-26 2012-07-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2010143526A (ja) * 2008-12-22 2010-07-01 Asahi Denso Co Ltd エンジン始動装置
SE538207C2 (sv) * 2009-09-23 2016-04-05 Abb Technology Ltd Säkerhetsarrangemang
JP5130278B2 (ja) * 2009-12-09 2013-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駆動源搭載機器の盗難防止装置
CN102029972B (zh) * 2010-08-24 2012-10-17 吉林大学 一种实现机动车对乘驾者身份认证的方法、系统和设备
CN102363436B (zh) * 2011-09-19 2013-04-17 吕育新 一种新型电动车电机锁
JP2013134848A (ja) * 2011-12-26 2013-07-08 Yazaki Corp 車両用ラッチングリレー駆動回路
JP5814858B2 (ja) * 2012-05-23 2015-11-17 株式会社東芝 送電装置
CN104464054B (zh) * 2014-12-10 2017-02-22 广东力维智能锁业有限公司 一种利用智能手机开启电子门锁的方法
EP3587226A4 (en) 2017-04-13 2020-03-1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OPEN CAB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DE102018117981A1 (de) * 2018-07-25 2020-01-30 Beckhoff Automation Gmbh Statoreinheit und Statormodul
CN109533157B (zh) 2018-12-07 2020-12-04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电动滑板车的控制方法及电动滑板车
JP7368457B2 (ja) * 2019-03-29 2023-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解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083B2 (ja) 1983-11-29 1994-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線送信装置
JPS60119873A (ja) 1983-11-29 1985-06-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施錠制御装置
JP2891718B2 (ja) * 1989-06-20 1999-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輌盗難防止装置
DE4019478A1 (de) * 1989-06-20 1991-01-10 Honda Motor Co Ltd Elektrische spannungsversorgungs-kontrolleinheit fuer ein kraftfahrzeug
JP2676411B2 (ja) 1989-08-31 1997-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ロック装置とエンジン点火装置
JP2757535B2 (ja) 1990-05-31 1998-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US5293160A (en) 1989-11-02 1994-03-08 Nissan Motor Company, Ltd. Keyless vehicle lock system with distance measuring
DE69029990T2 (de) 1989-11-02 1997-06-12 Nissan Motor Schlüsselloses Schlos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905254B2 (ja) 1990-04-16 1999-06-14 株式会社二輪整備技術研究所 二輪車用盗難警報装置
JP2905258B2 (ja) 1990-04-28 1999-06-14 株式会社アルファ 二輪車用ハンドルロック装置
EP0860353A1 (en) 1995-12-22 1998-08-26 Sakae Co., Ltd. Identification device for two-wheeled vehicle
US5689142A (en) 1996-05-24 1997-11-18 Continocean Tech Inc. Keyless motor vehicle starting system with anti-theft feature
FR2751293B1 (fr) 1996-07-17 1998-09-11 Texton Dispositif antivol pour motocycle et casque de protection motocycliste
FR2752004B1 (fr) 1996-07-30 1998-09-25 Siemens Automotive Sa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a un espace ferme par une porte
US5939975A (en) 1996-09-19 1999-08-17 Nds Ltd. Thef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JP3275777B2 (ja) 1997-05-19 2002-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6057657A (en) 1998-07-02 2000-05-02 Shimano, Inc. Magnetically operated bicycle antitheft device
DE19833451C1 (de) * 1998-07-24 1999-08-19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3555493B2 (ja) 1998-07-30 2004-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3632463B2 (ja) 1998-09-30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US6236850B1 (en) * 1999-01-08 2001-05-22 Tr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venience function control with increased effective receiver seek time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JP4026988B2 (ja) * 1999-06-29 2007-12-26 朝日電装株式会社 イモビライザ及びイモビライザによる認証方法
US6386447B1 (en) 1999-10-04 2002-05-14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Smart card with card in vehicle warning
DE19957536C2 (de) 1999-11-30 2003-04-03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iebstahlschutzsystems
JP2001278156A (ja) 2000-03-31 2001-10-1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リモコン装置
DE60109340T2 (de) 2000-04-03 2006-04-06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Elektronisches Schlüsselsystem für Fahrzeug
JP3588677B2 (ja) 2000-04-03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装置
DE10034348A1 (de) * 2000-07-14 2002-01-24 Daimler Chrysler Ag System zur Inbetriebnahme eines motorangetriebenen Kraftfahrzeugs
DE10049442A1 (de) * 2000-10-06 2002-06-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System zur Inbetriebnahme eines motorangetriebenen Kraftfahrzeugs
JP2002168023A (ja) * 2000-11-30 2002-06-1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ロック装置
JP2002201838A (ja) 2000-12-28 2002-07-19 Denso Corp 車両用電子キー装置及び記録媒体
US6621406B2 (en) 2001-04-18 2003-09-16 U-Shin Ltd.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JP3983634B2 (ja) 2002-09-02 2007-09-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無線装置
TWI230130B (en) 2002-09-27 2005-04-01 Honda Motor Co Ltd Motorcycle electronic key system
JP6083083B2 (ja) * 2015-06-12 2017-02-22 エクセルギー・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混合電極を用いたリバーシブル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2971A (es) 2005-08-15
MY140861A (en) 2010-01-29
CN100423973C (zh) 2008-10-08
CA2500235C (en) 2009-06-02
CN1684861A (zh) 2005-10-19
BR0314734A (pt) 2005-07-26
EP1544067B1 (en) 2012-03-07
ES2382152T3 (es) 2012-06-05
EP1544067A1 (en) 2005-06-22
JP4121345B2 (ja) 2008-07-23
JP2004116176A (ja) 2004-04-15
TW593032B (en) 2004-06-21
WO2004028873A1 (ja) 2004-04-08
US7279807B2 (en) 2007-10-09
CA2500235A1 (en) 2004-04-08
KR20050057602A (ko) 2005-06-16
TW200404696A (en) 2004-04-01
US20050253461A1 (en) 2005-11-17
EP1544067A4 (en) 200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59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KR100574809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EP1445180B1 (en) Motorcycle electronic key system
KR100669910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US7663472B2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motorcycle
JP2907870B2 (ja) 車輌盗難防止装置
JP4173983B2 (ja) 自動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3843249B2 (ja) 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3947700B2 (ja) 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099027B2 (ja) 自動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099026B2 (ja) 自動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3965349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318150B2 (ja) 自動二輪車のキー抜き忘れ防止装置
JPH10176445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の解除方法
JP2004142507A (ja) キー抜き忘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