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732B1 -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8732B1 KR100608732B1 KR1020030097904A KR20030097904A KR100608732B1 KR 100608732 B1 KR100608732 B1 KR 100608732B1 KR 1020030097904 A KR1020030097904 A KR 1020030097904A KR 20030097904 A KR20030097904 A KR 20030097904A KR 100608732 B1 KR100608732 B1 KR 1006087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terminal
- portable terminal
- camera device
- digital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카메라 장치와, 외부에 노출된 배면에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화면을 장착한 단말기 화면부와, 상기 단말기 화면부와 슬라이딩에 의하여 개폐되고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장착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카메라 장치를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과 상기 카메라 장치의 배면을 연결 고정하는 선회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피사체를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피사체와 액정 화면에 표시된 구도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사체의 구도를 보다 편리하게 포착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카메라, 선회 기구, 카메라 렌즈, 윈도우, 모드 선택 스위치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선회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가 단말기 화면부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슬라이딩 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도4의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선회 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도4의 휴대용 단말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8은 도7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
도9는 도4의 카메라 장치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0은 도7의 선회 기구의 회전캠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용 단말기 110: 카메라 장치
111: 카메라 케이스 112: 촬영용 마이크
113: 플래쉬 114: 모드 선택 스위치
115: 촬영 버튼 118: 카메라 모듈
118a: 카메라 렌즈 119: 윈도우
120: 단말기 화면부 122: 액정 화면
123,124: 제어 버튼 125: 송화부
128: 안내 홈 130: 단말기 본체
135: 안내 돌기 140: 선회 기구
141: 설치 기둥 142: 캠홀더
145: 코일 스프링 144: 고정 너트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열지 않고도 피사체의 촬영 화면을 사용자가 액정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형태로 전환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 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카메라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는 촬영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일정한 각만큼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형 카메라를 장착하여 출시되고 있으며, 이하에서 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장착된 본체부(20)와, 화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폴더부(30)와, 본체부(20)에 대하여 폴더부(30)를 회동시켜 본체부(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힌지 기구(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0)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 케이스(23)과, 본체부 케이스(23)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22)와, 본체부 케이스(23)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장치(10)는 피사체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그 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형 카메라 장치로서, 피사체의 상을 모으기 위하여 볼록 렌즈로 형성되는 카메라 렌즈(11)와,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상기 카메라 모듈과 회로부 사이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프피시비(FPCB)(12)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내부에 장착시켜 회전시키는 회전 원통(13)과, 회전 원통(13)의 회전을 지지하고 본체부(10)에 고정되는 부싱(14)과, 회전 원통(13)에 카메라 모듈을 삽입하는 구멍을 밀폐시키는 캡(15)을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 장치(10)를 도면부호 16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 원통(13)의 외주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용 홈(13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2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주(主)액정 화면(미도시)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부 케이스(32)과, 폴더부 케이스(32)의 전면 중앙부에 기본적인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액정 화면(31)과, 폴더부 케이스(32)의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의 음파를 전달하도록 폴더부 케이스(32)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음파 전달공(33)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로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폴더부(30)를 회전시켜 주액정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기초로 카메라 렌즈(11)가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원통(13)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하고, 피사체가 주액정 화면에 원하는 구도로 표시되면 촬영 버튼을 누름으로써 정화상과 동화상을 촬영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피사체의 상을 주액정 화면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카메라 장치(10)의 방향을 조절해야 하므로, 주액정 화면이 노출되도록 폴더부(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촬영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 라 렌즈(11)가 향하지 못하고 카메라 렌즈(11)를 중심으로 피사체와 촬영자 사이에는 일정한 각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피사체를 원하는 구도로 조절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폴더형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폴더부(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촬영하므로 촬영중 휴대용 단말기를 땅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파단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힌지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각도의 피사체를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사체의 구도를 보다 편리하게 포착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시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태를 갖고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미감을 도모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다. 또한, 촬영중 불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가 향상된 내파손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사체 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모듈과,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장착된 단말기 본체와,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화면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를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즉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과 상기 카메라 장치의 배면을 연결 고정하는 선회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는 하나의 카메라 장치로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기에도 용이하고, 촬영자 자신을 제외한 피사체의 촬영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화면부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고, 촬영시에는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배면에 액정 화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지털 카메라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화면부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개방시키는 별도의 조작없이 피사체의 상이 표시되는 상기 액정 화면과 상기 피사체를 촬영자가 동시에 바라보면서 촬영 구도를 조절하고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선회 기구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단말기 화면부에 대하여 선회시키면 선회 횟수를 감지하여 미리 입력된 촬영 모드로 자동 변환되도록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저면에 장착된 영구 자석과, 상기 단말기 화면부 상면 아래에 상기 영구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 치된 자기 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단말기 화면부로부터 선회하면 상기 자기 감지 센서는 상기 영구 자석과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자기장을 감지할 수 없게 되고, 다시 선회되어 원래의 위치로 선회되면 상기 자기 감지 센서는 상기 영구 자석과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선회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상기 단말기 화면부에 대한 선회 횟수에 의하여 미리 입력된 촬영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모드를 해제시켜 기본 촬영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의 일면에 형성된 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은 상기 카메라 장치의 배면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선회 기구는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저면 중앙부를 연결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에는 음성만을 입력할 수도 있고, 동시에 동화상 촬영시 화상과 동시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촬영용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화면이 형성된 상기 카메라화면부의 배면에는 피사체의 줌, 촬영 해상도, 셔터 속도 등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상기 제어 버튼은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용도 이외에 무선 착신시 통화를 개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에는 상기 단말기 화면부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자 의 눈을 직접 대고 상기 피사체의 상의 구도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투명 렌즈들과, 상기 투명 렌즈들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선회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가 단말기 화면부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슬라이딩 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도4의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선회 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도4의 휴대용 단말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8은 도7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 도9는 도4의 카메라 장치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0은 도7의 선회 기구의 회전캠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화면부(120)와, 피사체 촬영을 위하여 카메라 렌즈(118a)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118)을 내장한 카메라 장치(110)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장착된 단말기본체(130)와, 카메라 장치(110)를 단말기 화면부(120)의 길이방향의 축(12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즉 선회 가능하도록 단말기 화면부(120)의 상면(121c)과 카메라 장치(110)의 배면을 연결 고정하는 선회 기구(Swivel device, 140)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 카메라 장치(110)는, 카메라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부품을 삽입 설치하는 카메라 케이스(111)와, 카메라 렌즈(118)를 보호하고 외부의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도록 투명 렌즈로 카메라 케이스(111)의 전면에 형성된 보호 렌즈(116)와, 피사체의 상을 모으는 카메라 렌즈(118a)와 피사체의 상을 인식하는 고화소수의 전하결합소자(CCD) 등을 포함하고 보호 렌즈(116)와 카메라 렌즈(118a)를 정렬시키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에 내설되는 카메라 모듈(118)과,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의 전면에 형성된 플래쉬(113)와, 음성만을 입력할 수도 있고 동화상 촬영시 화상과 동시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의 전면에 형성된 촬영용 마이크(112)와, 무선 통신시 상대방의 음성을 전달하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시 고품질의 음향을 전달하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의 후면에 형성된 스피커(117)와, 액정 화면(122)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눈을 직접 대고 피사체의 구도를 볼 수 있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의 전면과 후면에 투명 렌즈들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렌즈들을 연결하는 통로로 구성된 윈도우(119)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촬영 명령을 지령하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촬영 버튼(115)과,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카메라 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된 모드 선택 스위치(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모드 선택 스위치(114)는 로터리(rotary) 타입의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 스위치(114)를 회전시킴에 따라 일반 촬영, 맑은날 촬영, 흐린날 촬영, 야간 촬영, 야외 촬영, 실내 촬영, 접사 촬영 등으로 촬영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며, 각각의 촬영 모드는 날씨, 명암 등의 특정 조건에 따라 최적의 셔터 속도 및 노출 속도 등이 입력 설정된 상태로 사용자가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촬영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카메라 케이스(111)는, 단말기 화면부(120)와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바닥면(111b)과, 바닥면(111b)과 체결될 수 있도록 바닥면(111b)과 접하는 부위가 절곡 형성된 덮개부(111)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면(111b)의 각 모서리부에는 바닥 결합공(119b)이 형성되고, 덮개부(111)의 절곡부에도 덮개 결합공(119b)이 형성되어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써 조립된다. 또한, 카메라 렌즈(118a)와 보호 렌즈(116)를 정렬시키면서 카메라 모듈(118)을 고정하도록 'ㄱ'자 형상의 고정 채널(111e)이 보호 렌즈(116) 후면에 보호 렌즈(116)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18)을 고정 채널(111e) 사이로 밀어 넣음으로써 카메라 케이스(111)에 카메라 모듈(118)이 안착 고정된다.
상기 단말기 화면부(120)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고 촬영시에는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도록 외부에 노출된 단말기 화면부(120)의 배면에 형성된 액정 화면(122)과, 액정 화면(122)을 감싸도록 형성된 화면부 케이스(121)와, 피사체의 줌(zoom), 촬영 해상도, 셔터 속도 등의 카메라 모듈(118)을 제어하도록 화면부 케이스(121)의 배면에 형성된 제어 버튼(123,124)과, 화면부 케이스(121)의 배면에는 통신시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형성된 통신용 마이크(12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버튼(123,124)은 촬영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용도 이 외에 무선 착신시 통화를 개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즉, 도면 부호 123a로 표시된 SEND 버튼을 누르면 착신 통화를 개시하며, 통화를 종료하고나 전원을 OFF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면 부호 123b로 표시된 END 버튼을 누르면 된다. 또한, 도면 부호 123c로 표시된 MENU 버튼을 누름으로써 액정 화면(122)에 매뉴창이 뜨도록 하고 도면 부호 123d로 표시된 선택 버튼을 누름으로써 통신 상태나 카메라 상태를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향 버튼(124)은 MENU버튼(123c)과 함께 팝업(pop-up)창의 활용을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110)와 상기 단말기 화면부(120)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140)는, 화면부 케이스(121)의 상면(121c)의 중앙부에 중공 형상(141b)으로 돌출 형성된 설치 기둥(141)과, 설치 기둥(141) 주위의 화면부 케이스(121)의 상면(121c)에 돌출 형성된 캠돌기(143)와, 설치 기둥(141)의 외주면에 중공(142c)이 삽입되고 캠돌기(143)와 접촉하여 카메라 장치(110)를 선회시키는 선회캠(146)이 배면에 형성된 캠홀더(142)와, 설치 기둥(141)의 수나사부(141a)와 결합 고정되는 암나사부(144a)를 구비한 고정 너트(144)와, 캠홀더(142)의 상면(142d)과 고정 너트(144)의 배면 사이에 일정치의 압축 변위를 갖고 설치되어 캠홀더(142)에 하방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145)과, 캠홀더(142)의 회전과 함께 카메라 장치(110)가 회전하도록 캠홀더(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체결공(142b)을 가지면서 돌출 형성된 카메라 체결부(14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설치 기둥(141)의 중공부(141b) 저면은 화면부 케이스(121)의 내부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화면부 케이스(121) 내부로부터 에프피시비(118c)로 형성된 신호선이 설치 기둥(141)의 중공부(141b)를 통해 카메라 장치(110)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카메라 케이스(111)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11b)에 카메라 체결부(142a)의 체결공(142b)과 볼트 결합되도록 고정공(147)이 형성되고, 고정공(147)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공(142b)과 고정공(147)을 관통하여 볼트 결합함으로써 단말기 화면부(120)와 카메라 장치(110)를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면부 케이스(111)는 그 상면(121c)은 카메라 케이스(111)의 배면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선회 기구(140)는 단말기 화면부(120)의 상면 중앙부와 카메라 케이스(111)의 배면 중앙부를 연결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란 폭 방향 및 두께 방향 모두에 있어서 중앙부를 말한다.) 따라서, 카메라 케이스(111)와 화면부 케이스가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칭적인 형상인 경우에는 카메라 장치(110)를 단말기 화면부(120)에 대하여 180도 선회시켜도 카메라 케이스(111)의 일면이 화면부 케이스(111)에 대하여 돌출된 부분이 없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를 잡고 있을 때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시각적 미감을 보다 양호하게 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30)는 단말기 화면부(120)의 배면에서 슬라이딩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은폐되도록 개폐되며, 회로부를 안착한 메인피시비(미도시)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스(131)와, 본체 케이스(131)의 전면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132)와, 본체 케이스(13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화면부(120)에 대한 단말기 본체(130)의 슬라이딩 기구는, 단말기 화면부(120)의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 홈(128)과, 안내 홈(128)과 맞물려 안내 역할을 하도록 본체 케이스(13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안내 돌기(135)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밀지 않고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하로 단말기 화면부(120)가 이동하도록 단말기 화면부(120)의 배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랙기어(129)와, 랙기어(129)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피니언 기어(137)와, 회전축을 통하여 피니언 기어(137)를 구동하도록 단말기 본체(130) 내부에 안착된 구동 모터(139)와, 구동 모터(139)의 작동을 지령하는 개폐 스위치(140)로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130) 내의 메인피시비로부터 연결되는 에프피시비를 단말기 화면부(12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화면부 케이스(121)의 배면과 본체 케이스(131)의 전면에 관통공(127,13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135)는 화살촉과 같은 돌출부(135b)를 구비하고, 그 중앙부에 도면부호 135a로 표시된 홈이 형성되어, 안내 돌기(135)와 안내 홈(128)의 결합은 용이하게 하며, 안내 돌기(135)로부터 안내 홈(128)이 이탈되기 어렵도록 구성된다.
삭제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화면부 케이스(121)의 상면 내측부에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 감지 센서(151)와, 카메라 케이스(111)의 바닥판(111b)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영구 자석(153)과, 자기 감지 센서(151)로부터의 신호를 회로부로 전달하는 감지 신호선(152)으로 구성된 카메라 장치 회전 감지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감지 장치는 카메라 장치(110)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입력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며, 예컨대 모드 선택 스위치(114)와 함께 또는 대용으로 촬영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전원을 ON/OFF 시키는 동작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치(110)를 회전시키면 영구 자석(153)으로부터 멀어진 자기 감지 센서(151)는 자기장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다시 카메라 장치(110)를 원상 복귀시키면 자기 감지 센서(151)는 영구 자석(153)으로부터 자기장을 인식하게 되어 인식된 여부를 신호선(152)을 통해 회로부로 ON-OFF-ON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회로부는 미리 입력된 ON-OFF-ON신호는 촬영 모드를 예컨대, 야간 모드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카메라 장치(110)의 촬영 모드는 야간 모드로 변경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영구 자석(153)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방향에 따라 회전각 간격을 달리하여 복수개를 장착하거나 주기적으로 복수개를 장착함으로써 회전각에 따라 입력값이 달라지는 등 보다 다양한 입력 방식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촬영 모드 변경 스위치로 선회 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드 선택 스위치(114)와 간섭될 우려가 있으므로 선회 감지 장치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해제시키는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거나, 선회 감지 장치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무시하는 잠금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48은 선회 기구(140)의 코일 스프링(145)등의 일부 구성 부품이 카메라 케이스(11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며, 121a는 카메라 케이스(111)의 배면과 화면부 케이스(121)의 상면의 형상과 크기를 동일하게 함에 따라 화면부 케이스(121)의 두께 방향으로의 돌출부이고, 121b는 단말기 본체(130)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과정에서 폐쇄 상태에서 접촉하게 되는 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촬영 중에도 착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착신벨이 울리면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130)를 슬라이딩 개폐에 의하여 노출시키지 않고 단지 SEND 버튼(123a)을 누름으로써 수화부(117)와 송화부(125)가 모두 단말기 화면부(12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화를 걸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30)를 슬라이딩에 의하여 전화번호 입력부인 키패드(132)를 외부로 발출시켜 전화 번호 입력후 SEND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사용자가 자신을 제외한 피사체의 촬영을 할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118a)는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카메라 렌즈(118a)와 액정 화면(122)은 서로 반대편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피사체와 동시에 액정 화면(122)을 보면서 촬영되는 피사체의 구도를 액정 화면(122)을 통해 확인하며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선회 기구(140)는 0도와 180도의 선별적인 위치에서만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도10(a)와 같이 회전캠(146)이 형성된 경우에는 임의의 각도에 대하여도 선회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118a)와 액정 화면(122)은 반드시 180도 반대편을 향할 필요는 없다. 한편, 밝은 곳에서 촬영할 경우에 액정 화면(122)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상을 쉽게 구별하기 어려운 때에는 피사체의 상을 윈도우(119)를 통해 직접 보면서 촬영이 가능하다. 도10(b)와 같이 회전캠(146)이 형성된 경우는 선회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선회할 때 세련감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자신을 포함한 피사체의 촬영을 할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118a)와 액정 화면(122)을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선회 기구(140)로 카메라 장치(110)를 선회시킨 후 액정 화면(122)에 비춰지는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포함한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하다.
이 때, 단말기 본체(130)는 외부로 개방된 상태이어도 촬영상 기능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본체(130)를 개방시켜 발신 통화 중에도 필요에 따라 단말기 본체(130)를 폐쇄시키지 않고서도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30)가 노출되지 않은 폐쇄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단말기의 부수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인식을 심어주고 세련미를 더해주는 장점이 있으며, 피사체의 촬영시 액정 화면(12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촬영시 액정 화면(122)에 비친 모습에만 의존하지 않고 직접 눈을 윈도우(119)에 대고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밝은 곳에서도 촬영할 수 있고, 종래의 아날로그 자동 카메라와 동일한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 익숙하지 못한 노인 등에 의하여도 용이한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카메라 장치와, 외부에 노출된 배면에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 화면을 장착한 단말기 화면부와, 상기 단말기 화면부와 슬라이딩에 의하여 개폐되고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장착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카메라 장치를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과 상기 카메라 장치의 배면을 연결 고정하는 선회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피사체를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피사체와 액정 화면에 표시된 구도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사체의 구도를 보다 편리하게 포착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본체가 노출되지 않은 폐쇄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단말기의 부수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인식을 심어주고 세련미를 더해주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에는 상기 단말기 화면부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자의 눈을 직접 대고 상기 피사체의 상의 구도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투명 렌즈들과, 상기 투명 렌즈들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함으로써, 밝은 곳에서도 촬영할 수 있고, 종래의 아날로그 자동 카메라와 동일한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 익숙하지 못한 노인 등에 의하여도 용이한 촬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기 본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촬영이 진행되므로 촬영중 불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에 충격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의 강도의 보강이 용이한 케이스 모서리 등이므로 보다 향상된 내파손 특성을 갖는다.
Claims (26)
- 피사체 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카메라 장치와;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고 촬영시에는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액정 화면이 전면에 형성된 단말기 화면부와;상기 카메라 장치를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일측과 상기 카메라 장치를 연결 고정하는 선회(Swivel) 기구와;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타측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단말기 본체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 장치의 외면에 형성된 촬영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접사 촬영, 야외 촬영, 야간 촬영 등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의 외면에 형성된 모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선회 기구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저면에 장착된 영구 자석과, 상기 단말기 화면부 상면 아래에 상기 영구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자기 감지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저면에 주기적으로 복수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 장치의 상기 단말기 화면부에 대한 선회 횟수에 의하여 미리 입력된 촬영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모드를 해제시켜 기본 촬영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의 일면에 형성된 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은 상기 카메라 장치의 배면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선회 기구는 단말기 화면부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저면 중앙부를 연결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 화면부에 대하여 일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 화면부와 접하는 전면에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 화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힌지 기구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에는 촬영을 보조하는 플래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음성을 입력하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촬영용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에 장착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피사체의 줌, 촬영 해상도, 셔터 속도 등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도록 카메라화면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어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버튼은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용도 이외에 무선 착신시 통화를 개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화면부의 전면에는 통신시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형성된 통신용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화면부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자의 눈을 직접 대고 상기 피사체의 상을 보면서 구도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에 형성된 윈도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투명 렌즈들과, 상기 투명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선회 기구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단말기 화면부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 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가 변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7904A KR100608732B1 (ko) | 2003-12-26 | 2003-12-26 |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US11/016,759 US7636124B2 (en) | 2003-12-26 | 2004-12-21 |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
JP2004371021A JP4625323B2 (ja) | 2003-12-26 | 2004-12-22 |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携帯用端末機 |
EP08006879A EP1944950B1 (en) | 2003-12-26 | 2004-12-23 |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
DE602004012954T DE602004012954T2 (de) | 2003-12-26 | 2004-12-23 | Tragbares Gerät mit Digitalkamerafunktion. |
AT04030681T ATE392083T1 (de) | 2003-12-26 | 2004-12-23 | Tragbares gerät mit digitalkamerafunktion. |
DE602004023660T DE602004023660D1 (de) | 2003-12-26 | 2004-12-23 | Tragbares Endgerät mit Digitalkamerafunktion |
EP04030681A EP1549029B1 (en) | 2003-12-26 | 2004-12-23 |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
AT08006879T ATE445963T1 (de) | 2003-12-26 | 2004-12-23 | Tragbares endgerät mit digitalkamerafunktion |
CN2004100615411A CN1638403B (zh) | 2003-12-26 | 2004-12-24 | 具有数字摄像头功能的便携式终端 |
US11/640,333 US7742100B2 (en) | 2003-12-26 | 2006-12-18 |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
US11/640,335 US7692717B2 (en) | 2003-12-26 | 2006-12-18 |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7904A KR100608732B1 (ko) | 2003-12-26 | 2003-12-26 |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6596A KR20050066596A (ko) | 2005-06-30 |
KR100608732B1 true KR100608732B1 (ko) | 2006-08-04 |
Family
ID=3454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7904A KR100608732B1 (ko) | 2003-12-26 | 2003-12-26 |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7636124B2 (ko) |
EP (2) | EP1944950B1 (ko) |
JP (1) | JP4625323B2 (ko) |
KR (1) | KR100608732B1 (ko) |
CN (1) | CN1638403B (ko) |
AT (2) | ATE392083T1 (ko) |
DE (2) | DE60200401295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7681B1 (ko) * | 2003-04-15 | 2006-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
FI20050106A (fi) * | 2005-01-31 | 2006-08-01 | Elcoteq Se | Matkaviestinlaite |
US7747004B2 (en) * | 2005-12-22 | 2010-06-29 | Motorola,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acoustic usability |
KR100713433B1 (ko) | 2006-01-27 | 2007-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
WO2007099638A1 (ja) * | 2006-03-02 | 2007-09-07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携帯端末 |
KR100837433B1 (ko) * | 2006-03-06 | 2008-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기기 |
US7672584B2 (en) * | 2006-03-06 | 2010-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gital device |
KR100842527B1 (ko) * | 2006-04-17 | 2008-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JP4767833B2 (ja) * | 2006-12-15 | 2011-09-07 | 富士通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ユニット |
CN101647262A (zh) * | 2007-03-30 | 2010-02-10 | 日本电气株式会社 | 移动设备的滑动结构及移动设备 |
DE102007031559A1 (de) * | 2007-07-06 | 2009-01-08 | Robert Bosch Gmbh |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
TWI330062B (en) * | 2007-12-07 | 2010-09-01 | Htc Corp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TWI386008B (zh) * | 2008-01-22 | 2013-02-11 | Asustek Comp Inc | 可攜式電子裝置 |
CN101742859A (zh) * | 2008-11-20 | 2010-06-16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 |
CN101750698A (zh) * | 2008-12-10 | 2010-06-23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
CN101753647A (zh) * | 2008-12-22 | 2010-06-23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分体式手机 |
CN101990011B (zh) * | 2009-07-29 | 2013-11-20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可携式电子装置 |
TWI387429B (zh) * | 2009-08-25 | 2013-02-21 | Wistron Corp | 具有可拆卸式攝影模組之可攜式電子系統 |
KR101594367B1 (ko) * | 2009-09-02 | 2016-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
KR101094767B1 (ko) * | 2010-05-19 | 2011-1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전자기기 |
CN102928833B (zh) * | 2011-08-10 | 2014-03-19 |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用于便携式终端的防撞装置、防撞方法以及便携式终端 |
JP5456082B2 (ja) * | 2012-02-03 | 2014-03-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 |
CN104238579B (zh) * | 2014-09-26 | 2017-05-24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摄像头旋转控制方法和移动终端 |
EP3210437B1 (en) * | 2014-10-16 | 2020-05-27 | LG Electronics Inc. |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342558B1 (ko) * | 2015-06-05 | 2021-1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CN104980544B (zh) * | 2015-07-13 | 2016-10-2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两端可折弯的柔性屏移动终端 |
CN204859341U (zh) * | 2015-08-11 | 2015-12-09 | 深圳遨乐科技有限公司 | 一种fancam带转轴迷你运动相机 |
CN110022428B (zh) * | 2019-05-24 | 2020-11-06 |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 摄像头模组、终端设备及信息处理方法 |
US11812127B2 (en) * | 2021-10-27 | 2023-11-07 | Dell Products L.P. | Monitor with integrated camera to achieve optimized vertical dimension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43609A (en) * | 1981-01-19 | 1985-09-24 | Lectrolarm Custom Systems, Inc. | Television surveillance system |
JP2778876B2 (ja) | 1992-07-09 | 1998-07-23 | 極東鋼弦コンクリート振興株式会社 | 斜張橋のケーブル装着用案内装置 |
JPH08294030A (ja) | 1995-04-19 | 1996-11-05 | Hitachi Ltd | 携帯電話一体型ビデオカメラ |
WO1997008888A1 (fr) | 1995-08-25 | 1997-03-06 | Hitachi, Ltd. | Enregistreur equipe d'une camera video |
JP3153747B2 (ja) | 1995-10-26 | 2001-04-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無線式画像伝送電話機 |
JPH1070485A (ja) | 1996-08-27 | 1998-03-10 | Saitama Nippon Denki Kk | 携帯電話機の構造 |
JPH1075287A (ja) | 1996-08-30 | 1998-03-17 | Kokusai Electric Co Ltd | 携帯テレビ電話 |
US6295088B1 (en) * | 1997-02-17 | 2001-09-25 | Nikon Corporation | Portable display device |
JP3988102B2 (ja) | 1998-11-06 | 2007-10-1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腕装着型カメラ |
JP2000165718A (ja) | 1998-11-30 | 2000-06-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子撮像装置 |
JP2001245267A (ja) * | 2000-02-28 | 2001-09-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ビデオカメラ付き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
JP2002057759A (ja) | 2000-08-09 | 2002-02-22 | Nec Saitama Ltd |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話 |
JP3751197B2 (ja) | 2000-10-02 | 2006-03-01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移動体電話機 |
JP2002141990A (ja) | 2000-10-31 | 2002-05-17 | Kyocera Corp | 携帯テレビ電話機 |
KR100438433B1 (ko) | 2001-06-26 | 2004-07-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
JP2003031968A (ja) | 2001-07-11 | 2003-01-31 | Kyocera Corp | 電子端末装置 |
JP3810294B2 (ja) | 2001-09-07 | 2006-08-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JP2003110680A (ja) | 2001-09-27 | 2003-04-11 | Sanyo Electric Co Ltd | 携帯式通信機 |
WO2003030518A1 (en) | 2001-09-28 | 2003-04-10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
JP2003120652A (ja) | 2001-10-12 | 2003-04-23 | Strawberry Corporation |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AU2002348838A1 (en) | 2001-11-27 | 2003-06-10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Electronic portable device |
KR100450581B1 (ko) | 2002-02-28 | 2004-09-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힌지 장치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
JP4055116B2 (ja) * | 2002-05-07 | 2008-03-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JP2004056408A (ja) | 2002-07-19 | 2004-02-19 | Hitachi Ltd | 携帯電話端末 |
US6967247B2 (en) * | 2002-07-24 | 2005-11-22 | Isis Pharmaceuticals, Inc. | Deprotection of phosphorus in oligonucleotide synthesis |
KR100484732B1 (ko) * | 2002-11-19 | 2005-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
JP4101043B2 (ja) | 2002-12-11 | 2008-06-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データ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データ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撮像装置 |
KR100575999B1 (ko) | 2003-03-10 | 200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
US20040192220A1 (en) * | 2003-03-24 | 2004-09-30 | Inventec Appliances Corp. | Mechanism for switching cellular phone to digital camera |
FI118668B (fi) * | 2003-04-01 | 2008-01-31 | Samsung Electro Mech | Matkapuhelin ja sen automaattinen pyöritysmenetelmä |
FI118669B (fi) * | 2003-04-01 | 2008-01-31 | Samsung Electro Mech | Liukutyyppinen matkapuhelin ja liukumismenetelmä siihen |
JP4187607B2 (ja) | 2003-08-14 | 2008-11-26 | 富士通株式会社 | 移動式無線通信装置 |
US7565183B2 (en) * | 2004-11-15 | 2009-07-21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obile device with selectable camera position |
-
2003
- 2003-12-26 KR KR1020030097904A patent/KR1006087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12-21 US US11/016,759 patent/US763612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JP JP2004371021A patent/JP462532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3 EP EP08006879A patent/EP194495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4-12-23 EP EP04030681A patent/EP154902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4-12-23 DE DE602004012954T patent/DE602004012954T2/de active Active
- 2004-12-23 DE DE602004023660T patent/DE602004023660D1/de active Active
- 2004-12-23 AT AT04030681T patent/ATE39208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3 AT AT08006879T patent/ATE44596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4 CN CN2004100615411A patent/CN163840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12-18 US US11/640,333 patent/US77421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18 US US11/640,335 patent/US769271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625323B2 (ja) | 2011-02-02 |
ATE445963T1 (de) | 2009-10-15 |
ATE392083T1 (de) | 2008-04-15 |
EP1944950A2 (en) | 2008-07-16 |
US7692717B2 (en) | 2010-04-06 |
US7742100B2 (en) | 2010-06-22 |
CN1638403A (zh) | 2005-07-13 |
EP1549029B1 (en) | 2008-04-09 |
DE602004012954D1 (de) | 2008-05-21 |
US20070097248A1 (en) | 2007-05-03 |
US20050140811A1 (en) | 2005-06-30 |
DE602004023660D1 (de) | 2009-11-26 |
EP1549029A1 (en) | 2005-06-29 |
CN1638403B (zh) | 2010-05-26 |
JP2005198279A (ja) | 2005-07-21 |
US7636124B2 (en) | 2009-12-22 |
US20070099656A1 (en) | 2007-05-03 |
KR20050066596A (ko) | 2005-06-30 |
DE602004012954T2 (de) | 2009-05-28 |
EP1944950A3 (en) | 2008-09-03 |
EP1944950B1 (en) | 2009-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8732B1 (ko) |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
JP4546503B2 (ja) | 向上した画像通信性能を有する携帯用通信装置 | |
EP1469656A2 (en) | Mobile phone having a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 |
EP1548952A2 (en) | Mobile terminal with camera | |
KR20050105790A (ko) | 휴대용 무선 단말기 | |
KR100560885B1 (ko) |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 |
KR100556880B1 (ko) |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 |
JP4024175B2 (ja) | 撮像部付き携帯通信機器 | |
KR10094153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346601Y1 (ko) |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 |
KR100497466B1 (ko) |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 |
KR100447628B1 (ko) | 카메라 장착 휴대폰 | |
KR200355888Y1 (ko) | 회전 카메라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
AU2007201325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 |
KR100672568B1 (ko) | 뷰 파인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468955B1 (ko) | 회전식 플래시를 내장한 휴대폰 | |
KR100652629B1 (ko) |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
KR100608831B1 (ko) | 카메라폰의 입사광 조절장치 | |
TWI421623B (zh) | 相機模組及使用該相機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 |
KR20060099855A (ko) | 휴대용 단말기 | |
KR20060099569A (ko) |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 |
KR20060064929A (ko) | 광학 뷰파인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40103534A (ko) | 카메라 내장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표시창을뷰파인더로 사용하는 방법 | |
KR20050080899A (ko) | 스위블형 폴더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