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327B1 -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5327B1 KR100605327B1 KR1020040039435A KR20040039435A KR100605327B1 KR 100605327 B1 KR100605327 B1 KR 100605327B1 KR 1020040039435 A KR1020040039435 A KR 1020040039435A KR 20040039435 A KR20040039435 A KR 20040039435A KR 100605327 B1 KR100605327 B1 KR 100605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reinforcing plate
- fixing unit
- fiber
- fiber reinfor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62—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anchoring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e.g. to avoid peeling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한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다수 개의 구멍(510)이 가공된 섬유보강판(500)의 일단이 정착구 몸체(310)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하여 제 3 정착구(300)를 만드는 단계;
(2) 섬유보강판(500)의 타단이 긴장구 몸체(391)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상기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하여 긴장구(390)를 만드는 단계;
(3) 보강대상 콘크리트구조물(700)에 고정정착부(900)와 긴장정착부(901)의 제 1 정착구(100)를 설치할 앵커홀과 제 2 정착구(200)를 설치할 앵커홀(702)을 각각 가공하고, 제 1 정착구(100)를 고정할 앵커볼트-A(120)를 앵커홀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
(4) 섬유보강판(500)의 일단에 결합된 제 3 정착구(300)를 고정정착부(900)의 제 2 정착구(200)가 고정될 앵커홀(702) 외측에 오도록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위치시키고, 섬유보강판(500)의 타단에 설치된 긴장구(390)를 긴장정착부(901)의 제 2 정착구(200)가 고정될 앵커홀(702) 외측에 오도록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위치시키고, 앵커홀(702)에 각각 제 2 정착구(200)의 매입부(211)를 삽입하는 단계;
(5) 제 2 정착구(200)의 너트(227)를 조여 앵커(225)를 앵커홀(702) 내면에 밀착시키고, 앵커홀(702) 입구를 밀봉제(611)로 밀봉한 후, 주입니쁠(224)을 통하여 열경화성 수지(610)를 앵커홀(702)내에 충전하여 경화하고, 주입니쁠(224)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
(6) 고정정착부(900)의 앵커볼트-A(120)에 제 1 정착구(100)이 볼트삽입구(110)를 삽입한 후, 고정정착부(900)의 제 3 정착구(300)가 제 2 정착구(200)에 밀착되도록 섬유보강판(500)을 당긴 후, 앵커볼트-A(120)에 너트(122)를 체결하고 완전히 조여 섬유보강판(500)을 콘크리트구조물(700)이 표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7) 긴장정착부(901) 제 2 정착구(200)의 외측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앵커홀(704)을 가공하고, 앵커볼트-A(124)를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앵커볼트-A(124)에 긴장장치(400)의 볼트삽입구(114)를 삽입하고 너트(122)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8) 섬유보강판(50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긴장구(390)를 긴장장치(400)의 긴장파지구(420)에 삽입하고, 유압실린더(430)를 작동하여 섬유보강판(500)을 긴장하는 단계;
(9) 목표 긴장력이 도입된 후, 긴장정착부(901)를 구성하는 제 1 정착구(100)의 볼트삽입구(110)를 앵커볼트-A(120)에 삽입하고 너트(122)를 체결하여 완전히 조여 섬유보강판(500)을 콘크리트 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10) 섬유보강판(500)의 타단에 설치된 긴장구(390) 부분을 잘라낸 후, 섬유보강판(500)에 다수 개의 구멍(510)을 가공한 후 정착구 몸체(310)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끼우는 단계;
(11) 정착구 몸체(310)를 제 2 정착구(200)에 밀착시키고,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하여 제 3 정착구(300)를 만드는 단계; 및,
(12) 고정정착부(900) 및 긴장정착부(901)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 3 정착구(300) 외측으로 빠져나온 섬유보강판(500) 부분의 상하면에 누름판(320)의 일면이 정착구 몸체(310)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하 누름판(320)의 볼트삽입구(113)로 볼트(321)를 삽입하고 너트(322)로 체결하는 단계;
상기 공법에서 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접하는 섬유보강판(500)에 접착제(600)를 도포하여 콘크리트구조물(700)과 접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경우 콘크리트구조물(700)과의 일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 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긴장된 섬유보강판(500)을 장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로서,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설치되며 섬유보강판(500)의 일측단부를 지지하는 고정정착부(900);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정착부(900)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섬유보강판(500)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는 긴장정착부(901);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정착부(900)와 상기 긴장정착부(901)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긴장정착부(901)를 지나 온 섬유보강판(500)에 일체로 결합되는 긴장구(390); 및,상기 긴장구(390)를 파지하여 당겨주는 긴장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고정정착부(900)와 상기 긴장정착부(901)는 각각,섬유보강판(500)을 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밀착고정하는 사각판 형상의 강재로 된 제 1 정착구(100);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강재로 되어 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제 2 정착구(200); 및,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 1 정착구(100) 및 상기 제 2 정착구(22)를 통과한 섬유보강판(500)이 내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열경화성 수지로 내부가 채워지는 사각 상자 형상의 강재로 된 제 3 정착구(300);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제 2 정착구(200)는,원기둥 형상의 2개의 매입부(211)와 상기 매입부(211)를 일체로 연결하는 육면체 형상의 1개의 노출부(212)로 구성된 ㄷ자 형상의 강재로 된 정착구 몸체(210); 및,상기 매입부(211) 각각의 하단부에서 중심을 관통하여 직상부의 상기 노출부(212) 상단부에 도달하도록 체결되는 앵커볼트-B(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매입부(211)는 콘크리트구조물(700)에 매립되고 상기 노출부(212)는 긴장된 섬유보강판(500)에 의하여 당겨지는 상기 제 3 정착구(300)를 지지하며,상기 앵커볼트-B(220)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을 이루며 확장되어 사각뿔대 형상을 이루는 앵커링부(222);상기 매입부(211)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앵커링부(222)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확장된 앵커링부 홈(228);상기 앵커링부 홈(228)에서 상기 매입부(211) 외측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앵커 삽입홈(226); 및,상기 앵커링부(222)의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앵커 삽입홈(226)에 삽입되는 앵커(2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2항에서,상기 앵커볼트-B(220)는 상기 앵커링부(222)의 상부에 볼트부(221)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볼트부(221)의 타단에는 주입니쁠(224)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볼트부(221)에 너트(227)가 노출부(212) 상부면 외측에 노출되도록 체결되고,상기 앵커(225)의 내측면은 상기 앵커링부(222)의 경사면의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링부(222) 경사면에 접하고, 상기 앵커(225)의 외측면은 콘크리트구조물(700)에 형성되는 앵커홀(702)의 내경에 대응하는 호 형상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앵커볼트-B(220)에 체결된 상기 너트(227)을 조여주면 상기 앵커링부(222)가 당겨져 상향이동하면서 상기 앵커(225)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앵커(225)의 외측면이 상기 앵커홀(702)의 내경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앵커볼트-B(220)는,상기 주입니쁠(224), 상기 볼트부(221), 상기 앵커링부(222)를 관통하는 주입관(223);이 중심을 따라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4에서, 상기 제 3 정착구(300)는,강판으로 된 사각 상자 형태의 정착구 몸체(310);상기 정착구 몸체(310)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섬유보강판(500)이 삽입되는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상기 정착구 몸체(310)의 후면 하단에 구비되어 섬유보강판(500)이 배출되는 섬유보강판 배출구(314);상기 정착구 몸체(310)의 일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312); 및,상기 정착구 몸체(320)의 일측면 하단에 구비되는 주입구(3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으로 삽입된 섬유보강판(500)이 상기 정착구 몸체(310)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 밖으로 빠져나오되, 상기 정착구 몸체(310)의 내부에 배열되는 섬유보강판(500) 부분은 다수 개의 구멍(510)이 가공된 상태로 삽입되고, 섬유보강판(500)이 상기 정착구 몸체(310)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상기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5항에서,상기 정착구 몸체(31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배열되어, 볼트삽입구(113)에 볼트(321)를 삽입하고 너트(322)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 밖으로 빠져 나온 섬유보강판(500)의 상하면을 압착하는 한 쌍의 누름판(320);이 더 구비되고,상기 정착구 몸체(310)의 바닥부(323)는 밀착되는 상기 누름판(3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6에서, 상기 제 1 정착구(100)는,섬유보강판(500)과 접하는 면에 섬유보강판(500) 긴장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다수 개의 일직선 홈과 상기 일직선 홈과 45도 각도를 이루는 일직선 홈으로 이루어진 홈(130)이 다수 개 서로 엇갈리게 가공되고, 섬유보강판(500)이 놓여지는 중심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종방향으로 볼트삽입구(110)가 다수 개 가공되어 콘크리트구조물(700)에 설치되는 앵커볼트-A(120)에 삽입되고, 너트(122)에 의해 고정되어 섬유보강판(500)을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긴장구(390)는,전면에 긴장장치(400)의 긴장파지구(420)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키(423)에 대응하는 톱니키(392)가 형성되는 강판으로 된 상자형태의 긴장구 몸체(391);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섬유보강판(500)이 삽입되는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후면 하단에 구비되어 섬유보강판(500)이 배출되는 섬유보강판 배출구(314);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일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312); 및,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일측면 하단에 구비되는 주입구(3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으로 삽입된 섬유보강판(500)이 상기 긴장구 몸체(391)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 밖으로 빠져나오되, 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내부에 배열되는 섬유보강판(500) 부분은 다수 개의 구멍(510)이 가공된 상태로 삽입되고, 섬유보강판(500)이 상기 긴장구 몸체(391)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상기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8항에서, 상기 긴장장치(400)는,상기 긴장구(390)을 파지하는 긴장파지구(420);후면프레임(411);상기 후면프레임(411)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긴장파지구(420)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430);상기 후면프레임(411)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유입실린더(4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긴장파지구(4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413);상기 긴장파지구(420)을 관통한 상기 가이드바(413)의 타측단부가 고정되는 전면프레임(410); 및,상기 전면프레임(410)과 상기 후면프레임(411)의 좌우측을 용접 또는 볼트로 일체로 연결하고, 콘크리트구조물9700)에 앵커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삽입구(114)가 다수 개 가공되어 있는 ㄱ자 형상의 측면프레임(4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9항에서,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배열되어, 볼트삽입구(113)에 볼트(321)를 삽입하고 너트(322)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 밖으로 빠져 나온 섬유보강판(500)의 상하면을 압착하는 한 쌍의 누름판(320);이 더 구비되고,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바닥부(323)는 밀착되는 상기 누름판(3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긴장파지구(420)는,상기 긴장구(390)을 파지하기 위하여 톱니키(392)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긴장구 몸체(391)의 외관에 대응하는 형상의 긴장구 홈(4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바(413)가 통과하는 가이드바 삽입구(421)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실린더 피스톤로드 삽입구(4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 제11항의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으로서,다수 개의 구멍(510)이 가공된 섬유보강판(500)의 일단이 정착구 몸체(310)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하여 제 3 정착구(300)를 만드는 단계;섬유보강판(500)의 타단이 긴장구 몸체(391)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상기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상기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하여 긴장구(390)를 만드는 단계;보강대상 콘크리트구조물(700)에 고정정착부(900)와 긴장정착부(901)의 제 1 정착구(100)를 설치할 앵커홀과 제 2 정착구(200)를 설치할 앵커홀(702)을 각각 가공하고, 제 1 정착구(100)를 고정할 앵커볼트-A(120)를 앵커홀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섬유보강판(500)의 일단에 결합된 제 3 정착구(300)를 고정정착부(900)의 제 2 정착구(200)가 고정될 앵커홀(702) 외측에 오도록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위치시키고, 섬유보강판(500)의 타단에 설치된 긴장구(390)를 긴장정착부(901)의 제 2 정착구(200)가 고정될 앵커홀(702) 외측에 오도록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위치시키고, 앵커홀(702)에 각각 제 2 정착구(200)의 매입부(211)를 삽입하는 단계;제 2 정착구(200)의 너트(227)를 조여 앵커(225)를 앵커홀(702) 내면에 밀착시키고, 앵커홀(702) 입구를 밀봉제(611)로 밀봉한 후, 주입니쁠(224)을 통하여 열경화성 수지(610)를 앵커홀(702)내에 충전하여 경화하고, 주입니쁠(224)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고정정착부(900)의 앵커볼트-A(120)에 제 1 정착구(100)이 볼트삽입구(110)를 삽입한 후, 고정정착부(900)의 제 3 정착구(300)가 제 2 정착구(200)에 밀착되도록 섬유보강판(500)을 당긴 후, 앵커볼트-A(120)에 너트(122)를 체결하고 완전히 조여 섬유보강판(500)을 콘크리트구조물(700)이 표면에 밀착시키는 단계;긴장정착부(901) 제 2 정착구(200)의 외측 콘크리트구조물(700) 표면에 앵커홀(704)을 가공하고, 앵커볼트-A(124)를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앵커볼트-A(124)에 긴장장치(400)의 볼트삽입구(114)를 삽입하고 너트(122)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섬유보강판(50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긴장구(390)를 긴장장치(400)의 긴장파지구(420)에 삽입하고, 유압실린더(430)를 작동하여 섬유보강판(500)을 긴장하는 단계;목표 긴장력이 도입된 후, 긴장정착부(901)를 구성하는 제 1 정착구(100)의 볼트삽입구(110)를 앵커볼트-A(120)에 삽입하고 너트(122)를 체결하여 완전히 조여 섬유보강판(500)을 콘크리트 면에 밀착시키는 단계;섬유보강판(500)의 타단에 설치된 긴장구(390) 부분을 잘라낸 후, 섬유보강판(500)에 다수 개의 구멍(510)을 가공한 후 정착구 몸체(310)를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끼우는 단계; 및,정착구 몸체(310)를 제 2 정착구(200)에 밀착시키고, 섬유보강판 인입구(313)와 섬유보강판 배출구(314)를 밀봉제로 밀봉한 후, 주입구(311)로 열경화성 수지(610)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경화하여 제 3 정착구(300)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제12항에서,고정정착부(900) 및 긴장정착부(901)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 3 정착구(300) 외측으로 빠져나온 섬유보강판(500) 부분의 상하면에 누름판(320)의 일면이 정착구 몸체(310)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하 누름판(320)의 볼트삽입구(113)로 볼트(321)를 삽입하고 너트(322)로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서,콘크리트구조물(700)의 표면에 접하는 섬유보강판(500)에 접착제(600)를 도포하여 콘크리트구조물(700)과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9435A KR100605327B1 (ko) | 2004-06-01 | 2004-06-01 |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9435A KR100605327B1 (ko) | 2004-06-01 | 2004-06-01 |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302A KR20050114302A (ko) | 2005-12-06 |
KR100605327B1 true KR100605327B1 (ko) | 2006-07-26 |
Family
ID=3728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94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327B1 (ko) | 2004-06-01 | 2004-06-01 |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532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5306A (ko) * | 2006-08-14 | 2008-02-19 | (주)미래아이에스이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보강공법 |
CN104196258A (zh) * | 2014-08-14 | 2014-12-10 |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基于光纤光栅传感技术的后张预应力智能加固体系 |
CN105332513A (zh) * | 2015-12-11 | 2016-02-17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曲面板式碳纤维板锚具张拉系统 |
CN105369985A (zh) * | 2015-12-11 | 2016-03-02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曲面板式碳纤维板锚具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0233B1 (ko) * | 2004-09-25 | 2006-05-16 | (주)엠프로 | 섬유판 긴장장치 |
KR100588333B1 (ko) * | 2004-11-23 | 2006-06-14 | (주)엠프로 | 외부 프리스트레싱용 섬유판 긴장장치 |
KR100677847B1 (ko) * | 2005-01-20 | 2007-02-02 | (주)엠프로 | 콘크리트구조물 프리스트레싱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보강방법 |
KR100693873B1 (ko) * | 2006-05-03 | 2007-03-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에프알피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 |
KR100748079B1 (ko) * | 2006-08-10 | 2007-08-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다중 에프알피 스트립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수/보강방법 |
CN106522578A (zh) * | 2016-11-29 | 2017-03-22 | 河北建筑工程学院 | 一种采用缠绕法对木柱进行预应力加固的方法 |
CN114875791B (zh) * | 2022-05-24 | 2024-02-06 | 宁波交通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大跨度抗裂缝盖梁的施工工艺 |
CN115653338B (zh) * | 2022-10-14 | 2024-05-17 | 重庆科技学院 |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9235A (ko) * | 2000-10-12 | 2002-04-18 | 박재만 | 섬유보강밴드를 이용한 긴장재 정착장치 |
KR200283097Y1 (ko) | 2002-04-15 | 2002-07-26 | (주)씨씨엘 코리아 |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와 탄소판 전용 플랫인장잭을 이용한 탄소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구조 |
US6584738B1 (en) | 1998-10-28 | 2003-07-01 | Leonhardt Andrä und Partner Beratende Ingenieure VBI GmbH | Clamping device for a band-shaped tensional member |
KR20040079129A (ko) * | 2003-03-06 | 2004-09-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비부착식 에폭시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시트 정착장치 |
KR20050073060A (ko) * | 2004-01-08 | 2005-07-13 | 주식회사 엠텍 | 섬유 유공강판 복합패널 연속 제조방법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철골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
-
2004
- 2004-06-01 KR KR1020040039435A patent/KR10060532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84738B1 (en) | 1998-10-28 | 2003-07-01 | Leonhardt Andrä und Partner Beratende Ingenieure VBI GmbH | Clamping device for a band-shaped tensional member |
KR20020029235A (ko) * | 2000-10-12 | 2002-04-18 | 박재만 | 섬유보강밴드를 이용한 긴장재 정착장치 |
KR200283097Y1 (ko) | 2002-04-15 | 2002-07-26 | (주)씨씨엘 코리아 |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와 탄소판 전용 플랫인장잭을 이용한 탄소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구조 |
KR20040079129A (ko) * | 2003-03-06 | 2004-09-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비부착식 에폭시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시트 정착장치 |
KR20050073060A (ko) * | 2004-01-08 | 2005-07-13 | 주식회사 엠텍 | 섬유 유공강판 복합패널 연속 제조방법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철골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5306A (ko) * | 2006-08-14 | 2008-02-19 | (주)미래아이에스이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보강공법 |
CN104196258A (zh) * | 2014-08-14 | 2014-12-10 |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基于光纤光栅传感技术的后张预应力智能加固体系 |
CN105332513A (zh) * | 2015-12-11 | 2016-02-17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曲面板式碳纤维板锚具张拉系统 |
CN105369985A (zh) * | 2015-12-11 | 2016-03-02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曲面板式碳纤维板锚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302A (ko) | 2005-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5327B1 (ko) |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 |
KR100641062B1 (ko) | 내력보강재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보강 시스템 및그 방법 | |
KR100589975B1 (ko) |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 |
CN110029594B (zh) | 一种利用多层预应力纤维布加固混凝土梁的施工方法 | |
CA3005009C (en) |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substrate in concrete structure | |
KR101522390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 |
US6219986B1 (en) | Method for reinforcing wall structure | |
KR100588333B1 (ko) | 외부 프리스트레싱용 섬유판 긴장장치 | |
KR101023882B1 (ko) | 와이어 긴장용 정착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긴장유지방법 | |
KR20060104253A (ko) | 콘크리트구조물 외부 프리스트레싱 이중 보강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장치 | |
KR20070003424A (ko) | 다각기둥 형상의 섬유보강플라스틱 텐던 및 그 정착구 | |
KR100695491B1 (ko) |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60126200A (ko) | 인장두 및 인장두가 형성된 섬유판을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외부 프리스트레싱 2중 보강공법 | |
JP5626836B2 (ja) | 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 |
KR100580233B1 (ko) | 섬유판 긴장장치 | |
JP2005155212A (ja) | 長繊維補強材緊張システム | |
KR100838739B1 (ko) | 중력식 철도교각의 내진성능 보강구조 및 그를 이용한보강공법 | |
KR10181815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 |
CN114737784A (zh) | 一种高强不锈钢绞线网增强ecc预紧力张拉加固构件及其施工方法 | |
JPH0953328A (ja) | 梁または柱の補強構造 | |
RU2468143C2 (ru) |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ое пролетное строение мос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KR20060117121A (ko) | 인장두가 형성된 섬유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 |
KR100965273B1 (ko) | 사면 보강장치를 이용한 사면 보강방법 | |
JP3041814B2 (ja) | 発進到達部の接合装置 | |
JP2563764B2 (ja) | コンクリート製外ケーブル定着体の固定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6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