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98520B1 -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20B1
KR100598520B1 KR1020050009391A KR20050009391A KR100598520B1 KR 100598520 B1 KR100598520 B1 KR 100598520B1 KR 1020050009391 A KR1020050009391 A KR 1020050009391A KR 20050009391 A KR20050009391 A KR 20050009391A KR 100598520 B1 KR100598520 B1 KR 10059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vehicle
absorbing
ins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적용되는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소음에 대한 흡차음 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은 EVA시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heet; 110)를 섭씨 200도로 가열된 금형(300)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EVA시트(110) 상에 펠트부재(120) 및 부직포(13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가압하여 차음부재(100)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S2)와;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 성형한 차음부재(100)를 발포금형(40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100)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0)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S3)와; 상기 발포성형단계(S3)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에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S4)로 구성되어,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음,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펠트, 부직포, 흡음, 금형, 발포, EVA가열단계, 프레스성형단계, 발포성형단계, 트리밍단계, 흡차음부재

Description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Sound absorbing-excluding elemen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ment}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흡차음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적용시 흡차음 시험결과를
도시하는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음부재 110 : EVA시트
120 : 펠트부재 130 : 부직포
200 : 흡음부재 300 : 금형
400 : 발포금형 S1 : EVA가열단계
S2 : 프레스성형단계 S3 : 발포성형단계
S4 : 트리밍단계
본 발명은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적용되는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소음에 대한 흡차음 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장치로써,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흡차음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이 차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흡차음부재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흡차음부재는 차량의 대시패널 내부에 적용되는 흡차음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상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클러치페달이며, 이러한 흡차음부재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20)와 소음을 차단하 는 차음부재(10)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시트 또는 HEAVY LAYER를 섭씨 200~220도로 가열시키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 이후, 가열된 EVA시트나 HEAVY LAYER를 진공금형(30)에 위치시켜 차음부재(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한 차음부재(10)를 발포금형(4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10)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10)와 흡음부재(20)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와; 상기 발포성형단계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10)와 흡음부재(20)에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조된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는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르나 통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2.5mm이며 비중 2.0 정도의 차음부재(10)와, 두께 20mm이며 밀도가 100Kg/㎥ 폴리우레탄 폼인 흡음부재(20)가 일체로 이루어져 차량에 조립됨으로써 차실 내부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는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항상 EVA시트나 HEAVY LAYER를 가열시키는 가열단계가 포함되어야 할 뿐 아니라, 성형된 흡차음부재의 차음부재 무게가 무거운 반면 흡차음 효율은 낮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립편의성 및 탑승객의 승차감이 저하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소음에 대한 흡차음 효율을 증대시켜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부품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어 차량의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은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시트를 섭씨 200도로 가열된 금형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EVA시트 상에 펠트부재 및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가압하여 차음부재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 프레스성형단계에서 성형한 차음부재를 발포금형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와 흡음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와; 상기 발포성형단계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와 흡음부재에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적용시 흡차음 시험결과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은 EVA시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heet; 110), 펠트부재(120), 그리고 부직포(130)를 적층시켜 차음부재(100)를 성형함으로써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동시에, 차음부재(100) 성형시 EVA시트(110)의 가열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 1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VA시트(110)를 섭씨 200도로 가열된 금형(300)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EVA시트(110) 상에 펠트부재(120) 및 부직포(13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가압하여 차음부재(100)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S2)와;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 성형한 차음부재(100)를 발포금형(40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100)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0)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S3)와; 상기 발포성형단계(S3)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에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S4)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 1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스성형단계(S2), 발포성형단계(S3), 그리고 트리밍단계(S4)로 이루어지며, 우선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는 EVA시트(110)를 미리 가열시킬 필요 없이 직접 섭씨 200도로 가열된 금형(300) 사이에 EVA 시트(110)를 위치시킨 후, 그 위에 펠트부재(120) 및 부직포(13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상기 금형(300)으로 가압함으로써 차음부재(100)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 차음부재(100)의 성형이 완료된 후 발포성형단계(S3)에서는, 발포금형(400) 내에 차음부재(100)를 위치시킨 후 그 위에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0)를 발포성형함으로써, 상기 차음부재(100) 및 흡음부재(200)는 일체로 성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음부재(200)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포성형단계(S3)에서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가 일체로 이루어진 흡차음부재가 성형된 후에는, 트리밍단계(S4)에서 흡차음부재의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게 되어 흡차음부재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 2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VA시트(110)를 섭씨 200도로 가열시키는 EVA가열단계(S1)와; 상기 EVA가열단계(S1) 이후, 가열된 EVA시트(110)를 금형(300)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EVA시트(110) 상에 펠트부재(120) 및 부직포(13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상온에서 상기 금형(300)을 가압하여 차음부재(100)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S2)와;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 성형한 차음부재(100)를 발포금형(40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100)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0)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S3)와; 상기 발포성형단계(S3)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에 모서 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S4)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 2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성형단계(S3) 및 트리밍단계(S4)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프레스성형단계(S2)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다르게 상온의 금형(300)으로 가압하여 EVA시트(110), 펠트부재(120), 그리고 부직포(130)로 이루어진 차음부재(100)를 성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 이전에 상기 EVA시트(110)를 섭씨 200도로 가열하기 위한 EVA가열단계(S1)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대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부재(100)의 구성이 EVA시트(110), 펠트부재(120), 그리고 부직포(130) 세 가지 재질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기존의 흡차음부재에 비하여 경량의 차음부재(100)가 적용되어 조립라인 상에서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성형된 차량용 흡차음부재는 밀도 200g/㎥의 부직포(130)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PP(Polypropylene) FIBER, 잡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밀도 1,000g/㎥의 펠트부재(120)와, 비중 1.5인 EVA시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차단시키고; 상기 흡음부재(200)는 밀도 95Kg/㎥인 두께 20mm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 서 바람직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를 차량의 대시패널에 적용하여 흡차음 시험을 수행한 결과, 도 8 및 도 9와 같이 검은 선으로 도시된 기존의 차량용 흡차음부재에 비하여 붉은 선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가 약 1~2dB 정도 소음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은 차음부재(100) 성형시 EVA시트(110)를 미리 가열하는 EVA가열단계(S1)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 공정이 축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완성된 차량용 흡차음부재의 무게가 크게 저감되어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흡차음 효율이 우수하여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소음에 대한 흡차음 효율을 증대시켜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부품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어 차량의 조립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EVA시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heet)(110)를 섭씨 200도로 가열된 금형(300)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EVA시트(110) 상에 펠트부재(120) 및 부직포(13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가압하여 차음부재(100)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S2)와;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 성형한 차음부재(100)를 발포금형(40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100)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0)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S3)와;
    상기 발포성형단계(S3)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에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S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
  2. EVA시트(110)를 섭씨 200도로 가열시키는 EVA가열단계(S1)와;
    상기 EVA가열단계(S1) 이후, 가열된 EVA시트(110)를 금형(300)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EVA시트(110) 상에 펠트부재(120) 및 부직포(13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상온에서 상기 금형(300)을 가압하여 차음부재(100)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S2)와;
    상기 프레스성형단계(S2)에서 성형한 차음부재(100)를 발포금형(40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차음부재(100) 상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의 흡음부재(200)를 발포성형하여 상기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를 일체로 성형하는 발포성형단계(S3)와;
    상기 발포성형단계(S3)에서 일체로 성형된 차음부재(100)와 흡음부재(200)에 모서리 및 홀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S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흡차음부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성형된 차량용 흡차음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100)는 밀도 200g/㎥의 부직포(130)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PP(Polypropylene) FIBER, 잡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밀도 1,000g/㎥의 펠트부재(120)와, 비중 1.5인 EVA시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차단시키고;
    상기 흡음부재(200)는 밀도 95Kg/㎥인 두께 20mm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흡차음부재.
KR1020050009391A 2005-02-02 2005-02-02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9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91A KR100598520B1 (ko) 2005-02-02 2005-02-02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91A KR100598520B1 (ko) 2005-02-02 2005-02-02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520B1 true KR100598520B1 (ko) 2006-07-10

Family

ID=3718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391A Expired - Lifetime KR100598520B1 (ko) 2005-02-02 2005-02-02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5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03B1 (ko) * 2014-03-28 2015-10-0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Eva층이 구비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20160005815A (ko) 2014-07-07 2016-01-18 (주)대한솔루션 폴리우레탄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KR20160068339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께 가변형 차음재를 포함하는 대시 분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119226B2 (en) 2014-01-21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felt
KR20190143576A (ko) 2018-06-21 2019-12-31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 및 흡차음 매트
KR20200028526A (ko) 2018-09-06 2020-03-1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자동차용 내장재
KR102731620B1 (ko) * 2023-07-27 2024-11-19 주식회사 용진유화 폴리우레탄 흡음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소음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52A (ja) * 1991-08-23 1993-03-02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インシユレータダツシユの製造方法
JPH0655967A (ja) * 1992-08-10 1994-03-01 Meiwa Ind Co Ltd 車両用遮音材の製造方法
KR0179184B1 (ko) * 1995-12-28 1999-05-15 김태구 자동차의 흡음재 제조방법
KR20010011398A (ko) * 1999-07-28 2001-02-15 김일근 자동차용 카페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52A (ja) * 1991-08-23 1993-03-02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インシユレータダツシユの製造方法
JPH0655967A (ja) * 1992-08-10 1994-03-01 Meiwa Ind Co Ltd 車両用遮音材の製造方法
KR0179184B1 (ko) * 1995-12-28 1999-05-15 김태구 자동차의 흡음재 제조방법
KR20010011398A (ko) * 1999-07-28 2001-02-15 김일근 자동차용 카페트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9226B2 (en) 2014-01-21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felt
KR101557803B1 (ko) * 2014-03-28 2015-10-0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Eva층이 구비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20160005815A (ko) 2014-07-07 2016-01-18 (주)대한솔루션 폴리우레탄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KR20160068339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께 가변형 차음재를 포함하는 대시 분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7764B1 (ko) * 2014-12-05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께 가변형 차음재를 포함하는 대시 분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43576A (ko) 2018-06-21 2019-12-31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 및 흡차음 매트
KR20200028526A (ko) 2018-09-06 2020-03-1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자동차용 내장재
KR102731620B1 (ko) * 2023-07-27 2024-11-19 주식회사 용진유화 폴리우레탄 흡음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소음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90298374A1 (en) Acoustic Composite and Twin-Shell Lightweight Trim Part Comprising Such a Composite
KR100920859B1 (ko) 자동차용 성형 부설 내장재
US8695758B2 (en) Soundproof sheet for vehicle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ash silencer for vehicles using soundproof sheet
KR101873835B1 (ko) 적어도 2 층의 컴포넌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컴포넌트
KR101835442B1 (ko) 차음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JP2009534241A5 (ko)
WO2002059870A1 (fr) Materiau insonorise pour vehicu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14514185A (ja) 断熱及び遮音用の成形された多層ライニング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30027A (ko) 흡음 성능이 향상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8520B1 (ko)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89230A1 (en) Acoustical insulation for motor vehicles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2647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다층구조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86236B2 (en) Sheet for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549060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JP4022568B2 (ja) 自動車用成形敷設内装材
JP2014159219A (ja) 車両用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
KR20150116487A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EP3095584A1 (en) A process of manufacturing twin-sheet foam air duct with sound absorbing interlayer
KR20240171298A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63256A (ko) 공정이 간소화된 pet폼 적용 자동차 러기지 사이드 트림 제조방법
KR20050022144A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KR20020091742A (ko) 차량용 인슐레이션의 복합재료 및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