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96504B1 - 디스펜서의 노즐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504B1
KR100596504B1 KR1020050072460A KR20050072460A KR100596504B1 KR 100596504 B1 KR100596504 B1 KR 100596504B1 KR 1020050072460 A KR1020050072460 A KR 1020050072460A KR 20050072460 A KR20050072460 A KR 20050072460A KR 100596504 B1 KR100596504 B1 KR 10059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liquid crystal
tube
dispenser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7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504B1/ko
Priority to TW095111654A priority patent/TWI289081B/zh
Priority to JP2006107456A priority patent/JP2007047739A/ja
Priority to CNB2006100760857A priority patent/CN100483224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5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23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coupled with a vibrating horn
    • B05B17/063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coupled with a vibrating horn having an internal channel for su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튜브와, 내부에 액정이 적하되는 관통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에 결합되는 팁과, 상기 팁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액정이 팁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막과, 상기 튜브와 팁에 구비되며 상기 팁을 통해 적하된 액정 방울이 도팅되는 대상물과 상기 튜브 또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팁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방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기판에 적하되는 액정의 양을 보다 미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고 일정하게 액정을 적하시키고 또한 전자 저울을 이용하여 액정의 적하량을 정확하게 계측 가능하게 됨으로써 액정 적하 공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의 노즐{NOZZLE OF DISPENSER}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디스펜서의 노즐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디스펜서의 노즐에서 액정이 적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노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노즐에서 액정이 적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튜브 41; 튜브의 관통 유로
50; 팁 52; 테이터부
53; 단부 54; 팁의 관통 유로
60; 역류방지막 70; 정전기 방전수단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 적하되는 액정의 양을 보다 미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고 일정하게 액정을 적하시키고 또한 전자 저울을 이용하여 액정의 적하량을 계측할 때 계측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는 판형 글라스에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동 소자들 등이 구비된 하부 기판과, 판형 글라스에 컬러 필터층 등이 구비된 상부 기판과, 그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접합시키는 실링재와, 그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엘시디는 하부 기판에 형성된 구동 소자들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구동하게 되며 그 액정 분자들의 구동에 의해 그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엘시디의 제작방법 중의 하나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글라스에 구동 소자들 등을 형성하여 기판을 제작하고, 다른 글라스에 컬러 필터층 등을 형성하여 다른 기판을 제작한다. 그리고 그 두 개의 기판들 중 하나의 기판에 실링재를 소정 형상의 패턴으로 적하하고 그 실링재의 내측 영역에 도트들을 배열한 형태의 패턴으로 액정 방울들을 적하한 다음 그 두 개의 기판을 합착한다. 이때 두 개의 기판이 합착되면서 그 패터닝된 액정 방울들은 두 기판사이에서 액정층을 형성하게 된다. 두 개의 기판을 합착한 것을 일명 마더 글라스 또는 마더 기판이라고 하며, 이하에서부터 마더 글라스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마더 글라스를 절단하여 엘시디를 구성하는 단위 액정 패널들을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작 방법은 각각의 기능을 갖는 제조 장비들이 배열된 제조 라인에서 진행된다. 상기 제조 장비들 중 액정을 적하하는 공정 및 실링재를 토출하는 공정은 디스펜서에 의해 진행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로 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액정을 적하하는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액정이 적하될 기판(100)이 프레임(200)위에 설치된 스테이지(300) 위에 놓여 지게 된다.
그리고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그 스테이지(300)위에 위치하는 헤드 유니트(400)가 움직이면서 그 헤드 유니트(400)를 구성하는 노즐(N)에서 액정이 적하된다.
상기 헤드 유니트(400)는 상기 프레임(200)위에 설치되는 헤드 지지대(500)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헤드 지지대(500)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200)에 한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헤드 지지대(500)는 스테이지(300)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지(300)는 상기 프레임(200)위에 설치된 고정 테이블(600)위에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스테이지(300)가 움직이는 방향은 상기 헤드 지지대(500)와 수직 방향이다.
상기 스테이지(300)와 헤드 지지대(500) 그리고 헤드 유니트(400)는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헤드 유니트(400)의 노즐(N)에서 액정이 적하되는 위치는 헤드 유니트(400)의 위치와 스테이지(300)의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상기 마더 글라스를 구성하는 두 개 기판사이의 간격은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매우 작으며 또한 그 두 개의 기판사이에 채워진 액정층의 두께도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매우 얇다. 만일 그 액정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될 경우 그 액정층을 투과하는 빛의 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 액정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한 액정 패널을 제품에 적용시 화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더 글라스의 액정층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상기 마더 글라스의 액정층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먼저 기판위에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미리 계산되어 설정된 양으로 적하되어야 한다. 즉, 기판위에 100개의 액정 방울을 적하할 경우 그 적하된 100개의 액정 방울들이 각각 설정된 양이 되어야 한다. 만일 그 적하된 100개의 액정 방울들이 각각 설정된 양이 아닐 경우 상기 액정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스는 헤드 유니트의 노즐(N)을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방울이 설정된 양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레임(200)의 일측에 그 액정 방울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 저울(700)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노즐(N)을 통해 적하된 액정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 적하된 액정의 무게를 측정한다.
즉, 상기 헤드 유니트의 노즐(N)을 통해 기판(100)위에 액정을 적하하기 전 그 헤드 유니트(400)를 전자 저울(700)위로 이동시켜 그 전자 저울(700)에 놓여진 측정 용기에 액정을 적하한 다음 그 적하된 액정 양을 측정하고 그 적하된 액정의 양이 설정된 양과 일치하게 되면 그 헤드 유니트(400)를 기판(100)위로 이동시켜 그 기판(100)에 액정을 적하하게 된다. 만일, 측정 용기에 적하된 액정의 양이 설정된 양과 일치하지 않게 되면 별도의 피드팩 시스템에 의해 헤드 유니트의 노즐(N)을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설정된 양과 일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한편, 액정이 적하되는 종래 디스펜서의 노즐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내경으로 관통된 연결관(10)과, 일정 내경으로 관통된 관통 유로(2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10)의 관통구멍(11) 일측에 압입되는 유입측관(20)과, 일정 내경으로 관통된 관통 유로(3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관통구멍(11) 타측에 압입되는 유출측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측관(20)의 한 쪽 끝면과 그에 대면되는 유출측관(30)의 한 쪽 끝면은 서로 접촉된다.
상기 유입측관(20)의 외경과 유출측관(30)의 외경은 서로 같으며, 상기 유입측관(20)과 유출측관(30)의 외경은 상기 연결관 관통구멍(11)의 내경과 같다. 그리고 상기 유입측관 관통 유로(21)의 내경이 상기 유출측관의 관통 유로(31)의 내경보다 크다.
상기 유출측관(30)의 양끝면은 그 유출측관(30)의 외주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상기 유출측관 관통 유로(31)의 출구 내경은 약 250 마이크로미터이고 그 끝면의 직경은 약 1600 마이크로미터이다.
상기 연결관(10)과 유입측관(20) 그리고 유출측관(30)은 액정과 반응하지 않는 테프론 재료이다.
상기 디스펜서 노즐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펜서에 구비된 액정 용기(미도시)내에 채워진 액정이 가압수단(미 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별도의 유로(미도시)를 통해 노즐측으로 유입된다. 그 노즉측으로 유입된 액정은 노즐의 유입측관의 관통 유로(21)와 유출측관의 관통 유로(31)를 통해 적하되며 그 적하된 액정은 기판위에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디스펜스 노즐은 액정과 반응하지 않는 태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성형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액정이 적하되는 유출측관 관통 유로(31)의 내경 및 유출측관(30)의 외경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노즐의 유출측관의 관통 유로(31)를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많게 될 뿐만 아니라 적하되는 액정이 유출측관(30)의 끝면에 맺혀있는 웨팅(Wetting)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측관의 관통 유로(31)를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많게 되어 보다 미세한 양의 액정을 적하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유출측관(30)의 끝면에 액정이 맺혀있는 웨팅 현상으로 인하여 적하된 액정의 양이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매번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정이 적하되는 노즐이 태프론 재질이므로 그 노즐과 스테이지 및 기타 부품사이에 정전기가 발생되어 그 정정기의 영향으로 노즐에서 적하되는 미세 액정 방울이 설정된 양으로 정확하게 적하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노즐이 태프론 재질이므로 상기 노즐(N)을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양을 전자 저울(700)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전자 저울(700)과 노즐(N)사이에 정전기가 발생되어 그 노즐(N)을 통해 적하되는 미세한 액정 방울의 양(무게)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적하되는 액정의 양을 보다 미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고 일정하게 액정을 적하시키고 또한 전자 저울을 이용하여 액정의 적하량을 계측할 때 계측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의 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튜브와, 내부에 액정이 적하되는 관통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에 결합되는 팁과, 상기 팁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액정이 팁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막과, 상기 튜브와 팁에 구비되며 상기 팁을 통해 적하된 액정 방울이 도팅되는 대상물과 상기 튜브 또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팁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방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튜브에 팁이 결합된다. 상기 튜브(4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액정이 유동하는 관통 유로(41)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40)는 액정과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그 일예로 튜브(40)는 태프론 재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팁(50)은 상기 튜브(40)의 관통 유로(41) 내경과 같은 외경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튜브(40)의 관통 유로(41)에 결합되는 결합부(51)와, 그 결합부(51)의 일측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테이퍼부(52)와, 그 테이퍼부(52)의 일측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외경이 일정하게 연장 형성되는 단부(53)와, 상기 결합부(51)와 테이퍼부(52) 그리고 단부(53)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유로(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팁(50)의 관통 유로(54)는 입구의 내경이 출구의 내경보다 크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즉, 결합부(51)측에서 단부(53)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52)와 단부(53)의 연결부분에 단차면(5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팁 관통 유로(54)의 출구 내경은 40 ~ 60 마이크로미터이며, 그 출구가 형성된 팁(50)의 끝면, 즉 단부(53)의 끝면 외경의 200 ~ 300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팁(50)은 액정과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형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팁(50)은 세라믹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팁(50)은 그 결합부(51)가 상기 튜브(40)의 관통 유로 일측에 압입됨에 의해 그 튜브(40)에 결합된다. 상기 팁(50)은 그 결합부(51)의 전체가 튜브(40)의 관통유로(41)에 삽입되며 그 테이퍼부(52)와 단부(53)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팁(50)의 끝부분에 액정이 팁(50)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막(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막(60)은 상기 팁(50)의 단부(53)에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막(60)은 태프론 재료로 형성된 테프론 코팅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프론 코팅막의 두께는 팁(50)의 테이퍼부(52)와 단부(53)의 연결부분에 형성된 단차면(55)의 높이(도면상)와 같게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막(60)의 외경은 700 ~ 9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튜브(40)와 팁(50) 등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방전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70)은 상기 튜브(40) 및 팁(50)의 외주면에 도체 재료로 코팅된 도체 코팅막으로 이루어진다. 도체 코팅막은 이엠아이(EMI) 도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체 코팅막은 다양한 도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70)의 다른 변형예로, 그 정전기 방전수단(70)은 상기 튜브(40)와 디스펜서의 일측을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소정 형상을 갖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도전성 연결부재는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헤드 유니트(40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은 액정이 적하되는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바디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방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즐 바디는 위에서 설명한 튜브(40)와 팁(50)으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양의 액정을 적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체 코팅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별도의 도전성 연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은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헤드 유니트(400)에 장착되어 그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액정 용기(미도시)와 별도의 유로(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액정 용기내부의 액정은 디스펜서에 구비된 가압수단(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유로를 통해 디스펜서 노즐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디스펜서 노즐측으로 유입된 액정은 튜브(40)의 관통 유로(41)와 팁(50)의 관통 유로(54)를 통해 유동하면서 그 팁 관통 유로(54)의 출구를 통해 적하된다. 상기 팁 관통 유로(54)의 출구를 통해 적하된 미세 액정 방울은 그 디스펜서 노즐의 아래에 놓여진 기판위에 점 형태로 놓이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의 노즐을 통해 적하되는 미세 액정 방울의 양이 설정된 양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그 디스펜서의 노즐을 통해 적하되는 미세 액정 방울을 그 디스펜서에 구비된 전자 저울(700)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만일, 전자 저울(700)에 의해 측정된 미세 액정 방울이 설정된 양과 일치하지 않게 되면 그 노즐을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양을 조절하여 설정된 양과 일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은 튜브(40)와 팁(50)을 액정과 반응하지 않는 태프론 재료와 세라믹 재료로 형성하게 되므로 액정과의 반응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팁(50)의 경우 성형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료로 형성하게 되므로 팁(50)의 관통 유로(54)의 출구 내경을 40 ~ 6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까지 미세한 크기로 성형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그 팁 단부(53)의 끝면 외경이 200 ~ 30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성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의 관통 유로(54)를 통해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보다 미세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액정이 그 팁 단부(53)의 끝면에 웨팅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상기 액정이 팁 단부(53)의 끝면에 웨팅되는 것이 작게 됨으로써 적하된 액정의 양이 설정된 양만큼 보다 정확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액정이 적하될 때마다 그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일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팁(50) 단부(53)의 끝면이 작을 경우 액정이 팁 단부(53)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오는 경향이 있으나 그 팁 단부(53)의 외주면에 역류방지막(60)이 구비되어 액정이 팁 단부(53)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오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역류방지막의 외경이 700 ~ 900 마이크로미터이고 팁 단부의 외경이 200 ~ 300 마이크로미터이며 팁 단부의 출구가 40 ~ 60 마이크로미터인 경우 액정이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액정이 웨팅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은 정전기를 방지하는 정전기 방전수단(70)이 구비되어 그 팁(50)의 관통 유로(54)를 통해 적하되는 미세 크기의 액정 방울이 정전기의 영향을 받지않게 되므로 그 팁(50)의 관통 유로(54)를 통해 적하되는 미세 크기의 액정 방울이 설정된 양으로 보다 정확하게 적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은 정전기를 방지하는 정전기 방전수단(70)이 구비되어 그 팁(50)의 관통 유로(54)를 통해 적하되는 미세 액정 방울의 양, 즉 무게를 전자 저울(700)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튜브(40)를 액정과 반응이 없는 재료 중의 하나인 태프론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그 튜브(40)와 전자 저울(700)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정전기로 인하여 미세 액정 방울의 양(무게)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수단(70)에 의해 튜브(40)와 전자 저울(700)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전시키게 되므로 그 팁(50)의 관통 유로(54)를 통해 적하되는 미세 액정 방울의 양(무게)을 전자 저울(700)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판(100)위에 설정된 양의 액정을 정확하게 적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 노즐은 보다 미세한 양의 액정 방울을 설정된 양으로 정확하게 적하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매번 액정이 적하될 때마다 그 적하되는 액정의 양이 일정하게 됨으로써 액정 적하 공정의 신뢰성을 높여 제품의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액정을 적하시키는 패턴의 설계가 보다 자유롭게 될 뿐만 아니라 액정층 두께의 설정이 보다 자유롭게 될 수 있다.
특히,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적하되는 미세한 액정의 양(무게)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판위에 적하되는 액정의 양을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게 적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액정 적하 공정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튜브와;
    내부에 액정이 적하되는 관통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에 결합되는 팁과;
    상기 팁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액정이 팁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막과,
    상기 튜브와 팁에 구비되며 상기 팁을 통해 적하된 액정 방울이 도팅되는 대상물과 상기 튜브 또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팁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방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재질은 태프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재질은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막은 태프론 코팅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막의 외경은 700 ~ 9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은 상기 튜브 및 팁의 외주면에 도체 재료로 코팅된 도체 코팅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코팅막은 이엠아이(EMI)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은 상기 튜브와 디스펜서의 본체를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끝부분에 테이퍼진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그 테이퍼부의 끝에 일정 외경으로 연장 형성된 단부가 구비되며, 그 단부에 상기 역류방지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 관통 유로의 출구 내경은 40 ~ 60 마이크로미터이며, 그 출구가 형성된 팁의 끝면 외경이 200 ~ 3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관통 유로는 입구의 내경이 출구의 내경보다 크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12. 액정이 적하되는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 도체 재료로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노즐 바디에서 적하된 액정 방울이 놓여지는 대상물과 상기 노즐 바디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도체 코팅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노즐.
KR1020050072460A 2005-08-08 2005-08-08 디스펜서의 노즐 Expired - Fee Related KR10059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460A KR100596504B1 (ko) 2005-08-08 2005-08-08 디스펜서의 노즐
TW095111654A TWI289081B (en) 2005-08-08 2006-03-31 Nozzle for dispenser for liquid crystal
JP2006107456A JP2007047739A (ja) 2005-08-08 2006-04-10 ディスペンサのノズル
CNB2006100760857A CN100483224C (zh) 2005-08-08 2006-04-27 用于液晶分配器的喷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460A KR100596504B1 (ko) 2005-08-08 2005-08-08 디스펜서의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504B1 true KR100596504B1 (ko) 2006-07-05

Family

ID=3718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4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6504B1 (ko) 2005-08-08 2005-08-08 디스펜서의 노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047739A (ko)
KR (1) KR100596504B1 (ko)
CN (1) CN100483224C (ko)
TW (1) TWI289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59B1 (ko) * 2009-03-10 2009-06-2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방울무게 설정방법 및 그 설정된 무게를 가진 액정방울을 단위패널영역에 토출시키는 방법
KR20120063294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노즐 팁
JP6112130B2 (ja) * 2015-03-25 2017-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静電ノズル、吐出装置及び半導体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8375854B (zh) * 2018-03-13 2021-06-18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液晶滴头和液晶滴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47739A (ja) 2007-02-22
TW200706263A (en) 2007-02-16
CN100483224C (zh) 2009-04-29
CN1912718A (zh) 2007-02-14
TWI289081B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234B1 (ko) 액제 토출 디스펜서
US5364011A (en) Micro soldering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1322772B1 (ko) 규모조정이 가능한 액적 사출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09113025A (ja) 高粘度液体用液滴吐出装置
JP6806789B2 (ja) デジタル分注のためのモノリシックキャリア構造
CN112937122B (zh) 一种均匀喷射的电喷印喷头及系统
WO2015178239A1 (ja) 微量液体流出方法および微量液体ディスペンサ
KR100596504B1 (ko) 디스펜서의 노즐
WO2002053297A1 (fr) Embout buccal et dispositif, et procede d'application d'un fluide de revetement
KR100782539B1 (ko) 슬릿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도포 장치
JP2016000392A (ja) 微量液体滴下方法および微量液体ディスペンサ
KR100766444B1 (ko) 슬릿 노즐의 폭방향 토출 균일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1432142B (zh) 打印头模块
KR101665051B1 (ko) 액정 무게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JP2000329771A (ja) 分注装置
US20190184419A1 (en) Microvolume-liquid application method and microvolume-liquid dispenser
CN102540584A (zh) 喷嘴头
KR102131021B1 (ko) 액체 저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체 디스펜싱 장치
KR101243783B1 (ko) 액정 적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적하 방법
JP4797448B2 (ja) 液体吐出装置
JP7257234B2 (ja) ノズル保護板、ノズルプレート、液体噴出ヘッド、及びノズル保護板の製造方法
JP6185510B2 (ja) 微量液体ディスペンサ
US7222946B2 (en) Ink jet head and droplet ejection device having same mounted thereon
KR20130085172A (ko) 액정 적하용 노즐
KR102658663B1 (ko) 유연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