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94752B1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52B1
KR100594752B1 KR1020040100126A KR20040100126A KR100594752B1 KR 100594752 B1 KR100594752 B1 KR 100594752B1 KR 1020040100126 A KR1020040100126 A KR 1020040100126A KR 20040100126 A KR20040100126 A KR 20040100126A KR 100594752 B1 KR100594752 B1 KR 10059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mountains
fixture
bone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415A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김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찬 filed Critical 김정찬
Priority to KR102004010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매식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에 있어서,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구비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제1요철부와,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가 상기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더 큰 제2요철부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픽스츄어의 길이와 직경을 늘리지 않고서도 주변골과의 유착면을 증가시키고 주변골 조직에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켜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주변골의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치과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시술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보다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교번(交番), 교대요철부, 마이크로 나사산, 매크로 나사산, 골유착, 응력의 균등분배, 골붕괴, 골파괴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Dental Implant Fixture}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0 : 몸통부
11 : 교대요철부 13 : 제1요철부
15 : 제2요철부 17 : 하단부
18a, 18b, 18c : 셀프 태핑홈 20 : 관형부
21 : 미세요철부 23 : 상단부
30 : 내측구멍 31 : 상부원추관형부
33 : 중간부 35 : 하부원추관형부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매식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악 치조골(이하, '치조골'이라 약칭한다)(107)에 매식되는데,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우선 픽스츄어(Fixture)(101)라는 인공치근을 자연치아의 뿌리처럼 뼈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고, 골유착시킨 후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1)에 인공치관 지지구조(abutment)(미도시)를 연결시키고 그 위에 인공치관(105)을 장착하면 임플란트 인공치아 완성된다. 이때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1)는 골 밀도가 높은 치밀골(107a)을 통과하여 골 밀도가 낮은 해면골(107b)로 매식된다.
한편, 치조골(107)에 매식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1)는, 치주인대를 통해 골조직과 결합되는 자연치아와는 달리 골조직에 직접 유착됨으로써 골에 대한 생리적인 움직임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 받는 하중(저작압)이 주변골(107a, 107b)에 고스란히 전달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하중을 고스란히 받는 주변골(107a, 107b)에는 큰 응력이 발생된다. 특히, 골 밀도가 높고 단단한 치밀골(107a)에는 재질의 특성상 더 큰 응력이 발생되며, 이 같은 큰 응력이 치밀골(107a)에 지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골붕괴와 골파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골(107a, 107b)의 응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으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1)의 길이와 직경을 길고 굵게 하여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1)의 매식 깊이와 주변골(107a, 107b)과의 유착면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생된 응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키면서 유착효율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방법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1)의 길이와 직경을 무한정 증가시킬 수 없는 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우선 골로부터 정점까지 측정되어진 피크들의 높이가 0.2mm 이하의 나사산(이하, '마이크로 나사산(micro threads)'이라 한다)을 전체 길이에 형성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국제공개번호 제WO94/07428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 나사산의 높이가 낮으므로 치조골에 드릴링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매식홀을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제대로 유착될 수 있는데, 매식홀이 원하는 직경보다 작게 가공되면 매식이 곤란하고 크게 가공되면 유착 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등 치과의사가 시술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골 밀도가 높고 단단한 치밀골에는 재질의 특성상 더 큰 응력이 발생되는 점에 착안하여, 해면골에 접합되는 부분에는 마이크로 나사산(micro threads)을 형성하고 치밀골에 접합되는 부분에는 이보다 크기가 큰(대략 0.3mm 내지 0.6mm) 나사산(이하, '매크로 나사산(macro threads)'이라 한다)을 형성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71941호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83157호 등에 개시되어, 치밀골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저감시켜줌으로써 치밀골의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경우에서도 해면골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여전히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있어서는,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하도록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키기 위하여 픽스츄어의 전체 길이를 따라 마이크로 나사산을 형성하게 되면, 치조골 내에 구멍을 정밀하게 가공해야 하는 등 치과의사가 시술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만약 치밀골에 접합되는 부분에만 마이크로 나사산을 형성하게 되면 해면골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하는데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면골에 접합되는 부분에는 매크로 나사산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자에 따라 치과의사가 적절한 시술방식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있어서는, 상단부가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접촉면적을 넓힘으 로써 골유착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거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픽스츄어를 매식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을 요구하도록 하여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상단부에 마이크로 나사산이 형성될 뿐만아니라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치조골로 완전히 매식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완전히 매식되지 못하게 되거나 매식되는데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픽스츄어의 길이와 직경을 늘리지 않고서도 주변골과의 유착면을 증가시키고 주변골 조직에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켜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주변골의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치과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시술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보다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완전히 매식시키는 것을 종래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치조골에 매식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에 있어서,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 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구비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제1요철부와,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가 상기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더 큰 제2요철부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의 제2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상기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0.5mm 내지 0.05mm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의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0.02mm 내지 0.2mm이며, 상기 몸통부의 제2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0.25 내지 0.6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삿니 측면도의 나삿니 요소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산들을 가지고 있는 나삿니 프로파일에 의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관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형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상기 몸통부의 제2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관형부와 상기 몸통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드(lead)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관형부에서 인접한 산들의 피크들 사이의 축방향 간격은, 상기 몸통부의 제1요철부의 산의 피크와, 상기 제1요철부의 산에 인접한 제2요철부의 산의 피크 사이의 축방향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형부는 나삿니 측면도의 나삿니 요소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산들을 가지고 있는 나삿니 프로파일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관형부의 나사는 이중나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형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0.02mm 내지 0.2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형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관형부의 외경은 상기 몸통부의 외경보다 0.05mm 내지 1mm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형부는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는,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구비하는 몸통부(10)와, 몸통부(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형부(20)를 구비한다. 몸통부(10)는,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제1요철부(13)와,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2)가 제1요철부(13)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h1) 더 큰 제2요철부(15)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1, h2)가 상호 다른 제1요철부(13)와 제2요철부(15)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는 치조골에 매식되는데, 이를 자연치아의 뿌리처럼 치조골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고, 골유착 후 여기에 인공치관 지지구조(abutment)(미도시)를 연결시키고 그 위에 인공치관(미도시)을 장착하여 임플란트 인공치아를 완성시키게 된다. 이때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는, 일반적으로 몸통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치조골의 골 밀도가 낮은 해면골에 접촉되고 관형부(20)는 치조골의 골 밀도가 높은 치밀골에 접촉되도록 매식되어 골유착된다. 그리고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는 통상 순수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 또는 다른 인체 거부반응이 없는 금속이나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몸통부(10)는 교대요철부(11)와, 교대요철부(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부(17)를 갖는다. 교대요철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제1요철부(13)와,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2)가 제1요철부(13)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1)보다 더 큰 제2요철부(15)가 상호 교번(交番)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몸통부(10)의 제1요철부(13)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1)는 0.02mm 내지 0.2mm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몸통부(10)의 제2요철부(15)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2)는 0.25 내지 0.6mm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10)의 제2요철부(15)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2)는 제1요철부(13)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1)보다 0.5mm 내지 0.05mm 더 크며,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0.15mm 더 크다. 또한, 제1요철부(13)와 제2요철부(15)는 나삿니 측면도의 나삿니 요소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산들을 가지고 있는 나삿니 프로파일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요철부(13)와 제2요철부(15)는 나사산의 높이가 다른 나사이며, 따라서 몸통부(10)의 교대요철부(11)는 나사산의 높이가 상호 다른 나사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배치되는 다중나사로서 본 실시 예에서처럼 후술할 관형부(20)가 이중나사인 경우에는 교대요철부(11)의 제1요철부(13)와 제2요철부(15)는 한줄 나사로서 결과적으로 교대요철부(11)는 나사산의 높이가 서로 다른 나사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배치되는 이중나사인 것이다.
몸통부(10)가 이와 같이 나사산의 높이가 서로 다른 나사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즉 몸통부(10)에 나사산의 높이가 낮은 나사도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몸통부(10)에 인접한 치조골의 해면골 조직과의 유착면을 증가시키고 인접한 치조골의 해면골 조직에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큰 응력 집중을 회피하도록 하여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 게 된다. 또한 몸통부(10)에 제1요철부(13)와 제2요철부(15)가 모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술 시 치과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시술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대요철부(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부(17)는 픽스츄어(1)가 치조골의 구멍 내로 삽입이 쉽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교대요철부(11)와 하단부(17)에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가 치조골의 구멍에 삽입될 때 셀프 탭핑을 위해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 세 개의 셀프 태핑홈들(18a, 18b, 18c)을 갖는다.
한편 몸통부(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형부(20)는,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미세요철부(21)와, 미세요철부(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부(23)를 갖는다. 관형부(20)의 미세요철부(21)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3)는 몸통부(10)의 제2요철부(15)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2)보다 낮으며, 몸통부(10)의 제1요철부(13)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1)와 대략 유사하나, 즉 관형부(20)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3)는 0.02mm 내지 0.2mm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몸통부(10)의 제1요철부(13)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h1)와 동일하게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형부(20)와 몸통부(1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피치, 보다 정확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드(lead)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며, 또한, 관형부(20)에서 인접한 산들의 피크들 사이의 축방향 간격(d2)은, 몸통부(10)의 제1요철부(13)의 산의 피크와, 제1요철부(13)의 산에 인접한 제2요철부(15)의 산의 피크 사이의, 축방향 간격(d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처럼 몸통부(10)가 각각 한줄 나사인 제1요철부(13)와 제2요철부(15)로 이루어진 두줄나사 즉 이중나사인 경우 관형부(20)는 미세요철부(21)가 두줄 나사 즉 이중나사이며, 몸통부(10)가 한줄나사인 제2요철부(15)와 그 제2요철부(15) 사이에 배치되는 이중나사인 제1요철부(13)로 형성되는 경우 관형부(20)는 삼중나사 즉 세줄 나사로 구성할 수 있다.
관형부(20)는 나삿니 측면도의 나삿니 요소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산들을 가지고 있는 나삿니 프로파일에 의해 마련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관형부(20)의 나사는 이중나사이나 삼중나사, 사중나사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형부(20)와 몸통부(10)에서 인접한 나삿니 사이에 형성된 각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관형부(20)와 몸통부(10)의 나삿니는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형부(20)의 미세요철부(21)는 몸통부(10)의 제2요철부(15)의 나삿니보다 작으므로 더 단단하며, 이로 인하여 주변골 조직 특히 치밀골에 부하를 더욱 골고루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형부(20)는 원통형이며, 관형부(20)의 외경은 몸통부(10)의 외경보다 0.05mm 내지 1mm 더 크도록,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0.3mm 더 크도록 구성된 다. 즉 관형부(20)의 외경과 몸통부(10)의 외경의 차이(h4)는 바람직하게 0.2mm 내지 0.3mm 되도록 구성된다. 골유착 증진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종래의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는 관형부(20)가 대부분 원추형인데, 원추형의 형상으로 인하여 매식의 마지막 단계에서 많은 하중을 요하게 되고 따라서 실제 시술 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의 관형부(20)가 치조골의 치밀골로 완전히 매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관형부(20)를 원통형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종래 보다 용이하게 매식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신에 관형부(20)의 외경을 몸통부(10)의 외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치조골의 치밀골에 골유착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의 내부에는 길이를 따라 관통하지는 않지만 상단에서부터 몸통부(10)의 중앙영역을 지나서까지 마련된 내측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구멍(30)은 인공치관을 지지하기 위한 인공치관 지지구조(abutment)를 수용하게 된다. 내측구멍(30)은 상부원추관형부(31)와, 암나사가 형성되는 하측원추관형부(35)와, 그 사이에 있는 중간부(33)를 갖는다. 인공치관 지지구조(abutment)는 내측구멍(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측원추관형부(35)의 암나사가 형성된 부분과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의 길이는 임상 상황에 따라 8mm 내지 19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몸통부(10)의 외경으로 3.5mm 또는 4.0mm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를 자 연치아의 뿌리처럼 뼈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는데, 몸통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치조골의 골 밀도가 낮은 해면골에 접촉되고 관형부(20)는 치조골의 골 밀도가 높은 치밀골에 접촉되도록 매식되어 골유착되며, 골유착 후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에 인공치관 지지구조(abutment)(미도시)를 연결시키고 그 위에 인공치관을 장착하면 임플란트 인공치아 완성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2요철부(15) 사이에 제1요철부(13)가 한줄 나사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제2요철부(15) 사이에 제1요철부(13)가 2줄 나사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동일한 피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관형부(20)의 미세요철부(21)가 이중나사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관형부(20)의 미세요철부(21)는 삼중나사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몸통부(10)의 제1요철부(13), 제2요철부(15), 그리고 관형부(20)의 미세요철부(21)가 나사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제1요철부(13), 제2요철부(15), 그리고 관형부(20)의 미세요철부(21)의 산과 골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비드(beads)를 형성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그루브(groove)를 형성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가 몸통부(10)와 관형부(20)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는 제1요철부(13) 및 제2요철부(15)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형성된 몸통부(10) 만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츄어의 길이와 직경을 늘리지 않고서도 주변골과의 유착면을 증가시키고 주변골 조직에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켜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주변골의 골붕괴와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치과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시술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보다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또한, 치조골의 치밀골에 접합되는 관형부를 원통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완전히 매식시키는 것을 종래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치조골에 매식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에 있어서,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구비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제1요철부와,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가 상기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더 큰 제2요철부가 상호 교번(交番)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제2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상기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0.5mm 내지 0.05mm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제1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0.02mm 내지 0.2mm이며, 상기 몸통부의 제2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0.25 내지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 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삿니 측면도의 나삿니 요소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산들을 가지고 있는 나삿니 프로파일에 의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피크를 가지며 골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산들을 포함하는 관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형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상기 몸통부의 제2요철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관형부와 상기 몸통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드(lead)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에서 인접한 산들의 피크들 사이의 축방향 간격은, 상기 몸통부의 제1요철부의 산의 피크와, 상기 제1요철부의 산에 인접한 제2요철부의 산의 피크 사이의 축방향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는 나삿니 측면도의 나삿니 요소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산들을 가지고 있는 나삿니 프로파일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관형부의 나사는 이중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의 골로부터 피크까지 측정되어진 산들의 높이는 0.02mm 내지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관형부의 외경은 상기 몸통부의 외경보다 0.05mm 내지 1mm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0. 제5항에 있어서,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형부는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040100126A 2004-12-02 2004-12-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59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26A KR100594752B1 (ko) 2004-12-02 2004-12-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26A KR100594752B1 (ko) 2004-12-02 2004-12-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158U Division KR200377963Y1 (ko) 2004-12-02 2004-12-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415A KR20060061415A (ko) 2006-06-08
KR100594752B1 true KR100594752B1 (ko) 2006-06-30

Family

ID=3715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126A KR100594752B1 (ko) 2004-12-02 2004-12-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7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058A2 (ko) * 2009-01-23 2010-07-2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91588B1 (ko) * 2009-06-08 2011-12-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815463C1 (ru) * 2023-04-05 2024-03-18 Иван Михайлович Байриков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дюбельной систем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86B1 (ko) * 2007-08-13 2009-04-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857425B1 (ko) * 2007-10-22 2008-09-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픽스츄어
KR100860356B1 (ko) * 2007-12-06 2008-09-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WO2009142429A2 (ko) * 2008-05-19 2009-11-26 오스템임플란트(주)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058A2 (ko) * 2009-01-23 2010-07-2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085058A3 (ko) * 2009-01-23 2010-11-2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15193B1 (ko) * 2009-01-23 2011-02-1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91588B1 (ko) * 2009-06-08 2011-12-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815463C1 (ru) * 2023-04-05 2024-03-18 Иван Михайлович Байриков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дюбельной систем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415A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KR1009817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N100588377C (zh) 骨内植入体
CN110944598B (zh) 牙科连接系统
US20100304335A1 (en) Post-extraction dental implant
EP3453358B1 (en) Improved tissue level implant
KR20160126082A (ko) 치과 임플란트
KR20038136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90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2097376B1 (ko)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KR100894986B1 (ko)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386050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77963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599229B1 (ko) 미세 커팅 엣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JP545004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864085B1 (ko) 임플랜트시스템
TW201236652A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