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71638B1 -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 Google Patents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638B1
KR100571638B1 KR1020040083280A KR20040083280A KR100571638B1 KR 100571638 B1 KR100571638 B1 KR 100571638B1 KR 1020040083280 A KR1020040083280 A KR 1020040083280A KR 20040083280 A KR20040083280 A KR 20040083280A KR 100571638 B1 KR100571638 B1 KR 10057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variable capacitance
band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8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6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그 각각에 전원을 입력하되, 각각 CDMA 모드 또는 GPS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H/L)에 따라 일측 가변 용량 다이오드의 연결라인을 개방 또는 단락함에 의해, 상기 두 가변 용량 다이오드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합성신호의 주파수 밴드가 두 개의 주파수 밴드를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밴드 스위칭(Band Switching) 방식을 통해 원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최적의 CDMA 및 GPS를 위한 국부 전력(Local Power)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용량 다이오드의 허용 범위내에서 다양한 대역의 국부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comprising two variable capacitance diodes and inputting power to each of them, a control signal (H / L) indicating a CDMA mode or a GPS mode, respectively. By opening or shorting the connection line of the one side variable capacitance diode, the frequency band of the composite signal output by the two variable capacitance diode operation to have two frequency bands to implement the desired band switching (Band Switching) method In addition to obtaining local power for optimal CDMA and GPS corresponding to frequency, local power in various bands can be obtain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전압 제어 발진기(VCO), 이동통신 단말기, CDMA, GPS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VCOs), Mobile Terminals, CDMA, GPS

Description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도 1 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요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파수 합성기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synthesiz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 은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VCO)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제어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trol unit

120a : RF 수신 모듈 120b : RF 송신 모듈120a: RF reception module 120b: RF transmission module

130 : 주파수 합성기 131 : 위상 검출기130: frequency synthesizer 131: phase detector

132 : 루프 필터 133 : 전압 제어 발진기132 loop filter 133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3a : 제 1 전원 입력부 133b : 제 2 전원 입력부133a: first power input unit 133b: second power input unit

133c : 증폭부 133d : 스위치부133c: amplifier 133d: switch

134 : 분주기 140 : 듀플렉서134: frequency divider 140: duplexer

150 : 표시부 160 : 조작부150: display unit 160: operation unit

170 : 음성처리부 180 : 스피커170: voice processing unit 180: speaker

190 : 마이크190: microphone

본 발명은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을 변화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초고주파를 발진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 : Voltage Control Oscillator)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ltage control oscillator (VCO) for oscillating an ultra-high frequency of a desired frequency by changing a voltage.

도 1 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와, RF 수신 모듈(120a)과, RF 송신 모듈(120b)과, 주파수 합성기(130)와, 듀플렉서(140)와, 표시부(150)와, 조작부(160)와, 음성처리부(170)와, 스피커(180)와, 마이크(190) 및 메모리(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RF receiving module 120a, an RF transmitting module 120b, a frequency synthesizer 130, a duplexer 140, and a display unit. 150, an operation unit 160, an audio processing unit 170, a speaker 180, a microphone 190, and a memory 200.

상기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을 제어하며, 퀄컴사의 MSM(Mobile Switching Modem)이 주로 사용된다.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SM (Mobile Switching Modem) of Qualcomm is mainly used.

상기 RF 수신 모듈(120a)은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수신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RF 수신 모듈(120a)은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와, 신호 증폭을 위한 저잡음 증폭기(LNA)와,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하향 변환기 등을 포함한다. The RF receiving module 120a receives a voice or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F receiving module 120a includes a filter for removing a desired out-of-band unwanted signal. And a low noise amplifier (LNA) for signal amplification, a frequency downconverter for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and the like.

RF 송신 모듈(120b)은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신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RF 송신 모듈(120b)은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HPA)와, 고출력 송신 신호가 되돌아 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Isolator)와,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와, 주파수를 상향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상향 변환기 등을 포함한다.The RF transmission module 120b transmits a voice or data signal to a base sta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F transmission module 120b includes a power amplifier (HPA)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signal, an isolator for preventing a high power transmission signal from being returned, and a desired out-of-band unwanted signal. A filter for removing, and a frequency upconverter for upconverting the frequency.

상기 주파수 합성기(130)는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 신호로 사용되는 신호를 생성한다.The frequency synthesizer 130 generates a signal used as a local signal of frequency up / down conversion.

상기 듀플렉서(140)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준다.The duplexer 140 separat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using one antenna.

상기 표시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이용된다.The display unit 150 outputs various scree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ypic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used.

상기 조작부(16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키 입력을 받는다.The operation unit 160 receives various key inputs from a user.

상기 음성처리부(170)는 스피커(18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 및 마이크(19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The voice processor 170 processes a voice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180 and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90.

상기 메모리(20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타를 저장한다.The memory 200 stores various data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파수 합성기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synthesiz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주파수 합성기(130)로는 보통 PLL(Phase Locked Loop) 회로가 사용되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상 검출기(131)와, 루프 필터(132)와, 전압 제어 발진기(133)와, 분주기(134)를 포함한다.A phase locked loop (PLL) circuit is generally used as the frequency synthesizer 130. As shown in the drawing, a phase detector 131, a loop filter 132,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3, and a divider ( 134).

상기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131)는 궤환(Feedback)된 출력신호(Vout) 를 입력신호(Vin)와 비교하여 출력신호(Vout)가 일정한 값이 될 수 있도록 입력되는 두 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The phase detector 131 compares the fed back output signal V out with the input signal V in to output the output signal V out to a constant valu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hase difference is generated.

상기 루프 필터(Loop Filter)(132)는 상기 위상 검출기(131)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며, PLL 회로의 동기 특성 및 응답 특성을 결정한다.The loop filter 132 removes a high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ase detector 131 and determines a synchronization characteristic and a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PLL circuit.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133)는 상기 루프 필터(132)로부터 출력된 제어전압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의 고주파를 발진시켜 출력신호(Vout)를 출력한다.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133 oscillates a high frequency of a desir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control voltage output from the loop filter 132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V out .

상기 분주기(134)는 궤환된 출력신호(Vout)를 분주하여 상기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의 입력신호로 출력한다.The divider 134 divides the feedbacked output signal V out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as an input signal of the phase detector.

따라서, 상기 PLL 회로는 궤환(Feedback)된 출력신호(Vout)를 입력신호(Vin)와 비교하여 출력신호(Vout)가 일정한 값으로 출력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PLL circuit compares the fed back output signal V out with the input signal V in to output the output signal V out at a constant value.

도 3 은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VCO)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도면에 도시한 전압 제어 발진기(VCO)는 인덕터(L1)과 가변용량 다이오드(D1)가 LC 공진 회로를 이룬다. 따라서, 입력전압(Vcc)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의 용량값(Capacitance)이 변할 때, 가변되는 전체 용량값와 고정된 전체 인덕턴스(Inductance)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주파수 가변성이 뛰어난 출력신호(Vout)를 얻게된다.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shown in the figure, the inductor L1 and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form an LC resonant circuit. Therefore, when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varies depending on the input voltage V cc , the resonance frequency is changed by the variable total capacitance and the fixed inductance. An excellent output signal V out is obtained.

출력측 캐패시터(C1)는 전체 용량값 변동에 기여하며, 증폭 트랜지스터(T1)는 입력전압(Vcc)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의 고주파를 발진시킨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신호(Vout)로 출력한다.The output capacitor C1 contributes to the change in the overall capacitance value, and the amplifying transistor T1 amplifies a signal having oscillated high frequency of a desir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V cc and outputs it as an output signal V out .

기존의 전압 제어 발진기(VCO)는 주로 '주파수 더블러'나 '버퍼'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드에 맞는 국부 전력(Local Power)을 출력하는데 이용되었다. 최근 퀄컴 칩셋(Qualcomm Chipset)은 GPS 전압 제어 발진기(VCO)를 포함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퀄컴 칩셋(Qualcomm Chipset)이 아닌 GPS 전압 제어 발진기(VCO)를 미포함하는 칩셋에 GPS 기능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CDMA와 GPS를 위한 전압 제어 발진기(VCO)를 각각 적용하던지 아니면 듀얼 밴드(Dual Band)로 구현해야 한다.Conventional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VCOs) are mainly used to output local power for each mode using 'frequency doubler' or 'buffer'. Recently, Qualcomm Chipsets include GPS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VCOs). However, if you want to apply the GPS function to a chipset that does not include a Qualcomm Chipset but a GPS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you can appl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for CDMA and GPS, or dual band. ).

따라서, 본 발명자는 CDMA 모드와 GPS 모드를 동시에 구비한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a CDMA mode and a GPS mode at the same tim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CDMA 모드와 GPS 모드를 동시에 구비한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under the above-described objec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both a CDMA mode and a GPS mod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두 개의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그 각각에 전원을 입력하되, 각각 CDMA 모드 또는 GPS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H/L)에 따라 일측 가변 용량 다이오드의 연결라인을 개방 또는 단락함에 의해, 상기 두 가변 용량 다이오드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합성신호의 주파수 밴드가 두 개의 주파수 밴드를 갖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variable capacitance diodes to input power to each, respectively, CDMA By opening or shorting the connection line of one variable capacitance diod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H / L) indicating a mode or a GPS mode, the frequency band of the synthesized signal output by the two variable capacitor diodes is divided into two frequency bands. It is made into the technical feature to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CDMA 모드와 GPS 모드를 동시에 구비한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a CDMA mode and a GPS mode at the same tim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파수 혼합기 등에 채용 가능하며, 두 개의 가변 용량 다이오드(D1, D2)를 구비하여 그 각각에 전원을 입력하되, 각각 CDMA 모드 또는 GPS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H/L)에 따라 일측 가변 용량 다이오드(D2)의 연결라인을 개방(Open) 또는 단락(Short)함에 의해, 상기 두 가변 용량 다이오드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합성신호의 주파수 밴드가 두 개의 주파수 밴드 즉, CDMA를 위한 주파수 밴드와, GPS를 위한 주파수 밴드를 갖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loyed in a frequency mix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two variable capacitance diodes D1 and D2 to input power to each of them, respectively, indicating a CDMA mode or a GPS mode. By opening or shorting the connection line of on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H / L, two frequency bands of the synthesized signal output by the two variable capacitance diode operations are generated. The technical feature is to have a frequency band, that is, a frequency band for CDMA and a frequency band for GP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제 1 전원 입력부(133a)와, 제 2 전원 입력부(133b)와,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와,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와, 스위칭 다이오드(D4)와, 증폭부(133c)와, 스위치부(133d)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input unit 133a, a second power input unit 133b, a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a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And a switching diode D4, an amplifier 133c, and a switch 133d.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133a)는 제 1 전압(Vcc)을 입력한다.The first power input unit 133a inputs a first voltage Vcc.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133b)는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Optimum Vcc)을 입력한다.The second power input unit 133b inputs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Optimum Vcc).

이 때, 상기 제 1 전압(Vcc)은 가변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CDMA를 위한 주파수 밴드와, GPS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에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해 통신하게 되므로, CDMA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 출력과, GPS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 출력을 제 1 전압(Vcc)에 따라 가변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전압(Vcc)이 가변 전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first voltage Vcc is preferably a variable voltage. The reason i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various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requency band for CDMA and the frequency band for GPS. Therefore, the output in the frequency band for CDMA and the output in the frequency band for GPS are eliminated. This is because the first voltage Vcc must be a variable voltage in order to output the variable voltage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Vcc.

한편, CDMA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 출력과, GPS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 출력 제어를 위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은 일정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은 제 1 전압(Vcc)따라 가변되어 출력되는 CDMA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 출력과, GPS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in the frequency band for CDMA and the second or third voltage for output control in the frequency band for GPS are preferably constant voltages. This is because the second voltage or the third voltage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in the frequency band for CDMA and the output in the frequency band for GPS, which are vari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Vcc.

상기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는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133a)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시켜 제 1 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outputs a first signal by changing a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133a.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는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133a)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시켜 제 2 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changes the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133a and outputs a second signal.

즉, 인덕터(L1)와, 서로 병렬연결된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 및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는 LC 공진회로를 이루며, 제 1 전압(Vcc)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와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합성 용량값(Capacitance)이 변할 때, 가변되는 전체 용량값와 고정된 전체 인덕턴스(Inductance)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상기 스위칭부(133d)의 동작에 따라 주파수 가변성이 뛰어난 듀얼 밴드(CDMA 모드 및 GPS 모드)내의 출력신호(Vout)를 출력한다. That is, the inductor L1, 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and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form an LC resonant circuit, and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varies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Vcc. )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133d by using a phenomenon in which a resonance frequency is changed by a variable total capacitance and a fixed total inductance when the capacitance of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is changed. The output signal V out in the dual band (CDMA mode and GPS mode) with excellent frequency variability is output.

도면에서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 및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 각각에 연결되는 출력측 캐패시터(C1)(C2)는 전체 용량값 변동에 기여한다.In the figure, output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to 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and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contribute to the variation in the overall capacitance value.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는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제 2 신호 출력을 개방(Open) 또는 단락(Short)한다. 즉, 이 스위칭 다이오드(D4)의 개방 또는 단락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에 의한 제 1 신호 출력에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에 의한 제 2 신호 출력의 합성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The switching diode D4 opens or shorts the second signal output of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That is, according to whether the switching diode D4 is open or shorted, whether the second signal output by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is combined with the first signal output by 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is determined. Will be determined.

이 신호 합성 여부에 따라 CDMA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의 출력신호인지, GPS를 위한 주파수 밴드내의 출력신호인지가 결정되게 된다.Whether or not this signal is synthesized determines whether it is an output signal in a frequency band for CDMA or an output signal in a frequency band for GPS.

상기 증폭부(133c)는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의 합성값을 증폭하여 제 1 주파수 밴드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밴드 대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증폭부(133c)가 증폭용 트랜지스터(T1)일 수 도 있다.The amplifier 133c amplifies a combined valu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outputs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band or a second frequency band band. In this case, the amplifying unit 133c may be an amplifying transistor T1.

상기 스위치부(133d)는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133b)에 의해 입력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의 개방 또는 단락을 제어한다.The switch unit 133d controls the opening or shorting of the switching diode D4 according to the second voltage or the third voltage input by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33b.

구체적으로, 이 스위치부(133d)는 스위치(SW1)와, 병렬 연결된 인덕터쌍(L3, L4)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 unit 133d may include a switch SW1 and inductor pairs L3 and L4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스위치(SW1)는 2진(H/L) 제어신호에 따라 도통 또는 차단되어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133b)로부터 입력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을 인가한다.The switch SW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binary (H / L) control signal to apply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from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33b.

상기 병렬 연결된 인덕터쌍(L3, L4)은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를 개방 또는 단락하도록 제어한다.The parallel connected inductor pairs L3 and L4 are connected in parallel across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and according to the second voltage or the third voltage input through the switch SW1, the switching diode D4. ) To open or short.

이 때, 상기 스위치(SW1)가 NMOS 스위치 등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SW1)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SW1 is a switching transistor SW1 such as an NMOS switch.

예컨데,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SW1)의 게이트(Gate)에 CDMA 모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밴드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이(H) 신호가 제어신호로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133b)가 제 2 전압으로 Vcc = 0V 를 입력한다고 하자.For example, a high (H) signal for outputting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a CDMA mode is input to a gat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W1 as a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33b Assume that V cc = 0V is input as the second voltage.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SW1)는 게이트에 하이(H) 신호가 입력되어 도통되고, 제 2 전압 0V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의 애노드(Anode)에 인가하게 되어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는 개방(Open)되므로, 이 스위칭 다이오드(D4)에 연결된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가 회로상에서 개방(Open) 상태가 되어, 이 경우는 도 3 에 도시한 회로와 동일하므로, 상기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가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133a)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시켜 CDMA 모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밴드내 신호인 제 1 신호를 출력한다. The switching transistor SW1 is turned on by being supplied with a high signal at a gate thereof, and applies a second voltage of 0V to the anode of the switching diode D4 to open the switching diode D4. Since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connected to the switching diode D4 is in an open state on the circuit, 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is the same as the circuit shown in FIG. (D1) changes the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133a, and outputs a first signal which is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CDMA mode.

이렇게 출력된 제 1 신호는 상기 증폭부(133c)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전압 (Vout)으로 최종 출력된다.The first signal thus output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133c and finally output to the output voltage V out .

반대로,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SW1)의 게이트(Gate)에 GPS 모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밴드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로우(L) 신호가 제어신호로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133b)가 제 3 전압으로 Vcc = 2.85V 를 입력한다고 하자.On the contrary, a low (L) signal for outputting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GPS mode is input to the gat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W1 as a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33b Assume that V cc = 2.85V is input as the third voltage.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SW1)는 게이트에 로우(L) 신호가 입력되어 오픈되고, 핀 다이오드(D3)는 도통된다. 그리고, 높은 값의 병렬 인덕터(L3, L4) 쪽으로 바라본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스위치부(133d)가 전반사 효과에 의해 오픈(Open) 상태가 되어 상기 스위치부(133d)는 회로 내에서 아무런 동작을 하지않는 즉, 있으나 마나한 상태가 된다.The switching transistor SW1 is opened by inputting a low L signal to a gate, and the pin diode D3 is turned on. Since the impedance viewed toward the high value parallel inductors L3 and L4 is high, the switch 133d is open due to the total reflection effect, and the switch 133d does not operate in the circuit. That is, but it is in a mana state.

그리고,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의 애노드(Anode)에 제 3 전압 2.85V가 인가되어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는 단락(Short)되므로, 이 스위칭 다이오드(D4)에 연결된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가 회로상에서 단락(Short) 상태가 되어, 이 경우는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에 의한 제 1 신호와,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에 의한 제 2 신호의 합성값을 GPS 모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밴드내 신호로 출력한다.In addition, since the third voltage 2.85 V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switching diode D4 and the switching diode D4 is shorted,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connected to the switching diode D4. ) Becomes a short state on the circuit, and in this case, the combined value of the first signal by the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and the second signal by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is converted into the GPS mode. Output as a signal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이렇게 출력된 합성신호는 상기 증폭부(133c)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전압(Vout)으로 최종 출력된다.The synthesized signal thus output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133c and finally output to the output voltage V out .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밴드 스위칭(Band Switching) 방식을 통해 원하는 주파 수에 해당하는 최적의 CDMA 및 GPS를 위한 국부 전력(Local Power)을 얻을 수 뿐만 아니라, 가변용량 다이오드의 허용 범위내에서 다양한 대역의 국부 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obtains local power for optimal CDMA and GPS corresponding to a desired frequency through band switching, but also provides various bands within an allowable range of a variable capacitance diode. Local power can be obtained.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주파수 더블러를 추가한다면, PCS 방식의 CDMA 모드와, 셀룰러 방식의 CDMA 모드, GPS 모드를 동시에 구비한 것과 같은 트라이(Tri) 밴드 전력 제어 발진기를 구현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f the frequency doubler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ri-band power control oscillator such as having a PCS CDMA mode, a cellular CDMA mode, and a GPS mode simultaneously. have.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the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dual-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밴드 스위칭(Band Switching) 방식을 통해 원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최적의 CDMA 및 GPS를 위한 국부 전력(Local Power)을 얻을 수 있어, CDMA 모드와 GPS 모드를 동시에 구비한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용량 다이오드의 허용 범위내에서 다양한 대역의 국부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provide local power for optimal CDMA and GPS corresponding to a desired frequency through a band switching metho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both a CDMA mode and a GPS mod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s well as to obtain local power of various bands within an allowable range of a variable capacitance diode. Has an effec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referred to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covered by the following claims from this description. .

Claims (10)

제 1 전압(Vcc)을 입력하는 제 1 전원 입력부와;A first pow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voltage Vcc;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Optimum Vcc)을 입력하는 제 2 전원 입력부와;A second power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Optimum Vcc);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시켜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와;A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for outputting a first signal by varying a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a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시켜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와;A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for outputting a second signal by varying a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제 2 신호 출력을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 다이오드(D4)와;A switching diode (D4) for opening or shorting a second signal output of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의 합성값을 증폭하여 제 1 주파수 밴드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밴드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와;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combined valu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band or a second frequency band band;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의 개방 또는 단락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A switch unit controlling opening or shorting of the switching diode D4 according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by the second power input unit;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부가:The switch unit: 2진(H/L) 제어신호에 따라 도통 또는 차단되어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SW1)와;A switch (SW1)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binary (H / L) control signal and applies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from the second power input unit;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를 개방 또는 단락하도록 제어하는 병렬 연결된 인덕터쌍(L3, L4)을;A parallel connected inductor connected in parallel across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to control the switching diode D4 to be opened or shorted according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through the switch SW1. Pairs L3, L4;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전압(Vcc)은 가변 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Optimum Vcc)은 일정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Wherein the first voltage (Vcc) is a variable voltage and the second or third voltage (Optimum Vcc) is a constant voltag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스위치(SW1)가:The switch SW1 is: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witching transisto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증폭부가:The amplification unit: 증폭용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mplification transistor. 제 1 전압(Vcc)을 입력하는 제 1 전원 입력부와;A first pow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voltage Vcc;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Optimum Vcc)을 입력하는 제 2 전원 입력부와;A second power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Optimum Vcc);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 시켜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가변용량 다이오드(D1)와;A first variable capacitance diode (D1) for outputting a first signal by varying a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a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상기 제 1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 1 전압에 따라 가변 용량값을 변화시켜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와;A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for outputting a second signal by varying a variabl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power input unit;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의 제 2 신호 출력을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 다이오드(D4)와;A switching diode (D4) for opening or shorting a second signal output of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의 합성값을 증폭하여 제 1 주파수 밴드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밴드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와;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combined valu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band or a second frequency band band;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의 개방 또는 단락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A switch unit controlling opening or shorting of the switching diode D4 according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by the second power input unit; 포함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위치부가:The switch unit: 2진(H/L) 제어신호에 따라 도통 또는 차단되어 상기 제 2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SW1)와;A switch (SW1)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binary (H / L) control signal and applies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from the second power input unit; 상기 제 2 가변용량 다이오드(D2)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D4)를 개방 또는 단락하도록 제어하는 병렬 연결된 인덕터쌍(L3, L4)을;A parallel connected inductor connected in parallel across the second variable capacitance diode D2 to control the switching diode D4 to be opened or shorted according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input through the switch SW1. Pairs L3, L4;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제 1 전압(Vcc)은 가변 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압 또는 제 3 전압(Optimum Vcc)은 일정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voltage (Vcc) is a variable voltage, the second voltage or the third voltage (Optimum Vcc) is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voltag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위치(SW1)가:The switch SW1 is: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transisto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증폭부가:The amplification unit: 증폭용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전압 제어 발진기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mplification transistor.
KR1020040083280A 2004-10-18 2004-10-18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KR100571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80A KR100571638B1 (en) 2004-10-18 2004-10-18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80A KR100571638B1 (en) 2004-10-18 2004-10-18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638B1 true KR100571638B1 (en) 2006-04-17

Family

ID=3718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280A KR100571638B1 (en) 2004-10-18 2004-10-18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6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630B2 (en) 2006-12-27 2009-05-26 Fujitsu Media Devices Limit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630B2 (en) 2006-12-27 2009-05-26 Fujitsu Media Devices Limit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938086B1 (en) 2006-12-27 2010-01-21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Oscil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0057B2 (en) High frequency circuit configuration of digital mobile telephone
US8150361B2 (en) Single chip amplifier and oscillator having similar resonant circuit topology
US8374283B2 (en) Local oscillator with injection pulling suppression and spurious products filtering
KR200300284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ll lock time
KR100785003B1 (en) Multiband transceiver using control voltage of phase locked loop, and method therefor
TW200302011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mmunication
US6788161B2 (en) Integrated oscillator circuit that inhibits noise generated by biasing circuitry
KR20010024518A (en)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6069925A (en) Dual band, dual mode transceiver with adaptive second if switching device
US20020039908A1 (en) Digital portable telephone device
MXPA05000704A (en) Wideband vco resonant circuit method and apparatus.
JP2001044872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processing reception signal
KR100571638B1 (en) Dual b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mobile phone using it
JPH10145262A (en) Dual band vco
KR20010062693A (en) Mobile phone transceiver
US20020050866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200490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cal oscillator signal
WO1998051014A1 (en) Dual band phase locked loop using independent charge pumps
KR950007257Y1 (en) The rf module of cellular phone
US6611179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53857B1 (en) Voltage control oscillator of dual band intermediate frequency in a mobile station
KR100311508B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Dual Frequency Band and Dual Frequency Providing Method
JPH11312925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rcuit
JP2002141745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unit using it
JP2001203603A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