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74234B1 -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234B1
KR100574234B1 KR1020050048451A KR20050048451A KR100574234B1 KR 100574234 B1 KR100574234 B1 KR 100574234B1 KR 1020050048451 A KR1020050048451 A KR 1020050048451A KR 20050048451 A KR20050048451 A KR 20050048451A KR 100574234 B1 KR100574234 B1 KR 10057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b
card
interface
output po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희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to KR102005004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2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8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 G11B20/0054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external data is encrypted, e.g. for secur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or for encrypting content on a separat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는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될 장소에 따라 복수개의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를 통해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출력하는 USB 허브;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변환부;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소켓; 및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하되 소정의 인증과정을 통해 접근되는 보안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에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지 종류의 외부 메모리 카드에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External memory card insertable secure data storage apparatus with USB interface, and storing method thereof}
도 1은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일반적인 저장 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보안 칩(250)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독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의 보안 및 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저장 기술의 발달로 여러 가지 종류의 휴대용 저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휴대용 저장 장치 중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는 저장용량이 크면서도 휴대가 간편하고 PC와의 연결이 용이하여, 문서 데이터, 음악이나 사진 및 동영상 파일의 저장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USB 플래시 메모리는 보안 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최근에는 USB 플래시 메모리의 특정 영역을 액세스하는데 패스워드를 요구하는 등의 기능을 구비한 USB 플래시 메모리도 있지만, 해커에 의한 물리적 해킹, 메모리의 덤프나 복사 등의 수단을 통해 USB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 수단은 되지 못한다.
한편, 자체적인 운영체제(OS)로써 칩 OS(Chip Operating System)가 탑재되고 중앙처리장치(CPU)와 보안 모듈 및 메모리를 갖춘 IC 카드가 있다. IC 카드는 암호화 기술을 채용하고 있어, 여러가지 트랜잭션(transaction)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어 전자 지갑, 전자 통장, 개인 인증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C 카드는 보안성이 뛰어나기는 하지만, 그 저장용량이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크지 않다. 또한, IC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는 IC 카드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가 필요하나, IC 카드 리더기는 USB 인터페이스만큼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다.
그리고, 휴대용 저장 장치로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USB 메모리뿐만 아니라, SD(Secure Digital) 카드,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MMC) 또는 컴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등과 같은 카드 형태의 메모리가 존재한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들도 플래시 메모리를 그 내부에 구비한 휴대용 저장장치의 일종으로 휴대전화, 전자책,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캠코더, 개인용 컴퓨터 등의 데이터 저장 장치로써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메모리 카드들이 호스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와 상이하므로 상기 휴대용 기기들에는 별도의 소켓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PC와 같이 주변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써 USB 포트, SD 카드 리더 등을 모두 갖는 경우에는 어떤 인터페이스를 갖는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문제가 없으나,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캠코더 등과 같이 대부분의 장치들은 USB 인터페이스 또는 SD/MMC/CF 카드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갖는 메모리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갖는 장치에서 읽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SD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만을 갖는 휴대전화 또는 MP3 플레이어에 옮겨 저장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USB 인터페이스를 가진 IC 칩과, 외부 데이터 카드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변환부를 구비하여 SD/MMC/CF 카드와 같은 외부 데이터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USB 인터페이스를 가진 IC 칩과 USB 플래시 메모리를 USB 허브를 통해 연결하여 저장 장치를 구성하되, 여기에 USB 인터페이스를 가진 IC 칩과, 외부 데이터 카드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변환부를 더 구비하여 SD/MMC/CF 카드와 같은 외부 데이터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될 장소에 따라 복수개의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를 통해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출력하는 USB 허브;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변환부;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소켓; 및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하되 소정의 인증과정을 통해 접근되는 보안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로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신호를 SD 카드, MMC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 신호 규격에 따라 변환하며, 상기 소켓은 SD 카드, MMC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a)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될 장소에 따라 복수개의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를 통해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및 (b)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변환하는 외부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소켓을 통해 전달하거나,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하되 소정의 인증과정을 통해 접근되는 보안 칩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일반적인 저장 장치의 구성도이다.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플래시 저장 장치는 커넥터(100), USB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플래시 메모리(130)를 포함한다. 커넥터(100)는 호스트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물리적 신호선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SB 인터페이스부(110)는 USB 표준에 따른 USB 버스에 접속하여,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파일 시스템을 플래시 메모리(130)의 물리적 주소와 명령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플래시 메모리(130)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래시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주소를 논리적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여 호스트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 플래시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구성도이다.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는 커넥터(200), USB 허브(210), 보안 칩(250), 인터페이스 변환부(270) 및 메모리 카드 소켓(280)을 포함한다. 커넥터(200)는 호스트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물리적 신호선을 호스트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USB로 정의된 버스 규격에 따라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SB 허브(210)는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어, 커넥터(200)를 통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변환부(270)를 통해 메모리 카드 소켓(280)으로 전달하거나 직접 보안 칩(25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 소켓(28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읽혀진 데이터 또는 보안 칩(25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달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변환부(270)는 USB 인터페이스 신호를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신호로 변환하거나,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신호를 USB 인터페이스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메모리 카드는 SD 카드, 멀티미디어 카드(MMC), 컴팩트 플래시 카드(CF)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보안 칩(250)은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 USB 허브(210)와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 안 칩(250)의 상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는 도 2a에서 도시한 구성 요소에 더하여, USB 인터페이스부(220), 제어부(230) 및 플래시 메모리(24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USB 허브(210)는 인터페이스 변환부(270)를 거쳐 메모리 카드 소켓(28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USB 인터페이스부(220)를 거쳐 플래시 메모리(24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보안 칩(25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USB 허브(210) 및 USB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4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파일 시스템을 플래시 메모리(240)의 물리적 주소와 명령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플래시 메모리(240)가 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다. 플래시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경우에도 물리적 주소를 논리적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여 호스트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호스트로부터 커넥터(20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는 USB 인터페이스부(220) 및 제어부(230)를 경유하여, 플래시 메모리(240)에 저장하거나 보안 칩(25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인터페이스 변환부(270) 및 메모리 카드 소켓(280)에 전달되어 메모리 카드 소켓(28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보안 칩(250)에 저장하거나,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를 수행 하여 보안 칩(250)에 저장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보안 칩(250)에 내장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여 플래시 메모리(240) 또는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암호화의 수행은 보안 칩(250)의 비밀키에 의해 수행되고, 복호화는 호스트가 가지고 있는 공개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에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RSA(Rivest-Shamir-Adleman)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RF 송수신부(260)는 RF 통신을 통해 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으로 교통카드나 전자화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보안 칩(250)에 기록되어 있는 교통카드나 전자화폐 관련 데이터를 RF 리더 등을 통해 전달한다. 이 경우에 보안 칩(250)은 RF 송수신부(26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한다.
도 3은 도 2의 보안 칩(250)의 상세 구성도이다.
보안 칩(250)은 USB 인터페이스부(310), 보안 칩 제어부(320), 암호화 처리부(330) 및 보안 데이터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RF 송수신부(360)를 통해 외부의 RF 장치와 통신하기 위하여 RF 인터페이스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부(310)는 USB 허브(210)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보안 칩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보안 데이터 저장 명령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 과정 없이 보안 데이터 저장부(340)에 그대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거나, 암호화 명령을 암호화 처리부(330)에 전달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한다. 또한, 보안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된 데이터를 RF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RF 송수신부(360)로 전달하도록 한다.
암호화 처리부(330)는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보안 데이터 저장부(340)는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부(310), 보안 칩 제어부(320)를 통해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암호화 처리부(330)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보안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예로는 공인 인증서나 계좌 정보, 신용 카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RF 인터페이스부(350)는 교통 카드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을 위해서, 외부의 RF 리더로부터 명령에 따라, 보안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된 데이터를 RF 송수신부(360)를 통해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호스트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수행되면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것인가의 여부 및 어느 영역에 저장할 것인가 하는 암호화 여부 정보를 입력받는다(S410).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것인가의 여부를 판단하여(S420),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중요한 데이터로써 암호화를 수행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보안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한다(S430). 암호화를 수행하고자 하지 않는 경우에는 암호화 과정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일반 데이터를 보안 영역에 저장 할 것인가의 여부 정보를 판단하여(S440), 그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보안 영역에 저장하거나(S450), 일반 영역에 저장한다(S460). 보안 영역은 보안 칩 내부의 메모리가 되며, 일반 영역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 카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독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데이터의 독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독출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510). 예를 들어, 독출할 데이터는 독출할 파일 이름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독출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영역을 확인한다(S520), 독출할 데이터가 보안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면 인증을 수행하고(S530), 인증에 성공하면 보안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는다(S540). 한편, 독출할 데이터가 일반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이면 일반 영역에서 데이터를 읽는다(S550). 읽어낸 보안 영역 또는 일반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판단하여(S560),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이면 복호화를 수행한다(S570). 한편, S530 단계에서 인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일정 횟수 이상 예를 들어 3회 이상 인증에 실패하면 더 이상 데이터를 읽을 수 없도록 락을 걸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데이터 저장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에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지 종류의 외부 메모리 카드에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전달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느 하나의 포트로부터 USB 신호 규격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른 포트로 출력하는 USB 허브;
    상기 USB 허브의 어느 하나의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변환부;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소켓; 및
    상기 USB 허브의 어느 하나의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로 전달하되, 소정의 인증과정을 통해 접근되는 보안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로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신호를 SD 카드, MMC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 신호 규격에 따라 변환하며, 상기 소켓은 SD 카드, MMC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칩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보안칩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칩은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전달을 제어하는 보안 칩 제어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상기 암호화 처리부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안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6. (a)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될 장소에 따라 복수개의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를 통해 USB 신호 규격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및
    (b)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변환하는 외부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소켓을 통해 암호화하여 전달하거나,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하되 소정의 인증과정을 통해 접근되는 보안 칩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로부터의 신호를 SD 카드, MMC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 신호 규격에 따라 변환하며, 상기 소켓은 SD 카드, MMC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데이터 저장 방법.
KR1020050048451A 2005-06-07 2005-06-07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451A KR100574234B1 (ko) 2005-06-07 2005-06-07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451A KR100574234B1 (ko) 2005-06-07 2005-06-07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234B1 true KR100574234B1 (ko) 2006-04-26

Family

ID=3718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4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234B1 (ko) 2005-06-07 2005-06-07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3417A (zh) * 2010-05-24 2010-10-06 北京飞天诚信科技有限公司 Cf接口信息安全设备的工作方法和系统
KR20230045723A (ko) 2021-09-28 2023-04-05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Usb 보안데이터 저장장치 및 이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인증방법
KR20230074376A (ko) 2021-11-19 2023-05-30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Usb 보안데이터 저장장치 및 이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인증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3417A (zh) * 2010-05-24 2010-10-06 北京飞天诚信科技有限公司 Cf接口信息安全设备的工作方法和系统
CN101853417B (zh) * 2010-05-24 2013-12-25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Cf接口信息安全设备的工作方法和系统
KR20230045723A (ko) 2021-09-28 2023-04-05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Usb 보안데이터 저장장치 및 이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인증방법
KR20230077711A (ko) 2021-09-28 2023-06-01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Usb 보안데이터 저장장치 및 이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인증방법
KR20230074376A (ko) 2021-11-19 2023-05-30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Usb 보안데이터 저장장치 및 이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096B2 (en) Secure universal serial bus (USB) storage device and method
TWI421777B (zh) 認證處理裝置及其相關行動裝置
US20060126422A1 (en)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861015B2 (en) USB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in
JP2008512738A (ja) データを交換するための携帯型記憶装置及び方法
KR100676087B1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방법
KR20030071460A (ko) 메모리카드
JP2018121327A (ja) アクセス制御機能を有するモバイルデータ記憶デバイス
US8328104B2 (en) Storage devic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4578132B2 (ja) 携帯型情報記憶媒体のシステム
CN108460905A (zh) 一种外置刷卡器、终端设备及数据处理方法
JP4804042B2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非接触icチップ、非接触通信装置、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2761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torage devices
KR100574234B1 (ko)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JP2009032003A (ja) 携帯可能電子装置、端末装置、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0574238B1 (ko)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보안 칩을 구비한 데이터 저장장치 및 방법
JP2004199689A (ja) 不安全なpciバスを介した安全なメディア・カードの運用
KR100390366B1 (ko) 복합 카드 리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4168B1 (ko)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KR101722159B1 (ko) 보안 메모리 카드
KR101128225B1 (ko) 전자음반 장치 인증 시스템
KR20020086444A (ko) 저장 및 연산 기능을 가지는 복합형 유에스비 드라이브
JP4640920B2 (ja) 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方法
CN110447030B (zh) 终端设备、信息处理系统、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程序
KR100828139B1 (ko)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