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60436B1 -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436B1
KR100560436B1 KR1020050128963A KR20050128963A KR100560436B1 KR 100560436 B1 KR100560436 B1 KR 100560436B1 KR 1020050128963 A KR1020050128963 A KR 1020050128963A KR 20050128963 A KR20050128963 A KR 20050128963A KR 100560436 B1 KR100560436 B1 KR 10056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late
metal
wooden
soundproof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웅
Original Assignee
신성산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산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산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형강의 상하로 탈부착방음판을 설치하고, 가운데에 투명방음판을 설치하며, H형강의 배면에 목재방음판을 설치하여, H형강 두께만큼 공간층을 두어, 소음투과손실을 향상시켜 방음판 본래의 소음방지 기능을 대폭 강화시킴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투명방음판 배면부 공간에 화분 등을 설치하여 미감을 도모하여 주위환경을 개선하도록 한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은 지반에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콘크리트기초부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부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수직으로 기초판과 앵커볼트에 의해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며,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는 H형강과; 상기 H형강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기초판과 앵커볼트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기초부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캡과; 상기 H형강의 플랜지 일측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수평하게 H형강의 웨브에 고정 설치되는 형강부재와; 상기 H형강의 타측면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재 T바 및 목재 T바 덮개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간 및 H형강과 금속재 T바간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목재방음판과; 상기 방음판들의 최상단에 마감처리를 위해 고정 설치되는 상부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소음방지, 장식, 방음벽, 탈부착방음판, 투명방음판, 목재방음판

Description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Soundproof wall closed and processed by metal soundproof panel and wood soundproof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기초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기초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하부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하부캡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하부캡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제1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제3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목재 T바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탈부착방음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투명방음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목재방음판 1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목재방음판 2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목재방음판 3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상부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상부캡을 도시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의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크리트기초부 200: H형강
210: 기초판 220: 앵커볼트
300: 하부캡 310: 제1하부채널
312: 요부 314: 철부
320: 제2하부채널 410: 제1연결부재
420: 제2연결부재 430: 제3연결부재
510: C형형강부재 520: L형형강부재
600: 금속재 T바 700: 목재 T바 덮개
710: 본체부 720: 돌출부
810: 탈부착방음판 812: 타공판
814: 흡음재 820: 투명방음판
830: 목재방음판 832: 본체부
834: 돌출부 836: 요홈부
838: 곡면부 840: 스톱파
900: 상부캡 910: 제1상부채널
912: 수평면 914: 경사면
916: 직각면 920: 제2상부채널
P: 스크류피스 W: 방음벽
본 발명은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H형강의 상하로 탈부착방음판을 설치하고, 가운데에 투명방음판을 설치하며, H형강의 배면에 목재방음판을 설치하여, 방음판 본래의 소음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화분을 설치하여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미감을 도모하도록 한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일측의 소음만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지반 내에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의 기초부에 의해 H형강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매입하고, 상기 H형강의 플랜지에 방음판의 양단을 삽입하여 방음판 내부의 흡음재에 의해 소음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일측 전면에 다수개의 절개공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방음판의 내부로 소음이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방음판을 H형강에 다수 개를 적층시켜 방음벽을 형성함으로써, 방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로와 주거지역이 인접한 지역에서는 비교적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도로측의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방음벽에 부딪혀 다시 되돌아오는 역효과를 일으켜 소음의 폭이 더욱 커질 뿐만 아니라 방음벽에 의해 주거지역 내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거대한 공명현상에 의해 소음이 매우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H형강 두 개를 일조로 하여 구조물에 매설하고, 상기 H형강에 방음판 두 개를 서로 대향되게 삽입함으로써, 양측 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및 흡수케 하였으나, 이는 많은 자재비와 설치비 및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거의 시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음판 시공시 패널 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H형강 설치시 H형강이 방음판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과 친밀성이 없어 통행자 및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거부감을 갖도록 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H형강의 상하로 탈부착방음판을 설치하여, 방음판의 유지관리 및 교체 등을 원활하게 하고, 가운데에 투명방음판을 설치하여, 시야를 확보하며, H형강의 배면에 목재방음판을 설치하여, 방음판 본래의 소음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환경적으로 친밀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수적으로 화분 등을 설치하여 마감을 함하여 주위환경을 개선하도록 한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은 지반에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콘크리트기초부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부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수직으로 기초판과 앵커볼트에 의해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며,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는 H형강과; 상기 H형강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기초판과 앵커볼 트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기초부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캡과; 상기 H형강의 플랜지 일측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수평하게 H형강의 웨브에 고정 설치되는 형강부재와; 상기 H형강의 타측면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재 T바 및 목재 T바 덮개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간 및 H형강과 금속재 T바간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목재방음판과; 상기 방음판들의 최상단에 마감처리를 위해 고정 설치되는 상부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은 지반에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콘크리트기초부(100)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수직으로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20)에 의해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며,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는 H형강(200)과; 상기 H형강(200)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20)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캡(300)과; 상기 H형강(200)의 플랜지 일측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재(410, 420, 430)와; 상기 연결부재(410, 420, 430)에 수평하게 H형강(200)의 웨브에 고정 설치되는 형강부재(510, 520)와; 상기 H형강(200)의 타측면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재 T바(600) 및 목재 T바 덮개(700)와; 상기 연결부재(410, 420, 430)의 일측과 타측간 및 H형강과 금속재 T바(600)간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목재방음판(830)과; 상기 방음판(810, 820, 830)들의 최상단에 마감처리를 위 해 고정 설치되는 상부캡(9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은 크게 콘크리트기초부(100), H형강(200), 하부캡(300), 연결부재(410, 420, 430), 형강부재(510, 520), 금속재 T바(600), 목재 T바 덮개(700), 방음판(810, 820, 830) 및 상부캡(9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기초부(100)와 H형강(200)은 종래와 그 기술적 구성이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300)은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가지는 철판의 좌우 측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면의 좌우측단으로부터 내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부(312)와 철부(314)가 반복 형성된 제1하부채널(310)과; 상기 제1하부채널(310)의 가운데에 용접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제1하부채널(310)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규격이 작게 형성된 제2하부채널(3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부캡(300)은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설치된, 상기 H형강(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4)를 외부와 차단 및 은폐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10, 420, 430)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재(410)와 제3연결부재(430) 및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10, 420, 430)는 H형강(200)의 일측면 플랜지에 설치되되, 하부캡(300)상에 제1연결부재(4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410)상에 탈부착방음판(8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탈부착방음판(810)상에 H형강(200)의 일측면 플랜지에 제2연결부재(42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420)상에 투명방음판(82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투명방음판(820)상에 제2연결부재(420)가 H형강(200)의 일측면 플랜지에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제1연결부재(410)는 그 단면형상이 L자 형상으로 H형강(200)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2연결부재(420)는 제1연결부재(410)가 설치된 H형강(200)의 내측으로 방음판(810, 820)간에 고정 설치되며, 제3연결부재(430)는 상부캡(900)의 아래에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한 제1연결부재(410)와 제2연결부재(420) 및 제3연결부재(430)는 모두 방음판(810, 820)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형강부재(510, 520)는 단면상 C형으로 이루어지는 C형강부재(510)와; 상기 C형강부재(510)에 볼트 결합되며, 단면상 L형으로 이루어지는 L형강부재(5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형강부재(510, 520)는 상술한 제2연결부재(420)를 H형강(2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먼저 H형강(200)의 웨브 부분에 L형강부재(520)를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이어서, 상기 L형강부재(520)에 C형강부재(510)를 볼트로 연결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금속재 T바(600) 및 목재 T바 덮개(700)는 H형강(200)의 플랜지 타측면에 설치되는 목재방음판(830)을 지지하기 위해 H형강(200)에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재 T바(600)를 고정 설치하고, 그 외면에 목재 T바 덮개(700)를 설치하되, 상기 목재 T바덮개(70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710)와 상기 본체부(710)의 평활면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7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목재 T바덮개(700)의 돌출부(720)가 금속재 T바(600)를 감싸서 외부로 금속재 T바(6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음판(810, 820, 830)은 크게 탈부착방음판(810)과 투명방음판(820) 및 목재방음판(8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방음판(8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타공판(812)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흡음재(814)가 내장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투명방음판(820)간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목재재질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본체부(832)가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일정한 두께 및 길이로 돌출되도록 돌출부(83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상단부의 돌출부(834)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폭 및 깊이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요홈부(836)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본체부(832)가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일정한 곡율로 곡면부(838)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일정한 폭 및 깊이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요홈부(836)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본체부(832)가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일정한 두께 및 길이로 돌출되도록 돌출부(83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일정한 곡률로 곡면부(838)가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한 목재방음판(830)은 H형강(200)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단면형상에 다소간에 변화를 주어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그 설치된 H형강(200)의 하단부에 스톱파(840)가 고정 설치하여 더 이상 하부로 목재방음판(830)이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캡(900)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일정한 길이와 너비를 갖는 수평면(912)과, 상기 수평면의 양단을 일정한 각도로 꺾여 형성된 경사면(914)과 상기 경사면(914)에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단이 직각으로 꺾여 형성된 직각면(916)으로 이루어지는 제1상부채널(910)과; 상기 제1상부채널(910)내 직각면(916)에 리벳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가지는 철판의 좌우측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2상부채널(9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상부캡(900)은 방음판(810, 830)의 최상단에 고정 설치하여, 방음판(810, 830)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미려하게 마 감처리를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시공방법은 지반에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콘크리트기초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수직으로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20)에 의해 H형강(200)을 다수 개 설치하고, 상기 H형강(200)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20)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하부캡(30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하부캡(300)상의 H형강(200)의 플랜지 일측면에 제1연결부재(410)를 고정 설치하고, H형강(200)의 웨브에 형강부재(510, 520)를 설치한 후, 제2연결부재(420)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H형강(200)의 플랜지 일측면 제1연결부재(410)와 제2연결부재(420)간에 탈부착방음판(810)을 다수 개 삽입 설치하고, 상기 탈부착방음판(810)상에 제2연결부재(420)를 H형강(200)의 일측면에 설치한 후, 상기 제2연결부재(420) 사이에 투명방음판(82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H형강(200)의 타측면 플랜지에 금속재 T바(600)를 용접 결합하고, 상기 금속재 T바(600)에 목재 T바 덮개(70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금속재 T바(600)의 일정한 위치에 스톱퍼(840)를 설치한 후, 상기 스톱퍼(840)상에 목재방음판(830)을 다수 개를 설치한 후, 상기 방음판(810, 830)의 최상단에 상부캡(900)을 덮어씌워서 방음벽(W)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금속재와 목재로 이루어진 방음판을 H형강의 플랜지 외부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H형강 두께만큼 공기층을 폭넓게 형성시켜 외부의 소음이 공명현상을 얻어 투과손실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전면부의 금속재 방음판과 배면부의 목재방음판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을 줄이는 동시에 방음판의 외부로 H형강이 노출되지 않아 방음판의 미감을 도모하여 학교와 도심지 아파트 및 도로의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목재방음판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회색빛 종래의 방음벽이 갖는 삭막한 학교의 교육환경을 산뜻한 방음벽으로 대체함으로써 학교의 조경을 화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를 함양시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시공비용 면에 있어서는 종래의 목재 방음벽에 비해서는 대폭적으로 시공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 방음벽의 시공비용과 동일함으로써, 적은 시공비용으로 목재의 자연미를 살릴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방음벽을 제공하여 도시미관을 장식하는 이점도 있다.

Claims (8)

  1. 지반에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콘크리트기초부(100)와;
    상기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수직으로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20)에 의해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며,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는 H형강(200)과;
    상기 H형강(200)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기초판(210)과 앵커볼트(220)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기초부(100)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캡(300)과;
    상기 H형강(200)의 플랜지 일측면에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재(410, 420, 430)와;
    상기 연결부재(410, 420, 430)에 수평하게 H형강(200)의 웨브에 고정 설치되는 형강부재(510, 520)와;
    상기 H형강(200)의 타측면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재 T바(600) 및 목재 T바 덮개(700)와;
    상기 연결부재(410, 420, 430)의 일측과 타측간 및 H형강(200)과 금속재 T바(600)간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방음판(810, 820, 830)과;
    상기 방음판(810, 820, 830)들의 최상단에 마감처리를 위해 고정 설치되는 상부캡(9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300)은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가지는 철판의 좌우측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면의 좌우측단으로부터 내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부(312)와 철부(314)가 반복 형성된 제1하부채널(310)과; 상기 제1하부채널(310)의 가운데에 용접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제1하부채널(310)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규격이 작게 형성된 제2하부채널(3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부재(510, 520)는 단면상 C형으로 이루어지는 C형강부재(510)와; 상기 C형강부재(510)에 볼트 결합되며, 단면상 L형으로 이루어지는 L형강부재(5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T바 덮개(70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710)와 상기 본체부(710)의 평활면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7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 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810, 820, 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타공판(812)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흡음재(814)가 내장된 탈부착방음판(810)과, 상기 탈부착방음판(810)간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방음판(820) 및 상기 탈부착방음판(810)이 설치된 H형강(200)의 타측 플랜지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목재재질로 이루어진 목재방음판(8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본체부(832)가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일정한 두께 및 길이로 돌출되도록 돌출부(83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상단부의 돌출부(834)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폭 및 깊이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요홈부(8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음판(83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본체부(832)가 이루어지며, 일측 단면부에는 일정한 두께 및 길이로 돌출되도록 돌출부(834)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단면부에는 일정한 곡률로 곡면부(83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900)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일정한 길이와 너비를 갖는 수평면(912)과, 상기 수평면의 양단을 일정한 각도로 꺾여 형성된 경사면(914)과 상기 경사면(914)에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단이 직각으로 꺾여 형성된 직각면(916)으로 이루어지는 제1상부채널(910)과; 상기 제1상부채널(910)내 직각면(916)에 리벳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가지는 철판의 좌우측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2상부채널(9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KR1020050128963A 2005-12-23 2005-12-23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963A KR100560436B1 (ko) 2005-12-23 2005-12-23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963A KR100560436B1 (ko) 2005-12-23 2005-12-23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192U Division KR200395494Y1 (ko) 2005-06-15 2005-06-15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436B1 true KR100560436B1 (ko) 2006-03-14

Family

ID=3717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9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436B1 (ko) 2005-12-23 2005-12-23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4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84B1 (ko) 2007-03-21 2007-09-11 김경환 방음벽
KR100817829B1 (ko) 2007-10-09 2008-03-31 신성산건 주식회사 방음판넬과 이를 구비한 방음벽
RU2657907C1 (ru) * 2017-08-03 2018-06-18 Николай Валерьевич Денисов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621A (ja) * 1994-08-23 1996-03-0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木製防音パネル
JPH08189105A (ja) * 1995-01-12 1996-07-23 Bridgestone Corp 吸音体の取付装置
KR20020005348A (ko) * 2000-07-07 2002-01-17 김상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2188326A (ja) * 2000-12-22 2002-07-05 Daito Kinzoku Kk 遮音壁用笠木
JP2002250012A (ja) * 2001-02-23 2002-09-06 Nitto Boseki Co Ltd 防音パネル及びその接合方法
KR200347890Y1 (ko) * 2004-01-14 2004-04-14 기승철 전면부에 합성수지 파일메트가 적층된 목재방음판
KR200362441Y1 (ko) * 2004-04-16 2004-09-20 신성산건 주식회사 방음벽용 양면 하이딩 방음판
KR100500055B1 (ko) * 2004-04-17 2005-07-12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유닛,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621A (ja) * 1994-08-23 1996-03-0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木製防音パネル
JPH08189105A (ja) * 1995-01-12 1996-07-23 Bridgestone Corp 吸音体の取付装置
KR20020005348A (ko) * 2000-07-07 2002-01-17 김상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2188326A (ja) * 2000-12-22 2002-07-05 Daito Kinzoku Kk 遮音壁用笠木
JP2002250012A (ja) * 2001-02-23 2002-09-06 Nitto Boseki Co Ltd 防音パネル及びその接合方法
KR200347890Y1 (ko) * 2004-01-14 2004-04-14 기승철 전면부에 합성수지 파일메트가 적층된 목재방음판
KR200362441Y1 (ko) * 2004-04-16 2004-09-20 신성산건 주식회사 방음벽용 양면 하이딩 방음판
KR100500055B1 (ko) * 2004-04-17 2005-07-12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유닛,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84B1 (ko) 2007-03-21 2007-09-11 김경환 방음벽
KR100817829B1 (ko) 2007-10-09 2008-03-31 신성산건 주식회사 방음판넬과 이를 구비한 방음벽
RU2657907C1 (ru) * 2017-08-03 2018-06-18 Николай Валерьевич Денисов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9553B2 (ja) 遮音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US4136856A (en) Sound attenuating structure
KR100974261B1 (ko) 요철 은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KR100729345B1 (ko)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215907B1 (ko) 방음벽 및 캐노피용 멀티 프로파일
KR100560436B1 (ko)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KR200395494Y1 (ko)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KR100814583B1 (ko) 외관이 미려한 방음벽
KR101773907B1 (ko)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벽
KR100387116B1 (ko) 3중 방음패널 및 방음벽 구조
KR20150003817U (ko) 방음벽용 복합 소음저감장치
RU147880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шумозащитная панель
KR200449538Y1 (ko) 목재 방음패널
KR200403525Y1 (ko) 도로용 방음벽
KR200394301Y1 (ko) 방음패널 및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101238328B1 (ko) 방음벽 결합구조
KR101255216B1 (ko) 방음블럭 연결구조
JP2007303214A (ja) 木製壁
KR20180109435A (ko) 이음 바가 형성된 커튼 월 방음벽
KR101263206B1 (ko) 소음 차단용 지주 방음덮개
KR101222186B1 (ko) 방음시설
KR200362441Y1 (ko) 방음벽용 양면 하이딩 방음판
KR20090003416U (ko) 마감용캡을 구비한 방음벽
KR20200086100A (ko)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KR200252855Y1 (ko) 조립식 방음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3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