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968B1 - System for Directly Providing a Load an Electrical Pow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Directly Providing a Load an Electrical P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9968B1 KR100569968B1 KR1020030057544A KR20030057544A KR100569968B1 KR 100569968 B1 KR100569968 B1 KR 100569968B1 KR 1020030057544 A KR1020030057544 A KR 1020030057544A KR 20030057544 A KR20030057544 A KR 20030057544A KR 100569968 B1 KR100569968 B1 KR 100569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load
- ignition switch
- power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직접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하에 직접 연결되어 부하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보다 낮은 저전압을 사용하며, 기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그니션스위치; 상기 배터리와 이그니션스위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그니션스위치의 기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부하로 연결하는 릴레이;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 사이에 설치된 휴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powe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the batter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 loa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a load; An ignition switch using a low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outputting a start control signal; A relay install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ignition switch to selectively connect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load according to a start control signal of the ignition switch; And a fuse install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Description
도1은 이그니션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종래의 차량의 전원계통도를 도시하고, 그리고1 shows a power system diagram of a conventional vehicle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through an ignition switch, and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직접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irect powe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배터리 120: 이그니션스위치110: battery 120: ignition switch
130: 휴즈박스 140: 부하130: fuse box 140: load
210: 릴레이박스210: relay box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진룸 내에 있는 각종 부하나 센서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직접 공급하는 차량의 직접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ect power supply for a vehicle that directly supplies power required by various loads or sensors in an engine compartment from a battery.
도1은 이그니션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종래의 차량의 전원계통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 shows a power system diagram of a conventional vehicl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an ignition switch.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원계통에서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이그니션스위치를 거쳐 각종 부하단에 공급되는 경우와 직접 부하단에 공급되는 등의 전원 공급루트가 정해져 있다. 이그니션스위치(120)를 경유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부하에는, 각종 센서, 오디오, 각종 조명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부하 등은 운전자가 키를 가지고 이그니션스위치(120)를 조작하면, 전원은 배터리(110)에서 이그니션스위치(120)를 거쳐 각종 부하에 공급된다.As shown in FIG. 1, in general, in the vehicle power system, a power supply route such as a case in which power supplied from the
이그니션스위치(120)는 배터리(110)의 플러스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그니션스위치(120)는 액세서리 단자(ACC), 제1 이그니션단자(IG 1), 제2 이그니션단자(IG 2), 스타트 단자(ST) 등으로 스위칭되면서 해당 부하(140) 등에 배터리(110)의 전원을 연결한다. 여기서, 이그니션스위치(120)와 각종 부하(140) 사이에는 안전장치로서 휴즈박스(130)가 위치한다.The
그런데, 전원계통을 보면, 조명 등을 포함하는 일부 부하나 각종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110), 이그니션스위치(120), 휴즈박스(130)를 거쳐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라인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를 보면, 배터리(110)는 엔진룸 내에 위치하고, 이그니션스위치(120)는 실내에 위치하며, 휴즈박스(130)는 다시 엔진룸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센서 및 부하(140)의 일부는 다시 실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이그니션스위치(120)를 거쳐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 등의 전기배선을 보면, 엔진룸 내에 있는 배터리(110)에서 실내의 이그니션스위치(120) 까지 3.0sq 이상의 굵은 배선을 사용되고 있고, 다시 실내의 이그니션스위치(120)에서 엔진룸 내의 휴즈박스(130)까지도 3.0sq 이상의 굵은 배선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흐르기 때문인데, 이러한 배선굵기의 증가는 대시(dash)를 관통하는 홀의 크기도 증가시켜 엔진룸과 실내의 격리에 불리하다. 또한, 엔진룸에서 실내, 실내에서 엔진룸, 그리고 엔진룸에서 실내로 전원이 흐르고 있다. 이는 회로길이의 연장에 따른 전압 강하의 요인이 될 뿐 아니라, 배선 하니스의 경로에도 부담이 된다. 결국, 엔진룸 내의 부하나 센서류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공급전원이 실내를 거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 하겠다.However, in the power system, power supplied to some loads including various lights and various sensors is supplied through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그니션스위치에 사용되는 배선의 굵기를 작게 하여 대시홀의 크기를 줄여 엔진룸과 실내의 격리성을 제고하고, 전압강하로 인한 배터리 전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wiring used in the ignition switch to reduce the size of the dash hole to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engine room and the room, and to minimize the waste of battery power due to voltage drop It is d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부하나 센서류에 공급되는 고전압 전원은 휴즈박스를 경유하여 각종 부하 등에 직접 공급하고, 이그니션스위치에서 출력되는 각종 기동신호의 저전압 신호는 배터리와 휴즈박스 사이에 위치하는 릴레이박스로 입력되어, 배터리에서 휴즈박스로 직접공급되는 고전압전원의 연결을 제어하는 차량의 전원 직접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high voltage power supplied to various loads or sensors directly to various loads via a fuse box, and low voltage signals of various start signals output from the ignition switch are loca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use box. It is input to the relay box, to provide a direct power supply of the vehicle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high voltage power supplied directly from the battery to the fuse box.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직접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 직접공급장치는 배터리(110), 이그니션스위치(120), 휴즈박스(130), 센서 및 부하(140), 그리고 릴레이박스(210) 등으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irect powe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irect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배터리(110)는 일반적으로 가솔린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는 작용물질이 납이기 때문에 납축전지라고 하며, 이런 전지는 각각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진 양극, 음극을 전극으로 하여 이들과 전해액으로 구성되며 양 전극을 도체로 연결하면 각 전극의 작용물질과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전기적 에너지를 부여하면 화학적 에너지를 가진 원래의 작용물질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와같이 작용이 가역적인 것을 축전지(2차전지)라고 하며, 차량에는 축전지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배터리는 기동시 전기부담, 발전기 고장시 대체전원, 발전기 출력과 밸런스 조정 등으로 이용된다. 축전지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1.5 내지 2mm 정도의 극판,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설치되어 단락방지의 기능을 하는 두께 2mm 정도의 격리판, 극판균, 전해액 등으로 구성된다.The
이그니션스위치(120)는 통상적인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어 엔진이 구동되기까지의 과정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그니션스위치를 형성하는 키어셈블리의 구조를 보면 원형 관 모양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삽입 장착된 키 실린더, 키 실린더의 후면에 연결된 원형 로드 형태의 로터 등으로 구성된다. 키 실린더의 전면에 형성한 키홀에 키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로터가 회전하는 데, 이 회전에 의해서 접점이 ACC, IG 1, IG 2, 그리고 스타트 위치로 이동하면서 각 위치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가 릴레이박스로 공급된다.The
이그니션스위치에서 사용되는 전원은 저전압이 이용되고, 그 결과 이그니 션스위치(120)에서 릴레이박스(210)까지의 배선은 약전에서 사용되는 굵기의 전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이그니션스위치(120)와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릴레이박스(210)를 배선하기 위하여 대시(dash)에 구비되는 홀의 크기도 작게 형성시킬 수 있다. As the power used in the ignition switch, a low voltage is used, and as a result, the wire from the
휴즈박스(130)는 과전류 보호 부품의 일종으로, 규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발열하여 녹아 끊어져 안전을 유지하게 하는 금속, 즉 단락 전류 및 과부하 전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가용체로써, 보통 융점이 220 ~ 320(℃)인 납, 주석 및 안티모니의 합금 외에 소전류용에서는 알루미늄이나 텅스턴선과 같은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휴즈는 가느다란 선의 실휴즈, 판 모양의 판휴즈, 양단에 나사로 죄게 되어 있는 갈고리를 단 갈고리휴즈, 베이클 라이트나 파이버 원통에 넣은 통형휴즈, 소형기기용으로 유리관 안에 넣은 관들이휴즈 등이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운전 전압의 크기가 65(V) 이상인 경우에 안전상의 이유에서 복선식(Double Wiring System)으로 배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차량의 정격 전압은 6, 12, 또는 24(V)이므로, 단선식(Single Wiring System)으로 배선할 수도 있다. 차량의 전기 회로에서는 보통 전원의 마이너스(-)선을 차체 또는 프레임에 접지하고 전원의 플러스(+)선을 부하(전기 부품 또는 장치)에 연결시키는 마이너스 접지 방식을 사용하는 데, 단선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배터리(110)의 플러스 단자에서 릴레이박스(210), 퓨즈박스(130) 및 부하(140)까지 전선으로 연결하고 해당 부하(140)는 바로 차체 또는 프레임에 접지하는 데, 해당 전선이 절약되고 배선 작업 또는 점검이 용이하다.The
릴레이박스(210)는 계전기로도 불리며,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석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배터리(110)의 플러스 단자에서 출력된 전원을 휴즈박스(130) 및 부하(140)에 전달하는 중간에서 전원의 연결을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릴레이박스(210)는 배터리(110)의 고전압 배선과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며, 저전압으로 구동된다. 이그니션스위치(120)의 스위칭 속도에 비추어 볼 때, 릴레이박스(210)는 기계적으로 접점을 닫거나 여는 기계식 릴레이로도 충분하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원 직접공급장치의 일 작용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저전압 전선을 따라 흐르는 스타트(ST) 신호가 이그니션스위치(120)에서 릴레이박스(210)로 인가되면, 릴레이박스(21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배터리(110)의 전압이 휴즈박스(130)을 경유하여 스타트 모터(140)로 직접 공급된다. 스타트 모터의 모터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어 있는데, 피니언 기어는 스타트 모터에 전압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플라이휘일의 링기어와 맞물린다. 이어, 스타트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는 링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크랭크축이 회전하여 엔진이 구동하기 시작한다.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direct power supply having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For example, when a start signal (ST) flowing along a low voltage wire is applied from the
여기서, 배터리(110)에서 휴즈박스(130) 등으로 직접 공급되는 전원은 고전압이다. 즉, 이그니션스위치(120)에서 출력되는 저전압 신호는 배터리(110)에서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Here, the power supplied directly from the
이러한 구조 및 작용을 갖는 전원 직접공급장치에 의하면, 이그니션스위치에 사용되는 배선의 굵기를 작게 하여 대시홀의 크기를 줄여 엔진룸과 실내의 격리성 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에서 이그니션스위치로, 그리고 이그니션스위치에서 휴즈박스 등으로 배선되는 고전압 전선이 필요없어 전선 사용의 비용을 줄이며 아울러 길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줄어들어 배터리 전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rect power supply having such a structure and action,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wiring used in the ignition switch to reduce the size of the dash hole can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engine room and the room. In addition, since high voltage wires are not needed from the battery to the ignition switch and from the ignition switch to the fuse box, the cost of using the wire is reduced and the voltage drop caused by the length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waste of battery pow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7544A KR100569968B1 (en) | 2003-08-20 | 2003-08-20 | System for Directly Providing a Load an Electrical P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7544A KR100569968B1 (en) | 2003-08-20 | 2003-08-20 | System for Directly Providing a Load an Electrical Pow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9639A KR20050019639A (en) | 2005-03-03 |
KR100569968B1 true KR100569968B1 (en) | 2006-04-10 |
Family
ID=3722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7544A KR100569968B1 (en) | 2003-08-20 | 2003-08-20 | System for Directly Providing a Load an Electrical P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99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6887B1 (en) | 2010-06-29 | 2012-03-26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System for supplying and converting power of vehicle |
-
2003
- 2003-08-20 KR KR1020030057544A patent/KR10056996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6887B1 (en) | 2010-06-29 | 2012-03-26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System for supplying and converting power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9639A (en) | 2005-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41134B2 (en) | Power supply | |
KR101225307B1 (en) | Engine starter and resistor short-circuiting device | |
EP2063101A1 (en) | Starter motor control circuit | |
JP2007512185A (en) |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and system using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 |
JPH09251830A (en) | Onboard network for vehicle | |
KR20170000404U (en) | Battery disconnect unit | |
JP2010502512A (en) | Power circuit for vehicle | |
US20030000759A1 (en) |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motor vehicle | |
JP2004159439A (en) | Power breaker | |
KR100569968B1 (en) | System for Directly Providing a Load an Electrical Power | |
JP2020100259A (en) |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 |
CN111034046A (en) | Connection unit and power supply system | |
JP5474600B2 (en) | Vehicle power supply | |
JP6671440B1 (en) | Junction box control device | |
JP2001510257A (en) | Current measuring module for starting devic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JP2009299560A (en) | Power-supply unit for vehicle | |
CN112054790B (en) | Time delay switching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ime delay switching device | |
WO2023162200A1 (en) | In-vehicle breaking current supply device | |
KR20000072422A (en) | A battery system to prepare the discharge in the battery of car | |
KR100312154B1 (en) | Active fuse for an automobile | |
JP2004216949A (en) | Power feeding device for vehicle | |
SU1326768A2 (en) | Circuit for connecting starter-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1028832A (en) | Dc/dc converter protector | |
CN203499887U (en) | Multifunctional electronic relay for starter | |
KR100494770B1 (en) | A grounding structure of negative post of vehicle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