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64091B1 - 전기 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091B1
KR100564091B1 KR1020010010304A KR20010010304A KR100564091B1 KR 100564091 B1 KR100564091 B1 KR 100564091B1 KR 1020010010304 A KR1020010010304 A KR 1020010010304A KR 20010010304 A KR20010010304 A KR 20010010304A KR 100564091 B1 KR100564091 B1 KR 10056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latch
latch element
connection system
sh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233A (ko
Inventor
가즈유키 시라키
아키라 나가미네
츠요시 오사다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 지도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5807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640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 지도샤 (주)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0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접속 시스템은 제1 전기 커넥터 요소(13)를 지지하기 위한 제1 구성요소(2) 및 제1 구성요소(2)와 맞물려지고 제1 수 전기 커넥터 요소(13)와 맞물림가능한 제2 암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2 구성요소(3)를 포함한다. 단락 요소(4)는 제1 수 전기 커넥터 요소(13)를 전기적으로 단락하기 위해, 제1 구성요소(2)상에 미리 설치된다. 래치요소(5)는 제2 구성요소(3)에 관하여 제1 위치에서 미리 래칭된다. 래치요소(5)를 누름으로써, 제2 구성요소(3)는 제1 구성요소(2)와 맞물리고, 동시에 제1 래칭 위치내에 래칭된 래치요소(5)는 해제되고 단락 요소(4)의 단락이 래치요소(5)에 의해 해제되는 제2 래칭 위치로 더 눌려진다.
커넥터 시스템,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단락 인서트, 래치요소, 소켓

Description

전기 접속 시스템{ELECTRICAL CONNECTION SYSTEM}
도 1은 에어백 시스템내에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 또는 전기 접속 시스템(1)의 전체 배열설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래치요소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라인 3-3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라인 4-4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제1 구성요소내의 단락 인서트의 사시도,
도 6은 단락 인서트내에 포함된 단락 클립의 사시도,
도 7은 제2 구성요소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상부에서 바라본 래치요소의 삽입전의 제2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9는 하부에서 바라본 래치요소의 삽입후의 제2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10은 제1 구성요소에 제2 구성요소가 맞물리는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1은 제1 구성요소에 맞물리는 과정에 있는 제2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2는 제1 구성요소에 맞물리는 과정에 있는 제2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3은 제1 구성요소로의 제2 구성요소의 맞물림이 완료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4은 제1 구성요소에 맞물리는 과정중에 있는 제2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12에 상응하는 종단면도,
도 15는 제1 구성요소로의 제2 구성요소의 맞물림이 완료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3에 상응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넥터 시스템(전기 접속 시스템) 2 제1 구성요소
3 제2 구성요소 4 단락 인서트
5 래치요소 11 소켓
13 핀(제1 커넥터 요소) 14 경사면
15 래치 홈 24 단락 클립
30 전기 콘택트 31 중앙 플러그부
41 탄성 레그 42 래치부
45 오목부 46 제1 관통개구
47 제2 관통개구 50 헤드부
51 제1 레그 52 규제부
53 제2 레그 54 제1 래치부
55 제2 래치부 61 계단부
62 래치 홈 63 두께부분
본 발명은 전기 접속 시스템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가 적당한 전기 접속상태에 있지 않을 때 제1 구성요소의 전기 콘택트가 함께 단락되도록 하고 상기 두 구성요소가 적당하게 접속되었을 때 전기 콘택트가 단락 해제되도록 하는 래치요소를 갖는 제2 구성요소 및 제1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내의 승객을 구속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당하고 그에 대해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더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고 많은 다른 환경에서 그리고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실 내의 감추어진 구획내에 설치된 에어백 어셈블리 및 전기 또는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에어백 어셈블리 및 제어 시스템이 분리되어 설치된 후에 에어백 어셈블리 및 제어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용이한 방법을 허용하기 위해 전기 플러그 및 잭 커넥터 배열설치가 전형적으로 제공되는 와이어링 하니스에 의해 에어백 어셈블리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시스템은 소위 단락 클립을 포함한다. 단락 클립은 플러그 및 잭이 맞물리기 전에 플러그 또는 잭내의 리드를 함께 전기적으로 단락하기 위해 배열설치된 작은 금속 요소이다. 그런 단락 클립은 안전 수단으로서 포함되어, 제조 공정동안 전기 전하의 누설 및 오접속이 에어백 어셈블리를 우발적으로 트리거링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 시스템이 바르게 접속될 때, 단락 클립에 의한 전기적 단락에 대한 안전 수단은 비단락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안전 캐치를 해제하기 위한 래치요소를 갖는 접속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 5,275,575호 및 일본 특허 제2,647,3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접속 시스템은 양쪽 구성요소가 완전 맞물리는 위치에 있고 래치요소가 래치요소의 래칭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전기 접속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래치요소는 접속 구성요소 양쪽이 완전 접속된 후에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양 구성요소를 맞물리게 하는 제1 단계 동작 및 래치요소를 양쪽 구성요소에 대하여 래치요소의 래칭 위치에까지 삽입하는 제2 단계 동작으로 구성되는 두 단계 동작이 접속 시스템을 완전 접속 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해 요구된다. 또한, 래치요소가 가요성 암에 의해 양쪽 구성요소중 하나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성요소는 크기가 증가하고, 그 결과, 접속 시스템을 다루기 어렵게 된다.
미국 특허 제 5,314,345호 및 일본 특허 제2,647,335호에는 양쪽 구성요소가 바르게 접속될 때, 단락 클립에 의한 전기적 단락이 해제되고, 또한, 일단 래치요소가 양쪽 구성요소 안에 삽입되면, 양쪽 구성요소의 접속은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접속 시스템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두 단계 동작이 미국 특허 제 5,275,575호의 경우와 같이, 접속 시스템을 완전히 접속된 상태로 놓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래치요소의 제공으로 인하여, 구성요소중 하나는 크기가 증가하여, 그 결과, 접속 시스템을 다루기 어렵게 된다.
일본 실용신안 공보 제 1992-33,666호는 전기 접속이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서 정확하게 일어난 후에, 제2 구성요소내에 미리 래칭된 래치요소가 눌려져 두 구성요소가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위치에 래치요소가 래칭될 수 있게 하는 접속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접속 시스템은 제1 구성요소를 위한 아무런 단락 요소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두 구성요소의 맞물림 동작 및 래치요소의 누름 동작이 두 단계로 일어난다.
본 발명은 일 연속 모션으로 두 구성요소의 맞물림 동작 및 일 구성요소내에 단락 요소의 단락을 해제하기 위한 래치요소의 누름 동작을 할 수 있고 또한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는 전기 접속 시스템을 제공한다.
두 구성요소중 하나에 관하여 제1 위치내에 래칭된 래치요소가 내부로 눌려져서 두 구성요소가 맞물리게 된 후에, 또 다른 구성요소내의 단락 요소의 단락이 래치요소에 의해 해제되는 제2 위치로 래치요소가 계속해서 눌려질 수 있어, 접 속이 전체적으로 일 동작으로 행해지는 전기 접속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이다.
래치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래치요소를 제2 위치로 누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필요한 만큼만 일 구성요소로부터 돌출되도록 래치요소가 설계되어 전체 접속 시스템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게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래치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내부로 눌려지도록 설계됨으로써 두 구성요소가 접속 상태에 있는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래치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안으로 눌려질 때, 래치요소가 단락 요소의 단락을 해제하고 또한 두 구성요소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두 구성요소의 완전한 접속을 이루는 전기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제1 수 전기 커넥터 요소(male electrical connector element)를 지지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리고 제1 수 전기 커넥터 요소와 맞물림가능한 제2 암 전기 커넥터 요소(female electrical connector element)를 지지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수 전기 커넥터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요소는 제1 구성요소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다. 래치요소는 제2 구성요소에 관하여 제1 래칭 위치내에 미리 래칭되어 있다. 래치요소를 누름으로써,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리고 동시에 제1 래칭 위치내에 래칭된 래치요소는 해제되고 단락 요소의 단락이 래치요소에 의해 해제되는 제2 래칭 위치로 보다 더 눌려진다.
바람직하게, 래치요소가 제1 위치내에 래칭된 상태에 있을 때, 래치요소의 부분은 제2 구성요소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다른 한편,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리고 래치요소가 제2 위치내에 래칭된 상태로 있을 때, 래치요소의 상기 부분은 제2 구성요소내의 오목부내에 수용된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한 것처럼, 래치요소는 제1 래칭 위치로부터 제2 래칭 위치로 이동하도록 눌려져서 제1 및 제2 구성요소의 맞물림 및 단락 요소에 의한 단락의 해제는 모두가 하나의 연속적인 누름 동작으로 일어난다. 또한, 제1 및 제2 구성요소사이의 적당한 전기 접속은 단순히 래치요소가 제2 위치에 있는 지를 체킹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제한적인 특징에 따라, 제1 및 제2 구성요소가 서로 맞물리고 있고 래치요소가 제2 래칭 위치에 있을 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되려는 제2 구성요소의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가 래치요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에 대한 하기 설명을 읽을 때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이고 본 발명을 규제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특별히 첨부된 도면에서, 에어백 시스템내에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 또는 전기 접속 시스템(1)의 전체 배열설치의 설명이 도 1에 도시되었다. 잭의 형태인 제1 구성요소(2) 및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의 형태인 제2 구성요소(3)를 포함하는 맞물림되기 이전 상태의 커넥터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구성요소(2)는 에어백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하는 에어백 점화기(가끔 스퀴브로 불린다)의 일부으로서 제공된다. 에어백 점화기는 두 개의 전기 리드(32)를 통해 에어백 점화기에 충분한 전기 에너지가 인가될 때 연소하는 화공 장치이다. 점화기의 연소는 가스 발생 물질의 점화 및 에어백의 팽창을 야기한다.
단락 인서트(4)는 꼭 맞는 상태로 제1 구성요소(2)에 부착된다. 단락 인서트(4)는 구성요소(2,3)가 서로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맞물릴 때까지 제1 구성요소(2)의 접점을 단락한다.
제2 구성요소(3)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구성요소(2)에 맞물린다. 래치요소(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치 위치에 래칭된 상태로 제2 구성요소(3)에 유지된다.
이런 다양한 구성요소의 기능 및 상호 관계는 하기 설명에서 계속해서 명백해 질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명백해 지는 것과 같이, 제2 구성요소(3), 단락 인서트(4) 및 래치요소(5)는 다양한 전선 및 접점을 제외하고 적당한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인 플라스틱 물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구성요소(2)에서, 구성요소(2)는 개구 또는 소켓(11)을 형성하는 원통형체(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 4 및 5에 도시된다. 소켓(11)을 형성하는 본체(10)는 점화기등의 하우징과 같이 관련된 구조내에 직접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소켓(11)이 분리된 개별 요소로 형성되고 관련된 구조에 더해질 수 있다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임의의 이벤트에서, 소켓(11)을 형성하는 본체(10)는 도 4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 벽(12)에서 종단이 되는데, 이 바닥벽으로부터 한 쌍의 제1 , 금속, 전도성, 수 커넥터 요소 또는 핀(13)이 뻗는다. 두 개의 핀(13)은 임의의 종래 형태로 각각의 에어백 점화기의 리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핀(13)을 통하여 점화기에 전기 에너지를 연결하여 점화기가 점화되게 한다.
경사면(14)은 소켓(11)의 입구에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래치 홈(15)은 소켓(11)의 내부에 형성된다. 경사면(14)은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3)의 탄성 레그(41)의 래치부(42)를 수용하고 중앙을 향하는 변형 모멘트를 생성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경사면(14)은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요소(5)의 래치부(55)를 수용하고 중앙을 향하는 변형 모멘트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래치 홈(15)은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3)의 래치부(42)를 수용하여 맞물림상태로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래치홈(15)은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요소(5)의 제2 래치부(55)를 수용하여 제2 래치위치로 절환하도록 동작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이 반원 오목부(16)와 함께 그것의 입구의 한 위치에서 제공된다. 오목부(16)는 소켓(11)내에 놓일 때 단락 인서트(4)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 동작한다.
단락 인서트(4)는 소켓(11)내에 수용되고 제2 구성요소(3)가 제1 구성요소(2)에 맞물리지 않는 동안 전기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수 커넥터 요소(13)를 단락하도록 작용하여 제2 구성요소(3)의 래치요소(5)가 제2 래치 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인서트(4)는 소켓(11)내에 가깝게 수용되어지게 하는 크기로 된 원주형상으로 성형된 플라스틱이 본체(21)를 포함한다. 본체(21)의 상면은, 오목부(16)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되고 크기지어진 짧은, 하방으로 뻗는 반원통형 돌출부(22)가 그 상면의 측방에서 제공된다. 돌출부(22)는 소켓(11)에 대해 단락 인서트(4)의 적정한 방향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본체(21)는 중앙에 위치하고 상면 및 양측면으로 개방되고 수 커넥터 요소 또는 핀(13)이 뻗는 개구(23)를 포함한다.
단락 클립(24)은 단락 인서트(4)의 본체(21)내에 유지된다. 단락 클립(24)은 스프링 금속과 같은 탄성이고, 전기적 도전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단락 클립(24)의 일부는 단락 클립이 양쪽 핀(13)에 접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단락 클립(24)과 핀(13)사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도 6내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클립(24)은 판 모양의 베이스(25), 베이스(25)의 상부에서 접혀지고 그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레그 및 한 쌍의 레그(26)의 바닥부에서 90°의 각으로 접혀진 한 쌍의 맞닿음부(27)를 포함한다. 레그(26)는 각각 베이스(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굽혀지고 구부러져 맞닿음부(27)는 핀(13)의 양쪽에 측방으로 접할 수 있어서 맞닿음부(27) 및 핀(13)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도 5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클립(24)은 뽑혀지지 않는 방법으로 단락 인서트(4)의 슬릿 모양의 오목부(28)에 베이스(25)를 삽입함으로써 단락 인서트(4)의 본체(21)내에 유지된다.
도 4는 단락 위치에 있는 단락 인서트(4)를 도시한다. 단락 인서트(4)는 소켓(11)내 소정위치에 위치되고, 두 개의 핀(13)은 그것의 하측면에서 단락 클립(24)의 맞닿음부(27)와 접하여 함께 전기적으로 맞물리고 개구(23)를 통해 상방으로 뻗는다.
커넥터 시스템 또는 전기 접속 시스템(1)의 제2 구성요소(3)는 도 1,3 및 7 내지 9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3)는 하방으로 뻗고 제2 암 커넥터 요소(도 3 및 9 참조)의 형태로 한 쌍의 전기 접촉부(30)를 갖는 메인 본체부 또는 중앙 플러그부(31)를 포함한다. 전기 접촉부(30)는 도체(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접촉부(30)는 제1 구성요소(2)의 핀(13)을 수용하도록 배열설치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도 3 및 7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플러그부(31)내에 통합된 각각의 전기 접촉부(30)는 두 개의 도체(32)중 상응하는 것에 접속되기 위해, 제2 암 커넥터 요소를 형성하는 원통형 단자로부터 뻗고 대략 L모양으로 되는 도체 접속부(33)를 가지고 있다. 이런 도체(32)는 상응하는 도체 접속부(33)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단부가 벗겨진 절연외장된 전선이다. 전선은 보통 전선의 벗겨진 단부 주변에서 도체 접속부(33)의 부분을 크림핑하는 임의의 종래 방법으로 도체 접속부(33)에 부착된다. 도체(32)는 제2 구성요소(3)의 박스 모양의 하부 부분(34)내의 캐비티(34a)내에 배치된 페라이트 비드(35)를 통과한다. 비드(35)는 대략 박스 모양의 동종물이고 도체(32)가 통과하는 두 개의 평행, 원통 스루홀에 의해 관통된다. 도체(32)는 메인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나오고, 캐비티(34a)의 후방 벽내의 개구를 통과한다.
중앙 플러그부(31)는 보통 도 9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형 원통형을 갖는다. 아치형의 탄성 레그(41)의 쌍은 외부 측방으로 위치되어 중앙 플러그부(31)의 측면과 마주한다. 탄성 레그(41)는 하방으로 뻗고 외부 방사형으로 뻗는 래치부(42)를 가지고 있다. 도 1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42)는 제2 구성요소(3)가 적당히 맞물려질 때 래치 홈(15)으로 들어가도록 크기와 위치가 정해진다.
이런 탄성 레그(41)는 소켓(11)의 내부에 밀접하게 맞물리도록 위치와 크기가 정해지고 제1 구성요소(2)에 의해 형성된 소켓(11)내에 제2 구성요소(3)를 위치시키기 위한 강성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중앙 플러그부(31)는, 도 9에 도시된 볼록부(43)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43)는 크기와 위치가 정해져 도 1에 도시된 단락 인서트(4)의 상방으로 열리는 오목부(29)내에 맞물린다. 볼록부(43)와 오목부(29)사이의 맞물림으로 제2 구성요소(3)의 두 전기 접촉부(30)와 제1 구성요소(2)의 두 개의 핀(13)사이를 적정한 접속이 보장된다.
도 7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3)는 하부 부분(34)를 둘러싸고 리드(32)를 위한 엔클로저를 제공하고 변형제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맞물리게하는 상부 부분(36)을 더 포함한다. 상부 부분 또는 커버(36)은 하부 부분(34)과 일체가 되어 하부 부분(34)은 화살표 방향으로 되접힐 수 있다. 이런 두 개의 부분(34,36)은 상부 부분(3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서로 이격되어 있고, 탄성적인 탭 신장부(37)와 하부 부분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래치의 맞물림에 의해 대략 정방형 형상으로 일체화된다. 이것은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관계의 맞물림으로 제2 구성요소(3)의 두 부분(34,36)을 잠근다.
도 8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부분(36)은 중앙 플러그부(31)상의 상응하는 위치에 상면에 얕고 넓은 오목부(45)를 기지고 있다. 한 쌍의 제1 , 이격된, 관통개구(46)가 오목부(45)의 폭방향 양쪽으로부터 중앙 플러그부(31)와 탄성 레그(41)간의 공간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관통개구(47)는 중앙 플러그부(31)의 측방으로 오목부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일직선상으로 놓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 제1 관통개구(46) 및 제2 관통개구(47)은 연속하여 대략 L형의 관통개구를 형성한다. 대략 L형 관통개구의 이런 형상 덕택에, 충분한 힘이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부분(36)의 기계적 힘을 감소시키지 않고 전기 접속 시스템을 위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런 관통개구(46,47)내에 삽입될 때, 래치요소(5)는 제1 래치위치내에 래치요소(5)를 래칭하기 위해 중앙 플러그부(31)와 공동으로 작용한다.
래치요소(5)는 헤드부 또는 누름부(50), 누름부(50)의 폭방향 양쪽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제1 레그(51), 제1 레그(51)의 양측에 위치된 규제부(52) 및 누름부(50)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일직선상에서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제2 레그(53)를 포함한다. 제1 레그(51) 및 제2 레그(53)는 대략 L형으로 배열설치되고, 이들 제2 레그(53)는 서로 슬릿(58)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이들 레그는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부분(36)에서 형성된 대략 L형 관통개구내로 삽입되는 크기로 되고 배열된다. 이것으로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관계의 맞물림으로 이런 부분들을 잠근다. 제1 레그(51)는 하방으로부터 위치된 순서로 제1 래치부(54) 및 제2 래치부(55)를 포함한다. 제1 래치부(54)는 외부로 약간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2 래치부(55)는 외부로 크게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래치요소(5)는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었다. 제1 레그(51)의 제1 래치부 또는 작은 돌출부(54)는 팁 단부에서 계단부(54a)를 가지고 있다. 도 1의 라인 3-3을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인 도 3의 좌측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계단부(61)는 제2 구성요소(3)의 탄성 레그(41)에서 개구(60)의 하단부에서 형성된다. 래치요소(5)가 제2 구성요소(3)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레그(51)의 계단부(54a)는 탄성 레그(41)의 계단부(61)와 맞닿아서 제1 래치위치에서 래칭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래치요소(5)의 제2 래치부 또는 큰 돌출부(55)는 개구(6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동작가능한 상태로 놓이게 된다.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여 도려내진 래치 홈(62)은 그것의 하단부에서 탄성 레그(41)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1 래치 위치로부터 시프팅되어 래치요소(5)의 제1 래치부(54)의 외부 돌출부는 래치 홈(62)내에 래칭되어 래치요소(5)는 제2 래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2 래치위치내의 래칭 크기는 제2 구성요소(3)로부터 래치요소(5)를 당김으로써 래치요소(5)가 제1 래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51)의 양측에서 규제부(52)는 제1 레그(51)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 슬릿(56)을 통해 배열설치되고 하단부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라인 3-3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도 3의 우측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부(52)는 제2 구성요소(3)의 탄성레그(41)의 내부 두께부분(63)과 중앙 플러그부(31)의 외측부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요소(5)가 제1 래치 위치에 있거나 헤드부(50)가 제2 구성요소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탄성 레그(41)의 래치 위치(42)의 내부 변형은 규제부(52)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다. 도 13에서 점선에 의해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50)가 오목부(45)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2 래치위치에 래치요소(5)가 시프팅될 때, 규제부(52)는 그들이 두께부분(63)의 내부 돌출부(63a)에 직면하는 위치로 하강된다. 이렇게, 래치부(42)가 래치 홈(15)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시도될 때, 내측 돌출부(63a)는 래치부(42)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규제부(52)와 맞닿게 된다. 그러나, 정상 상태에서 규제부(52)는 규제부 및 중앙 플러그부(31) 또는 탄성 레그(41)의 두께부분(63)사이의 간격을 한정한다. 이로써 제1 래치요소(5)가 그것의 부드러운 삽입을 위해 제1 래치 위치로부터 제2 래치 위치로 시프팅되어지는 것이 보장된다.
도 2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그(53)가 슬릿(58)을 걸쳐서 서로 직면하고 최하단부로 뻗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슬릿(58)은 헤드부 또는 누름부(50)의 후부로부터 제2레그(53)의 단부로 뻗고, 헤드부(50)는 오목부(45)내에 확실히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슬릿(58)의 제공으로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부분(36)에서 형성된 관통개구가 대략 L모양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어서 전기 접속 시스템에 충분한 기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15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요소(5)가 제1 래치 위치로부터 제2 래치 위치로 플러깅될 때, 제2 레그(53)는 맞닿음부(27)가 핀(13)으로부터 멀어져 이동하도록 단락 클립(24)의 접힌 부분으로 전진되어, 핀(13)으로의 전기적 단락상태를 해제한다. 제2 레그(53)는 그들중의 어느 하나는 단락 클립(24)의 접혀진 부분에 도달하기 위해 하방으로 뻗도록 수정되고 또한 맞닿음부(27)가 핀(13)으로부터 멀어져 이동하게 하는 특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커넥터 시스템 또는 전기 접속 시스템(1)의 접속 모션은 도 1 내지 3 및 도 10 내지 15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인서트(4)는 핀(13)의 전기 단락을 얻기 위해 제1 구성요소(2)의 소켓(11)내에 미리 끼워맞춰진다. 도 1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요소(5)는 제1 위치에서 또는 제1 래치부(54)가 계단부(61)와 맞닿은 상태에서 제2 구성요소(3)에 미리 래칭된다. 제2 구성요소(3)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요소(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래치요소(5)는 래치요소가 제2 구성요소(3)에 대하여 눌려진 순간에도 하강되지 않는다. 이렇게, 래치요소(5)의 헤드부(50)는 제2 구성요소(3)내의 오목부(45)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서로 평행하게 뻗는 탄성 레그(41)의 하단부가 사람의 손이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및 하부 부분(34,36)의 측부를 잡고 있는 상태로 제1 구성요소(2)의 소켓(11)내에 삽입된 상태를 분명하게 도시한다. 탄성 레그(41)의 래치부(42)는 소켓(11)의 입구에서 경사면(14)과 맞닿아 정지되어 있다. 래치요소(5)의 헤드부(50)가 이런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으로 눌려질 때, 내부 방향 모멘트(M1)가 탄성 레그(41)내에 생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레그(41) 및 제1 레그(51)는 안으로 구부러져 탄성 레그(41)의 래치부(42)는 래치 홈(15)내에 끼워맞춰진다. 그다음 래치요소(5)의 규제부(52)는 그들의 상부 위치에 있어서, 규제부는 탄성 레그(41)의 변형을 규제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레그(41)의 래치부(42)가 래치 홈(15)내에 끼워맞춰질 때, 래치요소(5)의 제2 래치부(55)는 소켓(11)의 입구에서 경사면(14)과 간섭된다. 그 결과로서, 내부 방향 모멘트(M2)가 제1 레그(51)에서 생성되고, 이에 따라 제1 레그(51)의 제1래치부(54)는 즉시 탄성레그(41)의 계단부(61)로부터 떨어진다. 이렇게, 래치요소(5)의 헤드부(50)의 누름동작으로 래치요소(5)를 계속해서 더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51)의 제2 래치부(55)가 래치 홈(15)내에 끼워맞춰질 때, 래치요소(5)는 제1 레그(51)의 제1 래치부(54)가 래치 홈(62)내에 래칭된 제2 래치 위치에 놓이게 된다. 또한, 래치 홈(15)으로부터 래치부(42)가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래치요소(5)의 규제부(52)는 규제부가 두께부분(63)의 내측 돌출부(63a)와 직면하는 위치(래치 홈(15) 및 래치부(42)가 맞물리는 위치에 가깝다)로 하강된다. 이렇게, 제2 구성요소(3)는 제1 구성요소(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래치 위치에서, 래치요소(5)의 헤드부(50)는 제2 구성요소(3)의 오목부(45)내에 가라앉아서 제1 구성요소(2) 및 제2 구성요소(3)의 기계적 맞물림의 완료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횡단면도에 상응하는 종단면도이다. 제2 구성요소(3)가 제1 구성요소(2)와 맞물리고 래치요소(5)가 더 눌려질 상태가 도시되어있다. 이런 상태에서, 래치요소(5)의 제2 레그(53)의 팁 단부는 도중에서 단락 클립(24)의 계단형상의, 구부러진 부분에 도달하지 않는다. 이것의 결과로, 맞닿음부(27)는 핀(13)의 측면과 맞닿아 맞닿음부(27)의 단락상태가 유지된다. 도 15는 도 13의 횡단면도에 상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래치요소(5)의 제2 레그(53)의 팁 단부는 도중에서 단락 클립(24)의 계단형상의, 구부러진 부분을 수직으로 만든다. 이것의 결과로서, 맞닿음부(27)는 핀(13)의 단락 상태를 해제하고 전기적 끼워맞춤부를 완료하기 위해 핀(13)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져 이동된다.
이렇게, 제1 구성요소(2)와 제2 구성요소(3)사이에 있는 기계적 맞물림 및 그사이의 전기적 끼워맞춤부는 단순히 래치요소(5)를 누르는 일 동작에 동시에 완료될 수 있다. 일단 제1 구성요소(2) 및 제2 구성요소(3)간의 기계적 맞물림이 완료되면, 제2 구성요소(3)는 래치요소(5)가 제2 래치 위치로부터 제1 래치 위치로 돌아가지 않으면 제1 구성요소(2)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물론, 본 발명의 변형 및 적용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고, 첨부된 청구항에 있는 것과 같은 모든 그런 변형 및 적용 및 동등물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락 클립(24)의 레그 쌍(26,26)은 플레이트의 단일 시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맞닿음부(27)의 쌍의 팁 단부에서 90°의 각도로 레그(26)의 쌍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맞닿음부(27)는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핀(13)과 직접 레그(26)를 접촉하게 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래치요소(5)는 제2 레그(53)사이에 아무 슬릿(58)도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수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레그(51)의 쌍 사이에 플레이트의 단일 시트의 형태로 제2 레그(52)를 형성하고 대략 U형상으로 제1 레그(51) 및 제2 레그(52)를 배치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런 수정에서,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부분(36)내의 관통개구는 상응하는 대략 U형상을 갖는 형태로 수정되어야 한다. 제2 구성요소(3)의 상부 부분(36)내에 있는 관통개구가 대략 U형상으로 형성될 때, 제2 구성요소(3)는 기계적 힘이 감소하지만, 기계력의 감소는 대략 U형상으로 형성된 레그(51,52)에 의해 형성되는 래치요소(5)를 제2 구성요소내에 삽입함으로써 보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래치요소(5)는 래치 및 단락이 일 연속 동작에서 해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시스템은 물론, 래칭 및 단락이 개별적인 동작에서 해제되는 종래 형태의 전기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두 구성요소중 하나에 관한 제1 위치에 래칭된 래치요소가 두 구성요소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양쪽 구성요소내에서 눌려진 후에, 래치요소는 또 다른 구성요소내의 단락 요소의 단락이 래치요소에 의해 해제되는 제2 위치로 계속해서 눌려질 수 있고, 그래서 총괄적으로 일 동작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래치요소는 래치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위치로 래치요소를 누르는 최소한의 필요한 만큼만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돌출하도록 설계되어서, 전체 접속 시스템이 크기를 소형화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래치요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누르도록 설계되었고, 그래서 양쪽 구성요소가 접속 상태에 있는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더구나, 래치요소에 규제 위치가 제공되는 경우에, 래치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눌려질 때, 래치요소는 단락 요소의 단락을 해제하고 양쪽 구성요소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하여, 양쪽 구성요소의 완전 접속을 이루게 된다.

Claims (14)

  1. (1) 제1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1 구성요소;
    (2) 제1 전기 커넥터 요소와 맞물림가능한 제2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2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전기 커넥터 요소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 요소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림가능한 제2 구성요소;
    (3) 제1 전기 커넥터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하기 위한, 제1 구성요소상에 설치된 단락 요소; 및
    (4) 제2 구성요소에 대해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구성요소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요소로서,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릴 때, 상기 단락요소를 비단락 위치까지 배치하고 상기 제2 구성요소에 래칭하는 제2 위치까지 상기 제1 구성요소와 상기 제2 구성요소에 연관되어 이동가능한 래치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리게 되는 방향이 래치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시프팅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와의 제2 구성요소의 맞물림 및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래치요소의 시프트는 래치요소를 누름으로써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2 구성요소가 래치요소를 누름으로써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릴 때, 제1 위치내에 래칭된 래치요소가 래치로부터 해제되고 그다음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래치요소는 래치요소를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을 정도로 제2 위치내에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래치요소가 제1 위치내에 있을 때, 래치요소의 일부가 제2 구성요소로부터 돌출하고, 반면에, 래치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래치요소의 상기 일부가 제2 구성요소의 오목부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래치요소는 한 쌍의 제1 레그 및 한 쌍의 제2 레그를 갖고; 제1 세트의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2 세트의 제1 레그와 제2 레그는 대략 L모양으로 각각 배열설치되고, 제1 세트의 제2 레그와 제2 세트의 제2 레그는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대칭적으로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요소에, 래치요소가 제2 위치로 시프팅될 때 제1 구성요소로부터 맞물림해제되려는 제2 구성요소의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위치를 갖는 규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래치요소가 제2 위치로 시프팅될 때, 규제 위치는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맞물리는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맞물려 있을 때, 규제부는 제2 구성요소 및 제1 구성요소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1) 제1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1 구성요소;
    (2) 제1 전기 커넥터 요소와 맞물림가능한 제2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제2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전기 커넥터 요소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 요소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림가능한 제2 구성요소;
    (3) 제1 전기 커넥터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하기 위한, 제1 구성요소상에 설치된 단락 요소;
    (4) 제2 구성요소에 대해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구성요소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요소로서,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맞물릴 때, 상기 단락요소를 비단락 위치까지 배치하고 상기 제2 구성요소에 래칭하는 제2 위치까지 상기 제1 구성요소와 상기 제2 구성요소에 연관되어 이동가능한 래치요소; 및
    (5) 상기 래치요소에 제공되고, 래치요소가 상기 제2 위치까지 시프팅할 때, 상기 제1 구성요소로부터 맞물림해제되지 않도록 제2 구성요소의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래치요소를 누름으로써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맞물려질 때, 제1 위치내에 래칭된 래치요소는 래치로부터 해제되고 그다음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시스템.
KR1020010010304A 2000-03-01 2001-02-28 전기 접속 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564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0429 2000-03-01
JP2000-60429 2000-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33A KR20010087233A (ko) 2001-09-15
KR100564091B1 true KR100564091B1 (ko) 2006-03-27

Family

ID=1858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304A Expired - Lifetime KR100564091B1 (ko) 2000-03-01 2001-02-28 전기 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19510B2 (ko)
EP (1) EP1130692B1 (ko)
KR (1) KR100564091B1 (ko)
CN (1) CN1210848C (ko)
DE (1) DE60125443T2 (ko)
TW (1) TW4782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20512B1 (it) * 2000-06-20 2003-12-10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DE10151956C2 (de) 2000-11-17 2003-11-27 Fci Courbevoie Steckverbinder mit Sekundärverriegelung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3249308A (ja) * 2002-02-25 2003-09-05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005385B2 (ja) * 2002-02-25 2007-1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点火装置用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短絡組立体
DE10224757B3 (de) 2002-06-04 2004-01-29 Fci Steckverbinder mit während des Steckvorgangs verrastender Sekundärverriegelung
JP4034125B2 (ja) * 2002-06-06 2008-01-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
DE10227016B4 (de) * 2002-06-17 2004-06-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30465B3 (de) * 2002-07-06 2004-01-2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42665B3 (de) * 2002-09-13 2004-02-1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erteil
DE10243876A1 (de) * 2002-09-21 2004-04-0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erteil
DE10247568B4 (de) * 2002-10-11 2006-05-1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erteil
DE20217461U1 (de) * 2002-11-11 2004-03-25 Ghw Grote & Hartmann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4047705B2 (ja) 2002-11-18 2008-02-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スクイブのシャント
GB2396752A (en) * 2002-12-24 2004-06-30 Apollo Fire Detectors Ltd Connector base for detector
US6705886B1 (en) 2003-01-23 2004-03-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JP4134748B2 (ja) * 2003-02-21 2008-08-20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用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DE20303526U1 (de) * 2003-02-28 2003-05-22 Tyco Electronics AMP GmbH, 64625 Bensheim Mikroschaltverbinder
US6811424B2 (en) * 2003-03-26 2004-11-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DE10321420B3 (de) * 2003-05-12 2005-02-10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Elektrischer Leitungsverbinder mit Kurzschlussbrücke
US6921279B2 (en) 2003-06-05 2005-07-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857892B2 (en) 2003-06-05 2005-02-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964579B2 (en) * 2003-06-06 2005-11-1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sition assured connector
USD532373S1 (en) * 2003-07-14 2006-11-21 Tyco Electronics Amp K.K. Electrical connector
DE10345687B4 (de) * 2003-10-01 2007-09-2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4020934B4 (de) * 2004-04-28 2007-01-04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mit einem Sicherungselement mit integriertem Dämpfungselement
DE102004034321B3 (de) 2004-07-15 2006-01-1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5001515B4 (de) * 2005-01-13 2008-01-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5002841A1 (de) * 2005-01-20 2006-08-1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Massekontaktfeder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er
TWM277170U (en) * 2005-05-27 2005-10-01 Joymax Electronics Co Ltd Signal connector
US7997940B2 (en) * 2005-06-08 2011-08-16 Fci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n airbag ignitor
JP4548272B2 (ja) * 2005-08-17 2010-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5043903B3 (de) * 2005-09-14 2007-03-01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US7344403B2 (en) * 2006-01-31 2008-03-18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quib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connection
JP4752606B2 (ja) 2006-05-15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6031838B4 (de) * 2006-07-07 2011-03-31 Tyco Electronics Amp Gmbh Aktivierbar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ür einen Airbaganschluss
US7306474B1 (en) 2006-10-16 2007-12-1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coop proof dome
JP5148894B2 (ja) * 2007-02-23 2013-0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用雌端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4876985B2 (ja) * 2007-03-09 2012-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54310B1 (en) * 2007-06-07 2008-04-08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over
CN101897084B (zh) * 2007-10-22 2013-03-13 富加宜汽车控股公司 电连接器系统
US7682205B2 (en) * 2007-11-15 2010-03-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874865B2 (en) * 2008-06-20 2011-01-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US7621772B1 (en) * 2008-06-20 2009-11-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JP2010027522A (ja) * 2008-07-23 2010-02-04 Jst Mfg Co Ltd プラグコネクタ組立体
WO2010070391A1 (en) * 2008-12-16 2010-06-24 Fci Shorting clip for an airbag ignition system
WO2011000142A1 (zh) * 2009-06-29 2011-01-06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
US7892018B1 (en) 2009-09-29 2011-02-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wo cable loading stop elements
JP5288207B2 (ja) * 2009-10-29 2013-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EP2497154B1 (en) 2009-11-03 2017-04-26 Orica Explosives Technology Pty Ltd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DE102009053052A1 (de) * 2009-11-16 2011-05-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s Steckerelement für einen Airbaganschluss
JP5826280B2 (ja) * 2010-10-29 2015-12-02 デルフィ・コネクション・システムズ・ホールディング・フランス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3797657B (zh) * 2011-07-25 2016-04-20 矢崎总业株式会社 电连接器
EP2830913B1 (en) * 2012-03-27 2017-02-15 Daicel Corporation Gas generator
EP2685570B1 (en) * 2012-07-12 2018-08-29 Tyco Electronics UK Limited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mber
JP6042168B2 (ja) * 2012-10-17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CN203589288U (zh) * 2013-12-06 2014-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位置保持件、端子组件、连接器壳体组件及连接器
EP2966735B8 (en) * 2014-07-11 2019-0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US9564702B2 (en) * 2014-11-28 2017-02-07 MAGNETI MARELLI S.p.A. Electric apparatus with safety conne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TWI673920B (zh) * 2015-05-26 2019-10-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合
JP6407819B2 (ja) * 2015-07-31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コンポーネント
FR3050078B1 (fr) 2016-04-11 2019-11-08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pyrotechnique
FR3059478A1 (fr) * 2016-11-30 2018-06-0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US10938166B2 (en) * 2017-02-10 2021-03-02 Sentinel Connector Systems, Inc. Switched power over ethernet connector
JP6969469B2 (ja) 2018-03-23 2021-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US20220285864A1 (en) * 2019-07-29 2022-09-08 Signify Holding B.V.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3772782A1 (en) * 2019-08-05 2021-02-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watertight connection
US11721935B2 (en) * 2020-09-03 2023-08-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upport ring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575A (en) * 1992-10-09 1994-01-0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US5314345A (en) * 1992-10-09 1994-05-2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interlock
JPH07201392A (ja) * 1993-10-22 1995-08-04 Amphenol Tuchel Electron Gmbh イグニッショ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装置コネクタ
JPH07235344A (ja) * 1994-02-14 1995-09-05 Molex Inc コネクタ位置保証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組立体
JPH08288013A (ja) * 1995-04-08 1996-11-01 Amphenol Tuchel Electron Gmbh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H1092517A (ja) * 1996-05-24 1998-04-10 Thomas & Betts Corp <T&B>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5827083A (en) * 1995-01-14 1998-10-2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JPH11144804A (ja) * 1997-07-25 1999-05-28 Whitaker Corp:The スクイブコネクタ
EP0921600A2 (en) * 1997-12-04 1999-06-09 Bradford K. Gauker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666A (ja) 1990-05-29 1992-02-05 Akio Kindo ローラースケート
US5618201A (en) 1994-06-14 1997-04-08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engagement detecting device
DE29521491U1 (de) 1995-01-14 1997-07-2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74080 Heilbron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5603632A (en) * 1995-02-09 1997-02-18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0869883B1 (en) * 1996-08-12 2003-10-08 Thomas &amp;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JP3845524B2 (ja) 1998-11-27 2006-11-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575A (en) * 1992-10-09 1994-01-0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US5314345A (en) * 1992-10-09 1994-05-2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interlock
JPH07201392A (ja) * 1993-10-22 1995-08-04 Amphenol Tuchel Electron Gmbh イグニッショ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装置コネクタ
JPH07235344A (ja) * 1994-02-14 1995-09-05 Molex Inc コネクタ位置保証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組立体
US5827083A (en) * 1995-01-14 1998-10-2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JPH08288013A (ja) * 1995-04-08 1996-11-01 Amphenol Tuchel Electron Gmbh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H1092517A (ja) * 1996-05-24 1998-04-10 Thomas & Betts Corp <T&B>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JPH11144804A (ja) * 1997-07-25 1999-05-28 Whitaker Corp:The スクイブコネクタ
EP0921600A2 (en) * 1997-12-04 1999-06-09 Bradford K. Gauker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8212B (en) 2002-03-01
CN1312600A (zh) 2001-09-12
US20010027043A1 (en) 2001-10-04
EP1130692A2 (en) 2001-09-05
DE60125443T2 (de) 2007-10-04
EP1130692B1 (en) 2006-12-27
US6419510B2 (en) 2002-07-16
CN1210848C (zh) 2005-07-13
KR20010087233A (ko) 2001-09-15
DE60125443D1 (de) 2007-02-08
EP1130692A3 (en)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091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KR100530174B1 (ko) 잠금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0278818B1 (ko) 안전 연동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속 시스템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US7556516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6663411B2 (en) Clamshell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US8317545B2 (en) Electric connector plug and its assembly method
EP1097491B1 (en)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JP2003203722A5 (ko)
EP1150389A1 (en) Clamshell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JP3607883B2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3650034B2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8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