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230B1 -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 Google Patents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2230B1 KR100552230B1 KR1020040026359A KR20040026359A KR100552230B1 KR 100552230 B1 KR100552230 B1 KR 100552230B1 KR 1020040026359 A KR1020040026359 A KR 1020040026359A KR 20040026359 A KR20040026359 A KR 20040026359A KR 100552230 B1 KR100552230 B1 KR 100552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thdrawal
- roller
- recycling box
- gear
- pickup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가 장착된 후 또는 출금동작 후 또는 잔류지폐 입금동작 후에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픽업롤러를 정위치시켜 지폐류 입출금기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 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ycled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to ensure the smooth progress of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by positioning the pickup roller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after the recycling box is mounted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or after the withdrawal operation or residual bank deposit operation It relates to a pickup roller position sensor of the box.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는 출금롤러기어, 상기 출금롤러기어와 2:1의 회전비로 맞물리는 퇴피캠 구동기어, 상기 퇴피캠 구동기어와 동일한 회전비로 맞물리는 감지부기어, 상기 감지부기어와 동일축에 설치되고 상기 리사이클박스에서 픽업롤러의 분리부 위상변화에 대응되도록 반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지판, 상기 감지판의 회전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판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정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여 픽업롤러의 위치를 출금수단의 반출 또는 반송동작에 적정한 정위치로 제어하기 위한 정위치여부를 감지가능하므로 지폐류 입출금기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명임.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a withdrawal roller gear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withdrawal roller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the withdrawal cam drive gear meshed with the rotation ratio of 2: 1, the withdrawal cam drive gear and Sensing gear gear meshed with the same rotation ratio, the sens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sensing gear and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hase change of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pickup roller in the recycling box, on the rotation path of the sensing plate Provided with a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 sensor to detect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detection plate installed to remove the position of the pickup roller withdrawal means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it is in the right position to control the proper position suitable for the conveying operation. It is an invention that allows progress.
리사이클박스, 픽업롤러, 출금롤러기어, 감지판, 정위치 감지센서Recycling box, pickup roller, withdrawal roller gear, detection plate, position sensor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ycling box in a banknote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head portion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상태도,Figure 4 is a schematic state diagram of the head portion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요부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외부를 보인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utside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 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1 : 픽업롤러 22 : 출금롤러21: pickup roller 22: withdrawal roller
23 : 게이트롤러 24 : 핀치롤러23: gate roller 24: pinch roller
25 : 출금가이드 30 : 퇴피분리장치25: withdrawal guide 30: retraction separator
31 : 고정판금물 32 : 퇴피캠31: fixed sheet metal 32: evacuation cam
50 : 푸쉬플레이트 61 : 퇴피캠 구동기어50: push plate 61: drive cam gear
62 : 출금롤러기어 63 : 감지부기어62: withdrawal roller gear 63: detection gear
64 : 감지판 65 : 감지부64
100 : 입금수단 200 : 출금수단100: deposit means 200: withdrawal means
S1 : 정위치 감지센서 S2 : 푸쉬압 감지센서S1: Exact position sensor S2: Push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를 위한 지폐류 입출금기에 있어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에 설치되는 픽업롤러의 정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사이클박스가 장착된 후 또는 출금동작 후 또는 잔류지폐 입금동작 후에 픽업롤러를 정위치시켜 지폐류 입출금기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ickup roller is installed in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for financial automation,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recycling box is mounted or after the withdrawal operation or the remaining bank deposit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 recycling box in a banknote teller machine which allows a smooth progression of a banknote teller machine by positioning the pickup roller later.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는 지폐류 입출금기에 장착 또는 탈착가능하고, 입금수단과 출금수단이 구비되어 입금요청시에는 지폐류를 유입하여 저장보관하고 출금요청시에는 지폐류를 반출하여 출금하는 두가지 작업을 수행한다.Recycling box can be installed or detached in banknotes and withdrawal machines, and it has two mean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means, which deposits and stores banknotes when deposit is requested, and withdraws and withdraws bills when requesting withdrawal. Do thi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ycling box in a banknote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6)는 그 상단부에 일측은 입금수단(100)이 구비되고 타측은 출금수단(200)이 구비된 헤드부(900), 입금수단(100)에 의해 유입된 지폐류가 저장되거나 출금수단(200)에 의해 반출될 지폐류가 저장되어있는 저장부(80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head portion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 bankno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is is a schematic state diagram of the head portion of a recycling box in a flow teller machine.
리사이클박스(6)의 헤드부(900)는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입금수단(100)과 입금수단(1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입금수단(1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입금부 동력전달수단(300)이 구비되어 있고,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출금수단(200)과 출금수단(2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출금수단(2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출금부 동력전달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다.The
또한 리사이클박스(6)의 저장부(800)에는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픽업롤러(21)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리사이클박스(6)의 출금수단(200)은 일례로 리사이클박스(6)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23),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thdrawal means 200 of the
한편, 출금수단(200)의 픽업롤러(21)는 지폐류와 마찰하여 지폐류가 한장씩 분리되도록 하는 고무재질의 분리부(21a)와 비마찰되는 플라스틱부(21b)로 구성되고, 출금동작이 수행되려면 분리부(21a)가 지폐류와 마찰하여 지폐류를 출금수단(200)의 첫번째 핀치롤러(24)까지 도달시켜야 지폐류가 반출되며, 픽업롤러(21) 및 출금롤러(22)의 원주길이는 2회전에 의한 지폐류 1매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ck-
이는 픽업롤러(21) 및 출금롤러(22)가 설치되는 리사이클박스(6)의 구조 및 공간상의 제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This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e and space constraints of the
또한, 출금수단(200)의 픽업롤러(21)와 출금롤러(22)는 출금이 완료된 이후에는 항시 입금방향 회전하여 출금가이드(25)에 잔류된 지폐류를 다시 리사이클박스 내측으로 반송시키는 잔류지폐 입금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withdrawal is completed, the
이와같이 리사이클박스(6)는 출금수단(200)에 의해 지폐류가 반출 또는 반송되기 전에 픽업롤러(21)의 분리부(21a) 위치가 파악되어야 한다.In this way, the
그러나, 픽업롤러(21)의 분리부(21a) 위치는 리사이클박스(6)가 지폐류 입출금기에 장착된 후 또는 출금수단(200)의 출금동작 후 또는 출금수단(200)의 잔류지폐 입금동작 후에는 파악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separating
이에 픽업롤러(21)가 지폐류의 반출 또는 반송에 적정한 정위치에 위치하여 지폐류 입출금기의 원활한 동작이 수행되려면 먼저 픽업롤러(21)의 정위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The pick-
따라서 본 발명은 리사이클박스가 지폐류 입출금기에 장착된 후 또는 출금동작 후 또는 잔류지폐 입금동작 후에 그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출금수단의 픽업롤러를 정위치시켜 지폐류 입출금기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픽업롤러의 정위치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pick-up roller of the withdrawal means for performing the next operation after the recycling box is mounted o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or after the withdrawal operation or residual bank deposit operation so that the smooth progress of the bills teller machine is ma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ckup roller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a recycling box in a banknote dispenser which detects whether the pickup roller is correctly position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에 설치되어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도록 고무재질의 분리부가 구 비된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서 분리된 지폐류를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 일측은 상기 출금롤러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픽업롤러가 결합되는 고정판금물과 상기 고정판금물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출금롤러를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퇴피캠으로 구성된 퇴피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픽업롤러 및 상기 출금롤러의 2회전에 의한 지폐류 1매분리를 구현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ick-up roller provided with a separating portion of the rubber material to separate the bills installed and stored in the recycling box of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the bills separated from the pickup roller to the outside Withdrawal roller to be carried out, one side is coupled to the withdrawal roller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xed sheet metal and the fixed sheet metal to which the pickup roller is coupled so that the pickup roller is moved up and down the withdrawal roller by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recycling box comprising a retracting device consisting of a retractable cam, which implements the separation of the bills 1 sheet by two rotations of the pickup roller and the withdrawal roller,
상기 출금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는 출금롤러기어, 상기 출금롤러기어와 2:1의 회전비로 맞물리며 상기 퇴피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퇴피캠 구동기어, 상기 퇴피캠 구동기어와 동일한 회전비로 맞물리는 감지부기어, 상기 감지부기어와 동일축에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의 분리부 위상변화에 대응되도록 반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지판, 상기 감지판의 회전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판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정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있다.Withdrawal roller gear coupled to the withdrawal roller, the withdrawal roller gear meshes with a rotation ratio of 2: 1 and the retracting cam drive gear transferring the driving force to the retracting cam, the sensing with the same rotational ratio as the retracting cam driving gear A sub-gear, a sens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sensing sub-gear and formed in a semi-circular plate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hase change of the separation part of the pickup roller,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path of the sensing plate,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sensing plate It has a structure that includes a position sensor to detect whether or not.
또한,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에서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고 출금요청시에는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는 푸쉬플레이트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는 푸쉬압 감지센서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ills are stacked and raised in the recycle box, and when the withdrawal reques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sh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push plate for pressing the pickup roller.
또한,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광센서이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사이를 회전하는 상기 감지판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is an optical sensor installed adjacent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sensing plate to rotate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요부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외부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이다.Figure 5 is a detailed view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outside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금수단(200)은 리사이클박스(6)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23),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Withdrawal mean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ick-
이러한 출금수단(200)의 퇴피분리장치(30)는 출금롤러(22)를 중심축으로 픽업롤러(21)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일측은 출금롤러(22)와 결합되어 리사이클박스(6)에 설치되고 타측은 픽업롤러(21)와 결합되며 측부에는 돌출부(33)가 형성되는 고정판금물(31), 고정판금물(31)의 측부에 설치된 돌출부(33)와 접촉하여 회전동작에 의해 픽업롤러(21)가 출금롤러(22)를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퇴피캠(32)으로 구성된다.The
한편, 출금수단(200)의 출금롤러(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금부 동력 전달수단(400)에서 동력전달받는 출금롤러 구동축(22a)에 결합되어 있고, 픽업롤러(21)는 출금부 동력전달수단(400)의 기어에 의해 출금롤러(2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출금롤러(22)의 회전시 같이 회전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픽업롤러(21)는 지폐류가 적층되어 리사이클박스(6) 내에서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50)에서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픽업롤러(21)에는 지폐류와 마찰되는 고무재질의 분리부(21a)와 비마찰되는 플라스틱부(21b)로 구성되고, 픽업롤러(21)는 분리부(21a)의 위치가 지폐류의 반출 또는 반송되기 전에 정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pick-
즉, 픽업롤러(21)의 정위치란 분리부(21a)의 위치가 리사이클박스(6)가 장착된 후 또는 출금수단(200)의 출금동작 후 또는 출금수단(200)의 잔류지폐 입금동작 후에 알 수 없으므로 픽업롤러(21)가 그 다음 동작을 위한 수행하기 위한 준비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the exact position of the pick-
이에 출금롤러(22)가 결합되어 있는 출금롤러 구동축(22a)은 출금부 동력전달수단(400)이 결합되어 있는 대항측 고정판금물(31)의 외측으로 출금롤러기어(62)가 결합된다.The withdrawal
출금롤러기어(62)는 퇴피분리장치(30)의 퇴피캠(32)을 구동하는 퇴피캠 구동기어(61)와 맞물려 회전하게된다.The
이때 출금롤러기어(62)는 퇴피캠 구동기어(61)와 2:1의 회전비를 갖도록 기어연결되고, 퇴피캠(32)의 1회전시 픽업롤러(21) 및 출금롤러(22)가 2회전 하도록 되어있어, 픽업롤러(21) 및 출금롤러(22) 2회전에 지폐류 1매분리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퇴피캠 구동기어(61)는 1:1의 회전비를 갖는 감지부기어(63)에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The evacuation
감지부기어(63)는 픽업롤러(21)의 분리부(21a)의 위상변화에 대응되도록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지판(64)이 동일축 상에 설치되어 같이 회전하게 된다.The
감지판(64)은 출금롤러(22)와 순차적으로 기어결합되어 있는 출금롤러기어(62)와 퇴피캠 구동기어(61)와 감지부기어(63)에 의해 분리부(21a)의 위상변화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The
이처럼 픽업롤러(21)는 퇴피캠(32)에 의해 출금롤러(22)를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지만, 퇴피캠 구동기어(61)는 출금롤러기어(62)와 감지부기어(63)의 사이에 중계기어로서 연결되므로 픽업롤러(21)의 상하이동에 관계없이 출금롤러기어(62)의 회전을 감지부기어(63)로 전달하는 것이다.As such, the
감지판(64)은 감지판(64)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그 회전경로상에 설치되는 정위치 감지센서(S1)가 설치된다.The
정위치 감지센서(S1)는 감지판(64)의 회전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례로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되어 설치되는 단거리형이 적절하며, 이에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감지판(64)의 존재/부존재 여부가 감지되도록 한다.The position sensor S1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path of the
또한, 정위치 감지센서(S1)는 픽업롤러(21)의 위상변화에 대응하여 감지판(63)이 다크(dark) 또는 라이트(light)로 감지되는 것으로 픽업롤러(21)의 정위치 여부를 감지하고, 픽업롤러(21)의 그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위치로 픽업롤러(21)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act position sensor S1 detects whether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이다.Figure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withdrawal means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사이클박스(6)는 내부에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푸쉬플레이트(50)는 정위치 감지센서(S1)에서 픽업롤러(21)의 정위치 여부가 감지된 후 픽업롤러(21)의 정위치 제어전에 그 위치가 파악되어야 한다.After the
이는 픽업롤러(21)의 정위치 제어를 위한 역회전시에 푸쉬플레이트(50)가 픽업롤러(21)에 가압되어 있다면 지폐류가 손상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anknotes are damaged if the
이에 푸쉬플레이트(50)와 픽업롤러(21) 간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는 푸쉬압 감지센서(S2)가 고정판금물(31)과 일체로 형성되어 푸쉬플레이트(50)측으로 하향하여 돌출되는 감지부(65)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푸쉬플레이트(50)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The
이러한 푸쉬압 감지센서(S2)는 일례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되어 설치되는 단거리형이 적절하며, 이에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감지부(65)가 이동되는 것이 감지되도록 하고, 픽업롤러(21)의 정위치 제어를 하기 전에 푸쉬플레이트(50)의 가압여부를 감지하여 리사이클박스(6)내의 이상여부를 알수 있다.As the push pressure sensor S2, an optical sensor may be used as an example, and a short distance typ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s appropriate, so that the
또한, 푸쉬플레이트(50)는 픽업롤러(21)의 정위치 제어 전에 일례로 푸쉬플레이트(50)에 적층된 지폐류의 최상단이 입금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입금정위치 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푸쉬플레이트(50)를 하강시켜 픽업롤러(21) 정위치 제어에 따른 지폐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 감지장치는 정위치 제어 후 푸쉬압 감지센서(S2)가 상기한 출금롤러기어(62)와 퇴피캠구동기어(61)와 감지부기어(63)의 연동에 의해 항상 라이트(LIGHT)상태이므로 이에 따른 리사이클박스(6) 내의 상태를 미리 파악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the recycling box in th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the push pressure sensor (S2) and the evacuation cam driving gear as described above. By the interlocking of the 61 and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사이클박스가 지폐류 입출금기에 장착된 후 또는 출금동작 후 또는 잔류지폐 입금동작 후에 픽업롤러의 위치를 출금수단의 반출 또는 반송동작에 적정한 정위치로 제어하기 위한 정위치여부를 감지가능하므로 지폐류 입출금기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recycling box is mounted on the banknote machine or after the withdrawal operation or after the remaining bank deposit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pick-up roller is controlled to the correct position suitable for the carrying out or conveying operation of the withdrawal means. There is an advantage to make the smooth progress of the banknotes and withdrawals because it can detec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6359A KR100552230B1 (en) | 2004-04-16 | 2004-04-16 |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6359A KR100552230B1 (en) | 2004-04-16 | 2004-04-16 |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1240A KR20050101240A (en) | 2005-10-21 |
KR100552230B1 true KR100552230B1 (en) | 2006-02-17 |
Family
ID=3727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6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2230B1 (en) | 2004-04-16 | 2004-04-16 |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22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636B1 (en) | 2006-06-22 | 2007-12-2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Position sensing device of stack roller and stack guide and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3731B1 (en) * | 2014-02-20 | 2020-09-08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actuation part and transmission part for up and down movement of push plat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9133A (en) | 1985-09-30 | 1987-04-11 | Toshiba Corp | Paper feeder for electronic copying machine |
JPH0725497A (en) * | 1993-07-15 | 1995-01-27 | Canon Inc | Image recording device |
JP2002080129A (en) | 2000-09-04 | 2002-03-19 | Tohoku Ricoh Co Ltd | Paper feed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having the same |
-
2004
- 2004-04-16 KR KR1020040026359A patent/KR1005522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9133A (en) | 1985-09-30 | 1987-04-11 | Toshiba Corp | Paper feeder for electronic copying machine |
JPH0725497A (en) * | 1993-07-15 | 1995-01-27 | Canon Inc | Image recording device |
JP2002080129A (en) | 2000-09-04 | 2002-03-19 | Tohoku Ricoh Co Ltd | Paper feed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hav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636B1 (en) | 2006-06-22 | 2007-12-2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Position sensing device of stack roller and stack guide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1240A (en) | 2005-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9636B1 (en) | Position sensing device of stack roller and stack guide and method | |
JP5199127B2 (en) | Equipment for orderly storing banknotes and / or banknotes | |
TWI304188B (en) | ||
CN101097449B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structure to prevent stacking rollers from rotating | |
EP2772460B1 (en) | Medium pick-up apparatus | |
US20090166957A1 (en) | Cash Transaction Machine | |
US20090159662A1 (en) |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 |
EP3485469A1 (en) |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 |
CN107301722B (en) | Paper money conveying channel device capable of reversing and handling abnormal paper money | |
KR20120007701A (en) |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nd paper money withdrawal method | |
KR101836305B1 (en) |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 |
KR100552230B1 (en) | Pick-up roller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 |
KR20140017870A (en) |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 |
US9085417B2 (en) | Media transferring apparatus and finance device | |
JP3658268B2 (en) | Paper sheet stacking device, paper sheet storage, an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KR100552229B1 (en) | Push pressure control device of recycling box in banknotes and cash dispensers and push pressur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323433B1 (en) | Medium receiving discharging apparatus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0552228B1 (en) | Device for preventing the overlapping of withdrawal banks in recycling boxes of banknote machines | |
KR20090012510U (en) | Belt Banknote Counter | |
KR10086894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paper medium in recycle box | |
KR100600348B1 (en) | In / Out Guid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Recycle Box in Banknotes | |
KR100535155B1 (en) | Control device for returning the remained the bill of the recycle box in auto teller machine and control methode thereof | |
KR20050081115A (en) | Depositor and dispenser of the recycle box in auto teller machine | |
KR101341302B1 (en) | Paper money stack apparatus using sheet roller with bent elastic sheet | |
KR20180033908A (en) |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