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060B1 -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및 그 제작지그와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과 안경렌즈 - Google Patents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및 그 제작지그와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과 안경렌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0060B1 KR100550060B1 KR1019997008541A KR19997008541A KR100550060B1 KR 100550060 B1 KR100550060 B1 KR 100550060B1 KR 1019997008541 A KR1019997008541 A KR 1019997008541A KR 19997008541 A KR19997008541 A KR 19997008541A KR 100550060 B1 KR100550060 B1 KR 100550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tacle lens
- jig
- lens
- hole
- specta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6—Accessories, e.g. lens mou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3—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ens-drilling machi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7/00—Details of drilling jigs
- B23B2247/02—Jigs for drilling specta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03—Proc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5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work-engaging structure other than Tool or tool-support
- Y10T408/563—Work-gripping clam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5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work-engaging structure other than Tool or tool-support
- Y10T408/567—Adjustable, tool-guiding ji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Eyeglasse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때에 사용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및 그 제작지그 또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그리고 안경렌즈이다. 천공가공지그는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된 여러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안경렌즈는 지그본체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죄어붙여 지지함과 동시에, 여러 개의 지지부재로 지지되어 있다. 천공가공지그를 설정한 보르반의 드릴을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에 의하여 안내하게 하면서 안경렌즈의 단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이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그(jig), 및 이 지그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지그, 및 안경렌즈의 단면에 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안경렌즈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단면에 형성된 불관통구멍에 브리지, 엔드피이스(end piece) 등의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에 형성된 돌기부를 삽입고정함으로써,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와 렌즈를 결합하는 형식의 무테안경을 제작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새로운 형식의 무테안경으로서 일본국 특개 평7-230062호가 공지되어 있다. 이 무테안경은 좌우의 안경렌즈를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나, 안경렌즈에 안경다리(temple)를 결합하기 위한 엔드피이스에 한 쌍의 돌기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것들 브리지, 엔드피이스의 위치와 대응하는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 안쪽으로 뻗은 한 쌍의 불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것들 불관통구멍에 한 쌍의 돌기부를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안경렌즈에 브리지, 엔드피이스를 결합한다. 이 무테안경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투우포인트 형식 또는 드리이 피이스 형식이라고 일 컬어지는 종래의 무테안경과 비교하여, 렌즈 가까이에서 렌즈앞면에서 렌즈후면으로 관통하는 작은 나사를 없앨 수 있으므로, 시야의 유효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종래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르반(drilling machine)의 천공절삭구인 드릴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구멍이 형성된 소부품형상의 가이드부재를 렌즈단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하고, 그리고나서 작업인이 손으로 안경렌즈를 파악하며, 그리고 가이드부재의 각각의 안내구멍에 순번으로 드릴을 삽입하고, 안내구멍의 안내작용으로 렌즈단면에 불(不)관통구멍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 불관통구멍의 가공작업은 작업인이 손으로 안경렌즈를 잡고 실시하므로, 안경렌즈의 보전조작이 안정하지 않아서, 드릴에 대하여 안경렌즈가 불안정하게 되어, 정확하게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하여는 숙련을 필요로 하였다. 또, 일정시간당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개수는 적고, 이 때문에, 가공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 한 쌍의 돌기부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인 브리지, 엔드피이스나 안경렌즈에는 제조오차, 가공오차가 있어서, 이것들 오차에 대응하면서 안경렌즈에 천공가공을 하지 않으면 아니되며, 이 때문에라도, 천공가공 작업에 숙련을 필요로 하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렌즈의 단면에 숙련을 필요로 함이 없이 정확하게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어, 1시간당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개수를 증대할 수 있도록 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가공지그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는 제작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단면에 불관통구멍을 내고, 이 불관통구멍을 이용하여 안경 프레임의 렌즈 지지부재를 장착하는 무테형식의 안경에 대하여 정확한 천공을 할 수 있도록 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및 그 안경렌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는 메니스커스(meniscus)형상의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보전부와,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는 불관통구멍을 천공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를 안내하는 안내부 등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천공가공지그에 의하면, 안경렌즈는 이 지그의 보전부에 의하여 보전된 부동상태로 되어, 이 때문에 작업인은 안경렌즈 자체를 손으로 잡지 않아도 되고, 지그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천공가공할 수 있도록 되므로, 작업은 용이하게 되며, 또 지그에는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동(不動)상태로 된 안경렌즈에 정확하게 천공가공을 할 수 있도록 된다. 그 결과, 특별한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확하게 천공가공을 하여, 일정시간당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개수를 종래 보다도 크게 증대할 수 있다.
상기 보전부는 안경렌즈의 원주면인 단면에서 렌즈안쪽으로 향하는 힘으로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 안경렌즈의 볼록면이나 오목면인 렌즈의 앞면과 뒤면으로부터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러나, 렌즈의 광학면을 손감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자(前者)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전부를 안경렌즈의 단면에서 렌즈안쪽으로 향하는 힘으로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것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지그에, 이 보전력의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 안경렌즈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지지부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였을 경우, 지지부에서 안경렌즈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보전부의 보전력을 안경렌즈에 작용시킬 수가 있으며, 안경렌즈의 단면을 천공가공하기 위하여 안내부에서 안내되는 천공절삭구에 대하여, 안경렌즈를 위치결정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들 지지부는 안경렌즈의 단면과, 렌즈의 전면과 후면인 렌즈표면 등이 이루는 렌즈 각부(角部)를 받는 것이라도 좋고, 또 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받는 것이라도 좋다. 그러나, 렌즈의 전면과 후면은 안경렌즈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므로 전자의 경우가 오히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천공가공지그는 지지부가 지그자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고, 또 천공가공지그가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된 지지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상기 보전부가 지그본체에 형성되어 지지부가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후자로 하였을 경우에는, 지그본체와 지지부재를 각각의 기능에 대응한 적절한 다른 종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된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여러 개의 지지부를 여러 개의 지지부재에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이것들 지 지부재중의 적어도 1개에 안내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지지부와 안내부가 설치하게 되어 그 만큼 지그본체의 구조의 간단화, 부재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에 안내부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안내부의 선단과 안경렌즈의 단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만들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상기 천공절삭구로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였을 때, 이 가공으로 생기는 부스러기를 공기분출 노즐 또는 공기흡입구를 구비한 부스러기 제거수단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보르반의 베드상에 가공지그를 설치하여 천공가공을 하였을 경우에는, 베드상의 부스러기에 의한 가공지그의 위치이동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천공가공지그로 안경렌즈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지그를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개폐 자유롭도록 된 여러 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상기 보전부를 이것들 부재의 안경렌즈와 대향하는 면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천공가공지그의 지그본체에 렌즈의 외형형상과 대응하는 개구형상으로 관통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보전부라 하며, 또한 지그본체에 지그본체의 바깥면에서 그 개구부까지 도달하여 형성된 슬릿과, 이 슬릿의 폭을 축소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의 죄어붙이는 힘을 구비하였고, 개구부에 끼워넣은 안경렌즈를 이 개구부의 안쪽에서 죄어붙여 보전하기 위한 탄성부재 등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구조간단화와 부재점수의 삭감 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그본체에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개 구부를 사이에 둔 슬릿과는 반대측의 지그본체의 개소에 노치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이 노치부분에서 지그본체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에 안경렌즈를 끼워넣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천공가공지그에 있어서의 상기 천공절삭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안내부와 직각을 이루는 각도이다.
이와 같이, 지그의 천공절삭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이 안내부와 직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면, 지그에 보전된 안경렌즈에 보르반의 드릴 등에 의한 천공절삭구로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 지그의 경사측면을 보르반 등의 가공장치의 베드에 접촉시킴으로써, 천공절삭구의 방향과 안내부의 방향을 자연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천공가공을 지그를 베드상에 두고서 실행할 수 있고, 지그를 안정시켜서 이 가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안경렌즈를 지지하기 위하여 천공가공지그에 설치하는 상기 지지부의 개수는 임의이지만, 시범용의 안경렌즈의 단면에 상기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의 지지부의 개수는 3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각각의 안경렌즈를 3점 지지에 의하여 확실하게 안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안경착용자를 위하여 처방된 각종 형상의 안경렌즈의 단면에 상기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의 상기 지지부의 개수는 4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렌즈 도수(度數) 등이 다른 각종 볼록면 커어브의 안경렌즈를 상기 천공절삭구에 의한 불관통구멍의 가공개소와 대응시켜서 4개의 지지부중의 임의의 3개로 지지하게 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의 3개나 4개의 지지부는 지그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 지그본체에 부착된 지지부재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4개의 지지부를 4개의 지지부재에 1개씩 설치하여도 좋으나, 이것들 4개의 지지부를 안경렌즈에 대하여 서로 대략 반대측에 배치된 2개의 지지부재에 2개씩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안경렌즈를 안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3점 지지를 적은 개수의 지지부재로 실현할 수 있도록 된다. 그 위에, 천공절삭구로 각각의 불관통구멍을 렌즈두께 방향의 대략 같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천공가공지그의 제작지그는 안경렌즈의 외형형상과 대응하는 개구형상으로 관통형성되었고, 안경렌즈를 안쪽에서 보전하는 개구부와,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천공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임과 동시에, 이 천공절삭구와 직각을 이루는 경사측면과를 구비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를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제작지그로서, 천공가공지그의 바깥면과 개구부와의 사이의 간격 보다도 작은 폭을 가진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바깥면과 개구부와의 사이에 위치시켜서 이 돌출부의 위에 재치된 천공가공지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부 등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작지그에 의하면, 천공가공지그가 개구부와 경사측면을 구비한 복잡한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어도, 천공가공지그는 바깥면과 개구부 사이의 간격 보다도 폭이 작은 돌출부의 위에 실려서 고정구로 고정되기 때문에, 천공가공지그 전체를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또는 프레이즈반(milling maching) 등의 가공장치에 부상케한 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가공장치에 있어서의 원주측면이 상기 경사측면과 대응한 경사각도로 되어 있는 엔드밀(end mill)이나 통상의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단시간에 천공가공지그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은 안경렌즈의 단면에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의 장착을 위한 불관통구멍을 렌즈안쪽으로 형성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으로서,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가공지그에, 볼록면을 아래쪽으로 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으로서,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가공지그에 볼록면을 아래쪽으로 한 안경렌즈의 외주 가장자리 부분이 맞닿아서, 안경렌즈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를 안내하는 안내부 등을 설치하고, 안내부에서 천공절삭구를 안내하면서 렌즈단면에서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천공가공방법에 의하면, 안경렌즈는 지지부에서 지지되어서 가공지구에 보전되므로, 작업인은 가공지그를 잡음으로써 천공가공을 하며, 이 가공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안경렌즈는 볼록면을 하측으로 하여 외주 가장자리 부분이 지지부에 맞닿아서 지지되었고, 안경렌즈의 볼록면은 렌즈설계상, 오목면에 비하여 복잡한 형상으로 되지 않으므로, 안경렌즈의 지지를 안정시켜서 실시할 수 있다.
안경렌즈의 보전은 상기 가공지그에 관통형성한 개구부에서 하며, 이 개구부에는 안경렌즈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인 눈썹측과 뺨측과 코측과 귀측의 외주부를 설치하여, 코측과 귀측의 각각의 외주부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내부를 배치하고, 지지부에서 지지된 안경렌즈에 안내부에서 안내된 천공절삭구로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안경렌즈의 중요한 개소를 손상함이 없이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가공지그에는 상기 개구부의 눈썹측 외주부와 뺨측 외주부중의 적어도 한편에 있어서, 가공지그의 바깥면에서 개구부까지 도달한 슬릿을 형성하고, 가공지그에 이 슬릿의 폭을 탄성의 죄어붙이는 힘으로 변화시키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면, 개구부에 끼워들어간 안경렌즈를 이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의 죄어붙이는 힘으로 보전하게 하면서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장자리 다듬질(edge-filing)의 가공된 안경렌즈에 가공오차가 있어도, 이 오차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구부에 의한 안경렌즈의 보전을 할 수 있다.
가공지그는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부가 설치된 지지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 지지부재에는 상기 안내부로 된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안경렌즈의 볼록면과 오목면의 대략 중간으로 향하여 뻗은 이 안내구멍으로 천공절삭구를 삽입, 안내시키면서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안경렌즈 두께의 대략 중앙에 소정(所定)대로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고, 또 불관통구멍이 형성된 다음에도 렌즈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에는 2개의 상기 지지부를 설치하여, 이것들의 지지부의 세로축 상 근방의 안경렌즈 두께내의 위치와 일치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소에 상기 안내부로서의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이 안내구멍에 상기 천공절삭구를 삽입, 안내시키면서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안경착용자를 위하여 처방된 안경렌즈에 렌즈도수 등에 따른 각종 볼록면 커어브의 것이 였어도, 2개의 불관통구멍의 피치와 같은 피치에 의한 2개의 지지부에 의하여 각각의 불관통구멍을 확실하게 렌즈두께내의 대략 소정위치에 형성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지지부재를 지그본체에 형성된 안경렌즈 보전부의 코측단부와 귀측단부의 2개소에 부착하여, 안경렌즈의 단면의 코측단부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때는, 안경렌즈를 코측단부의 지지부재의 2개의 지지부와 귀측단부의 지지부재의 2개의 지지부중의 1개에 지지시키고, 안경렌즈의 단면의 귀측단부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때는, 안경렌즈를 귀측단부의 지지부재의 2개의 지지부와 코측단부의 지지부재의 2개의 지지부중의 1개에 지지시켜도 좋다. 이에 따르면, 어떠한 볼록면 커어브의 안경렌즈였어도 3개의 지지부에 의한 3점 지지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각각의 불관통구멍을 렌즈두께 방향의 대략 일정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에 한 쌍의 돌기부가 설치되었고,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에 이것들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2개의 상기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절삭부의 직경이 다른 여러 개의 상기 천공절삭구를 준비함으로써, 한 쌍의 돌기부의 피치에 따른 절삭부의 직경을 지닌 천공절삭구를 선택하여, 이 천공절삭구로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돌기부의 피치에 오차가 있어도, 이 오차를 흡수하여 이것들의 돌기부를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는 한 쌍의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지그본체에 대하여, 이 지그본체에 부착되었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내부가 설치된 지지부재를 안경렌즈에 향하여 진퇴자유롭도록 하며, 이 진퇴방향의 부착위치가 조정된 지지부재의 안내부에서 상기 천공절삭구를 안내하게 하여, 이 천공절삭구에 부착한 스토퍼가 지지부재에 닿기까지 천공절삭구를 안경렌즈측에 이동시켜서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천공절삭구에 있어서의 스토퍼의 부착위치의 설정에 의하여,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에 형성되어, 불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부의 길이에 바르게 대응한 깊이로 불관통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공지그의 안내부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은 안내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된 경사면으로 하여, 이 경사측면을 천공절삭구를 구비한 가공장치의 수평한 베드위에 재치하고, 연직방향을 이동방향으로 하는 천공절삭구를 안내부에서 안내시켜서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가공지그로 보전된 안경렌즈에 연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천공절삭구로 소정대로의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수 있고, 렌즈단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된 불관통구멍의 가공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는 드릴이라도 좋고, 또 불관통구멍을 암나사 구멍으로 하는 경우에는 나사깍기용 탭(tap)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안경렌즈는 주로 플라스틱제이지만, 안경렌즈는 유리제이라도 좋다. 안경렌즈가 플라스틱제일 경우에는 폴리우레탄계열, 아릴계열, 아크릴계열 등의 임의의 재료이라도 좋다.
또한, 천공가공지그의 본체는 플라스틱제이라도 좋고, 목제이라도 좋으며, 금속제이라도 좋다. 안경렌즈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플라스틱제 또는 목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제로 하는 경우에는 안경렌즈에 찰상이 잘 되지 않을 뿐더러, 또한 적당한 정도의 굳기와 가공의 용이성을 지닌 폴리아세탈계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무테안경은 일본국 특개 평7-230026호에 개시된 안경이며, 렌즈단면의 두께는 폴리우레탄계열 렌즈이라면 약 2.4mm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를 지니고 있다면,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유효하게 하고,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에 대한 안경렌즈의 보전강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또, 불관통구멍의 가공은 안경렌즈의 볼록면, 오목면에 잇따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렌즈단면에 대한 직각방향으로부터 10∼15도 정도 경사진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좌우의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경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경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시범용의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천공가공지그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지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르반(drilling maching)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보르반에 의하여, 도 3의 지그로 보유된 안경렌즈에 불관통 구멍을 가공할 때를 도시한 일부 생략된 측단면도.
도 8은 도 3의 지그로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블록게이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블록게이지를 사용하여 지지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안경착용자에게 사용되는 처방된 각종 형상의 안경렌즈의 단면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천공가공지그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지그로 사용되고 있는 지지부재의 지지부에서 안경렌즈를 받았을 때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지그로 사용되어 있는 지지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지그로 사용되고 있는 지지부재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지그로 사용되고 있는 지지부재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0의 지그로 사용되고 있는 지지부재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안경렌즈의 두께가 작을 경우에 사용하는 지지부재의 측단면도.
도 17은 안경렌즈의 두께가 중간정도의 경우에 사용하는 지지부재의 측단면도.
도 18은 안경렌즈의 두께가 클 경우에 사용하는 지지부재의 측단면도.
도 19는 도 16 내지 도 18의 3종류의 지지부재를 1개로 할 수 있는 지지부재의 배면도.
도 20은 도 19의 지지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21은 천공가공지그의 지그본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작지그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제작지그를 사용한 천공가공지그의 지그본체의 가공작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지그를 단면으로 하여, 지지부재를 소재로 제작할 때의 제1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가공작업에서 형성된 소재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지그를 단면으로 하여, 지지부재를 제작할 때의 제2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도 1은 불관통구멍이 형성된 좌우의 메니스커스(menicus)형상의 안경렌즈를 구비한 무테안경(1)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무테안경(1)의 프레임은 좌우의 안경렌즈(2)를 연결하는 브리지(3)와, 안경렌즈(2)에 결합된 엔드피이스(4)와, 엔드피이스(4)에 작은 나사(5)로 연결된 템플(6) 등으로 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인 브리지(3)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핀형상의 돌기부(7)가 형성되었고, 또 엔드피이스(4)에도 마찬가지의 한 쌍의 돌기부(8)가 형성되어 있다. 안경렌즈(2)의 원주면인 단면(2A)의 코측단부와 귀측단부에는 브리지(3)와 엔드피이스(4)의 각 돌기부(7, 8)에 대응하여 렌즈안쪽으로 뻗은 한 쌍의 불관통구멍(9)이 렌즈단면(2A)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특개 평7-230062호를 참조). 코측단부의 불관통구멍(9)에는 브리지(3)의 돌기부(7)가 삽입되었고, 귀측단부의 불관통구멍(9)에는 엔드피이스(4)의 돌기부(8)가 삽입되어 있다. 이것들 불관통구멍(9)은 돌기부(7, 8)에 대하여 길이, 지름 모두 약간 크게 형성되었고, 그 불관통구멍(9)에는 접착제가 미리 충전되었으며, 또는 돌기부(7, 8)에는 미리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경렌즈(2)에 브리지(3)와 엔드피이스(4)가 돌기부(7, 8)와 접착제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테안경(1)의 안경렌즈(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천공가공지그(20)를 나타내었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 천공가공지그(20)의 바람직한 사용예는 렌즈도수 0.00 디옵터(diopter)(D)로써, 처방된 렌즈대신의 견본으로서 사용되는 아크릴계열의 플라스틱제 시범용 렌즈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 천공가공지그(20)는 안경착용자에게 사용되는 처방된 안경렌즈가 아니라, 가게앞의 쇼우케이스 등에서 시범용으로 전시되는 안경렌즈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가공지그(20)는 지그본체(21)와, 안경렌즈(2)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3개의 지지부재(22∼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그본체(21)는 절삭가공성 및 렌즈면에 대한 비찰상성에 뛰어난 폴리아세탈계열 수지에 의한 플라스틱제이며, 지지부재(22∼24)는 철 또는 놋쇠 등에 의한 금속제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그본체(21)는 두꺼운 블록형상이며, 그 중앙부에는 표면(21A)에서 뒷면(21B)까지 관통한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5)는 안경렌즈(2)의 외형형상과 대응한 개구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안쪽에 안경렌즈(2)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경렌즈(2)는 그 볼록면(2B)을 하향으로 하였을 때에 좌우의 렌즈에서 외형형상이 다르며, 또, 안경렌즈(2)에는 각종의 외형형상의 것이 있기 때문에, 지그(20)는 좌우의 렌즈마다 및 각종의 외형형상의 렌즈마다 준비가 되어 있다.
지그본체(21)에는 안경렌즈(2)가 끼워들어간 개구부(25)의 눈썹 외주부에 있어서, 지그본체(21)의 바깥면에서 개구부(25)까지 도달하는 슬릿(26)이 형성되었고, 이 슬릿(26)의 양측에서 지그본체(21)에 세워설치된 2개의 핀(27)에 탄성부재인 스프링(28)의 양단부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25)는 슬릿(26)의 확대축소에 의하여 약간량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부(25)에 안경렌즈(2)를 세게 밀어넣음으로써, 스프링(28)에 저항하여 개방한 개구부(25)에 안경렌즈(2)를 끼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슬릿(26)의 폭을 축소하는 방향으로의 스프링(28)의 탄력이 개구부(25)에 안경렌즈(2)의 단면(2A)에서 렌즈안쪽으로 향하는 힘으로 되어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25)가 안경렌즈(2)를 보전하는 보전부로 되어, 개구부(25)의 안쪽에 안경렌즈(2)가 죄어붙여 보전되도록 되어 있다.
지그본체(21)에는 개구부(25)를 사이에 둔 슬릿(26)과는 반대측, 즉 개구부(25)의 뺨측 외주부의 바깥쪽에서 노치(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서의 지그본체(21)의 강도는 작기 때문에, 안경렌즈(2)를 개구부(25)에 끼워넣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슬릿(26)이나 노치(29)에 의한 개구부(25)의 형상변화성에 의하여, 안경렌즈(2)의 외형형상에 가공오차나 제작오차가 있어도, 이와 같은 오차를 흡수하여 개구부(25)에 안경렌즈(2)를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그본체(21)의 표면(21A)에 있어서의 안경렌즈(2)의 코측단부[프레임의 브리지(3)측]와 귀측단부[프레임의 엔드피이스(4)측]와 하단부에 대응하는 개구부(25)의 외주부의 각기 개소에는 지그본체(21)의 바깥면에서 개구부(25)까지 뻗은 홈(30∼32)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홈(30∼32)에 상기 지지부재(22∼24)가 수납배치되었고, 지그본체(21)에 형성된 보울트구멍(33)에 뒷면(21B)쪽으로부터 삽입되는 보울트(34)로 지지부재(22∼24)는 지그본체(21)에 부착된다.
이것들의 지지부재(22∼24)는 제1차부(22A∼24A)와, 제1차부(22A∼24A)에서 개구부(25)측에 설편형상(tongue shape)으로 늘려서, 안경렌즈(2)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되어 있는 제2차부(22B∼24B)를 지녔으며, 제2차부(22B∼24B)는 개구부(25)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그본체(21)에 있어서의 안경렌즈(2)의 코측단부와 귀측단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배치되는 지지부재(22, 23)의 제1차부(22A, 23A)에는 안내구멍(35)이 형성되었고, 이것들의 안내구멍(35)은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 23)마다 한 쌍이 있다. 안내구멍(35)은 안경렌즈(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기 위한 도 6에서 도시한 보르반(36)의 천공절삭구인 드릴(37)을 안내하는 안내부로 되어 있다.
이것들 안내구멍(35)은 안경렌즈(2)의 단면(2A)에 대한 바른 방향으로 드릴(37)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내구멍(35)은 지지부재(22∼24)의 제2차부(22B∼24B)에서 안경렌즈(2)를 지지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지그본체(21)에 대한 안경렌즈(2)의 보전상태와, 안경렌즈(2)의 만곡형상에 대응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그본체(21)의 바깥면에서 개구부(25)로 향하여 뻗음에 따라서 지그본체(21)의 표면(21A)에서 뒷면(21B)측으로 향하는 경사각도를 갖는다. 안내구멍의 뻗는 방향은 개구부(25)에 지지부재(22∼24)로 지지되어서 끼워넣어 보전된 안경렌즈(2)의 볼록면(2B)과 오목면(2D)의 대략 중간위치와 일치한다. 이 때문에, 안내구멍(35)에 드릴(37)을 삽입, 안내시켜서 불관통구멍(9)의 가공을 하였을 때, 이 불관통구멍(9)은 안경렌즈(2)의 두께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충분히 큰 렌즈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그본체(21)의 지지부재(23)라 함은 반대측의 측면(21C)은 평행으로 되어 있는 지그본체(21)의 표면(21A)과 뒷면(21B)에 대하여 각도(B)만큼 경사지고, 이 경사각도(B)는 측면(21C)이 지지부재(23)의 안내구멍(35)과 직각을 이루는 각도이다. 또, 지그본체(21)의 지지부재(22)이라 함은 반대측의 측면(21D)은, 표면(21A)과 뒷면(21B)에 대하여 각도(C)만큼 경사지고, 이 경사각도(C)는 측면(21D)이 지지부재(22)의 안내구멍(35)과 직각을 이루는 각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의 안내구멍(35)은 평행으로 되어 있는 지그본체(21)의 앞면(21E)과 뒷면(21F)에 대하여도 경사져 있으므로, 지그본체(21)의 측면(21D)은 앞면(21E)과 뒷면(21F)에 대한 경사각도(D)를 지녔으며, 이 각도(D)는, 측면(21D)이 지지부재(22)의 안내구멍(35)과 직각을 이루는 각도이다.
지지부재(22∼24)의 제2차부(22B∼24B)는 제1차부(22A∼24A)에서 개구부측으로 뻗음에 따라서 지그본체(21)의 표면(21A)측에서 뒷면(21B)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경사각도는 안경렌즈(2)의 볼록면(2B)에 있어서의 단면(2A) 가까이의 경사각도 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차부(22B∼24B)가 안경렌즈(2)를 지지하였을 때, 안경렌즈(2)의 렌즈표면인 볼록면(2B)과 단면(2A)이 이루는 렌즈 외주 가장자리 부분인 렌즈각부(2C)가 제2차부(22B∼24B)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2차부(22B∼24B)는 안경렌즈(2)의 광학면인 볼록면(2B), 오목면(2D)과 접촉하지 않으며, 3차원의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는 안경렌즈(2)가 3개의 지지부재(22∼24)에 의한 3점에서 안정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22, 23)의 제1차부(22A, 23A)는 안경렌즈(2)의 단면(2A)까지 도달하는 개구부(25)측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2차부(22B∼24B)에서 안경렌즈(2)가 지지되었을 때, 제1차부(22A, 23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35)의 선단과 단면(2A)과의 사이에는 도 7에서 도시한 틈새(S)가 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르반(36)의 드릴(37)을 사용하여 안경렌즈(2)의 천공가공을 하였을 때,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천공가공지그(20)를 사용하여 안경렌즈(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볼록면(2B)을 밑으로 하여 안경렌즈(2)를 지그본체(21)의 표면(21A)측으로부터 개구부(25)에 맞대어, 안경렌즈(2)를 지그본체(21)의 안쪽으로 세게 밀어넣음으로써, 스프링(28)에 저항하여 슬릿(26)을 약간 확대시켜서 개구부(25)의 안쪽으로 안경렌즈(2)를 끼워넣는다. 그리고, 안경렌즈(2)의 렌즈각부(2C)를 지지부재(22∼24)의 제2차부(22B∼24B)에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프링(28)에 의하여 발생하는 안경렌즈(2)의 단면(2A)에서 렌즈안쪽으로 향하는 개구부(25)의 보전력에 의하여 안경렌즈(2)를 보전하게 한다. 이에 따라, 안경렌즈(2)는 스프링(28)에 의한 보전력의 방향과 각도를 이루고 있는 지지부재(22∼24)의 제2차부(22B∼24B)에 의한 안경렌즈(2)의 볼록면(2B)측에서의 3점 지지에 의하여 위치결정상태로 되면서, 지그(20)에 부동상태에서 보전된다.
이 작업시에 있어서, 지그본체(21)에는 개구부(25)를 사이에 둔 슬릿(26)과는 반대측에 노치(2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26)의 확대에 의한 개구부(25)의 개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안경렌즈(2)의 개구부(25)로의 밀어넣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위에, 안경렌즈(2)의 개구부(25)에의 밀어넣음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의 상상선(E)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본체(21)의 표면(21A)에 개구부(25)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지그본체(21)의 개구부(25)에 안경렌즈(2)를 끼워넣어서 보전시켰을 때, 지지부재(22∼24)의 제2차부(22B∼24B)에서 받을 수 있는 안경렌즈(2)의 개소는 렌즈각부(2C)이기 때문에, 렌즈전면인 볼록면(2B)이나 렌즈후면인 오목면(2D)의 광학면을 손상할 우려는 없다.
이상과 같이 지그(20)에 보전된 안경렌즈(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할 때는, 도 6과 같이 지그(20)를 보르반(36)의 수평한 베드(38)상에 설치한다. 이 설치는 드릴(37)에 의한 천공가공을 2개의 지지부재(22과 23)중의 지지부재(22)의 안내구멍(35)을 사용하여 실시할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와는 반대측의 지그본체(21)의 측면(21D)을 베드(38)에 재치하여 실시한다. 이에 따라, 작업인은 지그본체(21)를 안정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각도 C와 D에 의하여, 지지부재(22)의 안내구멍(35)의 방향을 드릴(37)의 이동방향인 연직방향과 일치시킬 수 있다.
뒤이어 작업인은 한쪽손으로 지그본체(21)를 보전하면서 다른편 손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보르반(36)의 드릴 상하용 레버(39)를 조작함으로써 드릴(37)을 하강시켜, 드릴(37)을 지지부재(22)의 안내구멍(35)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안내구멍(35)의 안내작용으로 드릴(37)을 안경렌즈(2)의 단면(2A)까지 내리고, 또한 드릴(37)을 드릴(37)에 부착한 도 7에 도시한 스토퍼(37A)가 지지부재(22)에 맞닿기까지 하강함으로써, 안경렌즈(2)에 불관통구멍(9)을 형성한다. 스토퍼(37A)가 지지부재(22)에 맞닿은 후는 드릴(37)은 그 이상 하강하지 않으므로, 불관통구멍(9)의 깊이는 드릴(37)에 있어서, 스토퍼(37A)의 부착위치와 대응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천공가공을 지지부재(22)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안내구멍(35)에 대하여 실행하며, 또 지그본체(21)를 상하반대로 함에 따라서, 다른쪽 지지부재(23)의 안내구멍(35)에 대하여도 실시한다.
드릴(37)은 피펏(pivot)형 드릴으로서, 절삭부(37B)와 생크부(shank part)(37C)를 구비한다. 이 피벗형 드릴(37)은 브리지(3)의 돌기부(7)나 엔드피이스(4)의 돌기부(8)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들의 돌기부(7, 8) 보다도 지름, 길이는 크게 제작되어 있다. 또, 절삭부(37B)의 지름이 다르고, 생크부(37C)의 지름이 같게 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피벗형 드릴(37)이 준비되어 있다. 지지부재(22, 23)의 안내구멍(35)의 구멍크기는 안내구멍(35)까지 삽입되는 이것들 각종의 피벗형 드릴(37)의 생크부(37C)의 지름과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드릴(37)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설계대로 각기의 안경렌즈(2)의 단면(2A)에 각각의 브리지(3)의 돌기부(7)의 굵기, 엔드피이스(4)의 돌기부(8)의 굵기와 적합한 불관통구멍(9)을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브리지(3)의 한 쌍의 돌기부(7)나 엔드피이스(4)의 한 쌍의 돌기부(8)에 제작오차 등에 의한 피치오차가 있어도, 드릴(37)의 절삭부(37B)의 선택에 의하여 불관통구멍(9)의 지름을 변화시킬 수 있어, 이에 따라 한 쌍의 돌기부(7, 8)의 피치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천공가공은 보르반(36)에 설치되어 있는 부스러기 제거수단인 공기분출장치(40)의 노즐(40A)을 도 7과 같이 안내구멍(35)의 선단과 안경렌즈(2)의 단면(2A)과의 사이의 틈새(S)로 향하여 실시한다. 이에 따라, 불관통구멍(9)의 가공시에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노즐(40A)에서 분출하는 공기로 불어 날려보내고, 보르반(36)의 베드(38)상에 부스러기가 산란한다거나, 다음의 천명가공의 경우에 가공지그(20)의 지지부재에 부스러기가 부착한다거나, 과잉으로 부스러기가 불관통구멍(9)의 내부에 남는다거나 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부스러기에 의한 베드(38)상의 가공지그(20)의 위치이동 등이 방지되어, 작업성도 향상하기 때문에 스토퍼(37A)가 지지부재(22, 23)에 닿기까지 드릴(37)을 하강시킴으로써, 일정 깊이의 불관통구멍(9)을 확실하게 안경렌즈(2)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 23)의 제1차부(22A, 23A)의 작업인측으로 향하는 면(22C, 23C)은 지그본체(21)의 표면(21A), 뒷면(21B)과 평행으로 되지 않아서, 이것들의 면(22C, 23C)은 안내구멍(35)과 평행이고, 지그본체(21)의 바깥측에서 개구부(25)측으로 뻗음에 따라서 표면(21A)에서 뒷면(21B)에 가까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면(22C, 23C)이 표면(21A), 뒷면(21B)과 평행한 면(22C', 23C')으로 되어 있을 경우와 달라서, 작업인은 시선(F)에 의하여 안경렌즈(2)의 단면(2A)에 도달한 드릴(37)의 선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후에 레버(39)에 커다란 조작력을 가하여 드릴(37)에 발생시켜야 할 하향의 커다란 가공력의 발생타이밍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경렌즈(2)를 지지하는 제2차부(22B, 23B)를 지닌 지지부재(22, 23)에 드릴(37)을 안내하는 안내부로 되어 있는 안내구멍(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22, 23)와는 별도로 드릴(37)을 안내하기 위한 부재를 제작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천공가공지그(20)의 구조의 간단한 부품점수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의 작업에서 형성된 불관통구멍(9)의 깊이에 대하여 도 2에서 도시한 브리지(3)의 돌기부(7)의 길이, 엔드피이스(4)의 돌기부(8)의 길이에 제조시나 가공시에 기초한 오차가 있으며, 그 결과 돌기부(7, 8)의 전부를 불관통구멍(9)에 삽입할 수 없을 때는, 도 8에 도시한 지지부재 부착위치 조정부재인 블록게이지(41)를 사용함으로써, 도 9의 지지부재 부착위치의 변경작업을 한다.
도 8의 블록게이지(41)는 단면(41A)으로부터 돌출한 돌기(41B)를 구비하였고, 이 돌기(41B)의 돌출량(L1)이 다른 여러 개의 블록게이지(41)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 지지부재(22, 23)의 지그본체(21)에 대한 부착위치를 변경할 때는 도 5에 도시한 보울트(34)를 완화함으로써, 지지부재(22, 23)를 개구부(25)로 향하여 진퇴가 자유롭다. 그리고, 지지부재(22, 23)를 개구부(25)로부터 충분히 후퇴시킨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 23)의 새로운 부착위치와 대응하는 적정한 돌출량(L1)을 지닌 블록게이지(41)의 돌기(41B)의 선단을 지그본체(21)의 개구부(25)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그리고나서, 제2차부(22B, 23B)의 선단이 블록게이지(41)의 단면(41A)에 닿기까지 지지부재(22, 23)를 전진시켜, 보울트(34)를 죄어 붙인다.
이에 따라, 지그본체(21)에 있어서의 지지부재(22, 23)의 부착위치가 변경되어, 재차 지지부재(22, 23)에 스토퍼(37A)가 닿기까지 안내구멍(35)에 드릴(37)을 삽입하여 천공가공을 함으로써, 불관통구멍(9)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그본체(21)에 있어서의 지지부재(22, 23)의 부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부착위치 변경량을 그다지 크게 함을 구할 수 없을 때는, 보울트(34)가 삽통되는 도 5의 보울트구멍(33)의 구멍크기를 보울트(34)의 지름에 대한 통상의 크기로 하면 좋고, 또 커다란 부착위치 변경량을 구할 수 있을 때에는 보울트 구멍(33)의 구멍지름을 크게 하던가, 보울트 구멍(33)을 긴 구멍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천공가공지그(20)는 렌즈 지지측면인 볼록면(2B)이 구면으로 되어 있는 시범용의 안경렌즈(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였으나, 도 10에 도시한 천공가공지그(50)는 안경착용자를 위하여, 처방되었고 볼록면(102B)의 형상이 둥굴지 않은 면이나 토오리크면(toric surface)으로 되어 있는 각종의 안경렌즈(10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 지그(50)는 지그본체(51)와 안경 프레임의 브리지측과 엔드피이스측에 대응하여 지그본체(51)에 부착된 2개의 지지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그본체(51)에는 상기 천공가공지그(20)의 지그본체(21)와 마찬가지로, 개구부(55), 슬릿(56), 노치(59)가 형성되었고 그리고 스프링(58)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그본체(51)의 측면(51C, 51D)에는 도 3, 도 4에서 도시한 각도(B, C, D)에 상당하는 경사각도가 설치되어 있다.
지그본체(51)의 표면에 있어서의 안경렌즈(102)의 코측단부와 귀측단부에 대응하는 각기의 개소에는 홈(60, 61)이 형성되었고, 이러한 홈(60, 61)에 지지부재(52)가 배치되어서 보울트로 고정되어 있다. 도 12는 지지부재(52)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지지부재(52)는 드릴(37)을 안내하는 안내구멍(65)이 형성된 제1차부(52A)와, 제1차부(52A)에서 개구부(55)의 안쪽까지 뻗은 제2차부(52B)를 구비하고 있다. 제2차부(52B)에는 제2차부(52B)의 폭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제2차부(52B)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단면이 반원형상인 2개의 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62)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렌즈(102)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되어 있으며, 돌기(62)에 안경렌즈(102)의 단면(102A)과 볼록면(102B)이 이루는 렌즈각부(102C)가 맞닿아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안경렌즈(102)가 돌기(62)에서 받게 되었을 때, 이 천공가공지그(50)이라도, 지지부재(52)의 안내구멍(65)의 선단과 안경렌즈(102)의 단면(102A)과의 사이에 틈새(S)가 나도록 되어 있다.
안경렌즈(102)에 불관통구멍(9)의 가공을 할 때에는, 상기 천공가공지그(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그본체(51)의 개구부(55)에 볼록면(102B)을 하측으로 하여 안경렌즈(102)를 끼워넣고, 스프링(58)에 의한 개구부(55)의 보전력으로 안경렌즈(102)를 보전하게 한다. 2개 있는 지지부재(52)중의 한편, 예컨대 도 10에서 도시되어 있는 좌측의 지지부재(52)의 안내구멍(65)을 드릴(37)의 안내부로서 불관통구멍(9)의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먼저 이 좌측의 지지부재(52)의 제2차부(52B)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돌기(62)에 안경렌즈(102)의 렌즈각부(102C)가 닿도록, 안경렌즈(102)에 있어서의 도 10의 우단부도 누른다. 그리하였을 경우, 우단부의 렌즈 각부(102C)는, 도 10에서 도시되어 있는 우측의 지지부재(52)의 제2차부(52B)에 2개 형성되어 있는 돌기(62)중의 어느 것인가 1개에 닿게 되고, 이에 따라 안경렌즈(102)는 3점에서 지지된다.
즉, 이 천공가공지그(50)에서는 2개의 지지부재(52)중에서 먼저, 드릴(37)을 안내시키려고 하는 한 쌍의 안내구멍(65)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부재(52)의 2개의 돌기(62)에 안경렌즈(102)를 지지시키고, 뒤이어 나머지의 지지부재(52)에 대하여는, 이 나머지의 지지부재(52)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기(62)중의 어느 것인가 1개에 안경렌즈(102)를 지지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지그본체(51)의 개구부(55)에 보전되어 지지부재(52)로 3점 지지된 안경렌즈(102)를 도 6에서 도시한 보르반(36)으로 천공가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천공가공지그(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그본체(51)의 2개의 측면(51C와 51D)중에서, 드릴(37)을 삽입시키는 안내구멍(65)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부재(52)와는 반대측의 측면을 보르반(36)의 베드(38)에 놓고, 드릴(37)에 의하여 불관통구멍(9)의 천공가공을 한다.
다른편의 지지부재(52)의 안내구멍(65)에 드릴(37)을 삽입시켜서 불관통구멍(9)의 천공가공을 할 때에는, 2개의 지지부재(52)중에서, 지금까지와는 반대측의 지지부재(52)의 2개의 돌기(62)에 안경렌즈(102)를 지지하게 하며, 또 1개의 지지부재(52)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기(62)중의 1개에 안경렌즈(102)를 지지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조특징을 지닌 지지부재(52)를 구비하고 있는 천공가공지그(50)는 비구면(非球面)[누진(累進)면을 포함한다]이나 원환체(toric)면 등을 구비하고 있는 각종 형상의 안경렌즈(102)에 불관통구멍(9)의 가공을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 2개의 돌기(62)의 간격(L2)은 2개의 안내구멍(65)의 간격과 대응시키거나 이 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L2)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불관통구멍(9)의 간격과 같거나 또는 대략 같게 하면, 렌즈접촉위치(지지위치)를 돌기(62)의 세로축상에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2개의 돌기(62)에 의한 렌즈 지지위치로부터 각각의 불관통구멍(9)까지의 거리를 대략 일정한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드릴(37)로 안경렌즈(102)의 단면(102A)에 한 쌍의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면, 돌기(62)의 세로축상 근방에 렌즈(102)의 불관통구멍(9)을 형성할 수 있어, 이것들의 불관통구멍(9)을 거의 렌즈(102)의 곡률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략 소정대로의 렌즈두께 내(內)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술한 천공가공지그(20)는 볼록면(2B)의 형상이 구면이고 렌즈도수가 0.00 디옵터(D)의 얕은 곡선의 안경렌즈(2)를 가공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안경렌즈(2)를 지지하는 3개의 지지부재(22∼24)의 간격은 크다. 따라서, 안경렌즈(2)의 코측단부와 귀측단부와의 각각에 한 쌍 형성하는 불관통구멍(9)을 안경렌즈(2)의 단면(2A)에 있어서의 렌즈두께 방향의 같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렌즈의 도수나 형상에 따라서 지지부재(22, 23)의 제1차부(22A, 23A)에 형성하는 한 쌍의 안내구멍(35)을 이것들의 제1차부(22A, 23A)의 저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하여 형성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 때문에, 지지부재(22, 23)의 제작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천공가공지그(50)에 있어서의 지지부재(52)에서는 각종 볼록면 곡선의 안경렌즈(10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함에도 불구하고, 안경렌즈(102)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52)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기(62)의 간격은 2개의 불관통구멍(9)의 피치와 같은 간격이므로, 한 쌍의 안내구멍(65)은 지지부재(52)의 저면(52C)으로부터의 돌기(62)의 두께를 고려하여, 안경렌즈(102)의 두께내 위치와 일치하는 지지부재(52)의 개소에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천공가공지그(20)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4, 도 15는 지지부재의 변형 실시형태를 뜻한다. 도 14의 지지부재(152)에서는 제1차부(152A)와 일체로 형성된 제2차부(152B)의 폭방향 양단부에 반원형상으로 오목부(153)가 형성되었고, 이것들 오목부(recess)(153)에, 단면이 원형인 작은 지름 막대의 절단으로 얻은 접촉부재(154)를 배치하고 있다. 도 15의 지지부재(252)에는 제2차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없고, 제1차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전면에 한 쌍의 구멍(253)이 형성되었고, 이것들 구멍(253)에 단면이 원형인 작은 지름막대의 절단으로 얻은 접촉부재(254)를 삽입하고 있다.
이것들 접촉부재(154, 254)는 도 12의 지지부재(52)의 돌기(62)와 마찬가지로 안경렌즈(102)의 렌즈각부(102C)에 접촉하여 안경렌즈(102)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되어 있다. 도 14, 도 15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지지부재(152, 252)에 가공작업으로 시간이 걸리는 도 12의 단면이 반원형상인 돌기(62)를 형성하지 않아도 잘되며, 시판되어 있는 단면이 원형인 지름이 작은 막대로 접촉부재(154, 254)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152, 252)의 생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접촉부재(154, 254)는 지지부재(152, 252)에 대하여 떼어낼 수 없다고 하여도 좋으나, 착탈을 자유롭도록 하여도 좋다. 착탈이 자유롭도록 하여 두면, 다수의 안경렌즈(102)에 불관통구멍(9)을 가공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52, 252)를 반복사용함으로써 접촉부재(154, 254)가 마모하여도, 지지부재(152, 252) 전체를 교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접촉부재(154, 254)만의 교환으로 만족하도록 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렌즈두께가 다른 안경렌즈(202, 302, 402)의 단면(202A, 302A, 402A)의 각기 두께방향 중앙부에 불관통구멍(9)을 형성할 수 있는 지지부재(352, 452, 552)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 지지부재(352, 452, 552)에는 안경렌즈(202, 302, 402)의 렌즈두께에 따라서 형성위치를 다르게 한 안내구멍(365, 465, 565)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0의 천공가공지그(50)로 불관통구멍(9)이 가공되는 안경렌즈에 렌즈두께가 다른 각종의 것이 있어도, 지그본체(51)를 공통으로 하여, 지지부재만을 교환하는 것이 좋다.
도 19는 렌즈두께가 다른 여러 개의 안경렌즈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지부재(652)를 나타내고 있다. 이 지지부재(652)에는 도 16 내지 도 18의 안내구멍(365, 465, 565)의 형성위치에 상당하는 각각의 위치에 안내구멍(665)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멍(365, 465, 565)의 형성위치가 서로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3개의 구멍이 연속하고 있는 긴 구멍(765)이 형성된 지지부재(752)를 제작하여도 좋다.
이상에 있어서, 안경렌즈를 가공지그에 그 볼록면을 하측으로 하여, 즉 볼록면을 지지부재측으로 하여 보전하게 한 이유는 렌즈의 광학설계상 볼록면의 편이 그 반대측의 오목면에 비하여 커다란 곡률이나 면형상에 있어서,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렌즈를 지지부재에 지지시켰을 때, 이것들 곡률이나 면형상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서 3차원의 지지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1은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있는 도 10의 지그본체(51)를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단히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작지그(70)를 나타내고 있다. 그 위에, 이 제작지그(70)는 이제로부터의 설명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 등에서 도시된 지그본체(21)를 제작하기 위하여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작지그(70)는 기부(70A)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베이스부(70B)를 구비하였고, 베이스부(70B)의 중앙부에는 큰 면적의 관통구멍(71)이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70B)의 주변부는 관통구멍(71)을 둘러싸는 작은 폭의 돌출부(72)로 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70B)의 일변에는 베이스부(70B)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곧게 선 입상부(risen portion)(73)가 형성되어 있다. 입상부(73)를 제외한 베이스부(70B)의 전체 평면형상은 지그본체(51)의 평면형상과 상사형으로 되어 있으나, 그 전체 평면형상의 크기는 지그본체(51)의 평면형상의 크기 보다도 작으며, 또 관통구멍(71)의 크기는 지그본체(51)의 개구부(55) 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베이스부(70B)상에 지그본체(51)를 재치하였을 때, 돌출부(72)는 지그본체(51)의 바깥면과 개구부(55)와의 사이의 틈새 보다도 작은 폭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돌출부(72)를 이것들의 바깥면과 개구부(55)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부(70B)에는 관통구멍(71)까지 도달하는 깍아낸 부분(74)이 형성되었고, 이 깍아낸 부분(chipped portion)(74)의 폭은 지그본체(51)의 노치부(59)의 폭 보다도 크다. 또, 관통구멍(71)에서 벗어난 베이스부(70B)의 위치, 즉 돌출부(72)에는 여러 개의 나사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제작지그(70)를 사용하여 지그본체(51)를 제작할 때에는, 이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직각으로 된 지그본체용의 소재를 준비하여, 이 소재의 나사구멍(75)과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울트 구멍(76)을 형성하여 둔다. 뒤이어, 소재의 직각측면을 입상부(73)에 닿게 하면서 소재를 돌출부(72)상에 재치하고, 보울트 구멍(76)에 보울트(77)를 삽통하여 보울트(77)의 선단을 나사구멍(75)에 틀어넣음으로써 보울트(77)를 고정구로 하고, 나사구멍(75)을 이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소재를 돌출부(72)에 재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제작지그(70)를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또는 프레이즈반 등의 가공장치의 테이블위에 고정설치한다.
이 가공장치에는 지그본체(51)의 측면(51C, 51D)의 경사각도와 대응하는 경사각도로 된 원주측면을 지닌 엔드밀(end mill)(78, 79)과 원주측면이 저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통상의 엔드밀(80) 등이 준비되어 있다. 엔드밀(78, 79)로 측면(51C, 51D)을 가공하고, 엔드밀(80)로 개구부(55)를 가공하며, 노치부(59)와 홈(60, 61)은 지름이 엔드밀(80) 보다도 작은 엔드밀로 가공한다.
이에 따라, 경사진 측면(51C, 51D)이나 개구부(55), 노치부(59)를 구비한 복잡한 형상의 지그본체(51)를 가공장치의 테이블에 1회 설정한 것만으로 제작할 수 있어, 소재를 가공장치의 테이블에 향함을 바꾸어서 여러 번 설정하여 여러 번의 가공작업을 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지그본체(51)의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 킬 수 있다.
그 위에, 지그본체(51)의 슬릿(56)은 소재의 단계에서 또는 제작지그(70)를 사용한 지그본체(51)의 가공종료 후에, 절단장치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이 슬릿(56)은 제작지그(70)의 입상부(73)를 포함한 베이스부(70B)에 관통구멍(71)까지 도달하며, 또한 슬릿(56) 보다도 큰 폭을 지닌 슬릿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소재를 제작지그(70)에 고정한 채 엔드밀에 의하여 가공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10 등에서 도시한 지지부재(52)를 제작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 위에, 이 제작방법은 이제부터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부재(22, 23) 등을 제작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지닌 입방체형상의 소재(81)의 상면(81A)을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설정할 수 있는 직각형상의 오목부(82A)를 지닌 지그(82)를 준비하여, 오복무(82A)에 소재(81)를 설치한 다음, 가공장치의 엔드밀로 상면(81A)의 일부를 수평한 면(81B)으로 가공한다. 그리고, 이 면(81B)에, 면(81B)에 직각으로 된 안내구멍(65)을 보르반 등으로 가공하고, 이에 따라 소재(81)를 도 24에서 도시한 형상으로 한다.
뒤이어 소재(81)를 도 25에서 도시한 지그(84)의 직각형상 오목부(84A)에 배치설정하여 이 상태에서 소재(81)의 면(81C, 81D)을 가공장치의 엔드밀로 가공한다. 그런 다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부(52A) 보다도 작은 폭의 제2차부(52B)를 잘라내는 가공작업, 그 밖의 필요한 가공작업을 함으로써, 지지부재(52)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3, 도 25에서 도시한 지그(82, 84)를 사용함으로써, 도 12 등에서 도시한 복잡한 형상의 지지부재(52)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단면에 무테안경의 브리지나 엔드피이스의 돌기부를 삽입하기 위한 렌즈안쪽으로 뻗는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때에 유용하게 된다.
Claims (22)
- 메니스커스(meniscus)형상의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보전부와,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을 천공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전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에서 렌즈안쪽으로 향하는 힘으로 이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것이며, 이 보전력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 상기 안경렌즈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과 렌즈표면이 이루는 렌즈각부를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2항에 있어서,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된 여러 개의 지지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상기 보전부는 상기 지그본체에 형성되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안내부가 설치되었으며, 또한 안내부의 선단과 상기 지지부에서 지지된 안경렌즈의 단면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전부는 지그본체에 상기 안경렌즈의 외형형상과 대응하는 개구형상으로 관통형성된 개구부이며, 상기 지그본체에는 지그본체의 바깥면에서 이 개구부까지 도달하여 형성된 슬릿과, 이 슬릿의 폭을 수축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의 죄어붙이는 힘(elastic tightening force)을 지니고, 상기 개구부에 끼워넣는 상기 안경렌즈를 이 개구부의 안쪽에서 죄어붙여 보전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끼인 상기 슬릿과는 반대측의 상기 지그본체의 개소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절삭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안내부와 직각을 이루는 각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2항에 있어서, 시범용의 안경렌즈의 단면에 상기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의 상기 지지부의 개수가 3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2항에 있어서, 안경착용자를 위하여 처방된 안경렌즈의 단면에 상기 불관 통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의 상기 지지부의 개수가 4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지지부는 상기 안경렌즈에 대하여 서로 대략 반대측에 배치된 2개의 지지부재에 2개씩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천공가공지그를 사용하여 렌즈단면에 불관통구멍이 가공되어, 불관통구멍에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의 돌기부가 삽입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 안경렌즈의 외형형상과 대응하는 개구형상으로 관통형성되었고, 상기 안경렌즈를 안쪽에서 보전하는 개구부와,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는 불관통구멍을 천공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임과 동시에, 이 천공절삭구와 직각을 이루는 경사측면과를 지닌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를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제작지그로서,상기 천공가공지그의 바깥면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의 틈새 보다도 작은 폭을 지닌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상기 바깥면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하여 이 돌출부의 위에 실린 상기 천공가공지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의 제작지그.
- 안경렌즈의 단면에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의 장착을 위한 불관통구멍을 렌즈안쪽으로 형성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으로서,상기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가공지그에 볼록면을 하측으로 한 상기 안경렌즈의 외주 가장자리 부분이 맞닿아서 안경렌즈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천공절삭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하여, 안내부에서 천공절삭구를 안내시키면서 렌즈단면에서 렌즈안쪽으로 뻗는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의 보전은 상기 가공지그에 관통형성된 개구부에서 실시되고, 이 개구부에는 상기 안경렌즈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인 눈썹측과 뺨측과 코측과 귀측의 외주부가 있으며, 코측과 귀측의 각각의 외주부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내부를 배치하여, 지지부에서 지지시킨 안경렌즈에 안내부에서 안내시킨 천공절삭구로 불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그에는 상기 개구부의 눈썹측 외주부와 뺨측 외주부중의 적어도 한편에 있어서 가공지그의 외주면에서 상기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공지그에 이 슬릿의 폭을 탄성의 죄어 붙이는 힘으로 변화시키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끼워넣는 상기 안경렌즈를 이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의 죄어붙이는 힘으로 보전시키면서, 상기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그는 상기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보전부를 지닌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되었고, 상기 지지부가 설치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으며, 이 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부로 되어 있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안경렌즈의 볼록면과 오목면의 대략 중간으로 향하여 뻗는 이 안내구멍에 상기 천공절삭구를 삽입, 안내시키면서, 상기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그는 상기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보전부를 지닌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된 지지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지지부재에는 2개의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었고, 이것들 지지부의 세로축상 근방의 안경렌즈 두께내 위치와 일치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소에 상기 안내부로 되어 있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었으며, 이 안내구멍에 상기 천공절삭구를 삽입, 안내시키면서 상기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그본체에 형성된 안경렌즈 보전부의 코측단부와 귀측단부의 2개소에 부착되었고,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의 코측단부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때는, 안경렌즈를 코측단부의 지지부재의 상기 2개의 지지부와, 귀측단부의 지지부재의 상기 2개의 지지부중의 1개에 지지시키며,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의 귀측단부에 불관통구멍을 가공할 때는, 안경렌즈의 귀측단부의 지지부재의 상기 2개의 지지부와 코측단부의 지지부재의 상기 2개의 지지부중의 1개에 지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 구성부재에는 한 쌍의 돌기부가 설치되었고, 상기 안경렌즈의 단면에 이것들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2개의 상기 불관통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상기 천공절삭구는 절삭부의 지름이 다른 여러 개가 준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돌기부의 피치에 상응한 절삭부의 지름을 지닌 천공절삭구로 상기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그는 상기 안경렌즈를 보전하는 보전부를 지닌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내부가 설치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지지부재는 상기 지그본체의 보전부에서 보전된 안경렌즈에 대하여 진퇴자유롭도록 되어 있으며, 이 진퇴방향의 부착위치가 조정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안내부에서 상기 천공절삭구를 안내시켜, 이 천공절삭구에 부착한 멈추개(stopper)가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하기까지 천공절삭구를 안경렌즈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그의 상기 안내부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은 안내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된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경사측면을 상기 천공절삭구를 구비한 가공장치의 수평한 베드상에 놓고, 연직방향을 이동방향으로 하는 상기 천공절삭구를 상기 안내부에서 안내시켜서 상기 불관통구멍의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으로 렌즈단면에 렌즈안쪽으로 뻗은 불관통구멍이 가공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74798 | 1998-01-26 | ||
JP98-12747 | 1998-01-26 | ||
PCT/JP1999/000271 WO1999037449A1 (fr) | 1998-01-26 | 1999-01-25 | Gabarit de perçage pour verre de lunettes, gabarit de production prevu a cet effet, procede de perçage pour verre de lunettes et verre de lunett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6437A KR20000076437A (ko) | 2000-12-26 |
KR100550060B1 true KR100550060B1 (ko) | 2006-02-08 |
Family
ID=1181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08541A KR100550060B1 (ko) | 1998-01-26 | 1999-01-25 |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및 그 제작지그와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과 안경렌즈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6244792B1 (ko) |
EP (1) | EP0970786B1 (ko) |
JP (1) | JP4281878B2 (ko) |
KR (1) | KR100550060B1 (ko) |
CN (1) | CN1168582C (ko) |
AU (1) | AU751099B2 (ko) |
DE (1) | DE69935284T2 (ko) |
HK (1) | HK1029306A1 (ko) |
MY (1) | MY115633A (ko) |
TW (1) | TW369616B (ko) |
WO (1) | WO19990374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58656B2 (ja) * | 1999-10-20 | 2002-12-24 | ホーヤ株式会社 | 眼鏡レンズ穴あけ治具位置決め装置 |
FR2803669B1 (fr) * | 2000-01-12 | 2002-03-08 | Henry Jullien | Dispositif pour le percage de trous en bordure de verres de lunettes |
DK176022B1 (da) * | 2003-03-07 | 2005-12-19 | Lindberg As | Apparat, fikstur samt fremgangsmåde til fiksering af brilleglas for uindfattede briller |
FR2865046B1 (fr) * | 2004-01-08 | 2006-03-10 | Frederic Dupuy | Dispositif pour le percage de verres et la finition des vis d'assemblage et son procede associe |
JP4841269B2 (ja) * | 2006-02-28 | 2011-12-21 | 株式会社ニデック | 眼鏡レンズ加工装置 |
US7970487B2 (en) * | 2006-11-30 | 2011-06-28 | National Optronics, Inc. | Method of calibrating an ophthalmic processing device, machine programme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
US20100306980A1 (en) * | 2009-06-08 | 2010-12-09 | Yi-Chang Yang | Clutching Jig |
CN102990127B (zh) * | 2012-10-30 | 2015-05-20 |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 中壳整体钻模结构 |
CN103084624B (zh) * | 2012-11-13 | 2016-08-24 |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 连体式斜孔钻模 |
JP5873532B2 (ja) * | 2014-07-08 | 2016-03-01 |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 穴明け工具 |
CN104267509B (zh) * | 2014-10-20 | 2016-01-20 | 四川仁心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有利于提高镜片成形质量的加工设备 |
CN105364990A (zh) * | 2015-12-22 | 2016-03-02 |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 一种扩孔钻 |
CN108890525B (zh) * | 2018-09-25 | 2021-03-19 | 上海滩玮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高反光率镜片0°~180°加工装置 |
CN114211349B (zh) * | 2021-11-25 | 2022-11-11 | 山东美健健康防护用品有限公司 | 一种医用护目镜生产装配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11026A (en) * | 1963-05-13 | 1965-10-12 | Jack C Calahan | Work holder, jig holder and jig assembly |
US3352183A (en) * | 1965-10-22 | 1967-11-14 | Lewis D Howsare | Drill jigs |
US3761193A (en) * | 1971-07-15 | 1973-09-25 | Giudice M Del | Drill jig |
US3905085A (en) * | 1973-07-02 | 1975-09-16 | Hilsinger Corp | Method of securing a front hinge to an eyeglass frame front |
US4190480A (en) * | 1976-12-20 | 1980-02-26 | Ebert Edward A | Support for deformabl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US4790695A (en) * | 1982-05-24 | 1988-12-13 | Abernethy Robert R | Modular drill jig and method of making same |
SE448072B (sv) * | 1986-11-28 | 1987-01-19 | Andarosa Ab | Forfarande for att festa en detalj vid en yta av en byggnadskonstruktion samt jigg for upptagning av hal for utforande av forfarandet forfarande for att festa en detalj vid en yta av en byggnadskonstruktion samt jigg for upptagning av hal for utforande av forfarandet |
US5209614A (en) * | 1989-03-21 | 1993-05-11 | Kawneer Company | Template positioning jig |
JPH0310786A (ja) | 1989-06-09 | 1991-01-18 | Hitachi Ltd | 重力バランス装置 |
JPH0310786U (ko) * | 1989-06-13 | 1991-01-31 | ||
JP2854531B2 (ja) * | 1993-12-21 | 1999-02-03 | ホーヤ株式会社 |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
US5409329A (en) * | 1994-03-29 | 1995-04-25 | Juang; Bor-Chang | Drill guiding device |
US5466098A (en) * | 1994-11-21 | 1995-11-14 | Juang; Bor-Chang | Drill bit guiding device |
JPH0938955A (ja) * | 1995-07-31 | 1997-02-10 | Itec Kk | 眼鏡レンズ穿孔用治具 |
JP3447462B2 (ja) * | 1996-03-26 | 2003-09-16 | Hoya株式会社 |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
US5807033A (en) * | 1996-07-02 | 1998-09-15 | Benway; Randy E. | Drilling jig |
US5733077A (en) * | 1996-07-02 | 1998-03-31 | The Hilsinger Company Lp | Lens drill guide |
US5838417A (en) * | 1997-06-18 | 1998-11-17 | Custom Optical Fram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clip-on eyeglass accessories |
-
1999
- 1999-01-05 MY MYPI99000022A patent/MY115633A/en unknown
- 1999-01-25 WO PCT/JP1999/000271 patent/WO1999037449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9-01-25 AU AU20745/99A patent/AU751099B2/en not_active Ceased
- 1999-01-25 CN CNB998000647A patent/CN116858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1-25 KR KR1019997008541A patent/KR1005500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1-25 DE DE69935284T patent/DE69935284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1-25 EP EP99901155A patent/EP097078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1-25 US US09/367,217 patent/US624479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1-25 JP JP53703699A patent/JP428187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1-26 TW TW088101127A patent/TW36961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
- 2000-11-28 HK HK00107621A patent/HK1029306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751099B2 (en) | 2002-08-08 |
MY115633A (en) | 2003-08-30 |
WO1999037449A1 (fr) | 1999-07-29 |
EP0970786A1 (en) | 2000-01-12 |
EP0970786B1 (en) | 2007-02-28 |
WO1999037449A8 (fr) | 1999-09-23 |
DE69935284T2 (de) | 2007-10-31 |
CN1168582C (zh) | 2004-09-29 |
JP4281878B2 (ja) | 2009-06-17 |
KR20000076437A (ko) | 2000-12-26 |
US6244792B1 (en) | 2001-06-12 |
EP0970786A4 (en) | 2003-05-07 |
HK1029306A1 (en) | 2001-03-30 |
DE69935284D1 (de) | 2007-04-12 |
AU2074599A (en) | 1999-08-09 |
CN1255885A (zh) | 2000-06-07 |
TW369616B (en) | 1999-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0060B1 (ko) | 안경렌즈의 천공가공지그 및 그 제작지그와 안경렌즈의 천공가공방법과 안경렌즈 | |
KR100187562B1 (ko) | 정삭용 쓰로어웨이 볼 앤드밀 | |
KR20180051534A (ko) | 그루빙 작업을 위한 선삭 공구 및 공구 본체 | |
KR20020043229A (ko) | 안경 렌즈 보링 지그 위치 결정장치 | |
US4484498A (en) | Quick-change tool | |
KR100638245B1 (ko) |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 |
KR20030078861A (ko) | 안경렌즈 가공방법 및 장치 | |
EP4129564A1 (en) | Machine tool comprising separable and replaceable tool post | |
JPH0768409A (ja) | 鋼板等の孔開け工具 | |
KR200255302Y1 (ko) | 무테 안경렌즈의 구멍 가공장치 | |
CN210525519U (zh) | 一种用于加工玻璃的cnc精雕机及cnc精雕机的刀具 | |
KR100450907B1 (ko) | 안경테용 엔드피스 제조방법 | |
CN115053169B (zh) | 镜框与镜片结构 | |
US20240109133A1 (en) | Head replaceable cutting tool and fastening projection portion thereof | |
KR200237150Y1 (ko) |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 |
CN219402330U (zh) | 一种车床 | |
CN219402353U (zh) | 一种可调整中心高的刀座 | |
KR100918175B1 (ko) | 절삭공구용 절삭구의 조립구조 | |
CN211516106U (zh) | 车刀 | |
KR100400349B1 (ko) | 무테안경 형판 제조용 임시조립렌즈와 고정치구와 임시조립렌즈 가공방법 | |
EP2135719B1 (en) | Die-cutter for cutting hides | |
KR200202108Y1 (ko) | 안경 코다리의 통코 파이프 및 쌍철 용접 지그 | |
KR200202107Y1 (ko) | 안경 엔드 피스 용접 지그 | |
SU1565595A1 (ru) | Многорезцова расточна головка дл обработки глубоких отверстий | |
KR19980043957U (ko) | 홀 펀칭머신 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