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55375B1 - 공명형 덕트 소음기 - Google Patents

공명형 덕트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375B1
KR100555375B1 KR1020040030577A KR20040030577A KR100555375B1 KR 100555375 B1 KR100555375 B1 KR 100555375B1 KR 1020040030577 A KR1020040030577 A KR 1020040030577A KR 20040030577 A KR20040030577 A KR 20040030577A KR 100555375 B1 KR100555375 B1 KR 10055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diaphragm
space
steel plate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562A (ko
Inventor
이동훈
제현수
이영섭
양수영
Original Assignee
이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섭 filed Critical 이영섭
Priority to KR102004003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37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5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명형 덕트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덕트와 연결되어 유동하는 유체와 함께 음향이 전파되도록 양단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측벽을 따라 가설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아울러 양단부가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부와 양측 곡면부 사이에 천공된 평면부에 의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덕트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강판과,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수직 가설되어 내부 공명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 1 격판과, 상기 제 1 격판에 의해 분할된 공명공간을 다시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복수개의 제 2 격판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강판은 평면부에 제 2 격판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명공간이 개방되도록 두께가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5mm, 면적대비 개방비율이 3∼30%범위에서 선택적으로 부분 천공되고, 상기 제 2 격판은 상기 강판에 의해 개방된 공간과 밀폐된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두께가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4mm와 면적 대비 개방비율 0.1∼5%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천공되도록 구성하여, 천공이 형성된 다공판으로 입사된 소음이 다공판과 공명공간 사이에서 강한 공명작용을 갖게 한다. 이 공명작용은 음파가 다공판의 천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강한 비선형 현상을 수반케하여 음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소산시킴으로써 흡음재 없이도 덕트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를 제공한다.
덕트, 소음기, 공명공간(Cavity), 다공판

Description

공명형 덕트 소음기 {RESONANCE TYPE DUCT SILENCER}
도 1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와 종래기술의 유리섬유를 흡읍재로 사용한 덕트 소음기의 소음레벨을 비교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200, 300, 400: 소음기 10, 410: 몸체
11, 411: 흡입구 12, 412: 토출구
13: 측벽 14: 중간벽
20, 120, 220, 310, 320, 330, 340: 스플리터 21, 121, 221: 강판
22, 23, 122, 123, 222, 223: 곡면부 24: 평면부
25, 125, 127, 225, 227, 229, 413: 천공 31, 131, 231, 431: 제 1 격판
32, 132, 232, 432: 제 2 격판 33, 133, 233, 433: 천공
124, 224: 제 1 평면부 126, 226: 제 2 평면부
228: 제 3 평면부 420: 스플리터
본 발명은 공명형 덕트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다공판과 일정 체적의 공명공간을 형성하여 다공판과 공명공간에서 강한 공명을 야기시켜 소음을 소산시킴으로써 흡음재 없이도 덕트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로써, 주로 냉난방, 공기조화와 환기시스템 및 각종 산업시설의 공기나 가스를 이동하는 관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면은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덕트는 유체의 수송과 함께 각 요소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서, 덕트 입출구 또는 중간에서 소음차단을 위해 소음기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덕트 또는 관로에서의 소음방지를 위해서 흡음형 소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흡음형 소음기에 내장되는 대표적인 흡음재로는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폼을 들 수 있다. 이들 흡음재는 흡음성능은 우수하지만 소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즉, 유리섬유의 경우에는 비산문제 때문에 환경공해차원에서 법적으로 사용을 규제하고 있으며, 내구성과 내습성이 약한 단점도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은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
더욱이,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폼은 중, 고주파수 대역에서 탁월한 흡음성능을 갖기 때문에 각종 회전기계와 연소기 등에서 발생하는 저주파수 소음을 억제시키는 데는 적용의 한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의 흡음재는 단순히 흡음성능 뿐만 아니라 적용분야에 따라 난연성, 비산 억제성 및 내구성과 같은 다양한 요구조건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공판과 공명공간으로 구성된 다공판 시스템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과 일정 체적의 공명공간을 형성하여 공명공간 내부로 입사된 음파의 공명작용에 의해 음파가 소산되도록 함으로서 흡음재 없이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공명공간을 구획하는 각각의 다공판에 직경과 면적대비 개방면적 비율이 서로 다르게 천공하여 구성함으로서 소음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소음의 정도와 크기에 따라 다공판을 복수 열로 형성함과 아울러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공간을 복수층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흡음성능을 더 한층 향상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 수평으로 형성된 다공판의 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공명의 크기를 조절하여 소음의 소산 효율을 증대할 수도 있고 소음이 감소되는 주파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덕트와 연결되어 유동하는 유체와 함께 음향이 전파되도록 양단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측벽을 따라 가설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아울러 양단부가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부와 양측 곡면부 사이에 천공된 평면부에 의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덕트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강판과,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수직 가설되어 내부 공명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 1 격판과, 상기 제 1 격판에 의해 분할된 공명공간을 다시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복수개의 제 2 격판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강판은 평면부에 제 2 격판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명공간이 개방되도록 두께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5mm, 면적대비 개방비율이 3∼30%범위에서 선택적으로 부분 천공되고, 상기 제 2 격판은 상기 강판에 의해 개방된 공간과 밀폐된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두께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4mm와 면적 대비 개방비율 0.1∼5%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강판의 양측 곡면부 사이에 복수개의 평면부를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이격 가설하여 복수 층의 내부 공명공간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 층의 공명공간이 연장된 제 1 격판과 제 2 격판에 의해 서로 다른 체적을 갖는 각각의 공명공간으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판은 각각의 평면부에 형성된 천공이 서로 다른 직경과 면적대비 개방비율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격판은 서로 다른 직경과 면적대비 개방비율을 갖도록 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의해 유로와 개방된 공간의 체적을 제 2 격판에 의해 구획된 밀폐된 공간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몸체 내부 양 측벽 사이에 나란하게 가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벽 양측에 추가 가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는 원통형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가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와 종래기술의 유리섬유를 흡읍재로 사용한 덕트 소음기의 소음레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명형 덕트 소음기(1)는 사각 덕트에 연결되어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하도록 양단에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되는 사각 중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의 양 측벽(13)을 따라 가설되어 내부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유로를 따라 유체와 함께 전파되는 소음을 감쇄 및 소산시키기 위한 스플리터(2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플리터(20)는 상기 몸체(10)의 흡입구(11)와 토출구(12) 쪽에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일정 곡률을 갖는 각각의 곡면부(22, 23)가 형성되고 그 곡면부(22, 23) 사이를 연결하는 평면부(24)에 의해 측벽(13)과 공명공간(Cavity)을 형성하는 강판(21)과, 상기 강판(21)의 평면부(24)에 수직 가설되어 내부 공명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 1 격판(31)과, 상기 제 1 격판(31)에 의해 분할된 공명공간을 다시 일정 비율로 나누는 각각의 제 2 격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판(21)은 제 2 격판(32)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명공간이 유로와 개방되도록 상기 평면부(24)에 다수의 천공(25)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천공(25)은 평면부(24)의 두께가 0.4∼2mm 범위일 때, 직경이 0.1∼5mm, 면적 대비 개방비율이 3∼30%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격판(32)은 상기 강판(21)에 의해 유로와 개방된 공간(이하, 개방공간)과 밀폐된 공간(이하, 밀폐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천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33)은 제 2 격판의 두께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4mm와 면적 대비 개방비율 0.1∼5%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격판(31)과 제 2 격판(32)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각의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공명을 유도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각각의 개방공간은 제 2 격판(32)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밀폐공간 보다 길게 형성함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덕트와 연결된 몸체(10)의 흡입구(11)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와 함께 전파되는 소음이 스플리터(20)의 강판(21) 평면부(24)에 형성된 천공(25)을 통해 개방공간 내부로 입사되고, 상기 개방공간 내부로 입사된 소음은 제 2 격판(32)에 형성된 천공(33)을 통해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으로 왕래하며 공명공간의 체적, 상기 평면부(24)에 형성된 천공 및 제 2 격판(32)에 형성된 천공(33)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강한 공명작용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공명작용은 소음이 강판(21)의 평면부(24)에 형성된 천공(25) 또는 제 2 격판(32)의 천공(33)을 통해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으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강한 비선형 현상을 수반케하여 소음의 음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소산시킴으로써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덕트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21)의 평면부(24)에 형성된 천공(25)과, 제 2 격판(32)에 형성된 천공(33)을 서로 다른 직경 및 전체 면적 대비 개방면적비율을 갖도록 하여 저감시키고자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격판(31)과 제 2 격판(32)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개방공간과 밀폐공간들이 서로 다른 체적을 갖도록 하여 공명공간의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공명 주파수 대역을 조절함으로써 감소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강판(21)의 평면부(24)와 제 2 격판(32)에 형성된 천공(33)과, 제 1 격판(31)과 제 2 격판(32)에 의해 구획된 각 공명공간들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중, 고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격판(32)에 의해 구획되는 개방공간의 체적을 밀폐공간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10) 내부로 전파된 소음이 강판(21)의 평면부(24)에 형성된 천공(25) 통해 공명공간 내부로 보다 잘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의 소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피한다.
공명형 덕트 소음기(100)는 상기 몸체(10) 내부의 양 측벽(13)을 따라 가설되는 스플리터(120)는 강판(121)의 양측 곡면부(122, 123) 사이에 제 1 평면부(124)와 제 2 평면부(126)가 나란하게 가설되어 그 내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명공간이 층을 이루고, 각 층의 공명공간은 다시 제 1 격판(131)과 제 2 격판(132)에 의하여 서로 다른 체적을 갖도록 구획되어진다.
상기 제 1 평면부(124)와 제 2 평면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1 격판(131) 과 제 2 격판(132)에 의해 구획된 하층의 공명공간이 각각의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을 이루도록 부분 천공된다.
상기 제 2 평면부(126)는 유동하는 유체와 함께 전파되는 소음이 각층의 공명공간 내부로 보다 더 잘 입사 되도록 전면을 천공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평면부(124)와 제 2 평면부(126)에 형성되는 천공(125, 127)과, 제 2 격판(132)에 형성되는 각각의 천공(133)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격판과 제 2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의 체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로 전파된 소음은 상기 스플리터(120)의 제 2 평면부(126)에 형성된 다수개의 천공(127)을 통해 상층 공명공간 내부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층 공명공간 내부로 입사된 소음은 제 2 격판(132)과 상측 밀폐공간 사이에서 강한 공명 작용에 의해 음에너지가 소산됨과 아울러 제 1 평면부에 형성된 천공을 통해 하층 개방공간으로 입사된다.
그리고, 하층 개방공간 내부로 입사된 소음은 다시 제 2 격판과 하층 밀폐공간 사이에서 강한 공명 작용에 의해 음에너지가 소산되도록 하여 소음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상기 강판의 제 1, 제 2 평면부(124, 126)에 형성된 천공(125, 127)과, 제 2 격판(132)에 형성되는 천공(133)을 보다 다양한 직경 및 전체 면적대비 개방비율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제 1 격판(131)과 제 2 격판(132)에 의해 구획되는 각층의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의 체적들을 보다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중, 고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대역 소음을 소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스플리터(220)는 강판(221)의 양측 곡면부(222, 223) 사이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가설되는 제 1, 제 2, 제 3 평면부(224, 226, 228)에 의해 세 개의 공명공간이 층을 이루며 형성되고, 각층의 공명공간은 상기 제 1 격판(231)과 제 2 격판(232)에 의해 복수의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제 1, 제 2, 제 3 평면부(224, 226, 228)에 형성된 천공(225, 227, 229)과, 제 2 격판(232)에 형성된 천공(233)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또는 제 3 평면부(226, 228)는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각층의 공명공간으로 소음이 보다 잘 입사되도록 전면을 천공하는 것도 바람하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제 3 평면부(228)에 의해 상측으로 공명공간이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상,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플리터(120, 220) 내부에 형성되는 공명공간(Cavity)이 두개 층이나 세 개 층으로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면, 스플리터(310, 320, 330, 340)가 상기 몸체(10) 내부의 양측벽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양 측벽(13)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중간벽(14) 양측에 추가 가설되어 소음의 저감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10) 내부의 양 측벽(13) 사이에 추가 배치되는 스플리터를 더 많은 열로 증가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더욱이 추가 사용되는 각각의 스플리터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층의 공명공간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체적의 공명공간을 갖도록 조합하여 보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는 원형 덕트에 연결시켜 사용하도록 양단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외주면 상에 공명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몸체(410)의 외주면에 수직 가설되어 내부 공명공간을 나누어 구획하는 제 1 격판(431)과, 상기 제 1 격판(431)에 의해 구획된 공명공간을 다시 나누어 구획하는 제 2 격판(432)으로 이루어진 스플리터(4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제 2 격판(432)에 의해 구획된 일 측 공명공간이 개방되도록 일정구간 복수개의 천공(41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격판(432)은 상기 몸체(410)에 의해 유로와 개방된 개방공간과 밀폐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복수개의 천공(4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10)에 형성된 천공(413)과, 제 2 격판(432)에 형성되는 천공(433)은 각각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상기 강판(21)의 평면부(24)와, 제 2 격판(32)에 형성된 천공(25, 33)과 동일 조건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400)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상기 스플리터(420)가 원통형의 몸체(41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중복됨으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42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층의 공명공간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체적의 공명공간을 갖도록 조합하여 보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덕트 소음기와 종래 유리섬유를 흡음재로 사용한 덕트 소음기와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울 산업대학교 소음진동연구센터(서울 특별시 노원구 공릉2동 소재)에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는 종래 유리섬유를 흡음재로 사용한 덕트 소음기에 비해 1kHz를 기준으로, 1k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는 동일 유사한 소음저감 효과를 갖지만, 1k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는 보다 탁월한 소음저감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공명형 덕트 소음기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과 일정 체적의 공명공간을 형성하여 공명공간 내부로 입사된 소음이 공명작용에 의해 소산되도록 함으로서 흡음재 없이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공명공간을 구획하는 각각의 다공판에 직경과 면적대비 개방비율이 서로 다르게 천공하여 구성함으로서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소음의 정도와 크기에 따라 다공판을 복수 열로 형성함과 아울러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공간을 복수층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소음 저감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 수평으로 형성된 다공판의 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소산되는 주파수 대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 고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덕트와 연결되어 유동하는 유체와 함께 음향이 전파되도록 양단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측벽을 따라 가설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아울러 양단부가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부와 양 측 곡면부 사이에 천공된 평면부에 의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덕트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강판과,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수직 가설되어 내부 공명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 1 격판과, 상기 제 1 격판에 의해 분할된 공명공간을 다시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복수개의 제 2 격판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강판은 평면부에 제 2 격판에 의해 구획된 일 측 공명공간이 개방되도록 두께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5mm, 면적대비 개방비율이 3∼30%범위에서 선택적으로 부분 천공되고, 상기 제 2 격판은 상기 강판에 의해 개방된 공간과 밀폐된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두께 0.4∼2mm 범위일 때, 직경 0.1∼4mm와 면적 대비 개방비율 0.1∼5%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강판의 양측 곡면부 사이에 복수개의 평면부를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이격 가설하여 복수 층의 내부 공명공간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 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 층의 공명공간이 연장된 제 1 격판과 제 2 격판에 의해 서로 다른 체적을 갖는 각각의 공명공간으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각각의 평면부에 형성된 천공이 서로 다른 직경과 면적대비 개방비율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판은 서로 다른 직경과 면적대비 개방비율을 갖도록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평면부에 의해 유로와 개방된 공간의 체적을 제 2 격판에 의해 구획된 밀폐된 공간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7.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몸체 내부 양 측벽 사이에 나란하게 가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벽 양측에 추가 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8.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원통형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형 덕트 소음기
KR1020040030577A 2004-04-30 2004-04-30 공명형 덕트 소음기 KR10055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577A KR100555375B1 (ko) 2004-04-30 2004-04-30 공명형 덕트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577A KR100555375B1 (ko) 2004-04-30 2004-04-30 공명형 덕트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562A KR20050105562A (ko) 2005-11-04
KR100555375B1 true KR100555375B1 (ko) 2006-03-03

Family

ID=3728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577A KR100555375B1 (ko) 2004-04-30 2004-04-30 공명형 덕트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3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58B1 (ko) 2009-06-04 2009-11-06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공명형 스플릿터를 구비한 공조용 덕트 소음기
KR101016601B1 (ko) 2008-12-02 2011-02-22 (주)엔에스브이 음파의 공명과 팽창 현상을 이용한 환기용 소음기
KR101266108B1 (ko) 2011-12-06 2013-05-27 정도산업 주식회사 흡기소음 저감장치
DE102015214709A1 (de) * 2015-07-31 2017-02-02 Mahle International Gmbh Strömungskanal und Belüftungs-, Heizungs- oder Klimaanlage
CN110770511A (zh) * 2017-04-14 2020-02-07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具有吸声式端侧的分流消声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852B1 (ko) * 2006-03-20 2007-03-22 주식회사 엑타 친환경 저소음 환기장치
KR100918700B1 (ko) * 2008-09-10 2009-09-22 유니슨엔지니어링(주) 스플리터 내부에 공기층과 진동판을 구비한 소음기
KR102613018B1 (ko) * 2021-11-24 2023-12-13 한국과학기술원 덕트의 소음을 저감하는 메타라이너
CN114110674B (zh) * 2021-12-24 2024-11-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降噪机构及集成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01B1 (ko) 2008-12-02 2011-02-22 (주)엔에스브이 음파의 공명과 팽창 현상을 이용한 환기용 소음기
KR100924958B1 (ko) 2009-06-04 2009-11-06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공명형 스플릿터를 구비한 공조용 덕트 소음기
KR101266108B1 (ko) 2011-12-06 2013-05-27 정도산업 주식회사 흡기소음 저감장치
DE102015214709A1 (de) * 2015-07-31 2017-02-02 Mahle International Gmbh Strömungskanal und Belüftungs-, Heizungs- oder Klimaanlage
CN110770511A (zh) * 2017-04-14 2020-02-07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具有吸声式端侧的分流消声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562A (ko) 200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791B2 (en) Acoustic dispersing airflow passage
US4287962A (en) Packless silencer
ES2439222T3 (es) Dispositivo de canal de flujo de amortiguación de sonido
JPS6258006A (ja) 排気ガスマフラ
KR100555375B1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JPH0578040B2 (ko)
KR101339421B1 (ko) 선박용 소음기
US11727911B2 (en) Device for reducing airborne and structure-borne sound
KR102182473B1 (ko)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US7350620B2 (en) Compact silencer
KR101009991B1 (ko) 국소반응형 흡음판
KR200378384Y1 (ko) 소음쳄버
KR200380479Y1 (ko) 방음터널
CN209944712U (zh) 消声件、消声器以及通风系统
CN212360340U (zh) 消声结构及通风消声器
JP2008164231A (ja) 消音装置
CN113496692B (zh) 用于吸声体的调频面板及包括其的吸声体和消声器
KR100392426B1 (ko) 덕트용 흡음형 소음 감쇠장치
KR101656171B1 (ko)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KR100924372B1 (ko) 광대역 소음기
EP4286762A1 (en) Muffling device
KR101934802B1 (ko) 엠보형 타공을 포함하는 소음기
JP2011012821A (ja) 消音換気装置
ES2317449T3 (es) Dispositivo de insonorizacion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2018028599A (ja) 消音部材およびこの消音部材を用いた消音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