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45616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616B1
KR100545616B1 KR1020030072832A KR20030072832A KR100545616B1 KR 100545616 B1 KR100545616 B1 KR 100545616B1 KR 1020030072832 A KR1020030072832 A KR 1020030072832A KR 20030072832 A KR20030072832 A KR 20030072832A KR 100545616 B1 KR100545616 B1 KR 10054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female
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532A (ko
Inventor
구로다게이지
아라모또기요시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61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암형측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실에 수용된 소켓 콘택트의 랜스의 계지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암형 또는 수형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이 확실하고,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복수의 전선(41)의 단부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42)가 절연성의 암형측 하우징(2)에 설치된 콘택트 수용실(3)에 횡방향의 자세로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또한 소켓 콘택트(42)의 횡방향에 위치하는 랜스(43)를 계지 보유 지지하는 계지부(4)가 상기 콘택트 수용실(3)의 내측벽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암형측 하우징(2)의 상부벽(14) 또는 하부벽(15)에 랜스 계지부(4)를 노출시키는 확인용 창(16, 17)이 설치되고, 암형측 하우징(2)을 수형측 하우징(22)의 빈 공간부(23)에 끼워 맞추었을 때, 확인용 창(16, 17)이 수형측 하우징(21)에 의해 씌워진다.
소켓 콘택트, 커넥터 수용실, 랜스, 콘택트 수용실, 빈 공간부, 하우징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암형 커넥터(소켓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소켓 하우징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소켓 하우징의 횡단 평면도.
도4는 도2의 4-4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암형 커넥터의 횡단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수형 커넥터(베이스 커넥터)의 정면도.
도8은 도7의 8-8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9는 도7의 수형 커넥터의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암형 및 수형 커넥터를 끼워 맞춤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주요부 횡단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커넥터
2 : 소켓 하우징
3 : 콘택트 수용실
8 : 양측면
9 : 지지 부재
10 : 로크 아암
11 : 계지 돌기부
12 : 압박 조작부
13 : 방호 부재
14 : 상부벽
15 : 하부벽
16, 17 : 확인용 창
21 : 베이스 커넥터
22 : 베이스 하우징
23 : 빈 공간부
23a : 개구단부
24 : 후방벽
26 : 내측벽
27 : 계지 단차부
28 : 핀 콘택트
40 : 프린트 배선판
41 : 전선
42 : 소켓 콘택트
43 : 랜스
본 발명은, 끼워 맞춤 접속하는 암형 및 수형 한 쌍의 전기 커넥터,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선을 접속한 소켓 콘택트를 갖는 소켓 커넥터와,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를 삽입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춤 접속하는 베이스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키가 낮은 형으로 고전압 대응형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 복수의 전선의 단부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가 절연성의 암형측 하우징에 설치된 콘택트 수용실에 횡방향의 자세로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또한 상기 소켓 콘택트의 횡방향에 위치하는 랜스를 계지 보유 지지하는 계지부가 상기 콘택트 수용실의 내측벽면에 돌출 설치되어 키를 낮게 한 암형측 커넥터와, 상기 소켓 콘택트와 끼워 맞춤 접속하는 복수의 수형 콘택트(핀 콘택트)를 수용하는 절연성의 수형측 하우징이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끼워 맞추는 전방면측이 개구된 빈 공간부를 갖고 있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125384호 공보(단락 0015, 도1)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3254188호 공보(제2 페이지 4란, 도7)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암형 커넥터와 같이, 랜스를 횡방향에 위치하여 계지 보유 지지하는 계지부가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실의 내측벽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랜스가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어 있는 것을 외부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없으므로, 상기 랜스의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 보유 지지가 불완전한 경우에는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콘택트 수용실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있다.
한편, 고전압 대응형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특히 통전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상기 소켓 콘택트의 예측하지 못한 탈거는 허용되지 않으며, 상기 암형측 하우징에 대한 상기 랜스의 계지 보유 지지가 확실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소켓 콘택트의 랜스의 상기 계지부에 대한 계지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암형 및 수형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이 확실하고,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전선의 단부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가 절연성의 암형측 하우징에 설치된 콘택트 수용실에 횡방향의 자세로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또한 상기 소켓 콘택트의 횡방향에 위치하는 랜스를 계지 보유 지지하는 계지부가 상기 콘택트 수용실의 내측벽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와, 상기 소켓 콘택트와 끼워 맞춤 접속하는 복수의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는 절연성의 수형측 하우징이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끼워 맞추는 전방면측이 개구된 빈 공간부를 갖고 있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상부벽 또는 하부벽에 상기 랜스 계지부를 노출시키는 확인용 창이 설치되어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상기 빈 공간부에 끼워 맞추었을 때, 상기 확인용 창이 상기 수형측 하우징에 의해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용 창은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상하 양 벽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암형측 커넥터와 상기 수형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크 기구의 적합한 형태로서,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양측면에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를 거쳐서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계지 돌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상기 빈 공간부의 내벽면에 상기 계지 돌기부가 결합하는 계지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상기 빈 공간부에 끼워 맞추었을 때, 상기 로크 아암의 전방측 부분이 상기 빈 공간부에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고, 상기 계지 돌기부가 상기 계지 단차부에 결합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양측면에 상기 로크 아암을 협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호 부재가 돌출 설치되고, 끼워 맞춤 접속시에 상기 방호 부재가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전단부면에 접촉하여 끼워 맞춤 접속 완료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암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1)(도5 및 도6 참조)의 커넥터 하우징, 즉 소켓 하우징(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2)은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윤곽 형상이 편평하고 가로로 긴 직육면체로 성형되고, 양측 단부에 전선(41)의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2)(도6 참조)가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콘택트 수용실(3, 3)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콘택트 수용실(3, 3)이 크게 이격되어 있는 것은 고전압용 커넥터로서 소켓 콘택트(42, 42)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 강구된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각 콘택트 수용실(3)의 내측벽에는 소켓 콘택트(42)의 랜스(43)를 결합하여 소켓 콘택트(42)를 수용실(3) 내에 계지 보유 지지하는 계지 돌기부(4)가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콘택트 수용실(3)의 전방벽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베이스 커넥터(21)의 핀 콘택트(28)를 삽입하는 개구(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수용실(3, 3)에 인접하여 소켓 하우징(2)의 전단부면으로부터 중앙 부위까지 연장되는 2개의 절결부(6, 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6, 6)는 후술하는 상대측 베이스 커넥터(21)의 베이스 하우징(22)에 설치된 격벽(25, 25)과 결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역끼워 맞춤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절반 부분이 폭 넓게 단차부(7)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2)의 양측면(8, 8)에는 상기 하우징(2)의 전단부에 연속 설치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지지 부재(9, 9)를 거쳐서 하우징(2)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경사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10, 10)이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 아암(10)은 소켓 하우징(2)의 높이(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고, 중간 부위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계지 돌기부(11, 1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로크 아암(10)의 후단부에는 로크 아암(10)을 내측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압박 조작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2)의 양측면(8, 8)에는 각 로크 아암(10)의 후방측 부위, 즉 계지 돌기부(11, 11)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보다 후방측의 부위에 있어서 로크 아암(10)을 협지하도록 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방호 부재(13, 1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호 부재(13, 13)는 로크 아암(10)에 다른 전선 그 밖의 이물질이 휘감기거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베이스 커넥터(21)와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2)의 상부벽(14)과 하부벽(15)에는 계지 돌기부(4)를 노출시키는 확인용 창(16 과 17)이 설치되어 있다(도4 참조). 상기 확인용 창(16, 17)은 각각 상부벽(14)의 오목부(18)와 하부벽(15)의 오목부(19)에 개구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선(41)의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2)를 횡방향의 자세로 콘택트 수용실(3)에 삽입하여 수용하였을 때, 횡방향에 위치하는 랜스(43)가 계지 돌기부(4)에 확실하게 계지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용 창(16 또는 17)을 통해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용 창(16, 17)은 상부벽(14) 또는 하부벽(15) 중 어느 한 쪽에만 설치해도 좋다. 오목부(18, 19)는 소켓 하우징(2)의 성형시에 여분의 재료를 삭감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베이스 커넥터(2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커넥터(21)의 커넥터 하우징, 즉 베이스 하우징(22)은 전방면측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소켓 커넥터(1)의 소켓 하우징(2)과 양 로크 아암(10, 10)의 전방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는 빈 공간부(23)를 갖고 있다. 상기 빈 공간부(23)에는 소켓 하우징(2)의 절결부(6)에 결합하는 2개의 격벽(25, 25)이 후방벽(24)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빈 공간부(23)의 양 내측벽(26, 26)의 전단부 부분에 양 로크 아암(10)의 계지 돌기부(11, 11)가 결합하는 계지 단차부(27, 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격벽(25, 25)의 외측 부위에 핀 콘택트(28, 28)가 후방벽(24)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양 핀 콘택트(28, 28)의 접촉 핀부(29, 29)는 빈 공간부(23) 내에 베이스 하우징(2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전단부 개구부(23a)를 향해 돌출되고, 후방벽(24)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드부(30, 30)는 서로 외측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되고, 또한 하방으로 L자형으로 절곡하여 후술하는 프린트 배선판(40)(도10 및 도11 참조)에 대한 납땜부(30a, 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22)의 후방벽(24)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벽(31, 32)과, 상기 연장벽(31, 32) 사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 설치된 복수의 격벽(33)에 의해 양 핀 콘택트(28, 28)의 리드부(30, 30) 사이에 충분한 연면 거리 및 공간 거리를 확보하여 내전압성이 높아지고,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4는 베이스 하우징(22)의 전단부 양측벽에 끼움 장착된 보강 금구이다.
도10 및 도11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켓 커넥터(1)와 베이스 커넥터(21)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소켓 커넥터(1)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41)의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2)를 횡방향의 자세로 소켓 하우징(2)의 콘택트 수용실(3)에 삽입하고, 상기 소켓 콘택트(42)의 횡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랜스(43)를 계지 돌기부(4)에 계지시켜 수용실(3) 내에 보유 지지 고정하여 구성된다. 이 때, 랜스(43)가 계지 돌기부(4)에 정확하게 계지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용 창(16 또는 17)을 통해 눈으로 확인한다. 한편, 베이스 커넥터(21)는 핀 콘택트(28, 28)의 납땜부(30a, 30a)와 보강 금구(34, 34)를 프린트 배선판(40)에 납땜하여 표면 실장된다.
소켓 커넥터(1)의 소켓 하우징(2) 및 양 로크 아암(10, 10)의 전방측 부분을 베이스 하우징(22)의 전단부 개구부(23a)를 통해 빈 공간부(23) 내에 끼움 삽입하면, 소켓 하우징(2)의 절결부(6, 6)가 격벽(25, 25)에 결합하여 안내 유도되고, 핀 콘택트(28, 28)의 접촉 핀부(29, 29)가 개구(5, 5)로부터 콘택트 수용실(3, 3) 내로 진입하여 소켓 콘택트(42, 42)에 끼워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양 로크 아암(10, 10)은 내측, 즉 하우징(2)의 양측면(8, 8)측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22)과 양 로크 아암(10, 10)이 정확한 끼워 맞춤 접속 위치까지 끼움 삽입되면, 양 로크 아암(10, 10)의 계지 돌기부(11, 11)가 전단부 개구부(23a)의 측모서리 부분을 타고 넘어 빈 공간부(23) 내로 진입하는 동시에, 로크 아암(10, 10)의 탄성 복원력으로 계지 돌기부(11, 11)가 베이스 하우징(22)의 계지부(27, 27)에 결합하여 베이스 하우징(22)과 소켓 하우징(2)이 로크된다. 동시에 소켓 하우징(2)의 방호 부재(13, 13)가 베이스 하우징(22)의 전단부면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1, 21)의 끼움 맞춤 접속 상태가 눈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양 커넥터(1, 21)가 끼워 맞춤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는 양 로크 아암(10, 10)의 계지 돌기부(11, 11)가 베이스 하우징(22)의 빈 공간부(23) 내에서 계지부(27, 27)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외력이 작용하여 계지 돌기부(11, 11)가 계지부(27, 27)로부터 이탈하여 로크가 해제될 위험성은 매우 적어진다. 또한, 각 로크 아암(10)을 협지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양 방호 부재(13, 13)에 의해 로크 아암(10)에 예측하지 못한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소켓 커넥터(1)를 베이스 커넥터(2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양 로크 아암(10, 10)의 압박 조작부(12, 12)를 손가락으로 협지하여 양측면(8, 8)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계지 돌기부(11, 11)를 계지부(27, 27)로부터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한 후, 양 로크 아암(10, 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소켓 하우징(2)을 베이스 하우징(22)으로부터 인출한다.
또한, 실수로 소켓 커넥터(1)의 소켓 하우징(2)이 상하 역방향의 자세로 베이스 커넥터(21)의 빈 공간부(23)에 끼움 삽입되면, 절결부(6, 6)의 단차부(7, 7)가 격벽(25, 25)의 전단부면에 닿아서 소켓 하우징(2)의 진입이 저지되고, 역끼워 맞춤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측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실에 횡방향의 자세로 수용한 소켓 콘택트의 랜스가 상기 콘택트 수용실의 내측벽면에 돌출 설치된 계지부에 정확하게 계지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확인용 창을 통해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소켓 콘택트의 예측하지 못한 탈거를 방지하여 암형 및 수형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을 확실하게 이루고,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관한 로크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암형 및 수형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을 한층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복수의 전선의 단부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가 절연성의 암형측 하우징에 설치된 콘택트 수용실에 횡방향의 자세로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또한 상기 소켓 콘택트의 횡방향에 위치하는 랜스를 계지 보유 지지하는 계지부가 상기 콘택트 수용실의 내측벽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와,
    상기 소켓 콘택트와 끼워 맞춤 접속하는 복수의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는 절연성 수형측 하우징이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끼워 맞추는 전방면측이 개구된 빈 공간부를 갖고 있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상부벽 또는 하부벽에 상기 랜스 계지부를 노출시키는 확인용 창이 설치되어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상기 빈 공간부에 끼워 맞추었을 때, 상기 확인용 창이 상기 수형측 하우징에 의해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상하 양벽에 상기 랜스 계지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확인용 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양측면에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를 거쳐서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계지 돌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상기 빈 공간부의 내벽면에 상기 계지 돌기부가 결합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암형측 하우징을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상기 빈 공간부에 끼워 맞추었을 때, 상기 로크 아암의 전방측 부분이 상기 빈 공간부에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고, 상기 계지 돌기부가 상기 계지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측 하우징의 양측면에 상기 로크 아암을 협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호 부재가 돌출 설치되고, 끼워 맞춤 접속시에 상기 방호 부재가 상기 수형측 하우징의 전단부면에 접촉하여 끼워 맞춤 접속 완료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30072832A 2002-10-21 2003-10-20 전기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45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5307A JP3878902B2 (ja) 2002-10-21 2002-10-21 電気コネクタ
JPJP-P-2002-00305307 2002-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32A KR20040034532A (ko) 2004-04-28
KR100545616B1 true KR100545616B1 (ko) 2006-01-24

Family

ID=3232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5616B1 (ko) 2002-10-21 2003-10-2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02104A1 (ko)
JP (1) JP3878902B2 (ko)
KR (1) KR100545616B1 (ko)
CN (1) CN1265506C (ko)
TW (1) TWI2379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51B1 (ko) 2007-06-29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9048A (ja) 2006-06-08 2007-12-20 Jst Mfg Co Ltd コネクタ
KR100855200B1 (ko) * 2006-12-14 2008-09-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공간 절약형 커넥터 조립체
JP5398239B2 (ja) * 2008-11-28 2014-01-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遊技機用コネクタ
DE102009055014A1 (de) * 2009-12-18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Steckverbindung mit erhöhter Schwingfestigkeit
JP5699029B2 (ja) 2011-04-28 2015-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51892B2 (en) * 2012-03-14 2014-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isual mating detector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2610944B (zh) * 2012-04-06 2015-07-22 昆山道润电子有限公司 公针的加工装置与制造方法
JP6309780B2 (ja) * 2013-03-29 2018-04-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のソケットハウジング
JP6583643B2 (ja) * 2017-04-27 2019-10-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TWM575201U (zh) * 2018-11-07 2019-03-01 貝爾威勒電子股份有限公司 Plug connector combination and cable type terminal set thereof
CN113437580B (zh) * 2021-06-17 2022-09-30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紧导轨分离浮动电连接器
TWI852129B (zh) * 2022-10-14 2024-08-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USD1079640S1 (en) 2023-08-30 2025-06-17 Molex, Llc Connector
USD1079641S1 (en) 2023-08-30 2025-06-17 Molex, Ll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47083B (ko) * 1968-06-25 1972-07-24 O Thorsman
US3573716A (en) * 1968-12-26 1971-04-06 Amp Inc Connector housing having means for mounting in a panel opening
US3654592A (en) * 1970-09-21 1972-04-04 Berg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block
US4072394A (en) * 1976-03-01 1978-02-07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US4695110A (en) * 1985-10-21 1987-09-2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4975076A (en) * 1990-03-01 1990-12-04 Molex Incorporated Contact wiping electrical connector
US5199897A (en) * 1990-03-15 1993-04-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ctrical connectors
JPH06325837A (ja) * 1993-05-10 1994-11-25 Kel Corp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3535952B2 (ja) * 1997-05-08 2004-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パネルコネクタ
FR2770689B1 (fr) * 1997-11-03 1999-12-10 Pouyet Sa Dispositif de connexion de lignes par contacts a deplacement d'isolant
JP2940551B1 (ja) * 1998-09-21 1999-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機器のコネクタ収納蓋の開閉構造
TW383917U (en) * 1998-10-17 2000-03-01 Hon Hai Prec Ind Co Ltd Slot connector
JP3254188B2 (ja) * 1998-11-30 2002-02-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US6315590B1 (en) * 2000-04-03 2001-11-13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US6431922B1 (en) * 2001-06-22 2002-08-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bearing high volt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51B1 (ko) 2007-06-29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39916A (ja) 2004-05-13
TW200406957A (en) 2004-05-01
JP3878902B2 (ja) 2007-02-07
CN1497795A (zh) 2004-05-19
TWI237927B (en) 2005-08-11
US20040102104A1 (en) 2004-05-27
KR20040034532A (ko) 2004-04-28
CN1265506C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616B1 (ko) 전기 커넥터
JP2622938B2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JP2907373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結合検知構造
CN109616829B (zh) 连接器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JP2007280936A (ja) 電気コネクタ
US6942504B2 (en) Connector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JP4223771B2 (ja) 逆嵌合防止コネクタ
US80211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rge locking force
JP3311228B2 (ja)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
JP2004095346A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KR100604286B1 (ko)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H09306582A (ja) コネクタ
EP0871253B1 (en) Lock detection connector
US7214090B2 (en) Connector device
JP3094009B2 (ja)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US7033230B2 (en) Connector
CN114762196B (zh) 连接器
JP3417337B2 (ja) 電気接続箱
JP3705407B2 (ja) 慣性ロックコネクタ
JPH09289059A (ja) コネクタ
CN114747093B (zh) 连接器
JP3275281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935822A (ja) 短絡機構付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