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35111B1 -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111B1
KR100535111B1 KR10-2003-0086731A KR20030086731A KR100535111B1 KR 100535111 B1 KR100535111 B1 KR 100535111B1 KR 20030086731 A KR20030086731 A KR 20030086731A KR 100535111 B1 KR100535111 B1 KR 10053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tabilizer bar
stabilizer
rods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119A (ko
Inventor
김선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1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1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triangular or Y-shape, e.g. wishb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토그래프를 사용하여 휠의 거동을 스태빌라이저바아의 토션부에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바아의 중량 및 가격을 증대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인 스태빌라이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stabilizer apparatus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스펜션아암의 상하방향 거동을 스태빌라이저바아의 토션부에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바아는 중앙의 토션부가 차체에 지지되고 양단은 아암이 형성되어 양쪽 휠의 상하방향 거동에 따라 상기 토션부를 비틀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아암의 단부는 서스펜션아암 또는 너클에 스탭링크로 연결되어, 휠의 상하방향 거동을 상기 아암을 통해 토션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휠의 상하방향 거동에 대하여 효율적인 스태빌라이저의 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휠의 상하방향 거동량이 상기 토션부까지 잘 전달되어야, 휠의 거동량에 상응하는 적절한 토션부의 탄성 지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휠의 거동량을 최대한 토션부에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탭링크를 가급적 너클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공간 배치상의 문제 때문에 용이하지 않아서, 주로 서스펜션아암(로워아암 등)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서스펜션아암의 차체연결부로부터 너클연결부까지의 거리에 대한 상기 서스펜션아암의 차체연결부로부터 스탭링크의 연결부까지의 거리의 비를 “레버비”라고 하며, 상기 레버비는 1이 되어야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공간 배치상의 문제 등에 의해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레버비가 나쁜 경우에 스태빌라이저의 충분한 토션 스프링력을 얻기 위해서는 스태빌라이저바의 직경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가격과 중량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휠의 거동을 스태빌라이저바아의 토션부에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바아의 중량 및 가격을 증대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인 스태빌라이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양단에 아암이 구비된 스태빌라이저바아와; 차체와 너클을 연결하는 서스펜션아암과; 2개의 긴로드와 2개의 짧은로드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의 일측모서리가 고정점으로서 상기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상기 긴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삼각형을 이루는 2개의 입력로드가 만나는 점이 입력점으로서 상기 서스펜션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상기 짧은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형삼각형과 닮음꼴로 이루어진 대형삼각형을 이루는 2개의 출력로드가 만나는 점이 출력점으로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아암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팬터그래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에서 관측한 도면이다.
스태빌라이저바아(1)는 종래와 같이 차체(11)에 고정되고, 그 토션부(3)의 양단에는 아암(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너클(7)은 서스펜션아암(9)에 의해 상기 차체(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11)와 스태빌라이저바아(1) 및 서스펜션아암(9) 사이에는 차체(11)에 고정점(d)이 연결되고 서스펜션아암(9)에 입력점(e)이 연결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아(1)의 아암(5)에 출력점(f)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팬터그래프(pantograph: 1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팬터그래프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2개의 긴로드(15)와 2개의 짧은로드(17)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고정점(d)이 되고; 상기 고정점(d)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상기 긴로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삼각형을 이루는 2개의 입력로드(19)가 만나는 점이 상기 입력점(e)이 되며; 상기 고정점(d)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상기 짧은로드(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형삼각형과 닮음꼴로 이루어진 대형삼각형을 이루는 2개의 출력로드(21)가 만나는 점이 상기 출력점(f)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팬터그래프(14)는 a,b,c,d점은 평행사변형을 이루며, 삼각형 a,b,e와 삼각형 c,f,b는 서로 닮은꼴이다. 상기 출력점(f)은 상기 입력점(e)이 움직이는 것과 동시에 입력점(e)의 움직임을 증폭하여 움직인다. 이때의 증폭비는 팬토그래프의 “a,e점 사이의 길이:a,b점 사이의 길이”이다.
따라서, 상기 팬토그래프의 사양에 따라서, 입력점(e)에 대한 출력점(f) 궤적의 증폭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상기 팬터그래프(14)가 종래의 스탭링크를 대체한 개념으로서, 스탭링크는 단순히 스탭링크가 서스펜션아암(9)에 장착되는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레버비에 의해 휠의 상하방향 거동은 스태빌라이저바아(1)의 아암에 전달하였으나, 본 발명의 팬토그래프는 휠의 상하운동에 따른 서스펜션아암(9)의 상하 회동상태를 증폭하여 스태빌라이저바아(1)의 아암에 전달함으로써, 휠의 상하 거동에 대해 적절한 토션 지지력을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아(1)의 토션부(3)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휠의 상하방향 거동을 적절히 증폭하여 스태빌라이저바아(1)에 제공하므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아(1)는 충분한 효율을 제공할 수 있어서, 동일한 작동조건하에서 스태빌라이저바아(1)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팬토그래프를 사용하여 휠의 거동을 스태빌라이저바아의 토션부에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바아의 중량 및 가격을 증대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인 스태빌라이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팬토그래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스태빌라이저바아 3; 토션부
5; 아암 7; 너클
9; 서스펜션아암 11; 차체
14; 팬터그래프
15; 긴로드 17; 짧은로드
19; 입력로드 21; 출력로드

Claims (2)

  1. 양단에 아암이 구비된 스태빌라이저바아와;
    차체와 너클을 연결하는 서스펜션아암과;
    2개의 긴로드와 2개의 짧은로드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의 일측모서리가 고정점으로서 상기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상기 긴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삼각형을 이루는 2개의 입력로드가 만나는 점이 입력점으로서 상기 서스펜션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상기 짧은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형삼각형과 닮음꼴로 이루어진 대형삼각형을 이루는 2개의 출력로드가 만나는 점이 출력점으로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아암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팬터그래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2. 삭제
KR10-2003-0086731A 2003-12-02 2003-12-02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731A KR100535111B1 (ko) 2003-12-02 2003-12-02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731A KR100535111B1 (ko) 2003-12-02 2003-12-02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119A KR20050053119A (ko) 2005-06-08
KR100535111B1 true KR100535111B1 (ko) 2005-12-07

Family

ID=3724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7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111B1 (ko) 2003-12-02 2003-12-02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20958B2 (en) 2022-09-27 2025-02-11 Hyundai Motor Company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20958B2 (en) 2022-09-27 2025-02-11 Hyundai Motor Company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119A (ko)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22438A1 (en) Link type front suspension structure
DE60102552D1 (de) Angelenkte Achsaufhängung für Industriefahrzeuge
EP2196386A3 (en) Motorcycle-type vehicle
JP4031917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CN101516656A (zh) 带有附加作功连杆的组合拉杆轴
BR0110870A (pt) Suspensões de caminhão incorporando molas em folhas assimétricas
EP1245473A3 (en)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EP0872367A3 (en) Vehicle rear suspension apparatus
ATE515648T1 (de) Feineinstellbare buchse
JPS63212181A (ja) 自動車の操舵可能な車輪特に後輪のための車輪懸架装置
US6834873B1 (en) Axle suspension system
EP1190875A3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0535111B1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ATE266536T1 (de) Antirollstabilisierungssystem für eine luftgefederte aufhängung
ES2166609T3 (es) Sistema de suspension.
CN103253301A (zh) 一种预压缩弹簧式后轮随动转向机构
EP1108569A3 (en) Suspended rigid axle
JP6348766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CN207029290U (zh) 一种新型汽车转向节
US11001115B1 (en) Traction bar
JP200015370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40013887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622475B1 (ko) 차량의 서스펜션 구조
JPH07125516A (ja) ラテラルリンク付リヤサスペンション
RU81125U1 (ru) Подвеска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