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365B1 -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0365B1 KR100520365B1 KR10-2003-0079466A KR20030079466A KR100520365B1 KR 100520365 B1 KR100520365 B1 KR 100520365B1 KR 20030079466 A KR20030079466 A KR 20030079466A KR 100520365 B1 KR100520365 B1 KR 100520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attached
- towing
- pipe nut
- back bea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ounted directly to the chassis of the towing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견인할 때 견인줄을 연결하기 위한 견인 고정구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견인에 필요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서포트 브래킷(11)과, 그 서포트 브래킷(11)의 전면에 부착되는 스테이 브래킷(12)과, 상기 스테이 브래킷(12)의 내부에 부착되는 후방보강 브래킷(13)과,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전면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부착되는 범퍼 백 빔(16)과, 상기 범퍼 백 빔(16)의 내부에 내장되고 후단은 후방보강 브래킷(13)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15)와, 상기 범퍼 백 빔(16)의 전면에 부착되어 파이프 너트(15)의 전단을 지지하는 전방보강 브래킷(14)과, 상기 파이프 너트(15)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부(17a)가 형성된 견인 고리(1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견인할 때 견인줄을 연결하기 위한 견인 고정구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견인에 필요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후면에는 견인줄을 연결할 수 있는 견인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견인 고정구는 고급화 차량에서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착탈식 고정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착탈식 고정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맴버(1)의 내부에 파이프 너트(2)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맴버(1)의 전면에는 케리지 마운팅 브래킷(3)을 매개로 범퍼 백 빔(4)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범퍼 백 빔(4)의 전면에는 범퍼(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범퍼(5) 및 범퍼 백 빔(4)에는 파이프 너트(2)의 중심과 일치되는 위치에 통공(4a,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을 정상운행 할 때에는 견인 고리(6)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운행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차량을 견인 할 때에는 별도로 구비된 견인 고리(6)의 나사부(6a)를 통공(4a,5a)으로 삽입한 후 상기 견인 고리(6)를 회전시켜 그 견인 고리(6)의 나사부(6a)와 파이프 너트(2)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견인 고리(6)에 별도의 견인줄(도면 미도시)을 연결한 후 견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견인 고리(6)와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 너트(2)가 프론트 사이드 맴버(1)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견인줄이 연결되는 견인 고리(6)의 단부는 범퍼(5)의 외부로 노출되고 파이프 너트(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6a)는 프론트 사이드 맴버(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견인 고리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견인 고리(6)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차량을 견인시 견인 고리(6)에 작용하는 종 방향은 물론 횡 방향의 하중에 의해서 견인 고리(6)에 변형이 발생되어 범퍼 백 빔(4)은 물론 범퍼(5)가 손상되어 차량의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과 함께 차량의 사용수명을 단축시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견인 고리와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 너트를 범퍼 백 빔의 내부에 내장하여 견인 고리를 짧게 형성함과 함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면에 부착되는 서포트 브래킷과, 그 서포트 브래킷의 전면에 부착되는 스테이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 브래킷의 내부에 부착되는 후방보강 브래킷과,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면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부착되는 범퍼 백 빔과, 상기 범퍼 백 빔의 내부에 내장되고 후단은 후방보강 브래킷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범퍼 백 빔의 전면에 부착되어 파이프 너트의 전단을 지지하는 전방보강 브래킷과, 상기 파이프 너트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견인고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전면에 판 형상의 서포트 브래킷(11)이 부착되어 있고, 그 서포트 브래킷(11)의 전면에는 스테이 브래킷(12)이 부착되어 있되, 상기 스테이 브래킷(12)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둘레면을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 브래킷(12)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후방보강 브래킷(13)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전면에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범퍼 백 빔(16)이 설치되어 있고, 그 범퍼 백 빔(16)의 내부에는 후단은 후방보강 브래킷(13)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15)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범퍼 백 빔(16)의 전면에는 파이프 너트(15)의 전단을 지지하는 전방보강 브래킷(14)이 부착되어 있되, 상기 파이프 너트(15)의 전단은 전방보강 브래킷(14)에 용접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너트(15)의 전단부는 범퍼 백 빔(16)의 내부에 내장시킬 수도 있지만,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단부가 범퍼 백 빔(1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15)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는 견인 고리(17)의 일단에는 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을 정상상태에서 운행 할 때에는 견인 고리(17)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범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기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을 견인하고자 할 때에는 견인 고리(17)의 나사부(17a)가 파이프 너트(15)와 중심이 일치되도록 범퍼 백 빔(16)의 내부로 끼운 후 상기 견인 고리(17)를 회전시키면, 그 견인 고리(17)의 나사부(17a)는 파이프 너트(15)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견인 고리(17)에 견인줄(도면 미도시)을 연결한 후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견인 고리(17)에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지만 상기 견인 고리(17)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견인 고리(17)와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 너트(15)의 전단 및 후단이 용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보강되어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견인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견인 고리를 짧게 형성하고도 강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견인시 발생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을 최소화시키게 되므로 견인 고리에 의한 차량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견인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견인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엔드 모듈 11 : 서포트 브래킷
12 : 스테이 브래킷 13 : 후방보강 브래킷
14 : 전방보강 브래킷 15 : 파이프 너트
16 : 범퍼 백 빔 17 : 견인 고리
17a : 나사부
Claims (2)
-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서포트 브래킷(11)과, 그 서포트 브래킷(11)의 전면에 부착되는 스테이 브래킷(12)과, 상기 스테이 브래킷(12)의 내부에 부착되는 후방보강 브래킷(13)과,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전면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부착되는 범퍼 백 빔(16)과, 상기 범퍼 백 빔(16)의 내부에 내장되고 후단은 후방보강 브래킷(13)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15)와, 상기 범퍼 백 빔(16)의 전면에 부착되어 파이프 너트(15)의 전단을 지지하는 전방보강 브래킷(14)과, 상기 파이프 너트(15)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부(17a)가 형성된 견인 고리(1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15)의 전단부는 범퍼 백 빔(1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은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9466A KR100520365B1 (ko) | 2003-11-11 | 2003-11-11 |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9466A KR100520365B1 (ko) | 2003-11-11 | 2003-11-11 |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5404A KR20050045404A (ko) | 2005-05-17 |
KR100520365B1 true KR100520365B1 (ko) | 2005-10-13 |
Family
ID=3724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9466A KR100520365B1 (ko) | 2003-11-11 | 2003-11-11 |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03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1092B1 (ko) * | 2004-08-31 | 2010-0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토우잉후크 장착구조 |
-
2003
- 2003-11-11 KR KR10-2003-0079466A patent/KR1005203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5404A (ko) | 2005-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60374B2 (ja) | 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 |
US6902183B2 (en) | Tow hook hitch assembly and method | |
US8079611B2 (en) | Trailer hitch tow bar caddy | |
US7258359B2 (en) | Trailer hitch assembly | |
US20100181786A1 (en) | Front Bumper Arrangement for a Truck For Single or Dual Tow Points | |
KR20140053698A (ko) | 차량용 토잉 후크 어셈블리 | |
US11932066B2 (en) | Safety chain engaging device for gooseneck hitch | |
KR101615882B1 (ko) | 트레일러용 견인 장치 | |
JP4162043B2 (ja) | 車両用牽引装置 | |
CA2866442A1 (en) | Safety chain tie down apparatus | |
KR100520365B1 (ko) |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
KR20110072899A (ko) | 차량용 토잉 훅 조립체 | |
KR102285576B1 (ko) | 차량용 트레일러 견인수단의 체결장치 | |
KR102547217B1 (ko) | 차량용 견인수단의 연결장치 | |
JP2004299636A (ja) | 自動車用着脱式牽引フック取付構造 | |
KR20220111876A (ko) | 소음방지 구조를 갖춘 차량용 트레일러 견인구 연결장치 | |
KR100395122B1 (ko) | 차량의 리어 견인 후크구조 | |
KR200147154Y1 (ko) | 자동차의 래싱훅 설치구조 | |
CN214564405U (zh) | 一种汽车后拖车结构 | |
CN201254058Y (zh) | 新型可拆卸式前拖钩 | |
KR20020032947A (ko) | 자동차의 견인후크 | |
JPS6340322Y2 (ko) | ||
KR20060056052A (ko) | 차량의 토잉훅 | |
RU25711U1 (ru) | Тягово-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0428449B1 (ko) | 리어 트레일링 암 고정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