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29818B1 - 모발 화장품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818B1
KR100529818B1 KR10-2002-0049352A KR20020049352A KR100529818B1 KR 100529818 B1 KR100529818 B1 KR 100529818B1 KR 20020049352 A KR20020049352 A KR 20020049352A KR 100529818 B1 KR100529818 B1 KR 10052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hair
group
arginine
sal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366A (ko
Inventor
유미오카료스케
요코타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0793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298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8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이 우수한 모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A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B를 조합하여 모발 화장품에 배합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R1 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R3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A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 그룹 또는 알케닐렌 그룹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다.

Description

모발 화장품{Hair cosmetic}
본 발명은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이 우수한 모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모발 화장품을 구성하는 원료는 계면활성제, 유성(油性) 원료, 보습제, 고분자 화합물, 방부·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색제, 향료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종래부터 모발 화장품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 4급 암모늄염이 범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4급 암모늄염은 모발에 대한 흡착 중심인 하전(荷電) 질소원자가 장쇄 또는 단쇄의 알킬 그룹이나 알케닐 그룹으로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 장애에 의해 모발에 대한 흡착성이 약하고, 또한 수용성이 높기 때문에, 헹굼시에 유출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 때문에, 4급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모발 화장품은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의 관점에서는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최근에는 범용의 4급 암모늄염 대신에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이 모발 화장품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하는 모발 화장품은 4급 암모늄염과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흡착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유연성이나 보습성, 양호한 마무리감이 얻어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2-24361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4922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49222호 공보).
이와 같이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를 모발 화장품에 사용하는 것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를 모발 화장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4급 암모늄염과 비교하여 헹굼시에 있어서의 매끄러움은 향상되지만,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는 통상 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점에서, 역시 수용성이 높고, 헹굼시에 유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있어서는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이 우수한 모발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의 관점에서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모발 화장품에 있어서,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이 우수한 모발 화장품이 수득되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적어도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A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R1 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R3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A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 그룹 또는 알케닐렌 그룹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 필수 성분으로서 배합되는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성분 B)은 화장품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4급 암모늄염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28348호 공보),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성분 A)의 조합을 검토한 예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A와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B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A와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B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 대하여, [I]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성분 A), [II]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 및 [III] 모발 화장품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I]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을 나타낸다.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R1 및 R2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수소원자이다.
화학식 1에 있어서, 아실 그룹(R3CO)으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그룹을 들 수 있다. 아실 그룹(R3CO)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리놀산, 리놀렌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2-에틸헥산산, 야자유 지방산, 우지(牛脂) 유지 지방산, 경화 우지유 지방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아실 그룹으로서는 카프로일 그룹, 라우로일 그룹, 미리스틸 그룹, 팔미토일 그룹, 스테아로일 그룹, 베헤노일 그룹, 코코일 그룹, 경화 우지유 지방산 아실 그룹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우로일 그룹, 미리스틸 그룹, 팔미토일 그룹, 스테아로일 그룹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A는 탄소수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분지쇄 또는 직쇄의 알킬렌 그룹 또는 알케닐렌 그룹이다. A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그룹, 프로필렌 그룹, 부틸렌 그룹, 펜틸렌 그룹, 헥실렌 그룹을 들 수 있다.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는 통상 염의 형태로 모발 화장품에 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 염, 글리콜레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산성 아미노산 염, 피롤리돈카복실레이트 등의 유기산 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3129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모노아미드아민을 가온 감압 처리하거나, 가온 질소 버블링 처리하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부재 대기하에서 보존하고, 이어서 시아나미드,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등으로 구아니딜화한 다음, 추가로 혼재하는 불순물을 결정화 등의 수단으로 제거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를 지방산 할라이드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 가능하다.
화학식 3에 있어서,
R1 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A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 그룹 또는 알케닐렌 그룹이다.
또한,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의 제조시에 있어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에 아르기닌을 미리 혼합하고, 당해 혼합물에 지방산 할라이드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르기닌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또 하나의 필수 성분인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의 원료이고, 이러한 경우, 반응 생성물로서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성분 A)와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을 동시에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수득한 반응 생성물을 그대로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 이용할 수 있다.
[II] Nα-아실아르기닌
이어서,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Nα-아실아르기닌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화학식 2에 있어서,
R4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Nα-아실아르기닌은 아르기닌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이다. Nα-아실아르기닌은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성분 A)과 같이 구아니딘 그룹을 갖고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화장품 조성물, 윤활제, 대전 방지제, 표면처리제 등의 각종 용도로 이용된다.
Nα-아실아르기닌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2834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장품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4급 암모늄염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검토되어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와의 조합을 검토한 예는 공지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Nα-아실아르기닌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아실 그룹을 갖고, 구체적인 예로서는 Nα-아세틸아르기닌, Nα-프로피오닐아르기닌, Nα-옥타노일아르기닌, Nα-데카노일아르기닌,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미리스토일아르기닌, Nα-팔미토일아르기닌, Nα-스테아로일아르기닌, Nα-베헤노일아르기닌, Nα-야자유 지방산 아실아르기닌, Nα-팜핵유 지방산 아실아르기닌, Nα-우지 지방산 아실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미리스토일아르기닌, Nα-팔미토일아르기닌, Nα-스테아로일아르기닌이 감촉면에서 바람직하고,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미리스토일아르기닌, Nα-팔미토일아르기닌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Nα-아실아르기닌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48-237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의 하나인 아르기닌과 지방산 할라이드를 알칼리 조건하에서 친수성 유기 용매와 동시에 반응시키거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49-15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르기닌과 지방산의 염을 1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가열 탈수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2852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르기닌과 지방산 할라이드를 저급 알콜 및/또는 다가 알콜과 물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알칼리 존재하(pH 10 내지 13)에서 반응시킨 후, 산 또는 염기성 수용액으로 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pH를 5 내지 7로 조정함으로써 Nα-아실아르기닌의 결정을 수득할 수 있다. Nα-아실아르기닌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아르기닌은 D체, L체, DL체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Nα-아실아르기닌은 염의 형태로 모발 화장품에 배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 염, 글리콜레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산성 아미노산 염, 피롤리돈카복실레이트 등의 유기산 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III] 모발 화장품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는 위에서 설명한 성분 A 및 성분 B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사용되는 각종 첨가물을 임의의 성분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예로서는 계면활성제, 습윤제, 실리콘 화합물, 고분자 물질(고분자 화합물), 알콜류, 자외선 흡수제, 색소, 안료, 비타민, 산화방지제, 금속 이온 봉쇄제, 방부제, 살균제, pH 조정제, 펄화제, 핵산, 효소, 천연 추출물 등의 화장품 원료 기준,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의약부 원료 규격, 일본 약국방, 식품첨가물 공정서 기재의 원료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1.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킬 설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카복실레이트, 알킬페닐 에테르 설포네이트, 알킬설포석신산 및 이의 유도체의 염, N-아실사르코신 및 이의 유도체의 염, N-아실-N-메틸-β-알라닌염,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고급 지방산염, N-아실글리신염, N-아실알라닌염 등,
2. 양쪽성 계면활성제
카보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설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아미드설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포스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레시틴 유도체 등,
3. 비이온 계면활성제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및 이의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밀랍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알칸올아미드, 슈가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피로글루탐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피로글루탐산 에스테르 등,
4. 양이온 계면활성제
4급 암모늄염, 아미드아민류, N-아실아르기닌 에스테르염, N-[3-알킬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L-아르기닌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암모늄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아르기닌염, 리신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각종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습윤제의 예로서는
1. 다가 알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데카글리세린, 소르비톨, 에틸렌 글리콜, 에리스리톨 등,
2. 천연 보습 인자(NMF)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세린, 스레오닌, 아르기닌,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류신, 이소류신, 발린 등의 아미노산류, 피롤리돈카복실산 또는 피롤리돈카복실레이트, 락트산 또는 락테이트, 우레아, 글루코사민, 크레아틴, 시트레이트 등,
3. 당류, 다당류 및 다당류 유도체
수크로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천연 올리고당, 히알루론산 및 나트륨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등,
4. 폴리아미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아스파라긴산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염, 기타 아미노산 유도체, 대두 단백질 분해물, 데옥시리보핵산, 글리신 베타인, 키틴, 키토산, 탈아세틸화 키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화합물의 예로서는
1. 에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 폴리실록산, 고중합 메틸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
2. 아미노 변성 실리콘
스테아르옥시 메틸 폴리실록산, 스테아르옥시 트리메틸실란, 메틸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옥타메틸 폴리실록산, 데카메틸 폴리실록산, 사이클릭 실리콘[예: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하이드로테트라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 사이클로폴리실록산 및 도데카메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트리메틸 실록시 규산,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실록산-디메틸 실록산 공중합체 등,
3. 기타
실란올 변성 폴리실록산, 알콕시 변성 폴리실록산, 지방산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에폭시 변성 폴리실록산, 알콕시 변성 폴리실록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디메틸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화(乳化)시킨 실리콘 에멀젼 등도 사용가능하다.
고분자 물질(고분자 화합물)의 예로서는
1. 식물계 다당류 고분자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퀸스 시드(queens seed),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펙틴, 만난, 전분, 플루란 등,
2. 미생물에서 유도된 다당류계 고분자
크산탄 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카드란, 히알루론산 등,
3. 동물계의 단백질류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콜라겐 등,
4. 셀룰로스 유도체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카복실메틸 셀룰로스 및 이의 염, 메틸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등,
5. 전분 유도체
가용성 전분, 카복실 전분, 메틸 전분 등,
6. 알긴산 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에스테르, 알기네이트 등,
7. 비닐계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부티랄,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피롤리돈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비닐 메틸 에테르-에틸 말레에이트 공중합체, 비닐 메틸 에테르-부틸 말레에이트 공중합체, 크로톤산-비닐 아세테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 메톡시에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나트륨 말레에이트 공중합체, N-메틸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디에틸 설페이트, 비닐이미다졸륨 메토클로라이드-비닐 피롤리돈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스티렌-비닐 피롤리돈 공중합체, 에이코센-비닐 피롤리돈 공중합체, 카복시비닐 중합체 등,
8. (메타)아크릴산계 유도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및 이의 염(나트륨, 칼륨, 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 리신 등),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 아미드-스티렌 공중합체,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옥틸 아크릴레이트 아미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염, 옥틸 아크릴레이트 아미드-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알킬 아크릴레이트-알킬 메타크레이트-디아세톤-아세톤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디메틸 클로라이드 디아릴 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 메타크릴로일 에틸 디메틸베타인-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에틸 트리메틸암모늄-메톡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 에틸 디메틸 베타인-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에틸 트리메틸 암모늄-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9. 양이온화 셀룰로스
O-[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클로라이드, O-[2-하이드록시-3-(라우릴디메틸암모니오)프로필]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클로라이드 등,
10. 양이온화 구아 검
O-[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구아 검 클로라이드 등,
11. 기타
카복시메틸덱스트란 및 이의 염, 에폭시 수지 이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비스페놀 에폭시 수지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피클로로히드린-야자유 알킬아민-디프로필렌트리아민 축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알콜의 예로서는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미리스틸 알콜 등의 고급 알콜,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등의 저급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메톡시 신남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우로칸산 및 이의 유도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안트라닐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색소의 예로서는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주황색 203호, 주황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청색 404호,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주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색소를 들 수 있다.
안료의 예로서는 β-카로틴, 칼사민, 코치닐 등의 천연 색소, 운모, 활석, 고령토,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무수 규산, 산화알루미늄, 황산바륨, 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카본 블랙, 감청 카본 블랙, 산화티탄, 산화아연, 운모 티탄, 어린박(squama foil), 옥시염화비스무스, 질화붕소, 광색성 안료(photochromic pigment), 합성 불소 금 운모, 철 함유 합성 불소 금 운모, 미립자 복합 분말 등의 무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비타민의 예로서는 영양제로서 사용되는 비타민 A, B1, B2, B6 및 이의 유도체, 미백제로서도 사용되는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혈관 확장제로서 사용되는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예로서는 토코페놀류, 디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BHT),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BHA)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의 예로서는 나트륨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EDTA), 인산, 시트르산, 석신산, 글루콘산,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 살균제의 예로서는 벤조산, 나트륨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메틸 페놀, 아연 운데실레네이트, 운데실렌 모노에탄올아미드, 염화아연,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로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O-페닐 페놀, 감광소(photosensitive element) 101호, 감광소 201호,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크레졸, 클로라민 T, 클로르크실레놀, 클로르크레졸, 클로르페네신, 클로로부탄올, 살리실산, 나트륨 살리실레이트, 알킬 이소퀴놀리늄 브로마이드, 도미펜 브로마이드, 소르브산 및 염류, 티몰, 티람,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및 나트륨염, 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 p-옥시 벤조에이트, 클로로페놀, 할로카르벤, 페놀, 헥사클로로펜, 레조르신, 트리클로산,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육모성 약제로서 쓴풀 추출물(swertia herb extract), 세파란틴, γ-올리자놀, 고추 팅크, 생강 팅크, 벤질 니코티네이트, 여성 호르몬제로서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모근 부활제로서 판토텐산 및 이의 유도체, 태반 추출물, 알란토인, 감광소 301 등을 들 수 있다.
천연물에서 유도된 약제로서 하마멜리스, 광대수염, 자작나무, 대황, 감초, 황연, 자근, 서양톱풀, 알로에, 카밀레, 유칼리 오일 등의 정제유, 인삼 추출물, 알로에, 자근, 라일락, 수세미, 마로니에, 질경이 무리, 잇꽃 등을 들 수 있다.
위에 설명한 여러 가지 성분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성분 A 및 성분 B를 필수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한정은 없이 종래의 공지의 통상적인 방법에 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의 배합량은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이다. O.001중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성분 B의 배합량은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중량%이다.
또한, 성분 A와 성분 B의 배합비는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성분 A/성분 B=200/1 내지 1/10(중량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성분 A/성분 B=200/1 내지 1/1(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이의 제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유화(乳化)계, 용액계, 가용화계, 분말분산계, 물-기름 2층계, 물-기름-분말 3층계 등, 어떠한 제형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이의 용도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고 샴푸, 린스, 육모제,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셔너, 코즈메틱, 헤어 리퀴드, 세트 로션, 퍼머넌트 웨이브액,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무스, 퍼머액, 염모제, 헤어 컬러, 헤어 매니큐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아래에서 비교예 및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한다.
(1)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성분 A)의 합성
4-아미노부틸구아니딘 설페이트 52.7g(0.23mol)에 물 180g, 2-프로판올 110g을 가하고, 27%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써 계의 pH를 11.0으로, 온도를 10℃로 조정한다. 계에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50.3g(0.23mol)을 35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 때, 계의 온도를 8 내지 12℃로, pH를 27%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써 10.9 내지 11.0로 유지한다. 적가 종료후, 또한 30분에 걸쳐 반응을 숙성시킨다.
반응 종료후, 반응계를 50℃로 조정하고, 수득한 오일층에 27%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14.0으로 조정하고,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킨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추가로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반응 생성물의 1H-NMR, ESI-Mass,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동일하다고 인정되는 결과로부터 4-구아니디노부틸도데칸아미드가 생성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담황색 고체, 65.8g(수율 92%)
1H-NMR(CD3OD):σ=0.90(3H, t), 1.28-1.38(18H, m), 1.57(6H, m), 2.17(2H, t), 3.19(4H, m)
ESI-Mass: 313(MH+)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컬럼: YMC-Pack ODS-AM AM-312, S-5um, 120A, 150*6.0mm, 컬럼 온도: 40℃, 용리액: 30mM 인산 버퍼(pH 3.0)/메탄올=25/75, 유량: 1.0ml/min, 검출: UV210nm)로써 피크를 확인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컬럼: Ion pac AS-11 HC 2mm(Dionex), 가드 컬럼: Ion pac AG-11 HC 2mm(Dionex), 컬럼 온도: 실온, 용리액: NaOH 수용액 1.5mM(0min)→30mM(20min), 유량: 0.38ml/min, 재생액: 5mM H2SO4 약 3mL/min, 검출: 전도도)로써 잔류 황산량 0.1%를 확인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기타 아실 쇄장(鎖長)의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의 합성
L-아르기닌 20g(0.11mol)을 물 52ml, 이소프로필 알콜 156ml 혼합액에 추가하여 계의 온도를 10℃로 조정하였다. 계의 온도를 10℃로 유지하고,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7.6g(0.13mol)을 45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 때, 계의 온도를 10 내지 13℃로, pH를 27%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써 9.9 내지 10.5로 유지한다. 적가 종료후, 또한 30분에 걸쳐 반응을 숙성시킨다. 반응 종료후, 진한 염산을 가하여 계의 pH를 3.8, 온도를 50℃로 하여 용해시켰다. 그 후, 27%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써 계의 pH를 5.0으로 하고, 교반하면서 냉각시키고, 석출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건조시킨다. 반응 생성물의 1H-NMR(CD3OD), FAB-Mass,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동일하다고 인정되는 결과로부터, 라우로일아르기닌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색 결정, 31g(수율 78%)
1H-NMR(CD3OD): ρ=0.89(3H, t), 1.24-1.38(18H, m), 1.62(2H, m), 1.78(2H, m), 2.23(2H, t), 3.11(2H, m), 4.27(1H, t)
FAB-Mass: 357(MH+)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컬럼: YMC-Pack ODS-AM AM-312, S-5um, 120A, 150*6.0mm, 컬럼 온도: 40℃, 용리액: 30mM 인산 버퍼(pH 3.0)/메탄올=25/75, 유량: 1ml/min, 검출: UV210nm)로써 피크를 확인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기타 아실 쇄장의 Nα-아실아르기닌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3) 헤어 린스의 조제 및 관능 평가
4g의 모속(毛束)(20cm)을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LES: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에말 20C) 15% 수용액 약 1ml로 세척하고, 2분간 헹구었다.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정한 헤어 린스 0.5g(아래 표 1에 나타내는 조성 순수분 중량% 표시, 총량 100%)을 취해, 1분간 모발을 감고, 그 후 1분간 헹구고,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 다음날 건조시의 모발 정돈에 대해서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도, 동일 표에 더불어 기재한다.
관능 평가는 전문 패널리스트 4명으로써 실시하였다. 비교예 1을 표준품으로 하고, 아래에 나타내는 기준에 의한 평균치를 산출한 평균치가 5.0 내지 3.5의 경우를 대단히 양호(◎), 3.5 내지 2.5의 경우를 보통(○), 2.5 내지 1.0의 경우를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a) 헹굼시의 매끄러움
5: 표준품보다 매끄러움이 있다
4: 표준품보다 약간 매끄러움이 있다
3: 표준품과 동등
2: 표준품보다 약간 매끄러움이 없다
1: 표준품보다 매끄러움이 없다
(b)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
5: 표준품보다 손가락 빗질이 좋다
4: 표준품보다 약간 손가락 빗질이 좋다
3: 표준품과 동등
2: 표준품보다 약간 손가락 빗질이 나쁘다
1: 표준품보다 손가락 빗질이 나쁘다
(c) 건조시의 모발 정돈
5: 표준품보다 정돈감이 있다
4: 표준품보다 약간 정돈감이 있다
3: 표준품과 동등
2: 표준품보다 약간 정돈감이 없다
1: 표준품보다 정돈감이 없다
헤어 린스
성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1
(성분 A)
4-구아니디노부틸도데칸아미드 아세테이트 1.0 1.0
(성분 B)
Nα-라우로일아르기닌 1.0 1.0
(기타 성분)
모노베헤닐 암모늄 클로라이드(순수분 80%)* 1.25 1.25
세탄올/스테아릴 알콜(7/3)** 3.0 3.0 3.0 3.0
정제수 95.75 94.75 96.00 95.00
(a)헹굼시의 매끄러움 - ()
(b)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 - ()
(c)건조시의 모발 정돈 - ()
* 아카드 22-80(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 칼콜 6870(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범용의 4급 암모늄염(모노베헤닐 암모늄 클로라이드)과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을 조합하여 배합한 비교예 2의 헤어 린스는 표준품(비교예 1)과 비교하여 헹굼시의 매끄러움은 향상되지만,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성분 A)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오히려 뒤떨어진다. 또한,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성분 A)를 배합한 비교예 3의 헤어 린스도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헹굼시의 매끄러움은 향상되지만, 역시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평가 항목에서는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이것에 대하여,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의 하나인 4-구아니디노부틸도데칸아미드 아세테이트(성분 A)와 Nα-아실아르기닌의 하나인 Nα-라우로일아르기닌(성분 B)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헤어 린스는 모든 평가 항목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우수하다.
이상,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대비로부터,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성분 A)와 Nα-아실아르기닌(성분 B)을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시예 2 내지 5
아래 표 2의 조성(조성 순수분 중량% 표시, 총량 100%)의 헤어 린스를 조제하였다. 수득한 헤어 린스를 사용한 바,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졌다.
헤어 린스
성분 실시예
2 3 4 5
(성분 A)
4-구아니디노부틸코코일아미드 아세테이트 3.0
4-구아니디노부틸도데칸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
4-구아니디노부틸미리스틸아미드 글루타메이트 3.0
4-구아니디노부틸팔미틸아미드 피롤리돈 카복실레이트 3.0
(성분 B)
Nα-2-에틸헥사노일아르기닌 0.05
Nα-코코일아르기닌 0.1
Nα-미리스토일아르기닌 0.05
Nα-팔미토일아르기닌 0.1 0.1
(기타 성분)
소르비톨 3.0 3.0 3.0 3.0
세린 1.0 1.0 1.0 1.0
글리세릴 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3.0 3.0 3.0 3.0
세토스테아릴 알콜 3.0 3.0 3.0 3.0
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0.5 0.5 0.5 0.5
방부제 0.1 0.1 0.1 0.1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실시예 6 내지 10
아래 표 3의 조성(조성 순수분 중량% 표시, 총량 100%)의 헤어 트리트먼트를 조제하였다. 수득한 헤어 트리트먼트를 사용한 바,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졌다.
헤어 트리트먼트
성분 실시예
6 7 8 9 10
(성분 A)
2-구아니디노에틸미리스틸아미드 포스페이트 2.0 3.0
6-구아니디노헥실도데칸아미드 락테이트 2.0
4-구아니디노도데칸아미드 아세테이트 2.0 5.0
(성분 B)
Nα-베헤노일아르기닌 0.1 0.3
Nα-데카노일아르기닌 1.0 1.0
Nα-팔미토일아르기닌 1.0
(기타 성분)
디글리세린 2.0 2.0 2.0
알라닌 2.0 2.0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7.5 7.5 7.5 7.5 7.5
이소스테아릴 알콜 10.0 10.0 10.0 10.0 10.0
폴리옥시에틸렌 테트라올레에이트 소르비톨(EO40) 0.5 0.5 0.5 0.5 0.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EO40) 1.0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EO60) 1.0 1.0 1.0 1.0 1.0
트리메틸 암모늄 스테아레이트 클로라이드(EtOH, 50중량%) 3.0 3.0 3.0 3.0 3.0
부틸 파라벤 0.1 0.1 0.1 0.1 0.1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실시예 11 내지 13
아래 표 4의 조성(조성 순수분 중량% 표시, 총량 100%)의 린스 겸용 샴푸를 조제하였다. 수득한 린스 겸용 샴푸를 사용한 바,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졌다.
린스 겸용 샴푸
성분 실시예
11 12 13
(성분 A)
4-구아니디노부틸미리스틸아미드 아세테이트 1.0
4-구아니디노부틸팔미틸아미드 설페이트 1.0
3-구아니디노프로필도데칸아미드 라우레이트 1.0
(성분 B)
Nα-코코일아르기닌 1.0
Nα-라우로일아르기닌 1.0
Nα-미리스토일아르기닌 1.0
(기타 성분)
이미다졸륨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16.0 16.0 16.0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4.0 4.0 4.0
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 DL-피롤리돈 카복실레이트 1.0 1.0 1.0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2.0 2.0 2.0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 나트륨 1.0 1.0 1.0
POE 알킬폴리아민 1.0 1.0 1.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수산화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실시예 14 내지 16
아래 표 5의 조성(조성 순수분 중량% 표시, 총량 100%)의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수득한 염모제를 사용한 바,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졌다.
염모제
성분 실시예
14 15 16
(성분 A)
6-구아니디노헥실팔미틸아미드 시트레이트 0.5 0.6
4-구아니디노부틸미리스틸아미드 말레이트 0.7
(성분 B)
Nα-팔미토일아르기닌 1.0 0.5
Nα-스테아로일아르기닌 1.0 0.5
(기타 성분)
글리신 베타인 1.0 1.0 1.0
파라페닐렌디아민 3 3.0 3.0 3.0
레조르신 0.2 0.2 0.2
올레산 20.0 20.0 20.0
POE(10) 올레일 알콜 에테르 13.0 13.0 13.0
이소프로필 알콜 10.0 10.0 10.0
암모니아수(28%) 10.0 10.0 10.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킬레이트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아래 표 6의 조성(조성 순수분 중량% 표시, 총량 100%)의 헤어 린스를 조제하였다. 수득한 헤어 린스를 사용한 바,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있어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졌다.
헤어 린스
성분 실시예
17
(성분 A)
4-구아니디노부틸도데칸아미드 아세테이트 1
(성분 B)
Nα-라우로일아르기닌 0.05
(기타 성분)
4-아미노부틸도데칸아미드 아세테이트 0.01
4-우레이도부틸도데칸아미드 0.01
Nα,Ng-디라우로일아그마틴 0.02
실리콘 오일 3
유동 파라핀 1
세틸 알콜 1.5
스테아릴 알콜 1
글리세린 0.7
향료, 색소,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여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헹굼시의 매끄러움, 마르지 않았을 때의 손가락 빗질의 양호함, 건조시의 모발 정돈이라고 하는 컨디셔닝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샴푸, 린스, 육모제,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쇼너, 코즈메틱, 헤어 리퀴드, 세트 로션, 퍼머넌트 웨이브액,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무스, 퍼머액, 염모제, 헤어 컬러, 헤어 매니큐어 등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그룹 함유 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A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α-아실아르기닌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B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의 배합량이 0.001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성분 B의 배합량이 0.001 내지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식중,
    R1 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R3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A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 그룹 또는 알케닐렌 그룹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의 배합비가 중량비로 성분A/성분B = 200/1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의 배합비가 중량비로 성분A/성분B = 200/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품.
KR10-2002-0049352A 2001-08-21 2002-08-21 모발 화장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529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0558 2001-08-21
JPJP-P-2001-00250558 2001-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66A KR20030017366A (ko) 2003-03-03
KR100529818B1 true KR100529818B1 (ko) 2005-11-22

Family

ID=1907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3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9818B1 (ko) 2001-08-21 2002-08-21 모발 화장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108508A1 (ko)
EP (1) EP1285647B1 (ko)
KR (1) KR100529818B1 (ko)
DE (1) DE6023718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131A (ja) * 2001-06-06 2003-02-26 Ajinomoto Co Inc 化粧料組成物
EP1493423B1 (de) * 2003-06-18 2006-06-14 Goldschmidt GmbH Haarbehandlungsmittel und Haarnachbehandlungsmittel zum Schutz vor Schäden durch chemische Behandlung und zur Reparatur bereits geschädigter Haare enthaltend als Wirksubstanz Alkylguanidin-Verbindungen
DE10327871A1 (de) * 2003-06-18 2005-01-05 Goldschmidt Ag Verwendung von Alkylguanidin-Verbindungen zur Behandlung und Nachbehandlung von Haaren
FR2862218B1 (fr) * 2003-11-18 2006-05-05 Oreal Composition de mise en forme des cheveux comprenant au moins une imine hors hydroxyde
US9050357B2 (en) * 2010-03-08 2015-06-09 Cp Kelco U.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sumables for patients with dysphagia
CN108101812B (zh) * 2018-01-02 2020-12-25 成都傲飞生物化学品有限责任公司 一种月桂酰精氨酸乙酯盐酸盐的生产纯化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706A (ja) * 1982-08-17 1984-02-20 Lion Corp 化粧料組成物
US4975275A (en) * 1988-12-19 1990-12-04 Lion Corporatio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JPH06256146A (ja) * 1993-03-10 1994-09-13 Lion Corp 毛髪化粧料
JPH11228348A (ja) * 1998-02-09 1999-08-24 Ajinomoto Co Inc 化粧料組成物
JPH11228527A (ja) * 1998-02-10 1999-08-24 Ajinomoto Co Inc 長鎖アシルアルギニン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433A (ja) * 1999-11-17 2001-05-22 Lion Corp 毛髪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706A (ja) * 1982-08-17 1984-02-20 Lion Corp 化粧料組成物
US4975275A (en) * 1988-12-19 1990-12-04 Lion Corporatio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JPH06256146A (ja) * 1993-03-10 1994-09-13 Lion Corp 毛髪化粧料
JPH11228348A (ja) * 1998-02-09 1999-08-24 Ajinomoto Co Inc 化粧料組成物
JPH11228527A (ja) * 1998-02-10 1999-08-24 Ajinomoto Co Inc 長鎖アシルアルギニン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66A (ko) 2003-03-03
EP1285647A2 (en) 2003-02-26
EP1285647A3 (en) 2003-07-02
DE60237180D1 (de) 2010-09-16
EP1285647B1 (en) 2010-08-04
US20030108508A1 (en)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3030B1 (en) Conditioner composition
EP2415450B1 (en) Aqueous hair cleansing agent
EP0651632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EP1535607B1 (en) Increased moisturization efficacy using hydroxyalkylurea
EP1285579B1 (en) Bactericidal guanidine derivatives, dermally applicable composition, washing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fibre aggregate
EP1935878A1 (en) Increased moisturization efficacy using hydroxyalkylurea
JPH0774136B2 (ja) 毛髪用化粧剤
US20040247551A1 (en) External preparation
JP2000154112A (ja) 新規化粧料組成物
JP2000053524A (ja) 化粧料組成物
JP2007131687A (ja) 透明洗浄剤組成物
JP4193443B2 (ja) 殺菌剤および防腐剤
JPH11180836A (ja) 頭髪化粧料組成物
JP2000355516A (ja) 新規化粧料組成物
KR100529818B1 (ko) 모발 화장품
JP2005089372A (ja) 毛髪化粧料
JP4247597B2 (ja) 外用剤
JPH11106330A (ja) 化粧料組成物
CN114366680A (zh) 用于养护头皮健康防脱固发的洗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11180835A (ja) 頭髪化粧料
JPH11106315A (ja) 化粧料組成物
JP2000355524A (ja) 化粧料組成物
JPH11106329A (ja) 化粧料組成物
JP3728909B2 (ja) 化粧料組成物
JP2003137748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