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03980B1 -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 Google Patents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980B1
KR100503980B1 KR10-1999-7000018A KR19997000018A KR100503980B1 KR 100503980 B1 KR100503980 B1 KR 100503980B1 KR 19997000018 A KR19997000018 A KR 19997000018A KR 100503980 B1 KR100503980 B1 KR 10050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late
bulb
lamp cap
ax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574A (ko
Inventor
만데스빌헬무스요하네스마리아
반둘멘헨드리쿠스알베르투스마리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9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8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 H01J5/60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for fastening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판 (4) 으로 밀봉되어 있는 개구를 갖는 유리 벌브 (1) 를 가지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를 제공한다. 램프 캡 (20) 은 판 (4) 의 원주 가장자리 (7) 를 에워싸는 원주 벽 (22) 을 가지며, 판 (4) 을 캡 (20) 내의 접합부 (24) 에 가압한다. 따라서, 판 (4) 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탑재된 벌브 (1) 내의 전기소자 (9) 가 캡 (1) 에서 기준 (25) 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capped electric lamp}
본 발명은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에 관한 것으로,
축 및 상기 축상의 개구를 갖는 유리 벌브;
상기 축을 횡단하여 배열되며 벌브를 바라보는 제 1 표면 및 벌브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제 2 표면을 가지며, 제 1 표면에 의해 벌브와 접속되며, 개구가 가스밀봉 방식으로 밀봉되며, 벌브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축 둘레에 에지를 가지는 절연재료판;
상기 판을 통해 상기 벌브의 내부로 관통하는 전류 도전체들;
벌브내에서 상기 판에 대해 소정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전류 도전체에 접속되는 전기소자; 및
상기 전류 도전체들에 접속된 콘택들이 제공되며 상기 판의 제 2 표면에 고정되는 램프 캡을 구비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에 대해서는 DE-B-1 034 268 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램프에서, 절연재료판은 유리 또는 합성 수지로 성형된 원형 디스크의 형상을 갖는다. 벌브를 바라보는 판의 돌출된 에지의 제 1 표면은 비교적 넓은 환상(環狀)의 제 1 부분 및 비교적 좁은 환상의 제 2 부분을 가지므로, 램프가 반사기에 위치되는 경우, 이러한 부분들에 의해 램프가 반사기의 넓은 개구의 에지 및 좁은 개구의 에지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전기소자로서, 공지된 램프내의 백열체 (incandescent body) 는, 상기 부분들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기소자가 반사기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된다.
속이 빈 실린더형 램프 캡이 벌브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판의 측상에 설명하지 않은 방법으로 고정되며, 이 측면으로부터 램프 캡이 축방향으로 콘택을 인도하며, 이 위쪽으로 각 커넥터들이 통과할 수 있으며,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 램프는 콘택과 전류 도전체 사이의 접속을 보호하는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이 공지된 램프는, 벌브를 전방에 두고 탑재지점에 옮겨져, 그 지점에서 추가적인 수단에 의해 보유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응용예에서는, 램프가 캐리어에 대해 램프 캡을 전방에 두고 위치되어, 이 캐리어에 대해 전기소자가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램프에서, 전류 도전체와 콘택 사이의 접속은 램프 캡에 의해 실제로 둘러쌓임으로써 보호되나, 콘택이 위치되게 될 때, 여전히 커넥터에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
튜브형 전기 램프가 US-A-4,547,840 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램프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체 트랙에 전류 도전체가 고정되어 있다. 이 램프는, 인쇄회로기판의 개구를 통해 훅 (hook) 으로 그립(grip)된 실린더형 홀더내에 수용되어, 램프가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이 램프의 전기소자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정해진 위치를 갖지 않는다.
튜브형 전기 램프가 US-A-3,465,197 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램프에서는 인쇄회로기판내의 개구에 삽입되는 콘택 핀에 전류 도전체가 고정되어, 그 안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 램프는, 그 콘택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보유된 실린더형 홀더내에 수용된다. 또한, 이 램프의 전기소자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정해진 위치를 갖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캡이 씌워진 램프의 측방 입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서 램프 캡을 제외한 램프의 확대된 측방 입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Ⅲ 을 따라서 본 판 (plate) 을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의 램프 캡의 확대된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선 Ⅴ 을 따라서 본 램프 캡의 입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선 Ⅵ 을 따라서 본 램프 캡의 입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의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에는, 축 (2) 및 상기 축 (2) 상의 개구 (3) 를 갖는 유리 벌브 (1) 가 제공된다. 이 벌브는 개구 (3) 에 인접하여 목 (neck) - 모양의 부분을 갖는다. 벌브 (1) 를 바라보는 제 1 표면 (5) 및 벌브 (1) 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제 2 표면 (6) 을 갖는 절연재료판 (4) 은 축 (2) 을 가로질러 존재한다. 도시된 판 (4) 은 벌브 (1) 의 유리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 소결 유리로 형성된다. 판 (4) 은 도 2 의 에나멜 (12) 에 의해, 벌브 (1) 를 바라보는 제 1 표면 (5) 에서 벌브 (1) 와 접속되며, 개구 (3) 를 가스기밀 방식으로 밀봉한다. 판 (4) 은 벌브 (1) 외측으로 연장하는 축 (2) 의 둘레에 에지 (7) 를 갖는다. 도 2 에서, 램프는 첨단 (tipped) 배출 튜브 (10) 를 가져, 이를 통해 가스공급을 받게 된다. 전류 도전체 (8) 는 판 (4) 을 통해 벌브 (1) 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들은 벌브 (1) 내에 판 (4) 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배열된, 도 1 및 도 2 에서 백열체인, 전기소자 (9) 에 의해 접속된다. 이 백열체는 13.5 V 에서 동작시 16 W 의 전력을 방산한다. 도 1 의 램프는 전류 도전체 (8) 에 접속되며 도 2 의 판 (4) 의 제 2 표면 (6) 에 고정되어 있는 콘택 (21) 을 갖는 램프 캡 (20) 을 갖는다.
도 4 및 도 5 의 램프 캡 (20) 은, 판 (4) 의 돌출 에지 (7) 를 둘러싸는 원주의 축방향 벽 (22) 을 가져, 그 자유단부 (23) 가 제 1 표면 (5) 을 가압하고 판 (4) 의 제 2 표면 (6) 이 램프 캡 (20) 내의 접합부 (24) 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그 결과, 전기소자 (9) 가 램프 캡 (20) 의 외부표면 (33) 에서, 도 4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위치 (25) 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도 3 의 판 (4) 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의 서로 마주보는 평탄한 측면 (11) 을 갖는 원형인 비원형 원주를 갖는다. 램프 캡 (20) 의 축방향의 벽 (22) 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 단면이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2 개의 서로 마주보는 평탄한 측면 (28) 을 갖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의 벽 (22) 의 자유단부 (23) 는, 축 (2) 을 향하는 스터드 (26) 로써 판 (4) 의 제 1 표면 (5) 에 가압된다. 판 (4) 은 평탄한 측면 (28) 사이의 그 평탄한 측면 (11) 에 겨우 꼭 맞추어지되, 그 원형 원주 부분은 벽 (22) 의 원형 부분 사이에 조금 여유있게 놓여진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원형 부분의 스터드 (26) 는 평탄한 측면 (28) 의 스터드 (28) 보다 자유단 부분 (23) 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들은 평탄한 측면 (28) 에 가까이에 있으므로, 그 결과, 원한다면, 중단이 있을 수 있는 벽 (22) 의 원형부분이 램프의 삽입시에 안쪽으로 많이 튀어 나올 수 있으며, 한편 스터드 (26) 가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판 (4) 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터드 (26) 는 판 (4) 의 제 2 표면 (6) 을 램프 캡 (20) 의 접합부 (24) 에 대하여 힘을 가한다. 따라서, 전기소자 (9) 가 기준지점 (25) 으로부터 소정의 위치를 갖게 된다. 접합부 (24) 및 축방향의 벽 (22) 은 함께 판 (4) 이 리세스되어 있는 공극의 경계를 이룬다. 평탄한 측면 (28) 은 램프 캡 (20) 의 외측에서 관찰이 가능하며, 램프 캡 (20) 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평탄한 외부 표면의 형상을 갖게 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 캡 (20) 은 램프의 배출 튜브 (10) 를 위한 공극 (30) 과 도전체 (8) 를 위한 채널 (31) 을 갖는다. 평탄한 측면 (28) 및 평탄한 외부 표면 (29) 은 이들 채널 (31) 의 위치를 나타내며, 따라서 조립된 램프내의 전류 도전체 (8) 의 위치도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4) 은 제 2 표면 (6) 으로부터 제 1 표면 (5) 으로 확장된다.
램프 캠프 (20) 는 완전히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도 4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2) 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공극 (27) 을 가져, 이 공극 (27) 의 내부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형상의 콘택 (21) 이 수용되게 된다.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램프 캡 (20) 은 그루브 (32) 를 가져, 이 그루브 내에 전류 도전체 (8) 가 채널로부터 나오게 될 때 구부려질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콘택 (21) 이 전류 도전체 (8) 를 거슬러 공극 (27) 으로 통과되게 될 때, 클램프 접속을 하게 된다. 도 1 에서, 콘택 (21) 은 램프 캡 (20) 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예를들어 인쇄회로에서와 같이 이들이 캐리어에 땜납되어지는 경우, 이들이 완전히 램프 캡 (20) 의 경계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전류 도전체 (8) 를 위한 채널 (31) 은 각기 도 4 의 협소부를 갖는다. 예를들어, 속이 빈 핀인 콘택이 예를들어 클램핑력 (clamping force) 에 의해 채널내에 수용되어, 콘택이 채널 (31) 로부터 외부로 나오게 되어, 대응되는 영역이 각기 협소부에 접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콘택이 램프 캡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동시에 캐리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기소자 (9) 가 소정의 위치를 갖게 되는 기준지점 (25) 은 도 1, 도 4 및 도 6 에 나타낸 램프 캡 (20) 상의 팽창부 (bulge) 이며, 도 4 에서 원주 에지 (25') 가 이를 대신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램프 캡으로 캐리어에 대해 실장가능하게 하는, 서두에서 설명된 종류의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 캐리어에 대해 전기소자가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램프 캡이, 판의 돌출 에지를 둘러싸는 원주의 축을 향하는 벽을 가져, 그 자유단부 (free-end portion) 가 제 1 표면을 가압하고 제 2 표면이 램프 캡내의 접합부 (abutment) 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전기소자가 램프 캡의 외부표면에서 기준 위치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제조시, 전기소자는 절연재료판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며, 이 판의 축의 길이방향의 진동이 배제될 수 있으므로, 이 판의 제 2 표면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램프 캡이 계속하여 제공되어, 판의 제 2 표면이 접합부에 완전히 가압되는 경우, 전기소자가 램프 캡의 기준 위치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 램프 캡 벽의 자유단부에는, 예를들어, 금속 벽인 경우에는 냉각상태에서, 합성 수지 벽인 경우에는 가열 이후에, 안쪽으로 플랜지가 붙여질 수도 있다. 그러나, 자유단부가 제 1 표면을 가압하는 경우, 축방향의 스터드 (stud) 로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램프 캠과 판을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판을 전방에 둔 채로, 벌브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램프 캡내의 접합부까지 가압될 수 있게 된다.
판이 제 2 표면으로부터 제 1 표면으로 넓어지게 될 때, 거의 딱 맞으면서도 용이하게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판은 램프 캡의 탑재시에 자기배치기능을 갖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판은 비원형 원주를 가지며, 그 축을 향하는 벽은 이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들어, 원주가 타원형 또는 평탄한 측면을 갖는 원형, 또는 양측이 서로 마주보며 평탄한 원형일 수도 있다. 비원형 형상은, 램프 캡과의 접속이 판의 회전에 대해 록 (lock)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비원형 형상은, 전류 도전체가 존재하는 지점을 정의할 수도 있으며, 램프 캡과 플레이트의 상대적인 회전위치가 미리 정해질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벽의 외측이 전류 도전체의 위치를 지시할 수도 있어,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램프를 캐리어에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원형의 형상은 램프의 기계화된 조립과 캐리어에 대한 램프의 기계화된 탑재를 용이하게 한다.
램프 캡이 완전히 합성수지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램프 캡에 높은 치수 정밀도 (accuracy) 를 제공함과 동시에, 예를들어 수십 밀리미터의 최대 가로 치수와 예를들어 축방향 치수는 그 절반 크기의 비교적 작은 치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또한, 부분적으로는 램프 캡내 판의 리세스형 배치로 인해, 램프 캡은, 벌브의 축방향 치수에 판을 거의 추가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합성수지 램프 캡의 또 다른 장점은, 합성수지는 비교적 불량한 열도전체이므로, 램프 동작시 축방향으로의 온도 기울기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램프가 탑재된 캐리어가 비교적 낮은 열저항을 갖는 재료로부터 재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합성수지 램프 캡은, 콘택을 램프 캡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램프 캡은, 예를들어 방사상으로, 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공동 (cavity) 을 가져, 콘택 스트립 (strip) 이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 콘택 스트립은 램프 캡으로부터 예를들어 방사상으로 돌출할 수도 있다. 이 콘택 스트립은, 예를들어 인쇄회로기판인 캐리어의 콘택에 용접이나 땜납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를 원한다면, 공극내부로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이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도록, 가시달린 훅 (barbed hook) 이 콘택 스트립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전류 도전체는 콘택에 용접 또는 땜납되거나, 다른 방법으로는, 전류 도전체가 램프 캡에 의해 콘택에 클램프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램프 캡은 벌브로부터 멀어지는 횡단 외부 표면에, 예를들어 전기소자가 위치되는 공간에 입상 (elevation) 의 형태로 기준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그 대신에, 램프 캡은, 캐리어에 리세스형 탑재시에 접합부의 기능을 하는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주의 확장 부분을 갖되, 중단하는 원주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램프 캡은 램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열저항 (thermal load) 에 따라서,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페닐린 술파이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합성 수지에 유리 섬유 또는 유리 파우더가 넣어질 수도 있다.
램프의 전기소자는, 예를들어, 이온화 가능한 매체내의 한쌍의 전극이거나, 또는 할로겐을 이루는 가스내의 백열체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소자를 벌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특히, 동축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램프는, 예를들어 차량의 후방의 램프로서 사용하거나, 예를들어 정지등 램프, 지시등 램프, 후방등 램프, 역전등 램프, 안개등 램프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 램프는, 약 2.5 ㎝ 의 비교적 작은 축 길이를 가지되, 예를들어 5 내지 25 W 의 비교적 높은 전력을 방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램프가 수용될 하우징은 비교적 작은 축 길이로 인해 비교적 평탄할 수 있다.

Claims (8)

  1. 축 (2) 및 상기 축 (2) 상의 개구 (3) 를 갖는 유리 벌브 (1);
    상기 축 (2) 을 횡단하여 배열되며 벌브 (1) 를 바라보는 제 1 표면 (5) 및 벌브 (1) 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제 2 표면 (6) 을 가지며, 제 1 표면 (5) 에 의해 벌브 (1) 와 접속되며, 개구 (3) 가 가스밀봉 방식으로 밀봉되며, 벌브 (1) 의 외측으로 돌출한 축 (1) 의 둘레에 에지 (7) 를 갖는 절연재료판 (4);
    상기 판 (4) 을 통해 벌브 (1) 의 내부로 관통하는 전류 도전체 (8);
    벌브 (1) 내에서 상기 판 (4) 에 대해 소정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전류 도전체 (8) 에 접속된 전기소자 (9); 및
    상기 전류 도전체 (8) 에 접속된 콘택 (21) 들이 제공되며 상기 판 (4) 의 제 2 표면 (6) 에 고정된 램프 캡 (20) 을 구비한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캡 (20) 은, 램프 캡 (20) 내의 접합부 (24) 에 가압되는 제 2 표면 (6) 을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판 (4) 의 돌출 에지 (7) 를 둘러싸며 자유단부 (23) 가 제 1 표면 (5) 을 가압하는 원주의 축방향 벽 (22) 을 가지므로, 전기소자 (9) 는 램프 캡 (20) 의 외부 표면에서 기준위치 (25) 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4) 은 비원형 원주를 가지며, 축방향 벽 (22) 은 횡단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 (23) 는 축 (2) 방향의 스터드 (26) 로 제 1 표면 (5) 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 (4) 은 제 2 표면 (6) 으로부터 제 1 표면 (5) 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캡 (20) 은 전적으로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캡 (20) 은 축 (2) 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극 (27) 을 가지며, 이 공극 (27) 내에 스트립-형상의 콘택 (21) 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21) 은 전류 도전체 (8) 에 클램프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21) 은 램프 캡 (20) 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KR10-1999-7000018A 1997-05-06 1998-04-20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1349.4 1997-05-06
EP97201349 1997-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74A KR20000023574A (ko) 2000-04-25
KR100503980B1 true KR100503980B1 (ko) 2005-07-27

Family

ID=822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0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980B1 (ko) 1997-05-06 1998-04-20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52773A (ko)
EP (1) EP0909458B1 (ko)
JP (1) JP4020435B2 (ko)
KR (1) KR100503980B1 (ko)
CN (1) CN1143360C (ko)
DE (1) DE69825230T2 (ko)
PL (1) PL331013A1 (ko)
WO (1) WO1998050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1300C (zh) * 1999-06-01 2006-04-12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压盖电灯
CN1205705C (zh) * 1999-07-07 2005-06-08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低压气体放电灯
US6639364B1 (en) * 2000-06-29 2003-10-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alogen incandescent capsule having filament leg clamped in press seal
EP1338020A1 (en) 2000-11-17 2003-08-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lamp and shaped metal body for use therein
US6566814B2 (en) 2001-04-24 2003-05-20 Osram Sylvania Inc. Induction sealed high pressure lamp bulb
US6641449B2 (en) 2001-04-24 2003-11-04 Osram Sylvania Inc. High pressure lamp bulb and method of induction sealing
DE10355101A1 (de) * 2003-11-24 2005-06-0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Lampe und elektrische Lampe
DE102005021728A1 (de) * 2005-05-09 2006-11-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sockel und Hochdruckentladungslampe mit einem Lampensockel
DE102008056185A1 (de) * 2008-11-06 2010-05-12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lühlampe
WO2011092608A1 (en) * 2010-01-28 2011-08-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urner with reduced heigh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urner
JP6464697B2 (ja) * 2014-11-27 2019-02-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灯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54853A (ko) * 1956-02-10
US3465197A (en) * 1967-05-01 1969-09-02 Opcalite Inc Microminiature lamp assemblies
US4547840A (en) * 1984-10-02 1985-10-1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Lamp holder for mounting a lamp on a circuit board
US5115381A (en) * 1989-12-21 1992-05-19 U.S. Philips Corporation Motor vehicle headlamp and reflector body for same
EP0499316A1 (en) * 1991-02-15 1992-08-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pped electric lamp
KR100396235B1 (ko) * 1995-09-25 2003-11-2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캡이있는전기램프와반사기및관련된캡이있는전기램프를구비하는발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52773A (en) 1999-09-14
CN1226997A (zh) 1999-08-25
EP0909458B1 (en) 2004-07-28
KR20000023574A (ko) 2000-04-25
PL331013A1 (en) 1999-06-21
JP4020435B2 (ja) 2007-12-12
WO1998050943A1 (en) 1998-11-12
DE69825230D1 (de) 2004-09-02
DE69825230T2 (de) 2005-08-04
EP0909458A1 (en) 1999-04-21
CN1143360C (zh) 2004-03-24
JP2000514952A (ja) 2000-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169B1 (en) Lamp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503980B1 (ko) 캡이 씌워진 전기 램프
US6080019A (en) Lamp and lamp base assembly
US9033564B2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US6270235B1 (en) Lamp and lamp based assembly
KR100330103B1 (ko) 전기램프
JP4588825B2 (ja) 電球
US5126619A (en) Discharge lamp unit
PL181897B1 (en) Electric lamp
EP0309041B1 (en) Capped electric lamp
US5121304A (en) Vehicle lamp
EP0179524B1 (en) Electrical lamp provided with a cap
KR100306825B1 (ko) 캡형전기램프
US5173632A (en) High pressure sodium arc discharge lamp with weldless arc tube support member
KR100521236B1 (ko) 소형저압방전램프
JPH0660856A (ja) リフレクタ付電球
KR100773169B1 (ko) 방전 램프
EP0441439A1 (en) Electric lamp
US6056417A (en) Two-part wedge base for lamp
JP4220771B2 (ja) コンパクト形低圧放電ランプ
US5138226A (en) Surface mountable miniature incandescent light
EP0833415B1 (en) Lamp capsule with rotary swaged lug connectors
JP2948074B2 (ja) 車輌用放電ランプ装置
EP0451908A1 (en) Electric lamp
US20020145374A1 (en) Two-piece base for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