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02544B1 -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544B1
KR100502544B1 KR10-2003-0046831A KR20030046831A KR100502544B1 KR 100502544 B1 KR100502544 B1 KR 100502544B1 KR 20030046831 A KR20030046831 A KR 20030046831A KR 100502544 B1 KR100502544 B1 KR 10050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club
shaft
friction reducing
reduc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859A (ko
Inventor
성민경
Original Assignee
성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경 filed Critical 성민경
Priority to KR10-2003-004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544B1/ko
Priority to PCT/KR2004/001663 priority patent/WO2005005002A1/en
Publication of KR2005000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5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도 간단하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상적인 스윙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골프채를 구비함으로써 골퍼로 하여금 손쉽게 스윙연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가변형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마찰저감수단이 연결된 골프채와; 상기 골프채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샤프트의 마찰저감수단이 이동하는 궤도를 형성하고 있는 스윙궤도부와; 상기 스윙궤도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An Apparatus for Practicing Swing of Golf Club}
본 발명은 실내에서도 간단하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상적인 스윙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골프채를 구비함으로써 골퍼로 하여금 손쉽게 스윙연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채는 골프공을 원거리로 타격하기 위한 드라이버(driver), 페어웨이 (fairway)에서 그린(green)으로 보내기 위한 아이언(iron), 그리고 단거리용 굴림 전용 클럽인 퍼터(putter)로 구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shaft)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된 헤드(head)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연결되고 손잡이부에 해당하는 그립(grip)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퍼(golfer)들은 이러한 골프채를 스윙하여 헤드의 관성과 원심력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 토오크를 사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한편, 골프공을 타격하여 그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골프채의 스윙궤도, 즉 스윙의 전반부(어드레스-테이크어웨이-스윙톱)로부터 스윙의 후반부(다운스윙-임팩트-팔로우업)로 이어지는 전 과정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게 중요하다. 그러나, 골퍼가 스윙자세에 대한 문제점을 쉽게 알기는 곤란하여, 잘못된 스윙자세가 습관화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실제 경기에서는 잘못된 스윙자세로 인하여 경기력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윙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골프채를 구비하여 실내에서도 손쉽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고, 또한 스윙자세의 문제점을 즉시 알 수 있도록 한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가변형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마찰저감수단이 연결된 골프채와; 상기 골프채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샤프트의 마찰저감수단이 이동하는 궤도를 형성하고 있는 스윙궤도부와; 상기 스윙궤도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 내벽에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이 장착된 개구부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상부샤프트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샤프트의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상부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하부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하부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의 무게를 조절하는 무게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은,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수단은, 상기 스윙궤도부의 내측면을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수단은, 상기 스윙궤도부의 외측면을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소정 높이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는 골프채(1)와, 상기 골프채(1)의 일단이 연결된 스윙궤도부(2)와, 상기 스윙궤도부(2)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판(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채(1)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가변형 샤프트(11)와, 상기 샤프트(11)의 하단에 연결된 마찰저감수단(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1)는, 상부샤프트(113)와 하부샤프트(1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샤프트(113)는 중공이며, 그 일단의 내벽에는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111)이 장착된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111)은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샤프트(114)는, 상기 개구부(112)를 통하여 상기 상부샤프트(113)의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111)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상부샤프트(113)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하부샤프트(114)에는, 상기 샤프트(11)의 무게를 조절하는 무게조절수단(115), 예컨대 복수의 무게추와 조임볼트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궤도부(2)에는, 상기 골프채(1)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마찰저감수단(12)이 이동하는 궤도(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궤도(21)는 이상적인 골프채 스윙 궤도에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궤도(21)는 상기 스윙궤도부(2)의 내측에 형성되거나(도 5(a) 참조),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5(b) 및 도 5(c) 참조). 도 5(c)에는 단면이 원형인 두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스윙궤도부(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찰저감수단(12)은, 상기 스윙궤도부(2)의 내측면을 상기 궤도(21)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이거나(도 5(a) 참조), 상기 스윙궤도부(2)의 외측면을 상기 궤도(21)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b) 및 도 5(c) 참조). 그리고, 상기 스윙궤도부(2)는, 조립상의 편리를 위하여 복수 개의 부분으로 분리가능하게 분리부(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에는, 상기 스윙궤도부(2)의 양 측에 연결된 궤도지지대(31)가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할 경우, 상기 지지판(3)에는, 소정 높이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32, 33, 34)와 상기 감지센서(32, 33, 34)가 감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35)가 장착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감지센서(32)는 오른무릎쏠림 감지센서이고, 감지센서(33)는 왼무릎쏠림 감지센서이고, 감지센서(34)는 엉덩이뒤로빠짐 감지센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스윙연습을 하기 위하여, 양 발을 상기 지지판(3) 상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골프채(1)의 손잡이를 잡는다. 이 때, 개개의 골퍼의 신장 등의 차이에 따른 상기 골프채(1) 손잡이의 높낮이는, 상기 상부샤프트(113)를 상기 하부샤프트(1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손쉽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부샤프트(113)의 높이가 적절히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골프채(1)를 스윙한다. 이 때, 상기 스윙궤도부(2)의 궤도(21)는 이상적인 스윙 궤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퍼는 상기 궤도(21)를 따라 반복적으로 스윙 연습을 통하여 이상적인 스윙 궤도를 숙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골퍼에 따라 상기 골프채(1)의 무게를 조절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데, 이 때는 상기 하부샤프트(114)의 무게조절수단(115)을 조절하여 무게를 변경하여 주면 된다.
한편, 스윙연습 중에 오른무릎이 과다하게 오른쪽으로 쏠릴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32)가 오른무릎을 감지하게 되고, 왼무릎이 과다하게 왼쪽으로 쏠릴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33)가 왼무릎을 감지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엉덩이가 과다하게 뒤로 쏠릴 경우에는 감지센서(34)가 엉덩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32, 33, 34)에 의해 감지된 결과는 디스플레이(35)에 전송되기 때문에, 골퍼는 스윙연습 중에 자신의 스윙자세의 문제점을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실ㆍ내외 어느 곳에서도 자유롭게 이상적인 스윙 궤도를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으며, 또한 올바른 스윙궤도, 스윙자세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스윙자세의 수정 및 실전에서의 비거리 향상 등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골프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의 측면확대도로서, 도 5(a)는 궤도를 따라 마찰저감수단이 스윙궤도부의 내측면을 이동하는 베어링을 나타내고, 도 5(b) 및 도 5(c)는 궤도를 따라 마찰저감수단이 스윙궤도부의 외측면을 이동하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발명의 지지판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골프채, 2...스윙궤도부,
3...지지판, 11...샤프트,
12...마찰저감수단, 21...궤도,
22...스윙궤도부(2)의 분리부, 31...궤도지지대,
32,33,34...감지센서, 35...디스플레이,
111...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 112....상부샤프트(113)의 개구부,
113...상부샤프트, 114...하부샤프트,
115...무게조절수단.

Claims (9)

  1. 삭제
  2.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가변형 샤프트(11)와, 상기 샤프트(11)의 하단에 마찰저감수단(12)이 연결된 골프채(1)와; 상기 골프채(1)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샤프트(11)의 마찰저감수단(12)이 이동하는 궤도(21)를 형성하고 있는 스윙궤도부(2)와; 상기 스윙궤도부(2)를 지지하는 지지판(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1)는,
    그 내벽에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111)이 장착된 개구부(112)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상부샤프트(113)와;
    상기 개구부(112)를 통하여 상기 상부샤프트(113)의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111)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상부샤프트(113)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하부샤프트(1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 마찰저감수단(111)은,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샤프트(114)에는, 상기 샤프트(11)의 무게를 조절하는 무게조절수단(1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수단(12)은, 상기 스윙궤도부(2)의 내측면을 상기 궤도(21)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수단(12)은, 상기 스윙궤도부(2)의 외측면을 상기 궤도(21)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에는, 소정 높이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32, 33, 34)와, 상기 감지센서(32, 33, 34)로부터의 감지결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35)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9. 삭제
KR10-2003-0046831A 2003-07-10 2003-07-10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0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31A KR100502544B1 (ko) 2003-07-10 2003-07-10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PCT/KR2004/001663 WO2005005002A1 (en) 2003-07-10 2004-07-07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s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31A KR100502544B1 (ko) 2003-07-10 2003-07-10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237U Division KR200328282Y1 (ko) 2003-07-10 2003-07-10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59A KR20050006859A (ko) 2005-01-17
KR100502544B1 true KR100502544B1 (ko) 2005-07-25

Family

ID=3405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8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2544B1 (ko) 2003-07-10 2003-07-10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2544B1 (ko)
WO (1) WO2005005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07Y1 (ko) * 2005-07-13 2005-10-10 성민경 골프 스윙연습장치
KR100676649B1 (ko) * 2006-05-08 2007-02-02 성민경 골프 스윙연습장치
US9561421B2 (en) 2014-09-30 2017-02-07 James Hungelmann Sports training and conditioning apparatus relating to golf
CN105664463A (zh) * 2016-02-19 2016-06-15 陆玉正 一种高尔夫球动作训练装置
CN109718525B (zh) * 2019-03-05 2025-01-14 杨智显 一种高尔夫挥杆练习器
CN113491865B (zh) * 2021-07-27 2022-05-17 沈阳体育学院 一种高尔夫核心力量挥杆轨道训练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069A (ja) * 1992-10-29 1994-05-17 Fine:Kk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装置
JPH06304277A (ja) * 1993-04-21 1994-11-01 Yasuhiko Toyoda ゴルフの基本スイング練習器
KR100290984B1 (ko) * 1998-11-14 2001-06-01 김학수 골프동작연습기
JP2001161879A (ja) * 1999-12-13 2001-06-19 Yasuo Miyashita ゴルフ練習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59A (ko) 2005-01-17
WO2005005002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8138B1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KR20060025532A (ko)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CN101600482A (zh) 充气式高尔夫挥杆练习器械
US20080188331A1 (en) Swing training device
KR100349769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US7416492B2 (en) Golf clubface swing trainer
KR100489418B1 (ko)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WO2008011425A2 (en) Golf tee with body stance alignment feature
US4023811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860873A (en) Golf swing trainer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200328282Y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EP1101512A3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KR100926615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5145178A (en) Golf game apparatus
US6712720B2 (en) Method for practicing golf shots
KR1010814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
KR200220556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EP1778373A2 (en) Golf putter
KR20150001269U (ko) 골프스윙 연습용 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