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08393B1 - 신경변성질환 치료약 - Google Patents

신경변성질환 치료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393B1
KR100508393B1 KR10-2000-7007033A KR20007007033A KR100508393B1 KR 100508393 B1 KR100508393 B1 KR 100508393B1 KR 20007007033 A KR20007007033 A KR 20007007033A KR 100508393 B1 KR100508393 B1 KR 10050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s
mptp
dopamine
d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890A (ko
Inventor
요시노부 마슈다
요시아키 오치
Original Assignee
다이닛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4941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083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닛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39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니사미드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료약은 포유류(인간을 포함)의 파킨슨병, 헌팅톤 질환, 무도병 증후군 및 실조 증후군 등의 신경변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경변성질환 치료약 {REMED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본 발명은 조니사미드(zonisamide)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에 관한 것이다.
조니사미드[화학명: 3-술파모일메틸-1,2-벤즈이속사졸 또는 1,2-벤즈이속사졸-3-메탄술폰아미드; 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10323쪽 (1996) 참조.]는 일본, 한국 등에서 항간질제로서 여러가지 간질 발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고있다. 조니사미드의 제조 방법 및 항간질제로서의 그의 유용성은 일본특허공고 제 (소화) 60-33114호, 일본특허공고(소화) 61-59288호 및 미국특허 제 4,172,896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고(평성) 7-84384호 및 미국특허 제 5,128,354호에는 허혈성 뇌장해 치료약으로서 조니사미드의 유용성이 기재되어 있다.
노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등의 신경변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파킨슨병은 환자의 협조적 운동에 장애가 있는 진행성의 질환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환자의 동작이 느려지게 되며, 마지막에는 팔 및 다리에 근경직(rigidity) 또는 진전(tremor) 등의 증상을 야기하는 비참한 질환이다. 상기 질환은 흑질선조체 내의 도파민 생성 뉴런의 붕괴 및 소실에 의한 선조체 도파민의 결핍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한편, C57 흑색 마우스에 1-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이하, "MPTP"로 언급함)을 투여해 제조되는, 선조체의 도파민 결핍성 동물은 파킨슨병 동물 모델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Life Sci., 54, 245 (1994)에는 항간질제: 라모트리진(lamotrigine)[화학명: 3,5-디아미노-6-(2,3-디클로로페닐)-1,2,4-트리아진] 및 페니토인(phenytoin)이 MPTP에 의해 야기된 도파민 결핍에 대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카바마제핀(carbamazepine)은 그러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실험에서는, MPTP 염산염을 C57 흑색 마우스에 15 mg/kg의 용량으로 단지 일회 피하 주사했으며, 그러므로 상기 마우스는 파킨슨병을 위한 동물 모델로서 반드시 적합하지는 않다.
현재, 파킨슨병의 약물 치료에는, 도파민 보충제(예를 들면, 레보도파(levodopa) 단제 또는 레보도파와 카비도파(carbidopa)의 합제 또는 병용치료), 도파민성 효능제(예를 들면,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또는 터구리드(terguride)), 도파민 방출제(예를 들면, 아만타딘(amantadine)), 항콜린제(예를 들면, 비페리덴(biperiden) 또는 트리헥시페니딜 (trihexyphenydyl) ), 모노아민 산화효소 B형(MAO-B) 억제제(예를 들면, 셀레길린(selegil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이 효력 및 부작용 면에서 반드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며, 유효한 신규 의약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이 MPTP로 야기된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해 극히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C57 흑색 수컷 마우스에 MPTP 염산염 30 mg/kg 용량을 1일 1회 복강내에 8일 동안 반복 투여하여, MPTP의 최종 투여 24시간 후에 적출한 선조체에 있어서 각종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및 그의 대사체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C57 흑색 수컷 마우스에 있어서, MPTP로 야기한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한 조니사미드 및 카바마제핀의 MPTP의 최종 투여 14일 후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경변성 질환 치료용 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의 제조를 위한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의 유효량을 신경변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류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유류(인간을 포함)의 신경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니사미드의 알칼리 금속염의 예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리튬염이 있다. 조니사미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고(소화) 60-33114호, 일본특허공고(소화) 61-59288호 및 미국특허 제 4,172,896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조니사미드 및 공지의 항간질제들의 약리학적 실험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냈으며, 그것으로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으로서의 조니사미드의 유용성을 설명했다. 약리학적 실험에서 대조 약물로서 사용한 항간질제는 다음과 같다.
카바마제핀(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1826 (1996) 참조),
페니토인(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7475 (1996) 참조),
라모트리진(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5367 (1996) 참조),
페노바르비탈(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7386 (1996) 참조),
에토숙시미드(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3794 (1996) 참조),
발프로산 나트륨(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10049 (1996) 참조),
디아제팜(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3042 (1996) 참조) 및
아세타졸라미드(예를 들면, Merck Index, 제 12판, 50 (1996) 참조).
각 실험에서, 선조체 내의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및 그의 대사체의 함유량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법으로 측정했다. HPLC를 다음의 조건하에서 펌프(L-6000, 일본 히다찌세이샤꾸쇼), 자동주입기, 칼럼(Cosmosil 5C18-A, Nacalai Tesque, Inc., 일본, 4.6Øx 250 mm), 및 전기화학 검출기(ECD-100, Eicom Corporation, 일본)로 구성된 시스템을 사용해서 행했다.
이동상: 0.075 M 과염소산 나트륨을 함유하는 0.05 M 구연산 : 아세토니트릴 완충액 (92.5 : 7.5, pH 4.3)
상기 완충액은 0.022% 옥타술폰산 나트륨 및 0.0015% EDTA·2나트륨염을 함유했다.
유속: 0.9 ml/분.
검출 조건:
작용 전극: 흑연 전극
참조 전극: 은/염화은
인가 전압: 750 mV
그외에, 통계학적 분석은 둔네트(Dunnett's) 다중비교검사로 행했다.
실험예 1
파킨슨병 동물 모델의 제작:
C57 흑색 수컷 마우스(생후 11주된 것)를 실험에 사용했다. MPTP 염산염을 생리식염수에 3 mg/ml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생성 용액을 마우스 체중 10 g 당 0.1 ml의 용적, 즉, 30 mg/kg의 용량으로 1일 1회 마우스 복강내에 8일 동안, 반복적으로 주사했다. MPTP 최종 투여 24시간 후, 마우스의 머리에 극초단파를 조사하고, 선조체를 적출했다.
적출한 선조체에 내부표준물질(5-히드록시트립토폴; 20 ng/ml)을 함유하는 0.1 N 포름산:아세톤(15:85)의 50배 용적으로 균질화시키고, 이 혼합물을 냉각하에 원심분리했다. 일정량의 상청액을 모으고, 질소 가스의 흐름하에 증발 건조했다. 이어서, 생성물을 0.01 N 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원심분리하고, 이어서 상청액 중의 각종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및 그의 대사체의 함유량을 전기화학 검출기가 장치된 HPLC로 측정했다.
MPTP 최종 투여 24시간 후의 각종 신경전달물질 및 그의 대사체 함유량의 변화를 도 1에서 나타냈다. 각 군의 동물의 수는 8마리이며, 도 중의 수직선은 표준오차를 나타내고, 표식 **은 p<0.01인 대조군(생리 식염수로 처리한 군)의 수치와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MPTP는 도파민(DA) 및 그의 대사체인 호모바닐산(HVA) 및 3,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DOPAC)의 함유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지만, 노르아드레날린(NA), 세로토닌(5HT) 및 그의 대사체인 3-메톡시-4-히드록시페닐에틸렌글리콜(MOPEG) 및 5-히드록시인돌아세트산(5HIAA)의 함유량에는 결코 영향을 주지 않으며, 그리하여, MPTP가 도파민성 신경에 선택성을 나타낸 것이 확인 되었다.
또한, 실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MPTP로 야기한 선조체 내의 도파민 및 그의 대사체 함유량의 감소는, MPTP 최종 투여 14일 후에서도 관찰되기 때문에, 그의 함유량의 이러한 감소는 비가역적이며, 도파민 결핍 마우스가 파킨슨병을 위한 동물 모델로서 극히 적합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실험예 2
MPTP에서 야기된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한 억제 효과:
C57 흑색 수컷 마우스(11주된 것)에, 실험 1과 같은 방식으로, MPTP 염산염을 30 mg/kg 용량으로 1일 1회, 8일 동안, 반복적으로 복강내에 투여했다. 시험 약물, 즉, 항간질제를 0.5% 트라가칸트 수용액에 현탁시키고, 생성물을 MPTP 투여 30분 전에 마우스 체중 10 g당 0.1 ml 용적으로 마우스에 8일 동안 경구 투여했다. 조니사미드 및 카바마제핀의 실험 중의 MPTP 최종 투여 24시간 및 추가로 14일 후에, 마우스의 머리에 극초단파를 조사시키고, 그로부터 선조체를 적출했다. 선조체 내의 도파민 및 그의 대사체의 함유량을 실험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했다. 각종 항간질제의 실험에서, 조니사미드(ZNS); 카바마제핀(CBZ); 및 페니토인(PHT), 라모트리진(LTG), 페노바르비탈(PB), 에토숙시미드(ESM), 발프로산 나트륨(VPA), 디아제팜(DZP) 및 아세타졸라미드(AZA)로 이루어지는 군은 각각 다른 날에 시험했다. 각종 항간질제의 각각의 투여량은 아래와 같다. 또한, 투여량 다음의 괄호안의 수치는 마우스에서의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으로써, 라모트리진 및 디아제팜은 Epilepsia, 27, 483 (1986)에 기재된 수치를, 및 기타 항간질제는 Arzneim. Forsch. (Drug Res.), 30, 477 (1980)에 기재된 수치를, 각각 이용했다.
조니사미드(ZNS): 10, 30, 100 mg/kg (각각, 약 0.5배, 약 1.5배, 약 5.1배)
카바마제핀(CBZ): 20, 60 mg/kg (각각, 약 1.5배, 약 4.5배)
페니토인(PHT): 30 mg/kg (약 3.8배)
라모트리진(LTG): 30 mg/kg (약 11.5배)
페노바르비탈(PB): 40 mg/kg (약 3.4배)
에토숙시미드(ESM): 600 mg/kg (약 2.2배)
발프로산 나트륨(VPA): 800 mg/kg (약 2.5배)
디아제팜(DZP): 5 mg/kg (약 4.2배) 및
아세타졸라미드(AZA): 100 mg/kg (약 3.8배)
하기 표 1에, MTPT의 최종 투여 24시간 후의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한 각종 항간질제의 억제 효과를 선조체 내의 도파민 및 그의 대사체인 3,4-디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DOPAC)의 함유량 및 억제율의 관점에서 나타냈다. 억제율은 정상 동물군, 부형제 처리군 및 시험 약물 처리군의 수치로부터 계산했다. 표 중의 수치들은 평균치 ± 표준오차를 나타내고, 표 * 및 **은 각각, p<0.05 및 p<0.01로 부형제 처리군의 수치와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MPTP 최종 투여(각 군당 5 내지 6마리의 동물) 14일 후의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한 조니사미드 및 카바마제핀의 억제 효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중의 수직선은 표준오차를 나타내고, 표 * 및 **은 각각, p<0.05 및 p<0.01로 부형제 처리군의 수치와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MPTP로 야기한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한 억제 효과
시험 약물 투여량(mg/kg, po) 동물의 수 DA(ng/g 조직) 억제율(%) DOPAC(ng/g 조직) 억제율(%)
정상 동물군 - 8 8598±560** - 421±19** -
부형제 처리군 - 8 2366±141 - 136±6 -
ZNS 1030100 968 3797±201*7373±685**8434±336** 22.380.397.2 221±11*370±27**447±24** 29.882.1109.1
정상 동물군 - 6 6558±743** - 416±56** -
부형제 처리군 - 5 1932±355 - 138±27 -
CBZ 2060 45 3087±4532894±750 25.020.8 251±36202±52 40.623.0
정상 동물군 - 5 7485±705** - 543±22** -
부형제 처리군 - 5 2029±353 - 133±19 -
PHTLTGPBESMVPADZPAZA 3030406008005100 6664446 4073±454*4844±676**3310±5441008±1822984±4683356±4511803±428 37.451.623.5-18.717.524.3-4.1 257±30*273±31**200±3280±10187±29208±28138±23 30.234.116.3-12.913.218.31.2
표 1 및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니사미드(ZNS)는 MPTP로 야기된 선조체 내의 도파민(DA) 및 그의 대사체인 3,4-디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DOPAC)의 함유량의 감소에 대해서, 24시간군 및 14일 군 모두에 있어서,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약 0.5배에 상당하는 10 mg/kg의 용량으로 부터, 투여량 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조니사미드는 30 mg/kg의 투여량(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약 1.5배인 용량)에서 도파민 및 DOPAC 모두의 함유량 감소에 대해 극히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100 mg/kg의 투여량(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약 5.1배인 용량)에서는 거의 100% 억제율을 나타냈다.
한편, 표 1 및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카바마제핀(CBZ)은 MPTP에 의해 야기된 선조체 내 도파민 및 DOPAC 함유량의 감소에 대해서, 24시간 군 및 14일 군 모두에 있어서 어떤 현저한 억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그외에, 기타 항간질제 중에서, 라모트리진(LTG) 및 페니토인(PHT) 이외의 것들은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2배 또는 그 이상의 용량에 있어서도 선조체 내의 도파민 및 DOPAC의 함유량의 감소를 억제하지 못했다. 페니토인이 30 mg/kg의 투여량(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약 3.8배 용량)에서 도파민 및 DOPAC의 함유량 감소를 현저하게 억제했지만, 그의 억제율은 각각, 37.4% 및 30.2%에 지나지 않았다. 라모트리진은 30 mg/kg의 투여량(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약 11.5배 용량)에서 페니토인보다 강하게 도파민 및 DOPAC의 함유량 감소를 억제했으나, 그의 억제율은 각각, 51.6% 및 34.1%에 지나지 않았고, 이것은 30 mg/kg의 투여량(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약 1.5배 용량)에서의 조니사미드의 억제율인 80.3% 및 82.1%보다 훨씬 약한 것이었다.
위 실험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은 낮은 독성을 갖는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에서 MPTP로 야기한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해 극히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므로, 이는 포유류(인간을 포함)의 일차성 또는 이차성 파킨슨병, 헌팅톤 질환(Huntington's disease), 무도병 증후군(choreic syndrome) 및 실조 증후군(dystonic syndrome) 등의 각종 신경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서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경구, 비경구 및 직장내 경로 중 어느 경로에 의해서도 투여될 수 있다.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치료할 병의 종류, 증상의 정도, 환자의 나이 등에 의존해 변화되지만, 보통 1 내지 50 mg/kg/일, 바람직하기는 2 내지 20 mg/kg/일이고, 이것은 1회 또는 수회로 투여될 수 있다.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은 단독 또는 약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혼합해서 조제된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서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제, 시럽제, 주사제, 및 좌약 등의 투여형일 수 있고, 통상의 방법으로 제제할 수 있다. 그 외에, 항간질제로서 시판되는 조니사미드의 정제 및 분말제는 본 발명의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약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의약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거나, 조니사미드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과 반응하지 않는, 통상의 것일 수 있다. 정제, 캡슐제, 과립제 및 분말제의 제제를 위한 약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의 적합한 예는 부형제(예를 들면, 락토스, 옥수수 전분, 수크로스, 만니톨, 황산 칼슘, 또는 결정성 셀룰로스), 붕해제(예를 들면, 카멜로스 나트륨, 변성 전분, 또는 카멜로스 칼슘), 결합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윤활제(예를 들면, 경질 무수 규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수소첨가 오일)를 포함한다. 정제는 카르나우바 왁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마크로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수크로스, 산화 티타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인산 칼슘 등의 기존의 피복제를 사용해 기존의 방식으로 피복할 수 있다.
시럽제의 제제를 위한 약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의 적합한 예는 감미제(예를 들면, 수크로스, 글루코스 또는 프룩토스), 현탁제(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트, 카멜로스 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알긴산 나트륨, 결성성 셀룰로스, 또는 비검(veegum)) 및 분산제(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라우릴 나트륨,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를 포함한다. 시럽제 제제에 풍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시럽제는 사용시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건조 시럽의 형태일 수 있다.
좌약용 기제에 적합한 예는 카카오 버터, 글리세린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로젤라틴 및 마트로골을 포함한다. 좌약 제제에 계면활성제 또는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시킬 수 있다.
주사제는 보통, 조니사미드의 알칼리 금속염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고, 거기에 가용화제, 완충제, pH 조정제, 등장화제, 통증 감소제 또는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의약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해, 0.5% 이상(중량 %, 이하 동일), 바람직하기는 10-70%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의약 조성물은 아래에 언급된 것과 같은 치료에 유효한 기타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은 도파민 보충제(예를 들면, 레보도파 단제 또는 레보도파와 카르비도파의 합제 또는 병용 치료), 도파민성 효능제(예를 들면, 브로모크립틴 또는 터구리드), 도파민 방출제(예를 들면, 아만타딘), 항콜린제(예를 들면, 비페리덴 또는 트리헥시페니딜) 및 모노아민 산화효소 B 형(MAO-B) 억제제(예를 들면, 셀레길린) 등의 기타 의약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의 의약 조성물을 아래에 예시했다.
제제예 1 : 정제:
조니사미드 100 g
락토스 35 g
옥수수 전분 17 g
결정성 셀룰로스 40 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6 g
경질 무수 규산 1 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g
총 200 g
위의 성분 중, 조니사미드, 락토스, 옥수수 전분 및 결정성 셀룰로스를 혼화하고, 거기에 물에 용해시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혼련한 후, 건조하고, 조립했다. 이들 과립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경질 무수 규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여 각각 중량 200 mg의 정제핵 1000개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정제핵들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마크로골, 산화 티타늄, 탈크 및 경질 무수 규산을 사용해서 기존의 방법으로 코팅해서 필름-코팅된 정제를 제제했다.
제제예 2: 20% 분말제
조니사미드 200 g
락토스 719 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0 g
경질 무수 규산 1 g
총 940 g
고전단 조립기를 사용해서, 위의 성분들을 혼화하고, 에틸셀룰로스(40 g)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20 g)을 함유하는 에탄올 용액(200 g)을 분무하고, 과립을 만들었다. 이 과립을 건조시키고, 크기를 조절해 20% 분말제를 제제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니사미드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은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는 투여량에서 도파민성 신경변성에 대해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신경변성질환 치료약으로서 파킨슨병, 헌팅톤병, 무도병 증후군 및 실조 증후군 등의 포유 동물(인간을 포함)의 각종 신경변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Claims (12)

  1. 유효 성분으로서 조니사미드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 헌팅톤병, 무도병 증후군, 또는 실조 증후군 치료약.
  2. 제 1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조니사미드인 치료약.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약이 파킨슨병을 위한 것인 치료약.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0-7007033A 1997-12-26 1998-12-21 신경변성질환 치료약 Expired - Fee Related KR100508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931397 1997-12-26
JP97/369313 1997-12-26
PCT/JP1998/005757 WO1999033465A1 (en) 1997-12-26 1998-12-21 Remed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__________________________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890A KR20010015890A (ko) 2001-02-26
KR100508393B1 true KR100508393B1 (ko) 2005-08-17

Family

ID=1849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0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8393B1 (ko) 1997-12-26 1998-12-21 신경변성질환 치료약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42515B1 (ko)
EP (1) EP1040830B1 (ko)
JP (1) JP3364481B2 (ko)
KR (1) KR100508393B1 (ko)
CN (1) CN1149084C (ko)
AT (1) ATE297204T1 (ko)
CA (1) CA2317044C (ko)
DE (1) DE69830512T2 (ko)
ES (1) ES2244103T3 (ko)
PT (1) PT1040830E (ko)
WO (1) WO1999033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25187A1 (en) * 2000-10-09 2002-04-18 Kay Double Detection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20050215552A1 (en) * 2002-05-17 2005-09-29 Gadde Kishore M Method for treating obesity
KR20110043664A (ko) * 2002-05-17 2011-04-27 듀크 유니버시티 비만치료방법
EP1539145A2 (en) * 2002-09-13 2005-06-15 Eisai Co., Ltd. Method of treating tremors
US20050059718A1 (en) * 2003-02-21 2005-03-17 Hayato Miyachi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DK1617832T3 (da) 2003-04-29 2008-07-07 Orexigen Therapeutics Inc Præparater til påvirkning af vægttab
US20050043704A1 (en) * 2003-08-21 2005-02-2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US20050043773A1 (en) * 2003-08-21 2005-02-24 Ivan Lieberburg Methods of improving the safety of zonisamide therapy
US20050154034A1 (en) * 2004-01-08 2005-07-1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US20050154032A1 (en) * 2004-01-08 2005-07-1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US20050154033A1 (en) * 2004-01-08 2005-07-1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US20050154035A1 (en) * 2004-01-09 2005-07-1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US20050154036A1 (en) * 2004-01-09 2005-07-1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US20050154037A1 (en) * 2004-01-09 2005-07-14 Eisai Co., Ltd. Methods of using zonisamide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WO2006023703A2 (en) * 2004-08-20 2006-03-02 Cypress Bioscience, Inc. Method for treating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CN101166516A (zh) * 2005-01-21 2008-04-23 特瓦制药工业有限公司 稳定的唑尼沙胺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EP1913935A1 (en) * 2005-01-21 2008-04-23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Stabl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zonisamide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20080188510A1 (en) * 2005-05-23 2008-08-07 Eisai R & D Management Co., Ltd. Novel methods using zonisamide
WO2007067341A2 (en) 2005-11-22 2007-06-14 Orexigen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insulin sensitivity
US8916195B2 (en) 2006-06-05 2014-12-23 Orexigen Therapeutics, Inc.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of naltrexone
KR20140088619A (ko) * 2006-11-09 2014-07-10 오렉시젠 세러퓨틱스 인크. 단위 용량 팩키지
KR101479324B1 (ko) 2006-11-09 2015-01-05 오렉시젠 세러퓨틱스 인크. 신속하게 용해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층상의 약제학적 제형
WO2009054543A1 (en) * 2007-10-26 2009-04-30 Eisai R & D Management Co., Ltd. Ampa receptor antagonists and zonisamide for parkinson's disease and movement disorders
CN102065858B (zh) * 2008-04-29 2014-07-02 法奈科斯公司 使用唑尼沙胺和阿坎酸治疗阿尔茨海默病和相关病症的组合组合物
US20110144145A1 (en) * 2008-05-30 2011-06-16 Orexigen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visceral fat conditions
BR112012016783A2 (pt) 2010-01-11 2015-09-01 Orexigen Therapeutics Inc "usos do composto de naltrexona ou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a mesma a bupropiona ou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a mesma ou de composição dos mesmos e métodos para proporcionar terapia"
EP4104824B1 (en) 2012-06-06 2025-05-21 Nalpropion Pharmaceuticals LLC Composition for use in a method of treating overweight and obesity in patients with high cardiovascular risk
JP6155266B2 (ja) * 2012-08-01 2017-06-28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ゾニサミドを含有する経皮吸収型製剤
EP2952196A4 (en) * 2013-01-31 2016-08-03 Sawai Seiyaku Kk MULTILAYER TABLET CONTAINING TELMISARTAN AND HYDROCHLOROTHIAZIDE
HK1252796A1 (en) * 2015-09-30 2019-06-0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Nagoya University Therapeutic and/or preventive agent for peripheral nerve disorders or spinal cord injury
WO2019038584A1 (en) 2017-08-19 2019-02-28 Ftf Pharma Private Limited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ZONISAM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928771A1 (en) * 2020-06-23 2021-12-29 Laboratorios Lesvi, S.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1,2-benzisoxazole-3-methanesulfonamide
TW202214580A (zh) * 2020-07-07 2022-04-16 日商大日本住友製藥股份有限公司 苯并異㗁唑衍生物
JP7324953B2 (ja) * 2022-01-12 2023-08-10 住友ファーマ株式会社 ベンゾイソキサゾ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896A (en) 1978-06-05 1979-10-30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Methane-sulfonamide derivatives,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0396748B1 (en) * 1987-12-29 1993-10-13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Agent for treating ischemic brain trouble
US5830910A (en) * 1995-10-23 1998-11-03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Cytochalasins useful in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nerve cell injury associated with neurodegenerative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ilepsy Research, vol.22, pp.193-205(1995) *
The Japanese Journal of Psychiatry and Neurology, vol.48, no.2, pp406-408(19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7044A1 (en) 1999-07-08
EP1040830B1 (en) 2005-06-08
CA2317044C (en) 2008-02-26
HK1029043A1 (en) 2001-03-23
DE69830512T2 (de) 2006-03-23
US6342515B1 (en) 2002-01-29
JP3364481B2 (ja) 2003-01-08
CN1149084C (zh) 2004-05-12
PT1040830E (pt) 2005-08-31
ATE297204T1 (de) 2005-06-15
WO1999033465A1 (en) 1999-07-08
ES2244103T3 (es) 2005-12-01
EP1040830A1 (en) 2000-10-04
KR20010015890A (ko) 2001-02-26
EP1040830A4 (en) 2002-10-23
DE69830512D1 (de) 2005-07-14
CN1283113A (zh) 200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393B1 (ko) 신경변성질환 치료약
EP0306060B1 (en) Pharmaceutical products providing enhanced analgesia
EP1106178B1 (en) Use of ibudilast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HU202108B (en)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erotonine antqgonistic derivatives of indol-carboxylic acid or imidazolyl-methyl-carbazol
EP140563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quinuclidin-3&#39;-yl 1-phenyl-1,2,3,4,-tetrahydroisoquinoline-2-carboxylate for treatment of interstitial cystitis and/or abacterial prostatitis
EP1073430B1 (en) Use of nmda antagonists and/or sodium channel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JPH0761923A (ja) アルツハイマー病治療剤
EP0207011B1 (en) Use of some alkanoyl l-carnitine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rapeutical treatment of idiopathic and induced parkinsonism
RU2275906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и паркинсона, включающее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оединение, улучшающее астроцитную функцию
JP2003503457A (ja) 心臓血管合併症の治療用薬剤の製造におけるアンギオテンシンii1型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の使用
HUT50439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medical compositions suitable for treatment of sleep-disturbances and depression
EP1401450B1 (en) Use of a pyridazino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congestive heart failure
PT95698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contendo aril-alquilamidas utilizadas no tratamento de doencas neurodegenarativas
KR20090024248A (ko) Cxcr2의 선택적 길항제 또는 cxcr1과 cxcr2 둘다의 선택적 길항제의 약제학적 제형 및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이의 사용방법
JPH01131113A (ja) 脳障害治療剤
AU761978B2 (en) Use of 2-amino-6- trifluoromehthoxy- benzothiazol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erebellum dysfunction
HK1029043B (en) Remed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MXPA00006353A (en) Remed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___________________________
JP2001500526A (ja) 粘液溶解剤としての2−メチル−チアゾリジン−2,4−ジカルボン酸の使用
JP4243701B2 (ja) ベンズアミド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リウマチ治療薬
JP2710638B2 (ja) 膵臓疾患治療剤
KR100193929B1 (ko) 브레타제닐을 포함하는 수면장해 치료용 약제
CA1229793A (en) Medicament for cerebral apoplexy
JP2024534040A (ja) パーキンソン病の治療方法
HU201870B (en)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soretinoin as active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