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82791B1 -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791B1
KR100482791B1 KR1019970000948A KR19970000948A KR100482791B1 KR 100482791 B1 KR100482791 B1 KR 100482791B1 KR 1019970000948 A KR1019970000948 A KR 1019970000948A KR 19970000948 A KR19970000948 A KR 19970000948A KR 100482791 B1 KR100482791 B1 KR 10048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il
electronic control
pressure control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소야 유끼오
Original Assignee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0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791B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제어 유니트와의 접속부에 고정도 한 상대위치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제어 유니트(40)에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여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 유니트(10)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자제어 유니트(40)에 도체(35)를 사이에 두어 전자밸브의 코일부(30)를 접속하고, 코일부(30)를 압력제어 유니트(10)로부터 돌출한 전자 밸브의 돌출축부(20)에 끼워 넣은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

Description

브레이크 압력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차륜 로크를 회피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TCB), 일렉트로닉 브레이크 디스트리뷰션(제동력 분배 제어장치:EBD), 서스펜션 제어장치, 자동변속기 압력제어 장치등 각종 전자 제어 시스템을 장비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제어 유니트 케이스 내에 전자 밸브의 코일부를 배설하고, 이 전자 제어유니트를 압력제어 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공개 평6-298059호 공보 참조)
또는, 압력제어 유니트 측에 설치한 전자밸브 코일부와 서로 관계하는 전기적 커넥터를 전자 제어 유니트 측에 설치하여, 전기적 커넥터를 사이에 두어 전자 제어 유니트와 압력제어 유니트를 착탈가능하게 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공개 평 6-18332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종래의 것은 모두,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 유니트의 계합부간의 상대 위치 정도가 높지 않으면, 서로 관계할 수 없거나, 부하가 걸려서 계합부가 손상되기도, 또는 전기적 접속불량을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구조상도 상대 위치 공차에 따른 변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상 관리공수가 증가하고 있었다.
<2> 전자 제어 유니트 케이스 내에 전자 밸브의 코일부를 배설한 경우, 압력제어 유니트에 대한 전자 제어 유니트의 설치 위치가 1 개소에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차제시의 레이아우트위, 플랙시빌리티가 없었다. 또,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설치 위치가 1 개소에 고정되어 버리므로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었다.
<1> 본 발명은,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제어 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고, 이들 접속부에 고정밀도한 상대위치 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2> 본 발명은,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 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고, 압력 제어 유니트에 대한 전자 제어유니트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은 브레이크 압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3> 본 발명은,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고, 중계 커넥터와 복잡한 전기적 접속 구조가 불필요하고, 저가이며, 신뢰성 높은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4> 본 발명은,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 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고, 전자 밸브의 코일부 압력제어 유니트로의 유지가 확실하며, 또, 착탈이 용이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축부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돌출축부에 코일을 끼우고, 돌출축부의 홈에 리테이닝 링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축부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과 코일 사이에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돌출축부에 코일을 끼우고,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상기 돌출축부의 홈에 리테이닝 링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축부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탄성부재를 수용시킨 코일을 돌출축부에 끼우고,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상기 돌출축부의 홈에 리테이닝 링을 설치하며,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코일을 돌출축부에 끼우고,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플랫 스프링으로, 코일을 눌러서 유지하고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코일을 돌출축부에 끼우고, 하우징과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사이에 끼워져 고정시키는 플랫 스프링으로 코일을 눌러서,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도체는,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의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며, 상기 전자밸브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는, 자동차용 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수용체는, 캡형상의 요크링과 상기 요크링의 대구경측에 배치된 요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수용체는, 캡형상의 요크링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전체의 구성(제 1도 ~ 제 2도)
제 1도 및 제 2도의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다.
부호 (10)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의 압력제어 유니트(HCU), (20)는 전자밸브 압력수부의 돌출축부, (30)는 전자밸브의 코일부, (40)는 전자 제어유니트(ECU)이다.
압력제어 유니트(10)와 전자 제어 유니트(40)는, 압력제어 유니트(10)의 하우징(11)에서 돌출한 돌출축부(20)에 코일부(30)를 끼워서 전자기적으로 결합시켜서 한몸으로 맞붙여진다.
본 실시 형태는 코일부(30)와 전자 제어 유니트(40)를 도체(35)로 접속하고, 압력제어 유니트(10)와 전자 제어 유니트(40)를 떼어낼수있게 구성하는 점에 하나의 특징이 있다.
<2> 압력제어 유니트(제 1도~제 2도)
압력제어 유니트(10)는, 하우징(11)을 가지고, 그 배면에는 모터(12)가 접속되며, 하우징(11)의 내부에 복수의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모터(12)의 구동을 받아서 작동하는 액압 펌프와 복수의 액로가 구멍이 뚫어져 있어, 압력제어 유니트(10)의 윗면에 구멍을 뚫은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배관이 접속되는 포트와, 각차륜으로 접속되는 배관의 접속포트가 구멍이 뚫어져 있다.
<3> 전자 밸브의 돌출축부(제 3도)
제 3도에 전자밸브의 돌출축부(2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돌출축부(20)는, 예를들면 통형상의 슬리브(21)와 슬리브(21)내에 수용된 아마추어(22)와, 아마추어(22)의 중심에는 밸브봉(23)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부(30)에 통전하면 아마추어(22)와 함께 밸브봉(23)이 여자력을 받아 슬라이딩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시개식의 전자밸브의 경우는 코일부에 통전하면 유로를 닫고, 상기폐식의 전자 밸브의 경우는 유로를 열며, 양자 모두 기본 구성요소는 유사하다.
<4> 전자 밸브의 코일 부(제 3도)
전자 밸브의 코일부(30)는, 코일 수용체(31)를 가지고, 코일 수용체(31)의 내부에 선재를 보빈에 감은 코일(34)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수용체(31)는, 요크링(32)과 요크(33)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코일 선재의 양단에는 도체(35)가 접속되며, 도체(35)의 타단은, 전자 제어 유니트(40)에 접속되어 있다. 도체(35)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전선과 같은 플랙시블 도체를 사용할 수가 있다.
<5> 전자 제어 유니트(제 1도~제 2도)
전자 제어 유니트(40)는, 수지제 케이스(41)를 가지고, 케이스(41)내에 배선기판(42)을 배치한다. 배선 기판(42)에는 제어 회로가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코일부(30)에 통전하는 회로단자에는 도체(35)가 접속되어 있다.
이하 코일부와 돌출축부의 연결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전자 제어유니트의 배치(제 1도~제 2도, 제 4도~제 5도)
압력제어 유니트(10)와 전자 제어유니트(40)의 배치는, 코일부(30)를 전자 제어 유니트(40)의 케이스(41)의 외부에 배치하고, 도체(35)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관계에 설정할 수있다. 예를 들면, 제 2도와 같이 압력제어 유니트(10)에 대하여 모터(12)와는 반대면에 전자 제어 유니트(40)를 나사 등으로 고정한다. 또는, 제 4도 또는 제 5도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니트(40)를 압력제어 유니트(10)의 상하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라도, 코일부(30)는, 도체(35)로 접속되고, 전자제어 유니트(40)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유도를 가지고 돌출축부(20)에 끼울 수가 있다.
<2> 코일부의 설치(제 3도, 제 6도~제 10도)
돌출축부(20)에 코일부(30)을 끼워 넣는 경우, 제 3도 또는 제 6도~제 7도와 같이 탄성부재(50)를 압력제어 유니트(10)와 코일부(30) 사이에 개재시킨다. 탄성부재(50)는, 예를 들면, 스프링과 러버등 탄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있다.
돌출축부(20)에 코일부(30)를 설치하는 경우, 돌출축부(20)의 앞끝단부에 원주 형상의 홈(24)을 형성하고, 코일부(30)를 끼우며, 탄성부재(50)를 압축하여, 리테이닝 링(51)을 홈(24)에 끼운다. 리테이닝 링의 형상은, 예를 들면 제 6도와 제 7도등, 종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 8도 내지 제 10도와 같은 탄성부재(50)를 코일 수용체(31)의 내부에 배치하고, 요크(33)를 요크링(32)의 내부에 서로 끼울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제 8도와 같이 코일(34)의 주위에 러버 탄성부재(50)를 배치하기도, 또는 제 9도와 제 10도와 같이 러버와 스프링을 코일(34)의 상하에 배치하고, 요크(33)를 요크링(32)에 눌러 넣어서, 탄성부재(50)를 압축하여 홈(24)에 리테이닝 링(51)을 끼워 넣으며, 코일 부재(30)를 압축제어 유니트(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2> 코일부의 다른 설치방법(제 11도 및 제 13도)
제 11도 내지 제 12도와 같이 플랫스프링(52)등의 탄성을 가지는 것을 압력 제어유니트(10)의 하우징(11)에 고정하고, 코일부(30)를 돌출축부(20)에 끼워넣은 후, 코일부(30)를 플랫스프링(52)으로 눌러 붙여서 고정한다, 제 12도는 제 11도의 좌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는, 제 13도와 같이 플랫 스프링(52)을 압력제어 유니트(10)와 전자제어 유니트(40) 사이에 고정하고, 이 플랫스프링(52)으로 코일부(30)을 고정해도 좋다.
<4> 코일 수용체의 다른 구성(제 14도)
코일 수용체(31)로써, 제 3도의 요크(33)와 요크링(32) 대신에, 제 14도와 같이 한 몸으로써 구성한 캡형상의 요크링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부품 점수를 감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 전자 밸브의 코일부압을 전자 제어 유니트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도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 유니트와의 설치 위치 자유도가 높게 되며, 이들 접속부에 고정밀도한 상대위치 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 전자밸브의 코일부압을 전자 제어 유니트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하고, 도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중계 커넥터나 복잡한 전기적 접속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며, 저가이며 신뢰성을 높일수가 있다.
(다) 돌출축부의 홈과 리테이닝 링에 의하여 코일부와 압력제어 유니트로의 유지가 확실하게 되며, 또, 착탈이 용이하게 되었다.
(라) 전자 밸브의 수량이 바뀌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밸브를 적어도 전자 제어 유니트 도체의 관통홀을 러버 플러그 등으로 봉쇄할뿐으로, 같은 전자제어 유니트를 사용할 수가 있다.
제 1 도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의 조립도.
제 2 도는 제 1도의 결합도.
제 3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 배치도.
제 4 도는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 유니트의 배치도.
제 5 도는 압력제어 유니트와 전자 제어 유니트의 다른 배치도.
제 6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7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8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9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10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11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12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13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제 14 도는 돌출축부에 끼워 넣은 코일부의 다른 배치도.

Claims (9)

  1.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축부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돌출축부에 코일을 끼우고, 돌출축부의 홈에 리테이닝 링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2.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축부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과 코일 사이에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돌출축부에 코일을 끼우고,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상기 돌출축부의 홈에 리테이닝 링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3.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0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축부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탄성부재를 수용시킨 코일을 돌출축부에 끼우고,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상기 돌출축부의 홈에 리테이닝 링을 설치하며,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4.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코일을 돌출축부에 끼우고,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플랫 스프링으로, 코일을 눌러서 유지하고 코일을 압력 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5.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압력제어 유니트를 갖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코일수용체의 내부에 선재를 휘감은 관상의 코일과,
    상기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여자력으로 압력제어 유니트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돌출축부를 구비하며,
    코일을 돌출축부에 끼우고,
    하우징과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사이에 끼워져 고정시키는 플랫 스프링으로 코일을 눌러서, 코일을 압력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전자 제어유니트의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의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며, 상기 전자밸브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자동차용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수용체는, 캡형상의 요크링과 상기 요크링의 대구경측에 배치된 요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
  9.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수용체는, 캡형상의 요크링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
KR1019970000948A 1996-01-22 1997-01-10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KR10048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948A KR100482791B1 (ko) 1996-01-22 1997-01-10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7327 1996-01-22
KR1019970000948A KR100482791B1 (ko) 1996-01-22 1997-01-10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2791B1 true KR100482791B1 (ko) 2005-08-04

Family

ID=4366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948A KR100482791B1 (ko) 1996-01-22 1997-01-10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4005A1 (en) * 2017-05-02 2018-11-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Retaining ring anti-migra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273A (ja) * 1991-11-15 1993-06-08 Sumitomo Electric Ind Ltd 液圧ユニツトと電子制御ユニツトの一体化構造
JPH0742844A (ja) * 1993-07-30 1995-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ユニット一体化システムにおけるワイヤーハーネスシール構造
US5407260A (en) * 1992-12-21 1995-04-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ntilock brake system
JPH10264800A (ja) * 1997-03-26 1998-10-06 Nisshinbo Ind Inc 液圧制御装置
US5921639A (en) * 1996-01-22 1999-07-13 Nisshinbo Industries Inc.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273A (ja) * 1991-11-15 1993-06-08 Sumitomo Electric Ind Ltd 液圧ユニツトと電子制御ユニツトの一体化構造
US5407260A (en) * 1992-12-21 1995-04-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ntilock brake system
JPH0742844A (ja) * 1993-07-30 1995-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ユニット一体化システムにおけるワイヤーハーネスシール構造
US5921639A (en) * 1996-01-22 1999-07-13 Nisshinbo Industries Inc.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JPH10264800A (ja) * 1997-03-26 1998-10-06 Nisshinbo Ind Inc 液圧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4005A1 (en) * 2017-05-02 2018-11-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Retaining ring anti-migration system and method
US10975871B2 (en) 2017-05-02 2021-04-1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Retaining ring anti-migr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639A (en)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US5853231A (en) Pressure control device
US8246121B2 (en) Solenoid-valve unit for an electropneumatic controller
US4813448A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regulation
US5941282A (en) Electromagnetic valve unit
US6241489B1 (en) Internal electrical connector for a hydraulic control unit
US10793130B2 (en)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device
EP2700549B1 (en) Electric brake control apparatus
US6773078B2 (en)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US6679568B1 (en) Block-protected braking system
EP0832801B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US5904180A (en) Pressure control device integral formed the electric controller
US20010009881A1 (en) Control system for a transmission
US20010030461A1 (en) Electro-hydraulic braking systems
KR100482791B1 (ko) 브레이크 압력 제어장치
GB2054970A (en) Combined valve adjustment units
JP2004001684A (ja) 電子的に調整される電気−空気圧制動装置の電磁調整弁を備えかつcanデータバスを介して制御されるたebs車輪変調器制御装置用の電磁石コイルー圧力センサ装置
CN100391767C (zh) 用于车辆液压制动系统的制动力发生器
KR100413319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코일조립체 고정장치
KR100413314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115123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자제어장치와, 전자제어장치의 코일제조방법 및 코일 권선용 지그
KR10043420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코일 조립체 고정장치
EP0553812B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braking fluid
JP2000193123A (ja) 油圧制御用電磁弁装置
CN221121039U (zh) 电磁阀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