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82203B1 -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203B1
KR100482203B1 KR10-2002-0067474A KR20020067474A KR100482203B1 KR 100482203 B1 KR100482203 B1 KR 100482203B1 KR 20020067474 A KR20020067474 A KR 20020067474A KR 100482203 B1 KR100482203 B1 KR 10048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oil
weight
oil composition
rol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506A (ko
Inventor
김광수
박순복
이창수
Original Assignee
범우화학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우화학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범우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2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2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10M101/04Fatty oil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압연유에 첨가되는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압연유 첨가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중량%의 C8~C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 및 10~20중량%의 C12~C18지방산의 디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 에스테르 유화제 1~5중량%로 구성되며,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연유 조성물은 내열안정성이 우수하며, 압연작업 후 소재의 탈지성 30%이상 향상된다.

Description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An Additive For Rolling Oil and Roll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강 및 전기강판, 특히 전기강판의 압연에 윤활을 목적으로 압연유에 첨가되는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일반강에 비해 변형저항이 크고 소재의 온도조건이 더욱 가혹한(250℃) 전기강판의 온간가공시 압연유의 열적변화가 적어 안정된 윤활상태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후공정의 탈지성이 양호한 전기강판용 압연유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강판용으로 사용되는 수용성 냉간압연유는 기본적으로 일반강용 냉간압연유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냉간압연유의 경우 베이스 오일(기유)로는 동식물 유지류, 광유등이 사용되며, 지방산과 알콜등의 유성향상제, 극압첨가제, 방청첨가제, 산화방지제, 유화제등이 첨가제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냉간압연유는,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1~15중량%의 농도로 물에 희석하여, 에멀젼 상태로 제조하고 에멀젼 상태의 압연유를 순환사용한다.
한편 압연설비는 신예화를 통한 고속화 및 박판화되었고, 소재 측면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GO재(HGO, CGO)의 압연량이 증가함에 따라 (온간압연량 증대) 압연조건이 가혹하게 되고 있고(소재출측온도;170℃→250℃) 따라서 압연유의 내열안정성 및 작업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던 압연유는 상기 요구되는 압연유 물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압연유의 베이스오일(기유)로는 윤활성이 우수한 동식물 유지에 광유를 혼합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강판의 경우 일반 냉간압연에 비해 압연중 발생되는 고온의 마찰열과 가공발열, 압력조건등이 가혹하여 동식물 유지를 사용한 압연유의 경우 가수분해등 화학반응이 쉽게 일어나고 액의 산화 혹은 고분자 물질등이 쉽게 생성된다. 이와 같이 산화변성된 압연유는 압연작업을 통해 소재에 점착되어 후공정인 탈지공정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한다.
또한 열화된 기름은 압연작업중 발생하는 철분과 결합하여 많은 스컴물질을 생성한다. 스컴물질은 압연기 및 주변을 오염시킴으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강판용 압연유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유에 우수한, 내열안정성, 탈지성, 유화안정성 및 내오염성을 제공하는 압연유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압연유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열안정성, 탈지성, 유화안정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압연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중량%의 C8~C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 및 10~20중량%의 C12~C18지방산의 디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 에스테르 유화제 1~5중량%로 구성되는 압연유 첨가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중량%의 C8~C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 및 10~20중량%의 C12~C18지방산의 디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 에스테르 유화제 1~5중량%로 구성되는 압연유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연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압연유의 베이스오일(기유)로는 윤활성이 우수한 동식물 유지에 광유를 혼합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강판(특히CGO재)의 경우 일반 냉간압연에 비해 압연중 발생되는 고온의 마찰열과 가공발열, 압력조건등이 가혹함으로 인하여, 동식물 유지를 사용한 압연유에서는 가수분해등과 같은 화학반응이 쉽게 일어나며, 압연유가 쉽게 산화되거나 혹은 고분자 물질등이 쉽게 생성됨으로 다량의 스컴 물질이 형성된다. 또한, 고온 산화로 인한 점도 변화가 커서 안정된 압연작업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며, 후 공정인 탈지작업에서의 탈지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 압연유의 내열안정성, 윤활성 및 탈지성등을 향상시키고자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C8~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와 윤활성이 좋은 C12~18지방산의 디에스테르가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첨가될 수 있다. C8~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는 C12~18 지방산의 디에스테르에 비하여 점도가 낮다.
또한, 종래의 압연유 조성물에 유화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알킬에스테르 유화제가 유화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로 첨가된다.
상기 에스테르 및 유화제는 종래 사용되던 내열성, 윤활성, 탈지성, 유화안정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압연유에 첨가된다. 따라서, 기유로서의 정제 광유, 천연유지, 유화제, 극압첨가제, 산화방지제, 방청제, 윤활제등 기타 첨가제의 종류 및 그 함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C8-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는 다가알콜과 탄소수 C8~C12의 직쇄 또는 분기 지방산의 반응산물이며, 압연유에서 기유성분으로 작용하여 우수한 내열안정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중량%로 사용된다. 힌더드 트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20중량%미만일 경우는 윤활성이 저하된다. 40중량%이상 함유되는 경우는 윤활성은 우수하나 압연작업성이 떨어져 조업안정성(슬립발생)이 문제시 된다.
C12-18 지방산의 디에스테르는 다가알콜과 탄소수 C12~C18의 직쇄 또는 분기 지방산의 반응산물로서, 우수한 윤활성을 갖으며, 압연시 중요한 요인중 하나인 압연유의 점도 조절에 관여한다. 이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0~20중량%로 함유된다.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윤활성이 저하된다. 20중량%이상 함유되는 경우에는 윤활성은 우수하나 소경롤 사용에 의한 슬립 발생등에 의해 압연작업성이 떨어진다.
상기 에스테르는 기유성분으로 작용하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이들을 함께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을 정제 광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압연유의 내열안정성 및 탈지성이 향상된다.
천연유지로는 우지, 팜유 및 야자유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지가 1종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천연유지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천연유지는 투입양이 많을수록 탈지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연작업성 및 내오염성이 저하된다.
또한, 후술하는 첨가제등을 포함한 총 압연유 조성물의 잔부는 종래 기유의 주성분으로 사용되어온 정제광유이다.
한편, 유화제는 압연유가 용이하게 에멀션화되도록 적용되며, 이는 압연유를 물로 희석하여 에멀젼화하는 경우에 직접 작용한다. 유화제의 첨가량에 따라 증감되는 압연소재표면에 부착되는 기름의 양(플레이트 아웃성)의 대소에 의해 압연윤활성이 조정된다. 또한, 유화제에 의해 형성되는 압연유 입자경 크기와 분포에 의해서도 압연조업 안정성이 좌우된다.
그러나, 고온 고압의 압연조건에서는 기유와 더불어 유화제 또한, 열적으로 변성되며, 이로 인하여 유화제 고유의 유화성능이 감소되고 스컴 생성이 촉진된다. 한편 최근 압연공정에서는 압연작업 안정성 뿐만 아니라 압연기나 압연판면의 청정성이 요구됨으로, 압연판 표면의 균일성 및 압연유 관리의 용이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압연작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압연중에 스컴 발생량이 적고 그 처리가 용이하여 압연기 주변을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균일한 입자경이 유지되어 고속,고압,고온의 압연조건에서도 조업이 안정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은 기유만의 조성으로는 전부 해결될 수 없는 것으로, 윤활첨가제, 산화방지제등 여러가지 첨가제들의 전체적인 조합과 함께 압연유의 에멀젼화에 필수적인 유화제의 유화특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로서 종래 사용되는 비이온계 유화제인 노닐페놀계, 아민염계 및 글리콜계 유화제와 함께 열안정성이 우수한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에스테르 유화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스컴발생이 억제되고 입자경 분포가 균일해 진다. 입자경 분포가 균일하게 됨으로써 압연조업 안정성이 증대된다.
압연유의 순환사용중 균일한 입자경 유지를 통한 압연조업 안정성을 위해서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에스테르 유화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이면 압연유의 스컴 발생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탈지성 및 유화안정성이 저하된다.
노닐폐놀계 유화제, 아민염계 유화제 및 글리콜계 유화제는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선택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을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들면, 노닐페놀계 유화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4중량%의 양으로, 아민염계 유화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2.5중량%의 양으로 그리고 글리콜계 유화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3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연유 첨가제가 첨가되는 압연유 조성물에는 기타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극압첨가제, 산화방지제, 방청첨가제, 윤활첨가제, 미생물 증식 억제제등 기타첨가제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이들의 종류 및 사용양은 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극압첨가제로는 통상의 냉간압연유의 극압첨가제로 사용되는 인계 및 황계 극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인계극압제의 예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족 아민의 인산염 유도체, 방향족 아민의 인산염 유도체, 아연 디티오 인산염(Zinc dithio posphate), 트리알킬 인산염(Trialkyl phosphate)을 포함한다.
황계극압제의 예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황화유지, 디도데실 트리설파이드(Didodecyl trisulfide), 디벤질 펜타설파이드(Dibenzyl pentasulfide)와 같은 방향족, 또는 알킬그룹에 -C-S-, -S-S-, -S-S-S-S-의 구조를 갖는 극압제를 포함한다.
극압첨가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내로 사용될 수 있다. 극압첨가제의 증량에 따른 냉간압연유의 극압윤활특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압연유의 유화안정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유화불안정은 조업안정성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윤활첨가제의 예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테아린산, 우지지방산, 야자지방산, 오레인산, C30-C36다이머산을 포함한다. 윤활첨가제는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8중량%이내로 사용될 수 있다. 윤활첨가제의 증량에 따른 전기강판용 냉간압연유의 윤활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으며,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연유 사용중 지방산 석검에 의한 스컴의 발생이 많아지며, 따라서, 오일스테인의 발생등으로 강판표면품질이 저하된다.
산화방지제로 페놀계 산화방지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페닐아민의 유도체등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5~2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0.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압연조건중 압연유의 산화에 의한 점도 상승억제 및 검(gum) 물질 생성방지 효과가 미약하며, 2중량%이상 첨가되더라고 그 효과가 증대되지 않는다.
방청첨가제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들어, 아민 유도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알킬 아민이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4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0.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압연유의 방청효과가 미약하며, 4중량%이상 첨가시에는 압연유의 pH 변화에 의한 유화불안정 현상이 나타난다.
미생물증식 억제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들어, 안식향산 나트륨염 유도체가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미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 증식 억제제는 압연 조업중 압연기 주변에 형성되는 스컴물질의 형성 및 성장을 억제하며, 철박테리아(스컴중에 함유되어 있는)에 의한 압연기 부식현상을 억제하지만 1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더라도 그 효과가 더 이상 증대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은 사용시 물로 희석하여 1~15중량%의 농도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은 어떠한 강판의 압연에 적용가능하며, 특히 전기강판의 압연에 이롭게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성 전기강판(GO 재)의 압연에 이롭게 사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이 적용되는 압연조건시의 온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온간 압연시 우수한 내열안정성으로 인하여 특히 사용하기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된 비교예 1 내지 6, 발명예 1 내지 4및 종래의 압연유 조성물에 대한 열안정성, 탈지성, 윤활성, 내오염성 및 유화안정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 및 총괄적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및 시험법
■ 내열안정성 시험 (RBOT법, ASTM D 2272)
내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봄베내의 압력이 최고압력에서 1.75kgf/㎠(172kPa)의 압력강하를 나타내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발명예의 경우 종래의 압연유에 비하여 내열안정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압연유 조성물을 요오드가(IV)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연유 조성물의 열안정성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산소압력 6.3kgf/㎠(620kPa)
온도150℃항온조
봄베각도 30도
매분100회전
압연유 50g, 물5㎖ 및 동촉매 코일
■ 탈지성 시험 :
유기용제로서 헥산에 비교예, 발명예 및 종래예 각각의 압연유 조성물을 25중량%로 용해시켜 시료유를 준비하였다. 이에, 깨끗이 세척된 시험편을 침지(Dipping)하여 24시간 건조시킨 후, 드라이오븐에서 150℃로, 2간 가열 후 탈지액으로 탈지시험을 행한 후 동도금을 실시하여 탈지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탈지제 : 가성소다와 올소규산소다 복합탈지제(농도 3%), 온도 85℃
동도금용액 : CuSO·5H2O, 1%, 50℃
탈지시간 10초, 도금시간 10초
■윤활성평가(FALEX TEST 및 4-BALL TEST(ASTM D-2783))
① Falex 윤활시험기(Lubricant Tester)를 사용하여 각 압연유 조성물의 윤활성을 측정하였다.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② Shell식 고속사구시험기를 사용하여 윤활성 및 내소부성을 평가하여 표 1에 최종비소부점과 융착점으로 나타내었다.
③ 검화가(SV) 및 50℃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내오염성(오염성 및 스컴 생성의 측정)
도 1의 시험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압연유 조성물은 용기(1)에 위치하고 교반기(2)로 교반되면서, 펌프를 통해 시편에 분무된다.
① 시편오염성은 각각의 압연유를 8시간 순환시킨 후, 1시간동안 시편에 분사하여 시편에 부착된 오염량을 측정하였다.
압연유량 : 20리터
온도 50~60℃, 농도 5중량%,
교반기 : 스크류 TYPE, 1200rpm/min.
철분첨가 : 2,000ppm
노즐 : 1/4 KBA02365
압력 : 2.5 ㎏/㎠
시편 : SPCC 1mmt × 60 × 80mm
(평가기준)
오염성(시편) 항목 : ○ : 오염부착량 40mg/㎡
○△ : 오염부착량 40~80mg/㎡
△ : 오염부착량 80~120mg/㎡
× : 오염부착량 120mg/㎡ 이상
② 스컴생성량은 도 1의 시험장치에서 50 Hr.순환 후, 교반을 멈추고 탱크 상층부의 부유스컴량을 측정하였다.
O: 스컴발생 적음 (탱크중 스컴층의 높이 0~2 ㎝)
ㅿ: 스컴발생 중간 (탱크중 스컴층의 높이 2~4 ㎝)
X: 스컴발생 많음 (탱크중 스컴층의 높이 4㎝이상)
■유화안정성(입자경의 측정 및 ESI 측정)
도 1의 시험장치에서 농도 5중량%의 압연유 에멀션을 30시간 순환후 Coulter Counter로 에멀젼의 평균입자경 및 형상(Shape)과 ESI-15'을 측정하였다.
ESI-15'는 도 1의 시험장치에서 교반된 압연유 에멀젼을 200㎖ 분액통에 넣고 항온조(50℃)에서 15분간 정치시킨후 하부에서 100㎖를 채취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평균입자경분포: S=Sharp: 10㎛분포내에 입자의 80%이상 존재
M=Medium : 15㎛분포내에 입자의 80%이상 존재
B=Broad : 15㎛분포내에 입자의 80% 미만이 속하는 경우.
■내슬립성 평가
하기 표 1의 각각의 압연유 조성물을 5중량% 에멀션으로 하여 소형 Pilot Mill에서 롤경 : 100mm, 압하율 40%로 방향성 CGO재에 대하여 시험압연하여 슬립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 : 슬립발생 없음
△ : 슬립발생 경미
× : 슬립발생
[표 1] (각 성분의 함량단위:중량%)
비교유1 비교유2 발명유1 발명유2 발명유3 비교유3 발명유4 비교유4 발명유5 비교유5 비교유6 종래유
정제광유 52 33 33.25 33.5 33.5 24.5 22.5 30 31.5 33 43 33
합성유A합성유B 10- 10- 20- 30- 40- 50- 2010 2010 -20 -30 -30 --
천연유지 우지10 야자유20팜유10 팜유 20 팜유10 유지20 팜유10 팜유20 팜유10 팜유 20미강유 20
유화제1유화제2유화제3유화제4 31.50.54 2.521.52 2.51.751.53 2.51.522 21.532 3212 2.5115 2.51.5-7 3.5213 2.51.522 42.51.5- 42.51.5-
극압첨가제 5 5 5 5 5 5 5 5 5 5 5 5
윤활첨가제 8 8 7 8 7 7 7 8 8 8 8 8
산화방지제 1.5 1.5 1.5 1 1.5 1 1.5 1.5 1.5 1.5 1.5 1.5
기타첨가제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열안정성및 탈지성 × ×
열안정(RBOT,min)탈지율(%)IV(㎎KI/g) 16 8018 16 8026 15 8032 16 8031 16 8027 18 8028 15 8035 12 4038 15 8031 13 6043 16 8036 11 4064
윤활성 × ×
Falex Test소부하중(Lbs.)고속사구시험(최종비소부점)(㎏)(융착점,㎏)SV(㎎KOH/g)점도(50℃, cSt) 2000 50126105 31 2500 50160140 29 2250+ 50160131 33 2250+ 50160130 30 2500 50200132 28 2500 50200153 27 2250+ 50160129 31 2500 50160140 30 2250+ 50160132 34 2500 63200120 38 2000 50126102 32 2250+ 50160120 35
내오염성 ×
오염성(시편)탱크 부상스컴 ○○ ○△△ ○○ ○○ ○○ ○○ ○○ ○△△ ○○ ○○ ○△△ △×
유화안정성 × ×
입자경(㎛)입자형태ESI-15' 4.5S95 4.5M92 4.5S92 5S92 5M92 4.5S95 4.5S90 4.5B90 5M92 4S95 4.5B88 5B85
내슬립성 × ×
합성유 A: C8-12 지방산의 힌더드 트리 에스테르
합성유 B: C12-18 지방산의 디에스테스
유화제 1: 노닐페닐 EO 부가물 에테르 유화제
유화제 2: 분기직쇄 탄화수소 아민과 지방산(C8-12)의 염
유화제 3: PEG 400 지방산 에스테르
유화제 4: 펜타에리스톨 지방산의 C12-18 알킬 에스테르
극압첨가제: 지방족 아민염 유도체와 방향족 아민의 인산염유도체 혼합사용
윤활첨가제: 야자지방산
산화방지제: 디페닐아민유도체
기타첨가제: 방첨첨가제로서 트리알킬아민 4중량%와
미생물 증식억제제로서 안식향산 나트륨염 유도체 0.5중량%
(실시예 2) 압연시험
300Ton급 4Hi 시험압연기를 이용하여 상기 종래 압연유와 발명예 1의 압연소재에 대한 압연시험(Pilot Test) 후, 시편을 채취하여 다음 조건으로 탈지성을 시험하였다.
시험조건 : 전기강판공장 사용 탈지제(3%, 온도 85℃)
동도금용액 : 1%, 50℃, 탈지시간: 2초, 도금시간 : 2초
[표2] 시험압연기 사양
압연기 형식 4단 가역식 압연기
최대 압연하중 300ton
최대 장력 4000 kgf
최대 압연속도 200 mpm
작업롤 경 100 mm
작업롤 바렐길이 470 mm
시험압연 소재-코일두께-코일내경-코일외경-판 폭-압연 소재 508 mm1100 mm150 mm전기강판 산세코일 2종A재 : 고급CGO저온재(방향성)B재 : 무방향성 NO재
압연유 공급계통-공급방식-탱크용량-최대분사량-압연유 온도교반기 회전속도 순환식3000 리터260리터/분50 ℃1800 rpm
[표 3]
압연조건 종래유(탈지율%) 발명유 1(탈지율%)
강판 압연유 농도(중량%) 스컴 첨가량(ppm)
A재 10 0 65 95
B재 10 0 70 90
A재 10 1000 80 95
B재 10 1000 65 85
A재 8 2000 75 90
B재 8 2000 85 95
A 재: 고급 CGO재 (방향성)
B 재: 무방향성 NO재
시험압연 시편을 이용한 탈지성 평가는 발명유(1)이 종래유에 비해 평균 30%이상의 탈지성이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강판용 압연유 첨가제를 압연유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압연유에 비해 내열안정성이 우수하며, 압연작업 후 소재의 탈지성 30%이상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압연유 조성물의 내오염성 및 윤활안정성 평가에 사용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용기 2.... 교반기
3.... 가열기

Claims (5)

  1.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중량%의 C8~C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 및 10~20중량%의 C12~C18지방산의 디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 에스테르 유화제 1~5중량%로 구성되는 압연유 첨가제.
  2. 압연유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중량%의 C8~C12지방산의 힌더드 트리에스테르 및 10~20중량%의 C12~C18지방산의 디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의 C12~C18 알킬 에스테르 유화제 1~5중량%로 구성되는 압연유 첨가제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유 조성물은 우지, 팜유 및 야자유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하나의 천연유지를 압연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20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유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유지의 함량은 압연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유 조성물.
  5. 청구항 2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유 조성물은 전기강판의 압연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유 조성물.
KR10-2002-0067474A 2002-11-01 2002-11-01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48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74A KR100482203B1 (ko) 2002-11-01 2002-11-01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74A KR100482203B1 (ko) 2002-11-01 2002-11-01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506A KR20040038506A (ko) 2004-05-08
KR100482203B1 true KR100482203B1 (ko) 2005-04-14

Family

ID=3733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2203B1 (ko) 2002-11-01 2002-11-01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2730B2 (ja) * 2009-06-16 2014-09-03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圧延油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835A (ko) * 1992-11-13 1994-06-22 겐지로 나까무라 편조식 플렉시블 호스 및 그 제조장치
KR950016909A (ko) * 1993-12-30 1995-07-20 백덕현 방부성 및 유화분산성이 우수한 박판 냉각 압연유
KR960014310A (ko) * 1994-10-17 1996-05-22 세끼야 데쯔오 그리스 조성물
JPH10231494A (ja) * 1996-12-20 1998-09-02 Nippon Steel Corp 水分散型鋼板冷間圧延油用潤滑油及び鋼板冷間圧延方法
KR20000037610A (ko) * 1998-12-01 2000-07-05 정태량 조압연용 열간압연유 조성물
KR20020032220A (ko) * 2000-10-26 2002-05-03 박상재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835A (ko) * 1992-11-13 1994-06-22 겐지로 나까무라 편조식 플렉시블 호스 및 그 제조장치
KR950016909A (ko) * 1993-12-30 1995-07-20 백덕현 방부성 및 유화분산성이 우수한 박판 냉각 압연유
KR960014310A (ko) * 1994-10-17 1996-05-22 세끼야 데쯔오 그리스 조성물
JPH10231494A (ja) * 1996-12-20 1998-09-02 Nippon Steel Corp 水分散型鋼板冷間圧延油用潤滑油及び鋼板冷間圧延方法
KR20000037610A (ko) * 1998-12-01 2000-07-05 정태량 조압연용 열간압연유 조성물
KR20020032220A (ko) * 2000-10-26 2002-05-03 박상재 에멀젼 연료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506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3154C (zh) 一种冷轧薄板轧制油的组合物
CN101724498B (zh) 乳化型钢板冷轧润滑油
CN102002418B (zh) 一种冷轧硅钢轧制油组合物
CN102952611A (zh) 一种冷轧薄板轧制油组合物
KR101841083B1 (ko) 금속재료의 수성 소성가공용 윤활제 조성물
CN110747040B (zh) 一种冷轧硅钢抗斑迹轧制油组合物
RU2536468C2 (ru) Жидкости для прокатки
US4113635A (en) Rust-proof lubricant compositions
CN103827278A (zh) 无胺无voc的金属加工液
CN107090328B (zh) 组合乳化剂、包含其的铝热轧轧制油及用途
CN105296084A (zh) 轧机轴承油气润滑组合物及其用途
EP1265978B1 (en) Water-soluble aluminium and aluminium alloys hot rolling composition
CN108570341A (zh) 一种带钢轧制油及其生产方法
CN115505447A (zh) 冷轧轧制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111318A (zh) 普碳钢冷轧轧制油组合物、制备方法及其用途
CN108359522A (zh) 一种生物稳定型金属加工液及其制备方法
KR20040041027A (ko) 강판 냉간압연유
WO2011117892A2 (en) Composition of oil for high speed thin and thick gauge steel sheet rolling in tandem mills
CN116144417B (zh) 一种清净型环烷基铜冷轧乳化油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482203B1 (ko) 압연유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유 조성물
AU2001233748B2 (en) Water-soluble copper, copper alloys and non-ferrous metals intermediate cold and hot rolling composition
JPH05339589A (ja) プレス加工兼用防錆油
KR950010600B1 (ko) 방부성 및 유화분산성이 우수한 박판 냉각 압연유
JP2623058B2 (ja) コールドピルガー圧延用水溶性潤滑剤及びコールドピルガー圧延機における潤滑方法
JP7140396B2 (ja) アルミニウム用熱間圧延油組成物およびアルミニウムの熱間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