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87390B1 -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390B1
KR100487390B1 KR10-2000-7003173A KR20007003173A KR100487390B1 KR 100487390 B1 KR100487390 B1 KR 100487390B1 KR 20007003173 A KR20007003173 A KR 20007003173A KR 100487390 B1 KR100487390 B1 KR 10048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ing
power supply
voltage
control devi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4282A (ko
Inventor
한스 니더라이터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2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상기 회로에 의해 스타팅 전압을 공급받는다. 스타팅 전압은 전력 공급 장치의 스타팅 단계 동안 필요하며 스타팅 커패시터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타팅 회로의 저항은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으로는 입력 전압으로 스타팅 커패시터의 충전시, 상기 저항이 스타팅 커패시터에 대한 직렬 저항으로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저항으로부터 제어 전압이 유도되고, 상기 제어 전압이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변수로 사용된다. 전제 조건은 저항이 입력 전압에 대해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저항에 의해 2가지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스타팅 회로의 부품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SWITCHED-MODE POWER SUPPLY DEVICE WITH A STARTING CIRCUIT}
본 발명은 입력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접속부, 트랜스포머 인덕터, 및 제어장치의 액티브 상태 동안 입력 전압을 트랜스포머 인덕터에 인가하기 위해 액티브 및 인액티브 상태로 될 수 있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는 통상적으로 정류되는 출력 전압의 높은 효율 및 낮은 변동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기초가 되는 원리는 인덕터가 예컨대 전기 회로망으로부터 나온 에너지를 교번적으로 공급하고 제어하며 다시 출력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수용은 일정한 시간에만 이루어진다. 소위, 스위칭 조정기가 상기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가급적 일정한 출력의 직류 전압을 제공한다.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로는 특히 라인 전압을 원하는 동작 전압으로 떨어뜨리는 전력 공급, 플로우 타입 트랜스포머 및 블로킹 타입 트랜스포머가 있다.
스위칭 조정기의 동작 전압은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 장치에 공급되는 전압 미만이다. 전력 공급 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은 라인 전압이다. 이에 반해, 스위칭 조정기는 수 볼트로 동작한다. 정상 동작 동안, 즉 전력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으로 부하가 작동되면, 스위칭 조정기의 동작 전압이 상기 출력 전압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정상 동작은 스위칭 조정기가 동작할 때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전압이 출력 전압으로부터 제공되지 못하면, 스타팅 회로는 스위칭 조정기의 스타팅을 수행해야 한다.
도 1에는 스타팅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입력 회로에 대한 예가 도시된다. 스타팅 회로는 저항(R1) 및 스타팅 커패시터(C1)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 및 제어장치(ST)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회로에는 또한 파워 트랜지스터(LT)가 포함된다. 파워 트랜지스터(LT)는 트랜스포머(TR)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는 1차측에 보조 권선(HW) 및 1차 권선(PW)을 포함한다. 보조 권선(HW)은 보조 다이오드(D1)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TR)의 2차측의 2차 권선(SW)에서는 부하가 경우에 따라 정류 및 필터링 후에 작동될 수 있다. 1차 권선(PW)은 파워 트랜지스터(LT)의 드레인-소오스 구간과 함께 직렬 회로를 형성한다. 직렬 회로는 입력 전압(UE)에 접속된다. 저항(R1) 및 스타팅 커패시터(C1)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도 입력 전압(UE)에 접속된다. 입력 전압(UE)은 예컨대 정류된 라인 전압일 수 있다. 스타팅 커패시터(C1)는 제어장치(ST), 및 보조 권선(HW)과 보조 다이오드(D1)로 이루어진 직렬회로와 병렬 접속된다.
제어장치(ST)는 스위칭 조정기를 포함한다. 제어장치(ST)는 예컨대 전류 제한을 위한 부가의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가 1차 권선(PW)에 의해 초핑되도록, 파워 트랜지스터(LT)가 제어장치(ST)에 의해 제어된다. 이로 인해, 1차 권선을 통한 자기 흐름이 변환되고 2차 권선에서 전압이 유도된다. 전자기적 커플링으로 인해, 보조 권선(HW)에서도 전압이 유도된다. 전력 공급의 정상 동작 동안, 제어장치(ST)는 보조 권선(HW)의 전압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상기 전압은 트랜지스터(LT)의 스위칭시에만 보조 권선에서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을 위해서는 트랜지스터(LT)를 제어하는 제어장치(ST)에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타팅 커패시터(C1)가 제공한다. 보조 다이오드(D1)는 스타팅 커패시터(C1)가 보조 권선(HW)을 통해 방전되지 않고 제어장치(ST)를 통해 방전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스타팅 커패시터(C1)는 일반적으로 저항(R1)을 통해 입력 전압(UE)으로 충전된다. 저항(R1)의 내압력 및 크기는 입력 전압(UE)의 크기 및 제어장치(ST)의 소비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미국 특허 제 5,200,886호에는 커패시터 및 분압기에 접속된 저항을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용 스타팅 회로가 공지되어 있다. 분압기에서 제어장치용 입력 전압이 강하하는 동안 커패시터가 충전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의 입력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의 입력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가진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방식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의 입력 회로는 스위칭 조정기 외에 종종 다른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이것에 대한 예로는 예컨대 단락의 경우 전류를 제한하거나, 전력을 측정하거나 또는 전력 공급 장치의 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가 있다. 이러한 회로가 입력 전압(UE)에 대해 접속된 저항을 포함하면, 상기 저항은 마찬가지로 스타팅 커패시터(C1)에 대한 직렬 저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팅 회로를 갖춘 전력 공급 장치는 종래의 스타팅 회로를 갖춘 전력 공급 장치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저항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부가로 필요한 다이오드는 간단히 집적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의 비용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팅 회로를 갖춘 전력 공급 장치에서는 낮은 부품 비용 외에도 장착의 장점이 있다. 적은 부품의 조립은 적은 소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가 전력 공급 장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시뮬레이트하기 위한 회로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회로는 예컨대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직렬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직렬 회로는 입력 전압에 접속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척도인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인가된다. 상기 전류는 예컨대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따른 회로는 스타팅 커패시터(C1), 제어 장치(ST), 트랜지스터(LT), 보조 다이오드(D1) 및 트랜스포머(TR)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며(TR)에 대한 예로서, 여기는 보조 권선(HW), 1차 권선(PW) 및 2차 권선(SW)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선택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는 스타팅 저항(R2) 및 제어 커패시터(C2)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가 포함된다. 직렬 회로(R2), (C2)는 입력 전압(UE)이 인가되는 제 1 접속부(1)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접속부(1) 사이에는 또한 1차 권선(PW) 및 트랜지스터(LT)의 드레인 소오스 구간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가 접속된다. 보조 권선(HW) 및 보조 다이오드(D1)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는 제어장치(ST)의 공급 접속부(3)에 대해 병렬 접속된다. 스타팅 커패시터(C1)도 제어 장치(ST)의 공급 접속부(3)에 대해 병렬 접속된다. 접속부(3)의 한 공급 단자는 제 1 접속부(1)의 한 단자(1)에 접속된다.
제어장치(ST)는 트랜지스터(LT)의 제어 입력에 접속된다. 스타팅 저항(R2)과 제어 커패시터(C2)의 공통 노드점(2)은 한편으로는 제어장치(ST)의 입력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위칭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스위칭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는 접속부(3)의 한 공급 단자를 통해 보조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된다. 제어장치(ST)는 신호 처리 유닛(SG)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 유닛(SG)은 공통 노드(2)에 접속된다.
제어장치(ST)는 신호 처리 유닛(SG)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 유닛(SG)은 트랜지스터(LT)를 제어 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트랜지스터(LT)는 자신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류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것을 위해, 스타팅 저항(R2) 및 제어 커패시터(C2)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가 사용된다. 상기 직렬 회로는 1차 권선(PW)과 트랜지스터(LT)의 드레인-소오스 구간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에 대해 병렬 접속된다.
제 1 접속부의 한 단자(1)와 노드점(2) 사이에 있는 제어 커패시터(C2)를 통해, 제어 전압(Us)이 인가된다. 상기 전압은 트랜지스터(LT)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척도로 사용되고 신호 처리 유닛(SG)에 의해 입력값으로 처리된다.
제어장치(ST)는 2개의 상이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인액티브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LT)가 제어되지 않는다. 액티브 상태 동안에는 트랜지스터(LT)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어장치가 인액티브 상태이면, 스타팅 커패시터(C1)가 입력 전압(UE)으로부터 충전된다. 충전 전류는 제 1 접속부(1)의 다른 단자 및 스타팅 저항(R2)을 통해 공통 노드점(2)으로 흐르고, 스위칭 다이오드(D2) 및 제어 장치(ST)의 접속부(3)의 한 공급 단자를 통해 스타팅 커패시터(C1)의 한 단자로 흐른다. 스타팅 커패시터(C1)의 다른 단자는 제 1 접속부(1)의 한 단자에 직접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처리 유닛(SG)의 입력이 인액티브 상태에서는 고임피이던스이기 때문에, 제어장치(ST)의 인액티브 상태에서는 낮은 전류만이 신호 처리 유닛(SG)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어장치(ST)가 액티브 상태로 바뀌면, 스타팅 커패시터(C1)가 공급 접속부(3)를 통해 트랜지스터(LT)의 제 1 클록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보조 다이오드(D1)는 스타팅 커패시터(C1)가 보조 권선(HW)를 통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칭 다이오드(D2)는 공급 접속부(3)의 전류가 신호 처리 유닛(SG)의 입력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다음 인액티브 단계에서, 스타팅 커패시터(C1)의 충전이 스타팅 저항(R2) 및 스위칭 다이오드(D2)를 포함하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ST)는 신호 처리 유닛(SG)과 더불어 예컨대, 출력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7)

  1. - 입력 전압(UE)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접속부(1);
    - 트랜지스터(LT)를 통해 상기 입력 전압(UE)에 접속된 트랜스포머 인덕터(TR);
    - 액티브 및 인액티브 상태로 변할 수 있으며, 상기 액티브 상태 동안에는, 상기 입력 전압(UE)으로부터 유도된 제어 전압(US)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LT)를 펄스 방식으로 구동하며,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발생된 전압(HW)이 공급되는 공급 접속부(3)를 포함하고 있는 제어장치;
    - 스타팅 저항(R2); 및
    - 스타팅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ST)가 인액티브 상태일 때는, 입력 전압(UE)이 상기 스타팅 저항(R2) 및 스위칭 다이오드(D2)를 통해서 상기 스타팅 커패시터(C1)를 충전시키고,
    상기 제어 장치(ST)가 액티브 상태일 때는, 상기 입력 전압(UE)으로부터 유도되는 제어 전압(US)이 상기 스타팅 저항(R2)을 통해서 상기 제어 장치(ST)에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팅 커패시터(C1)는 제 1 접속부(1)의 한 단자에 직접 접속되고, 또한, 스타팅 저항(R2) 및 스위칭 다이오드(D2)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를 통해 제 1 접속부(1)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 저항(R2)과 함께 상기 제 1 접속부(1) 사이에 접속된 직렬 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제어 커패시터(C2)의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US)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ST)은 상기 트랜스포머 인덕터(TR)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5.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ST)는 상기 트랜스포머 인덕터(TR)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6.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ST)는 집적 회로의 형태로 구현되고 스위칭 다이오드(D2)는 상기 회로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7.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 인덕터(TR)는 1차측에 보조 권선(HW)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KR10-2000-7003173A 1997-09-24 1998-09-08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KR10048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2184.9 1997-09-24
DE19742184A DE19742184A1 (de) 1997-09-24 1997-09-24 Getaktetes Stromversorgungsgerät mit Anlaufschaltung
PCT/DE1998/002650 WO1999016166A1 (de) 1997-09-24 1998-09-08 Getaktetes stromversorgungsgerät mit anlaufschal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282A KR20010024282A (ko) 2001-03-26
KR100487390B1 true KR100487390B1 (ko) 2005-05-03

Family

ID=784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173A KR100487390B1 (ko) 1997-09-24 1998-09-08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18207B1 (ko)
JP (1) JP3510855B2 (ko)
KR (1) KR100487390B1 (ko)
DE (2) DE19742184A1 (ko)
WO (1) WO1999016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8988B4 (de) * 2000-08-10 2004-12-30 Infineon Technologies Ag Spannungsumsetzer zum Erzeugen einer Ausgangsspannung aus einer Eingangsspan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886A (en) * 1989-09-12 1993-04-06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Start-up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5452195A (en) * 1991-04-08 1995-09-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tart-up circuit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9726B1 (de) * 1989-09-29 1994-06-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für ein Schaltnetzteil
DE9410995U1 (de) * 1994-07-08 1995-08-10 Siemens AG, 80333 München Schaltnetzteil
DE19518863A1 (de) * 1995-05-23 1996-11-28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mit Bereitschaftsbetrie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886A (en) * 1989-09-12 1993-04-06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Start-up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5452195A (en) * 1991-04-08 1995-09-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tart-up circuit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282A (ko) 2001-03-26
EP1018207A1 (de) 2000-07-12
DE59810183D1 (de) 2003-12-18
JP2001517920A (ja) 2001-10-09
EP1018207B1 (de) 2003-11-12
JP3510855B2 (ja) 2004-03-29
WO1999016166A1 (de) 1999-04-01
DE19742184A1 (de)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046A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a high efficiency starting circuit
US5656925A (en) Pulse switching tandem flyback voltage converter
US6466460B1 (en) High efficiency, low voltage to high voltage power converter
US7212417B2 (en) Dual-mode switching DC-to-DC converter
US6816395B2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EP0188839A1 (en) Self-oscillating power-supply circuit
US6285566B1 (en) RCC power supply with remote disabling of oscillation frequency control
US6246596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S653215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KR20010072814A (ko) 스위칭 모드 전원
JP2007511995A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US7091632B2 (en) Stabilization circuit for compensating fluctuations in a voltage at a user
JP2002101662A (ja) 電源装置
KR100487390B1 (ko)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KR20010051491A (ko) 전기기기의 저소비전력 대기전원회로
US7355373B2 (en) DC-DC converter
EP0061730A2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JPH07288976A (ja) 多出力コンバータ
JPS63277471A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60396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1285245A (ja) 電源装置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JPH10108462A (ja)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20000005535U (ko) 모니터의 저전압 보호 회로
KR0175837B1 (ko) 주smps(주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의 출력전압을 이용한 dc-dc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