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51768B1 -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768B1
KR100451768B1 KR10-2001-0087282A KR20010087282A KR100451768B1 KR 100451768 B1 KR100451768 B1 KR 100451768B1 KR 20010087282 A KR20010087282 A KR 20010087282A KR 100451768 B1 KR100451768 B1 KR 10045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film
gate insulating
region
concentration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938A (ko
Inventor
조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7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7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22Making the insulator with substrate doping, e.g. N, Ge, C implantation, before formation of the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5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202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in a nitrogen-containing ambient, e.g. nitride deposition, growth, oxynitridation, NH3 nitridation, N2O oxidation, thermal nitridation, RTN, plasma nitridation, RP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절연막내에 질소 이온의 분포를 제어하여 누설 전류 및 보론(boron) 침투에 의한 브레이크 다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을, 질소를 함유하는 제 1,2,3 가스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 어닐링 공정으로 질화막내의 어느 한 영역에서 질소 이온의 농도가 다른 영역보다 높도록 하는 단계;상기 질화막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gate dielectric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 절연막내에 질소이온의 분포를 제어하여 누설 전류 및 보론(boron) 침투에 의한 브레이크 다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유전막으로 열산화막(Thermal Oxide)을 사용한다.
열산화막은 반도체 기판과의 반응성, 캐리어 이동도(carrier mobility), 계면 거칠기(interface roughness)등의 측면에서 그 특성이 아주 우수하여 게이트 절연막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을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서와 같이, 반도체 기판(1)상에 고온에서 제 1 산화막(2)을 증착하고 NO 또는 N2O 가스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산화막(2)의 성장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산화막(2)상에 폴리 실리콘층을 증착하고 상기 제 1 산화막(2)과 폴리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3) 및 게이트 산화막(2a)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 전극(3)의 양측의 반도체 기판(1)의 표면내에 저농도의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5)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제 2 산화막 및 질화막을 차례로 증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산화막 및 질화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3)의 양측면에 제 1,2 게이트 측벽(6)(7)을 형성한후 고농도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은 누설 전류 발생 및 보론 확산에 의한 브레이크다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특성을 유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소자 선폭이 작아지고 저전압(low power).고성능(high performance) 소자를 구현하기 위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가 점점 얇아져가는 추세인데, SiO2두께가 약 2.5㎚ 이하에서는 직접 터널링에 의한 누설 전류의 증가로 인해 안정적인 소자 특성 구현을 방해한다.
둘째, SiO2두께가 얇아질수록 게이트 전극의 식각 공정에 어려움이 있고 보론을 주입한 PMOS 게이트에서는 보론 침투에 의해 게이트 문턱 전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셋째, 다결정 실리콘에 있는 보론이 후속 열공정에 의해 산화막내에 침투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내압(breakdown voltage)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 절연막내에 질소 이온의 분포를 제어하여 누설 전류 및 보론(boron) 침투에 의한 브레이크 다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을 위한 공정 단면도
도 2a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을 위한 공정 단면도
도 3a내지 도 3e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조건에 따른 이온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반도체 기판 22. 24. 질화막
23. 산화막 25. 게이트 전극
26. 저농도 불순물 영역 27. 제 1 게이트 측벽
28. 제 2 게이트 측벽 29. 소오스/드레인 영역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질화막을 상부 표면에서 하부 바닥면까지를 상부부터 차례로 제 1,2,3 영역으로 구분하여 질화막내의 어느 한 영역에서 질소 이온의 농도가 다른 영역보다 높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질화막내의 제 1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NH3가스를 사용하는 열처리 공정,상기 질화막내의 제 2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N2O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상기 질화막내의 제 3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NH3+ N2O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의 어느 하나를 진행하는 단계;상기 제 1,2,3 어느 한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가 다른 영역보다 높은 질화막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을 위한 공정 단면도이고,도 3a내지 도 3e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조건에 따른 이온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Si3N4고유전막(유전상수=7)을 이용하여 물리적 두께를 증가시켜 누설 전류를 줄일 수 있도록한 것으로,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한 후에 여러 가지 후속 열처리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내에 질소(N) 농도 분포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상세한 공정 진행은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반도체 기판(21)상에 저온에서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으로 600 ~ 750℃의 온도에서20 ~ 60Å의 두께로 질화막(22)을 증착한다.
이어, 제 1 가스(NH3) 또는 제 2 가스(N2O) 또는 제 3 가스(NH3+ N2O)를 사용하여 어닐링 공정을 진행한는데, 제 1,2,3 가스중에 어느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질소 이온이 막내의 어느 위치에 집중되는지가 결정된다.
여기서, NH3가스를 사용하는 어닐링 공정의 경우에는 680 ~ 720℃의 온도에서 1 ~ 20min 동안 진행한다.
그리고 N2O 가스를 사용한 어닐링 공정의 경우에는 800 ~ 1000℃의 온도에서 1 ~ 5min 동안 진행한다.
그리고 NH3+ N2O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각각의 조건으로 순차적으로 공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질화막만을 증착하여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질화막을 증착하기전에 산화막을 먼저 증착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2b에서와 같이, 열산화 공정으로 산화막(23)을 10 ~ 15Å의 두께로 증착후에 질화막(24)을 증착하여 상기한 NH3또는 N2O 가스 또는 NH3+ N2O 가스를 사용하여 어닐링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질화막(24)의 증착 조건은 도 2a에서와 동일하다.
도 2a와 도 2b에서와 같이 어닐링 공정을 진행한후에 N2분위기에서 900 ~ 950℃의 온도에서 1 ~ 5min동안 열처리한다.
그리고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질화막(24)상에 폴리 실리콘층을 증착하고 상기 산화막(23),질화막(24)과 폴리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25) 및 게이트 절연막(23a)(24a)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 전극(25)의 양측의 반도체 기판(21)의 표면내에 저농도의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으로 사용되는 저농도 불순물 영역(26)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전면에 산화막 및 질화막을 차례로 증착한다.
그리고 상기 산화막 및 질화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25)의 양측면에 제 1,2 게이트 측벽(27)(28)을 형성한후 고농도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29)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으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XPS(X-ray photo electron spectroscopy)로 분석한 N 농도 분포를 보면,
도 3a의 경우는 산화막상에 질화막을 증착후의 N 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으로 N이 낮은 농도로 균일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도 3b의 경우는 질화막에 NH3열처리를 한 경우인데, 질화막의 표면(top surface)에 높은 농도의 N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 3c의 경우에는 질화막을 N2O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질화막의 하부에 N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d의 경우에는 질화막을 NH3+ N2O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질화막의 중간 위치에 N이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e는 질화막을 증착시킨후 별도의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XPS 농도 프로파일이다.
이와 같은 질소 이온 프로파일 결과를 이용하여 게이트 절연막내에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농도로 질소 이온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게이트 절연막내에 질소 이온의 도핑 프로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농도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특성의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유전 상수 7의 고유전막인 질화막을 사용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물리적 두께를 증가시켜 산화막 사용시에 나타났던 직접 터널링에 의한 급격한 누설 전류의 증가를 막을 수 있어 안정적인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셋째, 게이트 절연막의 물리적 두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보론이 침투하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어 소자의 문턱 전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 및 게이트 절연막의 내압 특성(breakdown voltag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4)

  1. 반도체 기판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을 상부 표면에서 하부 바닥면까지를 상부부터 차례로 제 1,2,3 영역으로 구분하여 질화막내의 어느 한 영역에서 질소 이온의 농도가 다른 영역보다 높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질화막내의 제 1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NH3가스를 사용하는 열처리 공정,
    상기 질화막내의 제 2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N2O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공정,
    상기 질화막내의 제 3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NH3+ N2O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의 어느 하나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 1,2,3 어느 한 영역에서 질소 이온 농도가 다른 영역보다 높은 질화막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NH3가스를 사용하는 어닐링 공정의 경우에는 680 ~ 720℃의 온도에서 1 ~ 20min 동안 진행하고,
    N2O 가스를 사용한 어닐링 공정의 경우에는 800 ~ 1000℃의 온도에서 1 ~ 5min 동안 진행하고,
    NH3+ N2O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각각의 조건으로 순차적으로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KR10-2001-0087282A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5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282A KR100451768B1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282A KR100451768B1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938A KR20030056938A (ko) 2003-07-04
KR100451768B1 true KR100451768B1 (ko) 2004-10-08

Family

ID=3221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2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1768B1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70B1 (ko) * 2006-12-27 2008-05-2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829A (ko) * 1996-10-24 1998-07-15 문정환 아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US5885870A (en) * 1995-11-03 1999-03-23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nitrided oxide dielectric layer
KR19990059167A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게이트산화막 형성방법
US6309932B1 (en) * 1999-01-14 2001-10-30 Agere Systems Guardian Corp Process for forming a plasma nitride film suitable for gate dielectric application in sub-0.25 μm technolog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5870A (en) * 1995-11-03 1999-03-23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nitrided oxide dielectric layer
KR19980028829A (ko) * 1996-10-24 1998-07-15 문정환 아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KR19990059167A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게이트산화막 형성방법
US6309932B1 (en) * 1999-01-14 2001-10-30 Agere Systems Guardian Corp Process for forming a plasma nitride film suitable for gate dielectric application in sub-0.25 μm technolog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938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124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N1146972C (zh) 在衬底中制造具有抬高的漏的晶体管的方法
US637631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426482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400249B1 (ko) 반도체소자의 mos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2001291861A (ja) Mosトランジスタ、トランジスタ製造方法
KR10045176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08340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48682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6886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0651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06812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607793B1 (ko)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의 이온 주입 방법
KR100685602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전극 형성방법
KR0137538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995330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412141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307540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41368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중 게이트산화막 형성방법
KR100881387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2812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제조 방법
KR10062916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5468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0212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36555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0812

Appeal identifier: 2004101002830

Request date: 20040625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6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2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4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8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