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48434B1 -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34B1
KR100448434B1 KR1019970020346A KR19970020346A KR100448434B1 KR 100448434 B1 KR100448434 B1 KR 100448434B1 KR 1019970020346 A KR1019970020346 A KR 1019970020346A KR 19970020346 A KR19970020346 A KR 19970020346A KR 100448434 B1 KR100448434 B1 KR 10044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521A (ko
Inventor
정한일
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7002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ulfur as an exocyclic substituent, e.g. pyridine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박하(Mentha Piperita L.)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공지의 항비듬제인 아연피리치온 또는 살리실산을 더 함유하여 비듬감소, 가려움 방지 및 살균작용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Hair-care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dandruff formation-suppressing effect }
본 발명은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박하(Mentha Piperita L.)추출물을 함유하거나, 공지의 항비듬제인 아연피리치온 또는 살리실산을 더 함유하여 비듬감소, 가려움 방지 및 살균작용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인체의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생긴 두피의 죽거나 벗겨진 세포들이 두피 피지선의 분비물과 함께 말라붙어서 생긴 각질형태의 덩어리를 말한다. 비듬은 점차 정상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붉게 되어 두피에 인설이 증가하여 통상 가려움과 염증을 수반하는 지루피부염으로까지 진행된다.
이러한 비듬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일반적으로 내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영양대사의 불균형, 스트레스 등의 신경적 요인, 두피세포의 지나친 증식에 의한 상피조직의 생화학적 변화, 두피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 대기오염에 의한 염증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결하지 못한 두피에 존재하는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la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는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고, 근래들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비듬 및 가려움증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의 경우,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미생물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두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신진대사활동을 정상화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필수적인 요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듬 및 가려움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아연피리치온(아연-2-피리디네치올-1-옥사이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다(미국특허 제2,809,971호, 미국특허 제4,323,683호, 미국특허 제4,345,080호, 미국특허 제4,470,982호, 유럽특허 제285,388호). 또한, 물에 수용성이고, 효과적인 항비듬균 효능을 나타내는 피록톤올라민(2(1H)-피리돈, 1-히드록시-4-메틸-6-(2,4,4-트리메틸펜틸)과 2-아미노에탄올 1:1)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있다(C & T, Vol. 103, 49, February, 1988). 그러나, 아연피리치온은 25??의 물에 15ppm 밖에 녹지 않는 용해도가 매우 낮은 한계를 갖는 1㎛내외의 구상형태를 갖는 불수용성 고체입자로, 수용성 기재를 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특히 샴푸 조성물에서 침전 등에 의한 분리현상으로 유발하여 그 사용성에 있어서 제한되며 인체에 자극과 안전성의 문제로 국내 장원기와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stration)에 의해 그 함량이 규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의 저자극으로 안전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에 대해 살균 및 항균효과를 갖는 물질을 검토하던 중, 박하(Mentha Piperita L.)추출물이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에 대해 살균 및 항균효과를 갖는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듬 감소, 가려움 방지 및 살균작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박하 추출물(Mentha Piperita L.) 0.01∼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공지의 항비듬제인 아연피리치온 또는 살리실산 0.01∼10중량%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박하 추출물은 유럽이 원산지이고 유럽과 미국등의 세계 여러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차조기과(Laminaceae)의 다년초로서, 식물자체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키는 30∼80㎝로 줄기는 4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직립하여 상부에서 분지(分枝)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특징을 갖는 서양박하(Mentha Piperita L.)의 잎을 고온에서 스팀 증류로 추출하여 얻은 박하 추출물을 사용한다.
이 박하 추출물에는 멘톨(menthol), 멘톤(menthone), 이소멘톤(isomenthine), ??-피펜(??-pinene), 켐펜(camphene), 리모넨(limonene), 탄닌(tannin), 펙틴(pectin) 등의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박하 추출물의 주요성분인 멘톨이 피부나 두피에 존재하는 습진, 옴 등을 일으키는 병원성 진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의 미생물에 대해서 살균 및 항균작용을 갖는다. 특히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자극, 홍반 및 지루성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하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서양박하(Mentha Piperita L.)의 잎을 스팀 증류로 추출하여 얻은 용액을 분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비듬균제제로서 사용되는 박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1~6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또다른 항비듬균제제로서 아연피리치온 또는 살리실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수 있다.
이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샴푸 조성물을 예로 들어 대표적인 기제 성분과 첨가물들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샴푸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성분인 합성 계면활성제와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컨디셔닝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한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에테르설페이트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된다.
RO(C 2 H 4 O) n SO 3 M
상기 식중, R은 탄소수 10~22의 알킬기이며, n은 0~4이고, M은 암모늄,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수용성 양이온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R의 탄소수가 12~16개인 알킬설페이트 및 알킬에테르설페이트가 좋다. 알콜은 지방, 예를 들면 야자유 또는 우지로부터 유도할 수 있거나 합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야자유로부터 유도된 라우릴 알콜 및 직쇄 알콜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콜을 에틸렌옥사이드 1~4몰, 특히 3몰과 반응시키고, 예를들어 알콜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평균 3몰을 갖는 분자종의 생성 혼합물을 황산화시키고 중화시킨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식중에서, R1은 탄소수 8~18의 알킬기이며, R2CO는 탄소수 8~18의 알콕시기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코코아미도 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카놀아미드 및 알킬아민옥사이드로 화학식 4 및 5로 표시된다.
R 1 R 2 R 3 N??O
Figure pat00003
상기 식중, R1은 탄소소 8~18의 알킬기이며, R2 및 R3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R4CO는 탄소수 8~16의 알콕시기이며, n은 0 또는 1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디에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피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2>
원료명 비교예 실시예
1 2 1 2 3 4 5 6 7
1. 라우릴 황산나트륨 2.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3. 프로필렌글리콜 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5. 폴리쿼터늄-7 6. 색소 7. 향 8. 구연산 9. 박하 추출물 10. 아연피리치온 11. 살리실산 12. 정제수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1.0-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0.3--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0.5--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2.01.0-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2.0-0.5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4.0--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4.01.0-to 100 15.0 3.0 1.0 0.2 1.0적량적량적량4.01.00.5to 100
<시험예 1> 항균력 비교 시험
상기한 비교예와 실시예의 샴푸를 농도별로 함유한 한천 플레이트에 시험균을 스트리킹하고, 비듬 원인균을 호기성 조건하에서 2일간 배양한 후, 균의 생육유무를 관찰함과 동시에 시험균이 자라지 않는 최저저해농도(MIC)를 측정하여 비듬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하였다.
1. 시험균
비듬 원인균 : 피티로스포름 오발레 ATCC 12087
2. 사용배지
혈액 한천 배지(혈액 한천 베이스+최종 농도 5%의 양, 혈액), BHI 한천
최소저해농도(MIC, ㎍/㎖)
비교예 실시예
1 2 1 2 3 4 5 6 7
피티로스포름 오발레 >0.5 >0.35 0.200 0.040 0.012 0.015 0.020 0.006 0.002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7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듬균에 대한 MIC의 감소를 볼 수 있으며, 또한 박하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MIC의 감소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듬 생성의 예방, 비듬 치료 및 경감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항비듬균제인 아연피리치온이나 살리실산을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과 함께 사용한 실시예 3∼4와 6∼7에서 MIC의 감소정도가 더욱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비듬감소 효과 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35세의 남성 54명을 선정하여 각 비교예와 실시예의 샴푸에 대하여 6명씩 9개 그룹으로 1개월간 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개시전에 보통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종료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수학식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비듬감소율(%) =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시험개시 1개월 후 비듬의 중량(㎎)}
ㆇ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 ㅧ 100
비듬감소율의 효과 비교(%)
비교예 실시예
1 2 1 2 3 4 5 6 7
비듬감소율(%) 3.7 16.6 22.7 27.0 40.3 34.4 31.1 50.3 61.9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에서 평균 비듬감소율이 높아졌고, 실시예 3∼4와 6∼7에서와 같이 공지의 항비듬제인 아연피리치온이나 살리실산을 함께 함유할 경우에 비듬억제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 시험
비교적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남성 49명을 선정하여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샴푸에 대하여 7명씩 7개 그룹으로 나누어 2개월간 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 가렵다 ..... 5점
약간 가렵다 ..... 4점
보통이다 ..... 3점
무난하다 ..... 2점
가렵지 않다 ..... 1점
두피 가려움 제거 효과
비교예 실시예
1 2 1 2 3 4 5 6 7
두피 가려움 제거효과 1.4 2.6 2.8 3.1 3.8 3.5 3.7 4.1 4.6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에서 두피 가려움 제거효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박하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아연피리치온이나 살리실산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 두피 가려움 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다량 함유하는 박하(Mentha Piperita L.) 추출물은 비듬감소와 가려움억제에 큰 효과를 나타내고, 공지의 항비듬제인 아연피리치온이나 살리실산을 함께 사용할때 상호간의 상승작용에 의해 훨씬 우수한 비듬 및 가려움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박하 추출물 0.01~10중량%, 아연피리치온 0.01~10중량% 및 살리실산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20346A 1997-05-23 1997-05-23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44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46A KR100448434B1 (ko) 1997-05-23 1997-05-23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46A KR100448434B1 (ko) 1997-05-23 1997-05-23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21A KR19980084521A (ko) 1998-12-05
KR100448434B1 true KR100448434B1 (ko) 2005-08-11

Family

ID=3730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346A Expired - Lifetime KR100448434B1 (ko) 1997-05-23 1997-05-23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009A (ko) * 2000-12-20 2002-06-26 성재갑 피부 가려움 완화 및 억제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82B1 (ko) * 2002-07-23 2005-10-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KR100878596B1 (ko) * 2007-09-13 2009-01-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CN115990205A (zh) * 2023-01-28 2023-04-21 印天奕 一种抑制马拉色菌的混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413A (ja) * 1989-12-05 1991-07-3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由来抽出成分からなるフケ菌発育阻害剤を含有する皮膚・頭皮・頭髪用化粧料
KR930016086A (ko) * 1992-01-08 1993-08-26 강상호 머리비듬 제거약제
KR940018080A (ko) * 1993-01-18 1994-08-16 김정순 두발용 화장료 조성물
KR940018084A (ko) * 1993-01-18 1994-08-16 김정순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413A (ja) * 1989-12-05 1991-07-3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由来抽出成分からなるフケ菌発育阻害剤を含有する皮膚・頭皮・頭髪用化粧料
KR930016086A (ko) * 1992-01-08 1993-08-26 강상호 머리비듬 제거약제
KR940018080A (ko) * 1993-01-18 1994-08-16 김정순 두발용 화장료 조성물
KR940018084A (ko) * 1993-01-18 1994-08-16 김정순 샴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009A (ko) * 2000-12-20 2002-06-26 성재갑 피부 가려움 완화 및 억제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21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34783B (zh) 一种含中草药的去屑止痒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无硅油氨基酸洗发水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28382B1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0534B1 (ko) 황련추출물, 박하추출물 및 사해미네랄을 함유하는 비듬방지용 샴푸 조성물
KR100448434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CN106726780A (zh) 一种女性私处护理沐浴露
KR0174807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9440A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0150577B1 (ko) 솔잎 추출물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0141416B1 (ko) 두발용 화장품 조성물
KR101257756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0560304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0517553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KR100193902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193901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5577A (ko)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6662B1 (ko) 천연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비듬 방지 세정제 조성물
KR101036677B1 (ko) 율피 추출물 및 라벤더 워터를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324630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0170110B1 (ko) 비듬방지용 모발제품 조성물
KR20110108816A (ko) 다시마 및 피톤치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항비듬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653007B1 (ko)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11406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2370921A (ja) 化粧料組成物
KR0163534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5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