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44563B1 -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563B1
KR100444563B1 KR1019960071945A KR19960701945A KR100444563B1 KR 100444563 B1 KR100444563 B1 KR 100444563B1 KR 1019960071945 A KR1019960071945 A KR 1019960071945A KR 19960701945 A KR19960701945 A KR 19960701945A KR 100444563 B1 KR100444563 B1 KR 10044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focusing
coil
tracking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892A (ko
Inventor
히로시 가와무라
다케시 구보
다카기요 가나자와
유타카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5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47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and with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47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and with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6
    • C07D477/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and with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6 with hetero atoms or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3
    • C07D477/20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복수 종류의 광기록매체용 신호기록/재생장치에 사용하는 2축 액튜에이터는, 신호기록 및/또는 재생에 있어서 상이한 형식의 기록매체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2축 액튜에이터는,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를 포함한다. 렌즈홀더에는 개구수 NA가 상이한 복수의 대물렌즈와 포커스용 및 트래킹용 코일이 장착된다. 광기록매체의 형식에 따라서 대물렌즈가 전환되어 사용된다.

Description

2축 액튜에이터 및 광디스크장치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CD), CD­ROM 이나 광자기디스크 등 (이하 「광디스크」라고 함)의 광기록매체의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2축 액튜에이터 및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이한 디스크형식을 가지는 복수 종류의 광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2축 액튜에이터 및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디스크재생용의 광학픽업은, 예를 들면, 발광수단으로서의 반도체레이저소자와, 반도체레이저소자로부터의 광을 광디스크상에 조사(照射)하는 대물렌즈와, 이 대물렌즈를 2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와,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이 광검출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2축 액튜에이터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구동제어하는 서보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473,274호 및 제4,571,026호에 개시(開示)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지지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와, 렌즈홀더의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광축이 지지축에 평행으로 지지된 대물렌즈와, 지지축이 장착되는 2축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축 액튜에이터는, 렌즈홀더의 원통형의 외주면에, 포커싱용 코일이 감기는 동시에, 포커싱용 코일의 외면의 서로 반대측에, 1쌍의 트래킹용 코일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2축 베이스상에는, 마그네트가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광학픽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각 코일에 대하여, 서보회로로부터의 트래킹서보 및 포커싱서보에 의하여 구동제어된 구동전압이 공급됨으로써, 각 코일에 발생하는 자속(磁束)이, 마그네트의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이 렌즈홀더가,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하는 동시에, 이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로써, 렌즈홀더의 회동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지지된 대물렌즈는, 렌즈홀더의 회동에 의하여 광디스크의 접선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트래킹방향에 관하여 적절하게 이동되는 동시에, 렌즈홀더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포커싱방향에 관하여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광디스크상에 조사된 광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정확하게 스폿을 형성하게 되고,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이 광검출기상에 입사되어 이 광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광디스크의 재생신호가 검출되게 된다.
그런데, 광디스크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 음성·화상정보의 패키지미디어로서, 신호기록용 디스크용량의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고밀도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대물렌즈의 개구수 NA를 크게 하여 광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다.
그러나, 대물렌즈의 개구수 NA를 크게 하면, 신호독출중 광디스크의 기울기에 대한 허용범위가 감소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광디스크는, 통상은 소정의 디스크기판두께(일반적으로, 콤팩트디스크 등의 경우에는, 1.2 mm)의 투명기판을 통하여, 신호기록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학픽업의 대물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광디스크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파면수차(波面收差)가 생겨서, 재생신호(RF신호)에 악영향이 나와 버린다. 이 때, 파면수차에관해서는, 개구수 NA의 3승(乘)과 스큐각(skew angle)θ의 약 1승 및 디스크기판두께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3차의 코마(coma)수차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저코스트로 대량생산된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1.2 mm 두께의 투명기판을 구비한 광디스크는, 스큐각θ이 예를 들면 플러스 마이너스 0.5 내지 플러스 마이너스 1도나 되므로, 상기 파면수차에 의하여, 광학픽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에 따른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상의 결상(結像)스폿이 비대칭으로 된다.
기록신호내의 부호간 간섭이 현저하게 증가함으로써, 정확한 RF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이 3차의 코마수차가 광디스크의 디스크기판두께에 비례하는 것에 착안하여, 두께 0.6 mm의 투명기판에 신호기록면이 배설되어, 광디스크의 기판두께를 감소시키면 3차의 코마수차를 반감시킬 수 있어서 파면수차가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고밀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 두께가 감소된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광디스크로서, 특성이 상이한 2개의 규격, 즉 디스크기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예를 들면 1.2 mm) 것과, 디스크기판 두께가 비교적 얇은(예를 들면 0.6 mm) 것이 혼재하게 된다.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용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특성이 상이한 디스크의 겸용성을 가지는 이러한 장치에 대한 요구를 생각하게 되었다.
대물렌즈로부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으로의 광로중에 두께 t의 평행평판이삽입되면, 이 두께 t와 개구수 NA에 관하여, t×(NA)4에 비례하는 구면(球面)수차가 발생하므로, 대물렌즈는, 이 구면수차를 캔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크기판 두께가 상이하면, 구면수차도 상이하므로, 한쪽의 규격 예를 들면 디스크기판 두께 0.6mm 에 대응하는 개구수 NA를 가지는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다른 쪽의 규격 예를 들면 디스크기판 두께 1.2 mm의 콤팩트디스크, 추기형(追記型)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디스크 등의 광디스크를 재생하려고 하면, 광디스크기판 두께의 차 T에 의하여, 상기한 4차의 구면수차 T×(NA)4가 발생하므로, 광학픽업이 대응할 수 있는 디스크기판의 두께의 오차의 허용범위를 대폭으로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으로부터, 정확하게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리하여, 종래의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해서는, 복수의 상이한 형식의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어느 형식의 광디스크라도, 대응하는 대물렌즈로 전환함으로써 광디스크의 재생이 정확하게 행해지도록 한, 2축 액튜에이터 및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2축 액튜에이터를 내장한 광디스크장치의 일실시형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광학픽업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반도체레이저소자로부터 입상(立上)미러, 콜리메이터렌즈 그리고 대물렌즈에 이르는 광로(光路)에 따라서 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2축 액튜에이터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2축 액튜에이터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2축 액튜에이터의 측면도.
도 7은 도 2의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2축 액튜에이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2축 액튜에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2축 액튜에이터에 있어서의 렌즈홀더의 제1의 중점(中点)위치에 있어서의 자기(磁氣)회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10은 2축 액튜에이터에 있어서의 렌즈홀더의 제1의 중점위치로부터 제2의 중점위치에의 이동시에 자기회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11은 2축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제1의 중점위치에서의 렌즈홀더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2축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제2의 중점위치에서의 렌즈홀더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도 7의 2축 액튜에이터에 있어서의 렌즈홀더의 중점위치전환을 위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광디스크장치, 11:광디스크, 12:스핀들모터, 13:광학픽업, 14:광디스크드라이브콘트롤러, 15:신호복조기, 16:에러코렉션회로, 17:인터페이스, 18:헤드액세스제어부, 20:광학픽업, 21:반도체레이저소자, 22:그레이팅, 23:빔스플리터, 24:입상미러, 25:콜리메이터렌즈, 26,26a,26b:대물렌즈, 27:광검출기, 28:가이드, 29:광학베이스, 30:2축 액튜에이터, 31:2축 베이스, 32:지지축, 33:렌즈홀더, 34:포커싱용 코일, 35a,35b:트래킹용 코일, 36:포커싱용 요크, 37:포커싱용 마그네트, 38:트래킹용 요크, 39:트래킹용 마그네트, 39a,39b:자극(磁極), 40,41:철편(鐵片).
일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와,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과, 상기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자기발생수단으로서,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과로 이루어지는 2축 액튜에이터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과,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와, 광디스크상에 조사되어 이로부터 반사되는 귀환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수단과,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된 대물렌즈를 상기 광검출기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수단과, 상기 2축 액튜에이터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로 이루어지는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와,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과,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상에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과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가 레이저광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형식의 광디스크라도, 대응하는 대물렌즈로 적절하게 전환함으로써, 광디스크의 재생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를 나타내고,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이 부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양태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2축 액튜에이터를 내장한 광디스크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광디스크장치(10)는, 광디스크(11)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의 스핀들모터(12)와, 광학픽업(1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핀들모터(12)는, 광디스크드라이브콘트롤러(14)에 의하여 구동제어되고,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된다.
또, 광학픽업(13)은, 이 회전하는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신호의 기록을 행하거나, 또는 이 신호기록면으로부터의 귀환광을 검출하기 위하여, 신호복조기(15)에 대하여 귀환광에 따른 재생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신호복조기(15)에서 복조된 기록신호는, 에러코렉션회로(ECC) (16)를 통하여 에러정정되고, 인터페이스(17)를 통하여, 외부컴퓨터 등으로 송출된다. 이로써, 외부컴퓨터 등은, 광디스크(11)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신호로서 수취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광학픽업(13)에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11)상의 소정의 기록트랙까지, 트랙점프 등에 의하여 광학픽업(13)을 이동시키기 위한 헤드액세스제어부(1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광학픽업(13)에는, 이 이동된 소정 위치에 있어서 광학픽업 (13)의 대물렌즈를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후술)에 대하여, 당해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서보회로(19)가 접속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광디스크장치(10)에 내장된 광학픽업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광학픽업(20)은, 광원으로서의 반도체레이저소자(21), 광분할수단으로서의 그레이팅(22), 광분리수단으로서의 빔스플리터(23), 광로절곡수단으로서의 입상미러(24), 콜리메이터렌즈(25), 대물렌즈(26) 및 광검출기(27)와, 대물렌즈(26)를 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2축 액튜에이터(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레이저소자(21)는, 반도체의 재결합발광을 이용한 발광소자이고,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반도체레이저소자(21)로부터 출사한 광빔은, 그레이팅(22)에 인도된다.
광분할수단으로서의 그레이팅(22)은, 입사광을 회절(回折)시키는 회절격자(格子)이고, 반도체레이저소자(21)로부터 출사한 광빔을, 0차 회절광으로 이루어지는 주빔 및 플러스 마이너스 1차 회절광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빔의 최소한 3개의 광빔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빔스플리터(23)는, 그 반사면(23a)이 광축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상태로 배설되어 있고, 그레이팅(22)으로부터의 광빔과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으로부터의 귀환광을 분리한다. 즉, 반도체레이저소자(21)로부터의 광빔은, 빔스플리터 (23)의 반사면(23a)에서 반사되고, 귀환광은, 빔스플리터(23)를 투과한다.
입상미러(24)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로절곡미러이고, 빔스플리터(23)에서 반사된 광빔을 도 3에 화살표 A로 나타낸 수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동시에, 광디스크(11)로부터의 귀환광을 도 3에 화살표 B로 나타낸 수평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 경우, 입상미러(24)는, 그 경사방향이, 광디스크(11)의 트랙방향(디스크 (11)의 접선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콜리메이터렌즈(2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렌즈이고, 입상미러(24)에서 반사된 광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이 경우, 콜리메이터렌즈(25)는, 입상미러(24)에 의하여 절곡된 광로, 즉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의 광로내에 배설되게 된다.
이로써, 빔스플리터(23)와 입상미러(24)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게 선정되게 되고, 2축 액튜에이터(30) 그리고 광학픽업(20) 또한 광디스크장치(10)가 소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 콜리메이터렌즈(25)가 대물렌즈(26)와 입상미러(24)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지지축(32)이 비교적 길게 형성되게 되어, 렌즈홀더 (33)가 안정되어 지지되게 된다.
또한, 콜리메이터렌즈(25)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2)측의 측에지가, 쇄선(25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트되어 있고, 지지축(32) 및 그 주위에배설된 포커싱용 코일(34), 포커싱용 요크(36), 또는 포커싱용 마그네트(37)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커트(25a)는, 콜리메이터렌즈 (25)의 광디스크(11)의 트랙방향의 길이가 충분히 취해지므로, 트래킹서보 등에 관하여 영향은 거의 없다.
대물렌즈(26)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렌즈이고, 콜리메이터렌즈(25)로부터의 평행광을, 회전구동되는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의 원하는 트랙상에 결상시킨다.
여기서, 대물레즈(26)는, 축슬라이드회동형의 2축 액튜에이터(30)에 의하여, 2축 방향 즉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또한 상이한 2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2개의 대물렌즈(26a,26b)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2축 액튜에이터(30)의 가동부인 렌즈홀더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광로중에 삽입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광검출기(27)는, 빔스플리터(23)를 투과한 귀환광빔에 대하여, 수광부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레이저소자(21), 그레이팅(22), 빔스플리터(23), 입상미러 (24), 콜리메이터렌즈(25) 및 광검출기(27)는, 2축 액튜에이터(30)의 고정부인 2축 베이스(31)상에 고정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2축 액튜에이터(3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2축 액튜에이터(30)는, 도 2의 C 방향으로 광학픽업 (20)으로 가이드(28)에 따라서 광디스크(1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광학베이스(29)에 스큐조정되어 장착된 2축 베이스(31)와, 2축 베이스(31)상에서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지지축(32)과, 이 지지축(3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장원형 또는 장방형상의 렌즈홀더(33)와, 렌즈홀더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또한 상이한 각도위치에서 광축이 지지축에 평행으로 지지된 2개의 대물렌즈 (26a,26b)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대물렌즈중 대물렌즈(26a)는, 예를 들면 고밀도광디스크 (제2의 종류의 광디스크)용의 개구수 NA가 비교적 큰 (예를 들면 NA=0.6) 렌즈이고, 통상의 광디스크 (제1의 종류의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용의 개구수 NA가 비교적 작은 (예를 들면 NA〓0.45) 대물렌즈(26b)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33)는, 그 아래쪽에 지지축(32)과 동심(同心)의 원통형부(101)가 형성되고, 렌즈홀더(33)는, 그 위쪽에 각각 광디스크(11)의 신호면과 평행인 상면(102c)과 직각인 측면(102a,102b)을 가지는 평판형태의 플랜지(102)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홀더(33)의 플랜지(102)의 상면(102c)에는 1쌍의 대물렌즈(26a,26b)가 배설되고, 비교적 소경의 대물렌즈(26b)가, 광디스크(11)의 회전중심측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33)는, 그 아래쪽의 원통형부(101)에 장착된 동심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포커싱용 코일(34)과, 그 지지축(32)에 관하여 서로 반대측의 측면(102a,102b)에 장착된 1쌍의 트래킹용 코일(35a,35b)과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2축 액튜에이터(30)의 2축 베이스(31)상에는, 1쌍의 포커스용 코일(36,36)과, 1쌍의 트래킹용 요크(38,38)가 반도체레이저소자(21)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배설된다. 포커싱용 코일(36,36)은 상기 포커싱용 코일(34)에 대하여, 지지축(32)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서 원통형부(101)의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설되고, 트래킹용 요크(38,38)는 상기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대하여 각각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설된다.
1쌍의 포커싱용 마그네트(37,37)가, 포커싱용 코일(36,36)의 내측에 장착되고, 1쌍의 트래킹용 마그네트(39,39)가 트래킹용 요크(38,38)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렌즈홀더(33)의 플랜지(102)의 양단에 트래킹용 코일(35a,35b)을 배치하여,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비교적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홀더(33)의 플랜지(102)의 양단에서 동등한 전자(電磁)구동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렌즈홀더(33)는 원활한 회동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렌즈홀더(33)는, 입상미러(24)가 포커싱용 코일에 대하여 근접하고, 그리고 플랜지(102) 아래에 배설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커싱용 코일(34)은, 트래킹용 코일(35a,35b)과 별개로, 원통형부 (101)의 외주부에 감기고, 지지축(32)의 주위면에 대하여 비교적 근접하여 배설된다. 이로써, 포커싱용 코일(34)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가 수평방향으로 소경으로 감겨져, 전체로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포커싱용 요크(36) 및 마그네트(37)도, 지지축(32)에 근접하고 있다. 이로써, 포커싱용 코일 (34)은, 전체로 소형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유효 도체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트래킹용 마그네트(39)는, 지지축(32)의 축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에 관하여, 서로 역극성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트래킹용 마그네트(39)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2)에 관하여, 시계방향으로 S극 (39a), N극(39b)으로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래킹용 코일(35a,35b)은 지지축(32)의 축에 평행으로 배설되는 권취부를 가지고, 이 권취부의 양측면(102a,102b)에는 각각 지지축(32)의 축방향(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착자(着磁)경계에 따른 방향)으로 배설되는 자성체, 예를 들면 철편(40,41)이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철편(40) 또는 (41)의 어느 한쪽이,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2개의 극(39a,39b)의 경계(39c)에 대향하도록, 흡착됨으로써, 렌즈홀더(33)는, 제1의 대물렌즈(26a)가 콜리메이터렌즈(25)와 광디스크 (11)의 신호기록면 사이의 광로중에 삽입되는 제1의 중점위치, 또는 제2의 대물렌즈(26b)가 광로중에 삽입되는 제2의 중점위치에,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렌즈홀더(33)의 측면(102a,102b)은 지지축(32)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도록 배설되고, 트래킹용 코일(35a,35b) 및 철편(40,41)은 지지축(32)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되도록 측면(102a,102b)상에 배설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대물렌즈(26a,26b)는 반도체레이저소자(21)와 광디스크 (11)의 신호기록면 사이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철편(40,41)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트래킹용 마그네트(39)에 의한 흡착력이 변화하도록 임의로 변경하여, 2축 액튜에이터(30)의 1차 공진주파수 f0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렌즈홀더(33)는 트래킹용 마그네트(39,39)에 흡착되는 철편(40,41)에 의하여 지지축(32)의 측면으로 밀어 넣어져서, 렌즈홀더(33)와 지지축(32) 사이의 공간 때문에 발생하는 요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있어서는, 렌즈홀더(33)는, 상기 제1의 중점위치와 제2의 중점위치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대물렌즈(26a)가 광로중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편(41)이, 대향하는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2개의 자극 (39a,39b)의 경계(39c)에 대향함으로써, 렌즈홀더(33)는, 제1의 중점위치에 있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속이 흐름으로써, 렌즈홀더(33)는, 제1의 중점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대하여, 구동전류가 도 11에 화살표 K 또는 화살표 L로 나타낸 방향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제1의 중점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도 11에 화살표 p 및 q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홀더(33)는 지지축 (32)의 주위에 회동됨으로써, 대물렌즈(26a)가 렌즈홀더(33)의 회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인 트래킹방향으로 이동되어, 트래킹이 행해진다.
여기서,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대하여 통상의 트래킹 서보용 전류보다 큰 전류가 도 11에 화살표 L로 나타낸 방향으로 흐르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1의 화살표 p방향으로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자계와 반발하여, 트래킹용 코일(35a,35b)이 자극(39b)에 대향하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반대측의 철편 (40)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자극(39a,39b)의 경계(39c)에 대향하게 되며, 렌즈홀더(33)는 제2의 중점위치로 이동되어, 대물렌즈 (26b)가 광로중에 삽입되게 된다.
도 13은, 이와 같은 중점위치전환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디스크판별부(63)는, 세트된 광디스크가 전술한 제1의 종류의 광디스크인가, 제2의 종류의 광디스크인가를 판단한다. 광검출기(27)는, 디스크판별부(63)에 접속되어 있다. 디스크판별부(63)는, 중점전환신호출력부(65)와 트래킹에러신호연산회로(6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중점전환신호출력부(65)와 트래킹에러신호연산회로(62)는 대물렌즈의 구동부(6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대물렌즈구동부(61)는 트래킹용 코일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이며, 각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래킹에러신호의 연산회로(62)와 대물렌즈구동부(61)는, 트래킹서보회로이고, 도 1의 서보회로(19)의 일부이다.
디스크판별부(63)는, 예를 들면 광검출기(27)로부터, 그 때 세트된 광디스크의 ID 독취결과를 얻어, 제1의 종류의 광디스크인가 제2의 종류의 광디스크인가의 판단을 행한다. 또는, 디스크판별부(63)는, 광검출기(27) 또는 다른 광검출기에 의하여, 세트된 광디스크의 기판두께의 차에 의한 광의 반사량의 상위에 따른 검출결과를 얻어, 상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한다. 또, 광검출기(27)는, 그 때 세트된 광디스크에 대하여 경방향의 일정 거리에 대하여 트랙갯수를 계측하고, 그 계측결과를 디스크판별부(63)에 출력한다. 이것에 따라서 디스크판별부(63)는 디스크의 판별을 행한다. 디스크판별부(63)는, 판별결과를 중점전환신호출력부(65)에 출력한다.
또한, 이와 같이 그 때 세트된 광디스크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판별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부(63)로서의 조작자(操作子)를 선택하여, 그 때 사용자가 세트한 광디스크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중점전환신호출력부(65)에 출력한다.
중점전환신호출력부(65)는,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 대물렌즈(26a)와 (26b)를 전환하기 위하여, 대물렌즈구동부(61)에 신호를 출력한다. 대물렌즈구동부(61)는, 소정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각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인가하여, 전술한 대물렌즈의 전환을 행한다.
이 경우, 대물렌즈(26a,26b)중 하나가 제1의 상태인 중점위치와 다른 하나가 제2의 상태인 중점위치 사이에서의 전환동작에 대응하여, 각 트래킹용 코일 (35a,35b)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치는 결정되고 있다. 이 전류, 전압치는, 트래킹서보를 행하는 경우에, 트래킹에러신호연산회로(62)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대물렌즈구동부(61)가 각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부여하는 전류 또는 전압치보다 크다. 이로써, 각 트래킹용 코일(35a,35b)에는, 큰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어, 대물렌즈가 트래킹서보용 트래킹스트로크보다 크게 이동함으로써, 각 중점위치의 전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판별부(63)의 판별결과는, 트래킹에러신호연산회로(62)에도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트래킹에러신호연산회로(62)는,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른 트래킹에러신호, 즉 3 스풋법에 의한 트래킹에러신호와, 위상비교법에 의한 트래킹에러신호의 어느 하나를 연산에 의하여 구하여, 대물렌즈구동부(61)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2축 액튜에이터를 내장한 광디스크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투명기판의 두께가 0.6 mm인 고밀도광디스크(제2의 종류의 광디스크)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렌즈홀더(3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중점위치에 있고, 대물렌즈(26a)가 광로중에 삽입되어 있는 동시에, 렌즈홀더(33)에 부착된 한쪽의 철편(41)이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경계(39c)에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광디스크장치(10)의 스핀들모터(12)가 회전함으로써, 광디스크(11)가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광학픽업(20)이, 가이드(28)에 따라서, 도 2에 화살표 C로 나타낸 광디스크(1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대물렌즈(26a)의 광축이, 광디스크(11)의 원하는 트랙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액세스가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물렌즈(26a,26b)중 비교적 소경의 대물렌즈(26b)가 광디스크의 회전중심측에 배설되므로, 이 디스크는 스핀들모터(12)를 방해하지 않게 되어, 대물렌즈(26a)가 광디스크(11)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광학픽업(20)에서, 반도체레이저소자(21)로부터의 광빔은, 그레이팅(22)에 의하여 3개의 광빔으로 분할된 후, 빔스플리터(23)의 반사면(23a)에서 반사되어, 입상미러(24)에서 광디스크(11)에 향하여 반사된다. 또한, 광빔은, 콜리메이터렌즈(25)에 의하여 평행광으로 변환되어, 대물렌즈(26a)를 통하여,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에 결상된다.
이 때, 대물렌즈(26a)에 의하여, 개구수 NA가 고밀도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예를 들면 NA〓0.6에 설정되어 있고, 광빔은,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에 정확하게 결상하게 된다.
광디스크(11)로부터의 귀환광은, 다시 대물렌즈(26a) 및 콜리메이터렌즈 (25), 입상미러(24)를 통하여, 빔스플리터(23)를 투과하여, 광검출기(27)에 결상된다. 이로써, 광검출기(27)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광디스크(11)의 기록신호가 재생된다.
그 때, 광검출기(27)로부터의 검출신호로부터, 신호복조기(15)에 의하여, 트래킹에러신호 및 포커싱에러신호가 검출되어, 광디스크드라이브콘트롤러(14)를 통하여, 서보회로(19)가, 포커싱용 코일(34) 및 트래킹용 코일(35a,35b)로의 구동전류를 서보제어한다. 이로써, 포커싱용 코일(34)의 구동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포커싱용 코일(34)에 흐르는 전류가, 포커싱용 마그네트(37) 및 포커싱용 요크(36)에 의한 자계와 작용함으로써, 렌즈홀더(33)가, 지지축(32)에 따라서 포커싱방향으로 이동조정되어, 포커싱이 행해진다.
또, 도 11의 화살표 K 및 L의 방향으로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흐르는 구동전류가, 트래킹용 마그네트(39) 및 트래킹용 요크(38)에 의한 자계와 작용함으로써, 렌즈홀더(33)가, 제1의 중점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축(32)의 주위에 회동조정되어, 대물렌즈(26a)가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인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조정되어, 트래킹이 행해진다.
다음에, 예를 들면 투명기판의 두께가 1.2 mm인 통상의 광디스크(제1의 종류의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트래킹용 코일(35a,35b)에큰 전류 또는 전압을 흐르게 함으로써, 대물렌즈가 도 11의 화살표 L로 나타낸 방향으로 트래킹서보용 트래킹스트로크보다 큰 거리로 이동하게 되어, 전술과 같이, 렌즈홀더(33)에 부착된 다른쪽의 철편(40)이, 트래킹용 코일(39)의 경계(39c)에 대향하도록, 렌즈홀더(33)가, 지지축(32)의 주위에 회동하여, 제2의 중점위치에 이동된다. 이로써, 대물렌즈(26b)가 광로중에 삽입된다.
그리고, 재생하려고 하는 광디스크의 판별은, 광디스크의 ID의 독취나, 기판두께의 차에 의한 반사광량의 검출 등에 의하여 행해짐으로써, 상기 대물렌즈의 전환이 행해지지만, 수동에 의한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대물렌즈의 전환이 행해져도 되는 것은 명백하다.
여기서, 동일하게 하여, 광디스크장치(10)의 스핀들모터(12)가 회전하여, 광디스크(11)가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광학픽업(20)이, 가이드(28)에 따라서, 광디스크(1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대물렌즈(26b)의 광축이, 광디스크(11)의 원하는 트랙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액세스가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 광학픽업(20)에서, 반도체레이저소자(21)로부터의 광빔은, 그레이팅(22)에 의하여 3개의 광빔으로 분할된 후, 빔스플리터(23)의 반사면(23a)에서 반사되고, 입상미러(24)에서 광디스크(11)에 향하여 반사된다. 또한, 광빔은, 콜리메이터렌즈(25)에 의하여 평행광으로 변환되어, 대물렌즈(26b)를 통하여,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에 결상된다.
이 때, 대물렌즈(26b)에 의하여, 개구수 NA가 통상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예를 들면 NA〓0.45로 설정되어 있으며, 광빔은, 광디스크(11)의 신호기록면에 정확하게 결상하게 된다.
광디스크(11)로부터의 귀환광은, 다시 대물렌즈(26b) 및 콜리메이터렌즈 (25), 입상미러(24)를 통하여, 빔스플리터(23)를 투과하여, 광검출기(27)에 결상된다. 이로써, 광검출기(27)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광디스크(11)의 기록신호가 재생된다.
그 때, 광검출기(27)로부터의 검출신호로부터, 신호복조기(15)에 의하여, 트래킹에러신호 및 포커싱에러신호가 검출되어, 광디스크드라이브콘트롤러(14)를 통하여, 서보회로(19)가, 포커싱용 코일(34) 및 트래킹용 코일(35a,35b)로의 구동전류를 서보제어한다. 이로써, 포커싱용 코일(34)의 구동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포커싱용 코일(34)에 흐르는 전류가, 포커싱용 마그네트(37) 및 포커싱용 요크(36)에 의한 자계와 작용함으로써, 렌즈홀더(33)가, 지지축(32)에 따라서 포커싱방향으로 이동조정되어, 포커싱이 행해진다. 또, 트래킹용 코일(35a,35b)의 구동전류가 제어되어 도 12에 화살표 M 및 N 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트래킹용 마그네트(39) 및 트래킹용 요크(38)에 의한 자계와 작용함으로써, 렌즈홀더(33)가, 제2의 중점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축(32)의 주위에 회동조정되어, 대물렌즈 (26a)가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인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조정되어, 트래킹이 행해진다.
렌즈홀더(33)를 제2 중점위치로부터 제1 중점위치로 다시 이동시킬 때,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인가된 전류 또는 전압치는 도 12의 화살표 M방향으로 설정되므로, 렌즈홀더(33)는 트래킹서보용 트래킹스트로크보다 큰 거리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흐르는 전류가 트래킹용 마그네트(39) 및트래킹용 요크(38)에 의한 자계와 작용함으로써, 렌즈홀더(33)가 지지축(32) 주위에 회전하여, 렌즈홀더(33)상에 장착된 철편(41)이 트래킹용 코일(39)의 경계(39c)와 대향하게 된다. 이로써, 렌즈홀더(33)는 제1 중점위치로 이동하여 대물렌즈 (26a)를 광로중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축 액튜에이터의 렌즈홀더가 지지축의 주위에 요동됨으로써, 복수개의 대물렌즈중, 하나의 대물렌즈가 광로중에 삽입되어, 신호재생하려고 하는 광디스크에 대응한 대물렌즈가 사용된다. 이로써,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이 상기 대물렌즈를 통하여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결상되므로,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으로부터의 귀환광이, 광검출기에 입사함으로써, 복수의 상이한 형식의 광디스크에 관하여, 최적의 신호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각 대물렌즈의 광로중에로의 삽입동작은, 렌즈홀더에 배설된 1쌍의 트래킹용 코일과 고정배치된 트래킹용 마그네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렌즈홀더가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됨으로써 실현되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저코스트로, 재생하려고 하는 광디스크의 형식에 대응한 대물렌즈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학픽업장치의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렌즈홀더(33)는, 입상미러(24)가 포커싱용 코일에 대하여 근접하고, 그리고 플랜지(102) 아래에 배설된 구성이므로, 픽업장치 자체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광디스크장치(10) 및 2축 액튜에이터(30)에 있어서는,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자극(39a)이 S극, 자극(39b)이 N극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역극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트래킹용 코일(35a,35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으로 하면, 동일하게, 렌즈홀더(33)는, 제1의 중점위치 및 제2의 중점위치에서, 각각 트래킹이 행해지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광디스크장치(10) 및 2축 액튜에이터(30)에 있어서는, 렌즈홀더(33)에, 2개의 대물렌즈(26a,26b)가 지지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3개 이상의 대물렌즈가 지지되어 있어, 트래킹용 코일(35)과 트래킹용 마그네트(39)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각 대물렌즈가 선택적으로 광로중에 삽입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어떤 방식의 광디스크라도, 대응하는 대물렌즈로 전환함으로써, 광디스크의 재생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자기(磁氣)발생수단으로서,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2 마그네트에 의하여 흡착되도록 상기 트래킹용 코일 근방에 최소한 2개의 자성체를 가지는
    2축 액튜에이터.
  2.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자기(磁氣)발생수단으로서,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대물렌즈가 광로중에 삽입되는 동작위치와 대응하여 상기 렌즈홀더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중점위치가 배설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중점위치는 트래킹용 코일과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환되고, 상기 대물렌즈는 상기 렌즈홀더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되는
    2축 액튜에이터.
  3.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자기(磁氣)발생수단으로서,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되고, S극, N극이 인접하여 착자(着磁)되는
    2축 액튜에이터.
  4.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자기(磁氣)발생수단으로서,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홀더를 플랜지부 및 상기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원통형면을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대물렌즈를 장착하는 상면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측면을 가지는
    2축 액튜에이터.
  5.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로서, 기록매체에 대향하고, 복수의 대물렌즈를 배설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2 부분 및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3 부분을 가지는 렌즈홀더,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장착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의 제2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의 제3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2 마그네트
    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물렌즈는 상기 렌즈홀더상에 배설되어 레이저빔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2 마그네트에 의하여 흡착되도록 상기 트래킹용 코일 근방에 최소한 2개의 자성체를 가지는
    2축 액튜에이터.
  6.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로서, 기록매체에 대향하고, 복수의 대물렌즈를 배설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2 부분 및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3 부분을 가지는 렌즈홀더,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장착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의 제2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의 제3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2 마그네트
    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물렌즈는 상기 렌즈홀더상에 배설되어 레이저빔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되고, S극, N극이 인접하여 착자되는
    2축 액튜에이터.
  7.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로서, 기록매체에 대향하고, 복수의 대물렌즈를 배설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2 부분 및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3 부분을 가지는 렌즈홀더,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장착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의 제2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의 제3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2 마그네트
    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물렌즈는 상기 렌즈홀더상에 배설되어 레이저빔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대물렌즈가 광로중에 삽입되는 동작위치와 대응하여 상기 렌즈홀더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중점위치가 배설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중점위치는 상기 트래킹용 코일과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환되는
    2축 액튜에이터.
  8.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로서, 기록매체에 대향하고, 복수의 대물렌즈를 배설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2 부분 및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3 부분을 가지는 렌즈홀더,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장착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의 제2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의 제3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2 마그네트
    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물렌즈는 상기 렌즈홀더상에 배설되어 레이저빔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된 트래킹용 코일 근방에 자성체가 배설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지지축에 평행인 경계선에 의하여 분할되어 S극, N극이 인접하여 착자되고, 상기 렌즈홀더는 자성체가 상기 제2 마그네트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2축 액튜에이터.
  9.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로서, 기록매체에 대향하고, 복수의 대물렌즈를 배설하기에 적합한 제1 부분,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2 부분 및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3 부분을 가지는 렌즈홀더,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장착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의 제2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의 제3 부분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어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는 제2 마그네트
    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물렌즈는 상기 렌즈홀더상에 배설되어 레이저빔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플랜지부 및 원통형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대물렌즈를 장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평행으로 배설되고, 상기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3 부분을 가지고, 상기 원통형부는 상기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2축 액튜에이터.
  10.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액튜에이터,
    광디스크상에 조사되어 이로부터 반사되는 귀환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수단,
    상기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된 대물렌즈를 상기 광검출기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수단, 및
    상기 2축 액튜에이터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상에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는 레이저광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가지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2 마그네트에 의하여 흡착되도록 상기 트래킹용 코일 근방에 최소한 2개의 자성체를 가지는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 광디스크장치.
  11.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
    광디스크상에 조사되어 이로부터 반사되는 귀환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수단,
    상기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된 대물렌즈를 상기 광검출기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수단, 및
    상기 2축 액튜에이터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상에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는 레이저광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가지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되고, S극, N극이 인접하여 착자되는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 광디스크장치.
  12.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액튜에이터,
    광디스크상에 조사되어 이로부터 반사되는 귀환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수단,
    상기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된 대물렌즈를 상기 광검출기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수단, 및
    상기 2축 액튜에이터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상에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는 레이저광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가지고,
    상기 대물렌즈가 광로중에 삽입되는 동작위치와 대응하여 상기 렌즈홀더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중점위치가 배설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중점위치는 사용된 대불렌즈에 따라서 상기 트래킹용 코일과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환되는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 광디스크장치.
  13.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
    광디스크상에 조사되어 이로부터 반사되는 귀환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수단,
    상기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된 대물렌즈를 상기 광검출기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수단, 및
    상기 2축 액튜에이터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상에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는 레이저광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포커싱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1 마그네트 및 트래킹용 코일에 대향하여 배설된 제2 마그네트를 가지고,
    상기 렌즈홀더에 장작된 상기 트래킹용 코일 근방에 자성체가 배설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지지축에 평행인 경계선에 의하여 분할되어 S극, N극이 인접하여 착자되고, 상기 렌즈홀더는 자성체가 상기 제2 마그네트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 광디스크장치.
  14.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
    광디스크상에 조사되어 이로부터 반사되는 귀환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수단,
    상기 2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된 대물렌즈를 상기 광검출기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수단, 및
    상기 2축 액튜에이터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축 액튜에이터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수직으로 베이스판상에 배설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축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설된 복수의 대물렌즈,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포커싱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싱용 코일,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렌즈홀더를 트래킹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래킹용 코일, 및
    상기 포커싱용 코일 및 상기 트래킹용 코일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상에 고정배치된 자기발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는 레이저광의 광로중에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렌즈홀더는 플랜지부 및 원통형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대물렌즈를 장착하는 상면 및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평행으로 배설되고, 상기 트래킹용 코일을 장착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원통형부는 상기 포커싱용 코일을 장착하는 원통형면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용 광디스크장치.
KR1019960071945A 1993-10-08 1996-04-08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4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9320816A GB9320816D0 (en) 1993-10-08 1993-10-08 Novel compounds
GB9320816.3 1993-10-08
PCT/JP1994/001588 WO1995010520A1 (en) 1993-10-08 1994-09-27 3-pyrrolidinylthio-carbapenem derivatives and their antimicrobal activity
JP1995-354198 199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892A KR960704892A (ko) 1996-10-09
KR100444563B1 true KR100444563B1 (ko) 2004-11-12

Family

ID=1074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9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4563B1 (ko) 1993-10-08 1996-04-08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22447A1 (ko)
JP (1) JPH09503518A (ko)
KR (1) KR100444563B1 (ko)
AU (1) AU7706894A (ko)
GB (1) GB9320816D0 (ko)
WO (1) WO1995010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1092C (en) * 1995-12-21 2004-04-27 Sankyo Company, Limited 1-methylcarbapenem derivatives
TW445265B (en) 1996-11-25 2001-07-11 Meiji Seika Kaisha Carbapenem derivatives and antimicrobial agents
KR100473365B1 (ko) * 2002-10-18 2005-03-10 주식회사 하원제약 옥사디아졸고리를 포함하는 피롤리딘 치환체를 가지는1-베타메틸카바페넴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274A (en) * 1981-06-22 1984-09-25 Sony Corporation Objective lens assembly for optical disc player
JPH0737259A (ja) * 1993-07-23 1995-02-07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の構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838A (en) * 1988-03-18 1990-05-15 Fujisawa Pharmaceutical Company, Ltd. 3-pyrrolidinylthio-1-azabicyclo[3.2.0]-hept-2-ene-2-carboxylic acid compounds
US4963544A (en) * 1988-05-23 1990-10-16 Fujisawa Pharmaceutical Company, Ltd. 3-pyrrolidinylthio-1-azabicyclo[3.2.0]-hept-2-ene-2-carboxylic acid compounds
WO1993021186A1 (en) * 1992-04-13 1993-10-28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Substituted 3-pyrrolidinylthio-carbapenems as antimicrobial ag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274A (en) * 1981-06-22 1984-09-25 Sony Corporation Objective lens assembly for optical disc player
JPH0737259A (ja) * 1993-07-23 1995-02-07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の構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10520A1 (en) 1995-04-20
JPH09503518A (ja) 1997-04-08
AU7706894A (en) 1995-05-04
EP0722447A1 (en) 1996-07-24
KR960704892A (ko) 1996-10-09
GB9320816D0 (en) 199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0214A (en) Recording/reproducing optical head apparatus compatible with different optical media
JP3948028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US6044048A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evice for accessing media of differing recording densities
EP1760703B1 (en) Optical pickup device
EP0773538B1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US7221523B2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device
US7075872B2 (en) Objective lens supporting apparatus and optical pickup
KR100444563B1 (ko)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EP0783119B1 (en) Biaxial actuator and optical disc apparatus
JPH09237428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17005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0313650B2 (ko)
JPH09198679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805843B2 (ja) 対物レンズの駆動装置
JPH09305996A (ja) 対物レンズ用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198678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198680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JPH09198681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81928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193868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JPS6120659Y2 (ko)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JPH11185266A (ja) 2軸アクチュエータ、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9990041882A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