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777B1 - 식기 세척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3777B1 KR100433777B1 KR10-2002-0010754A KR20020010754A KR100433777B1 KR 100433777 B1 KR100433777 B1 KR 100433777B1 KR 20020010754 A KR20020010754 A KR 20020010754A KR 100433777 B1 KR100433777 B1 KR 100433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tank
- washing
- blower
- dry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여서 세척조를 넓힐 수 있게 한다.
세척조(2)의 전벽(2a)과 그 전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전면 패널(4)과의 사이의 간극에, 세척조(2)로 공기를 송급하기 위한 송풍로(20)와 팬(23)을 배치한다. 건조 운전시에 모터(24)에 의해 팬(23)이 회전구동되면, 케이스(1) 내를 향해 개구된 흡기구(21)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댐퍼(25)가 열려 송풍로(20)를 통해 송풍구(22)에서 세척조(2)로 토출된다. 이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상측 덮개(10)를 개폐하기 위한 공간적 여유를 세척조(2)의 전벽(2a)보다도 전방에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따라 발생한 공간에 송풍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종래 세척조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던 송풍기구가 없어져서 세척조를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 세척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빌트인 타입에 적합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척조 내에 수돗물을 도입하여 그 저부에 저류하고, 그 후에 펌프를 작동시켜 저류된 물을 흡인하여 노즐로 공급하고, 노즐로부터 세차게 물을 분사시켜 세척조 내에 수용한 식기류를 세정한다. 그 후에 송풍 팬을 작동시켜 세척조에 외기를 불어넣어 세척조 저부에 배치한 히터로 가열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온풍으로 식기류를 건조시키고, 습기를 포함한 온풍은 배기구를 통해 식기 세척 건조가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식기 세척 건조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세척조가 배치되고, 케이스의 전면에는 앞쪽 하측으로 회동하는 도어가 설치되고, 도어를 연 상태에서 세척조 내에서 식기 바스켓를 수평 전방으로 인출이 자유로운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최근 시스템 키친의 보급에 따라 시스템 키친에 짜 넣기 위한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 건조기도 시판되고 있다. 빌트인 타입에 적합한 식기 세척 건조기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39799호 등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소위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로서,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식기 바스켓를 내장하는 세척조가 도어를 겸하는 전면 패널과 함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세척조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세척조의 상면이 넓게 개구하고 있어서 위쪽에서 식기류를 꺼냈다 넣었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세척조를 케이스로 밀어넣으면 케이스 내의 상부 공간에 대기하고 있던 상측 덮개가 강하하여 세척조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각종 식기류는 물론 도마나 냄비 등의 조리기구도 세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척조의 용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나, 케이스의 크기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세척조의 용적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상술한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세척조를 인출할 때에 상측 덮개가 상측 전방으로 요동하며 상측에 지지되기 때문에, 세척조와 전면 패널 사이에 그 요동을 위한 여유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과 세척조의 앞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극을전면 개방식의 식기 세척 건조기보다 크게 취할 필요가 있어서, 세척조의 크기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정 치수의 시스템 키친에 수용해야 한다는 제약상, 세척조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식기 바스켓에 수용할 수 있는 접시의 사이즈를 크게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세정펌프는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거의 연속적으로 계속 운전되기 때문에, 헹굼 운전 종료시점에서는 상당히 발열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세정, 헹굼 및 건조라는 일련의 행정을 반복해서 실행하는 경우에는, 세정펌프가 과열되어 고장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특히,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주위를 벽으로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통풍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세정펌프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세척조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에 세정펌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저부 커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조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세정펌프가 저부 커버와 케이스로 이중으로 둘러싸이게 되어, 발생한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식기 세척 건조기는 야간 취침중 등에 운전되는 경우도 많아서, 특히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척조 내에서 분사되는 물이 세척조 벽면이나 식기류에 닿아 발생하는 소음의 억제가 큰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여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요 목적의 하나는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배치를 최적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세척조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식기 세척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펌프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식기 세척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제1 내지 제4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세척조를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세척조를 케이스에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전면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도.
도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전면 패널의 주요부 정면도.
도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배기로 주변의 주요부 단면도.
도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건조 운전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전면 패널의 측면도.
도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전면 패널의 주요부 단면도.
도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회로 유닛의 정면도.
도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조작부의 회로 유닛을 전면 패널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9 중의 A-A'선 단면도.
도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조작부의 회로 유닛을 전면 패널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9 중의 B-B'선 단면도.
도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식기 바스켓의 평면도.
도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식기 바스켓의 정면도.
도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세척조 내에서의 식기 바스켓과 아암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15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찌꺼기 포집 필터의 평면도, 도15b는 동 측면도.
도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시스템 키친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일부 투시도.
도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시스템 키친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18은 도17 중의 G부의 확대도.
도19는 도17 중의 G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
도20은 도17 중의 H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세척조
2a : 전벽
2b : 후벽
3 : 상면 개구
4 : 전면 패널
7 : 저수조
8 : 세정 겸 배수펌프
10 : 상측 덮개
15 : 찌꺼기 포집 필터
20 : 송풍로
21 : 흡기구
22 : 송풍구
23 : 팬
24 : 블로어 모터
25 : 댐퍼
26 : 흡기 커버 부재
27 : 배기 커버 부재
28 : 배기로
30 : 배기구
31 : 댐퍼
32 : 보조 배기로
33 : 밀봉 부재
50 : 회로 유닛
51 : 상부 케이스
53 : 회로기판
70 : 식기 바스켓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1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으며 상면에 식기를 수납 및 꺼내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세척조와, 세척조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상측 덮개와, 세척조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그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에 상기 상측 덮개를 위치시키고, 세척조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측 덮개를 케이스 내에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상측 전방의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는 상측 덮개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전벽과 이 세척조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을 소정 거리 이간하여 배치하고, 건조 운전시에 상기 세척조 내로 송풍을 행하기 위한 송풍 수단 및 송풍로를 상기 세척조 전벽과 전면판 사이의 간극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송풍 수단은 전형적으로는 모터 및 이것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으로서, 팬이 회전구동되면 적당한 위치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해 흡인된 공기가 송풍로를 거쳐 세척조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있는 히터에 의해 세척조내의 공기는 가열되고 식기류는 건조된다. 그리고, 증기를 포함한 온풍은 적당한 위치에 형성된 배기로를 통해 세척 건조기 밖으로 배출된다.
제1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세척조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에 상측 덮개를 위치시키고, 세척조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측 덮개를 케이스 내에서 폐쇄 위치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측 전방의 개방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조 전벽과 전면판 사이에 상측 덮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 이상의 간극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는 이 간극은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만, 제1 발명에서는 종래 일반적으로 세척조의 후방에 배치하였던 송풍 수단 및 송풍로를 상기 간극에 수납한다. 따라서, 이 간극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 않게 되어, 그 만큼 케이스 내의 후방측으로 세척조를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 의하면,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충분한 세척조의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식기류를 한번에 수납하여 효율적으로 세정·건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는 세정시의 물의 가열과 공용하는 경우에는 세척조의 저부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건조 전용 히터로서 송풍로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로에 있어서 송풍 수단과 세척조내를 향해 개구된 송풍구와의 사이에, 기외로 연통하는 배출로를 접속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수단이 작동하고 있지않을 때, 즉 세정 운전중이나 헹굼 운전중에 세척조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송풍구를 통해 송풍로로 인입되어 역류해 와도, 이 수증기는 배출로를 통해 기외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송풍 수단에 수증기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송풍 수단(특히, 모터)의 습기로 인한 고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수단에 의한 송풍시에 송풍로를 개방하고, 비송풍시에는 그 송풍로를 차단하는 풍로 개폐 수단을, 송풍로내의 송풍 수단과 상기 배출로의 접속부위와의 사이에 설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운전중이나 헹굼 운전중에 세척조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송풍로에 인입되어도, 풍로 개폐 수단에 의해 차단되어 송풍 수단에 도달하는 일이 없고, 풍로 개폐 수단의 앞에 접속되어 있는 배출로를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송풍 수단이 습기로 인해 고장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증기가 원활하게 기외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출로는 상기 접속부위에서 기외를 향해 전체적으로 상측을 향한 경사구배를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풍로 개폐 수단은 송풍 수단에 의한 송풍시에 송풍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출로를 폐쇄 또는 이 배출로로의 유통을 방해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운전시에 송풍 수단에 의해 발생한 공기류는 배출로로 유입되는 일이 없이, 송풍구를 거쳐 세척조 내로 토출된다. 따라서, 수증기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배출로를 형성해도, 이것으로 인해 송풍시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전면판에 형성한 배기구와 세척조내를 연통하는 배기로에 상기 배출로의 타단을 접속하고, 이 접속부위보다도 세척조측의 배기로내에, 건조 운전시에 개방하는 배기로 개폐 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운전시에는 배기로 개폐 수단이 열리고, 세척조내의 주로 식기류로부터 건조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다량의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가 배기로를 통해 기외로 배출되고, 세정 운전중이나 헹굼 운전중에는 세척조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배출로를 통해 배기로로 유입되어 배기구에서 기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구를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판에 복수의 배기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서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배기로 개폐 수단이 폐쇄됨으로써, 세척조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물의 분사음이나 식기류의 진동음 등)이 기외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로의 적어도 일부는, 송풍 수단에서 송풍구까지의 사이에서 이 송풍 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애초부터 송풍구를 거쳐 송풍로로 들어온 수증기가 송풍 수단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송풍 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부위에서 배출로의 하단을 송풍로에 접속하면 된다. 이에 따라, 수증기를 원활하게 기외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2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으며 상면에 식기를 수납 및꺼내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세척조와, 세척조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상측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전벽에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간하여 전면판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세척조의 전벽과 전면판의 간극에 건조 운전시에 상기 세척조 내로 송풍을 행하기 위한 송풍 수단 및 송풍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착탈 가능」이란, 전면판이나 세척조 등의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예컨대 일체성형이나 열 용착 등에 의한 고착은 포함하지 않지만, 수지재 등의 탄력성을 이용한 끼워 붙임이나 나사를 사용한 나사식 붙임 등은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면판을 분리하면 송풍 수단이나 송풍로가 노출되기 때문에, 고장의 수리나 부재의 교환 등이 매우 쉽다. 즉, 보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 수단은 팬 및 이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고, 이 모터를 송풍로내에 설치하고, 이 모터의 전자기 코일을 송풍로의 입구인 흡기구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모터의 구동에 의해 특히 전자기 코일이 발열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팬의 회전에 의해 흡기구를 거쳐 송풍로내로 흡인된 찬 공기가 모터에 닿아, 특히 전자기 코일로부터 열을 뺏기 때문에 전자기 코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송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류가 따뜻해지기 때문에, 건조시의 세척조내의 온도를 높여서 건조효율을 향상시킨다는 부수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2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로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모터를 내장하는 팬실은, 전면판의 이면을 벽면의 일부로 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즉, 이 구성에서는 세척조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폐색하는 전면판이 팬실의 벽면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따라서, 전면판을 분리하면 팬실이 개구되고, 그 내부에 모터가 노출된다. 따라서, 가장 고장날 가능성이 높은 모터의 수리나 교환이 매우 쉬워져서 보수담당자의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로의 입구인 흡기구를 전면판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나, 외관상 보기 나빠지거나 디자인상의 제약이 발생한다. 따라서, 흡기구는 세척조의 전벽과 전면판의 간극에 트여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케이스는 완전히 밀폐되어 있지 않고, 적당한 간극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기 때문에, 흡기구를 케이스 내부로 개구하여 형성해도 신선하고 찬 외기를 원활하게 송풍로로 들여와서 세척조 내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상기 송풍로의 출구로서 세척조내를 향해 개구된 송풍구는,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상기 세척조 내에 저류되는 물의 규정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조 내에 규정수위에 달하는 물이 저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세척조를 꺼내거나 밀어넣은 경우, 그 저류수의 수면이 크게 물결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풍구가 규정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도 송풍구로 물이 침입하지 않거나, 침입하였다 하더라도 그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송풍로내에 오염된 물이 고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거나, 송풍로에 수밀성이 불충분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그 부분을 통해 다량의 물이 새어나와 케이스내나 주위를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누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송풍로는 세척조의 벽면 외측과 이 벽면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송풍로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측에서 양자의 접촉부를 밀봉 부재로 수밀하게 봉하는 구성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3 발명은,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기류를 수용하는 세척조와, 이 세척조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이 세척조의 저벽 하측에 설치된 세정펌프와, 이 케이스 내의 전방에 흡기구를 갖고 송풍 출구를 세척조 내로 개구한 송풍로와, 상기 세정펌프를 덮도록 설치된 저부 커버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저부 커버의 내부와 상기 흡기구를 연통하게 하고, 이 저부 커버에는 상기 흡기구를 향해 흐르는 공기류가 상기 세정펌프 근방을 통과하는 위치에 통기용 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 의하면, 건조 운전시에 상기 송풍로를 통해 세척조로의 송풍이 개시되면, 상기 통기용 개구를 거쳐 저부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찬 공기가 유입되어, 세정펌프의 근방을 통과하여 흡기구에 도달한다. 따라서, 가령 건조 운전 이전의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정펌프가 뜨거워져 있어도, 건조 운전시에 발생하는 상기 공기류에 의해 세정펌프는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건조 운전의 종료후에 계속해서 다른 식기류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세정펌프가 과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세정펌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4 발명은, 상면에 식기를 수납 및 꺼내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세척조와, 이 세척조를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개구를 설치한 프레임을 전면에 설치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세척조를 케이스 내에 수납하였을 때에 이 프레임의 전면에 대면하는 세척조와 일체로 이동하는 도어의 이측면과의 사이에 기밀성의 밀봉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조를 케이스 내에 수납하였을 때에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이측면 사이의 간극이 밀봉 부재에 의해 높은 기밀성을 갖고 폐색되기 때문에,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척조 내에서 분사수가 세척조 벽면이나 식기류와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물의 부딪히는 소리가 기외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세척조 내부에서 상기 이외에 발생하는 각종 소음의 누설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운전시의 정숙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4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며 그 주연부를 피복한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기밀유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에 의해 밀봉 부재는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방이나 비스듬한 방향에서 밀봉 부재를 잡아당겨도 프레임에서 쉽게 탈착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은 그 후면측에 있어서 주연부보다 약간 내측에서 전방측으로 움푹 패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을 갖고 있고, 밀봉 부재의 고정부의 후면측 단부가 그 프레임의 후면의 패이거나 오목한 내측에 걸어맞춰지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밀봉 부재가 한층 더 탈락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밀봉 부재의 고정부의 후면측 단부를 케이스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프레임을 케이스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한층 더 확실하게 밀봉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4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 측면 단면도로서, 도1은 세척조를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 도2는 세척조를 케이스에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1)의 내부에는 상면 개구(3)를 갖는 세척조(2)가 배치되고, 세척조(2)의 내부에는 식기류를 정렬하기 위한 식기 바스켓(70)이 설치되어 있다. 세척조(2)의 전벽(2a)에는 케이스(1)의 전면 개구를 폐색하는 도어를 겸한 전면 패널(4)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전면 패널(4)과 세척조(2)는 일체로, 케이스(1)의 양측 벽면 내측에 거의 수평하게 설치된 레일(5)을 따라 전방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스(1)내의 상측 공간에는 세척조(2)의 상면 개구(3)를 폐색하기 위한 상측 덮개(10)가, 케이스(1)의 측벽면 내측에 일단이 축받이되고, 타단이 상측덮개(10)의 측면에 축받이된 좌우 1쌍의 평행 링크(11)에 의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세척조(2)가 케이스(1)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덮개(10)는 세척조(2)의 상면에 밀착해서 상면 개구(3)를 폐색하고, 세척조(2)가 케이스(1)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덮개(10)는 전방으로 나오면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측 덮개(1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세척조(2)의 전벽(2a)과 전면 패널(4) 사이에는 그 이동거리를 고려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측 덮개(10)를 연직방향이 아니라 비스듬한 전후방향으로 상하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세척조(2)를 케이스(1)내에 수납할 때에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세척조(2)의 상면 개구(3)에 대해 상측 덮개(10)도 약간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상측에서 강하한다. 즉, 상측 덮개(10)가 세척조(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할 때에 그 접촉각도가 90°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상측 덮개(10)의 하면(또는 세척조(2)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밀봉 부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서 밀봉 부재의 열화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세척조(2)의 후벽(2b)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밸브를 구비한 신축이 자유로운 급수관(9)이 접속되어 있고, 급수밸브가 열리면 외부의 수도전 등에서 공급된 물이 급수관(9)을 통해 세척조(2)내로 부어진다. 세척조(2)의 전부 저면에는 크게 패인 저수조(7)가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세척조(2)내에 부어진 물은 저수조(7)로 유입되어 저류된다. 이 저수조(7)의 상부에는 식기 세정시에 식기로부터 흘러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포집하기 위한 메시형상의 찌꺼기 포집 필터(15)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세척조(2)의 저부 중앙에는 상면에 복수의 노즐이 형성된 회전이 자유로운 아암(6)이 설치됨과 동시에, 세척조(2)의 저면 하측에는 세정 겸 배수펌프(8)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 겸 배수펌프(8)는 양쪽 회전 방향으로 회전구동 가능한 모터를 포함하고, 이 모터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세정 겸 배수펌프(8)는 세정펌프로서 기능하고,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세정 겸 배수펌프(8)는 배수펌프로서 기능한다.
세척조(2)의 하측에는 세정 겸 배수펌프(8)를 덮도록 저부 커버(2c)가 장착되어 있고, 저부 커버(2c)의 후부에는 주로 도시하지 않은 배수 호스 등을 도출하기 위해 개구(2d)가 형성되고, 또 하면에는 후방측에 집중되어 통기 구멍(2e)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세척조(2)의 저부에 있어서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의 저수수위(L)보다 낮은 위치에는, 세척조(2)내에 저류된 물을 따뜻하게 함과 동시에 건조시에는 세척조(2)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루프형상의 시즈 히터(12)가 배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4)과 세척조(2)의 전벽(2a) 사이의 간극에는, 공기류의 입구인 흡기구(21)가 케이스(1)내를 향해 개구되고, 출구인 송풍구(22)가 세척조(2)의 전벽(2a) 하측으로 개구된 송풍로(20)가 배치되어 있고, 송풍로(20)내에 있어서 흡기구(21) 근처에는 블로어 모터(24)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23)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구(22)는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척조(2)내에 저류되는 물의 저수수위(L)보다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4) 및 세척조(2)의 전벽(2a)의 상부에는, 세척조(2)내에서 기외로 배기를 실행하기 위한 배기로(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로(28)의 출구인 배기구(30)의 상측, 즉 전면 패널(4)의 최상부에는 조작 패널(14)을 갖는 조작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13)에서 각종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급수관(9)을 통해 세척조(2)내로 물이 공급된다. 세척조(2)내로 공급된 물은 저수조(7)를 포함하는 세척조(2)의 저부에 고이고, 저수수위(L)에 도달하면 급수는 정지된다. 이 때 시즈 히터(12)에 가열전류가 공급되고, 시즈 히터(12)와의 열교환에 의해 저류수는 소정 온도까지 가열된다. 세정 겸 배수펌프(8)가 세정펌프로서 구동되면, 저수조(7)로부터 흡인된 온수가 아암(6)으로 압송되어 노즐을 통해 세척조(2)내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식기 바스켓(70)에 수용되어 있는 식기류로 물이 세차게 내뿜어져서 오물이 떨어진다. 식기에 부착되어 있던 음식물 찌꺼기는 찌꺼기 포집 필터(15)에 포집되고, 물은 저수조(7)로 유입되고 다시 순환하여 사용된다.
이어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특징의 하나인 건조 운전을 위한 공기의 유통에 관한 구성에 대해, 도1에 추가하여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전면 패널(4)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정면도, 도4는 전면 패널(4)의 주요부 정면도, 도5는 배기로(28) 주변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6은 건조 운전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조(2)의 전벽(2a)에는 전방측에서 흡기 커버부재(26)가 나사로 장착되고, 이에 따라 흡기 커버 부재(26)와 전벽(2a) 사이에 상기 송풍로(20)의 주요부와 후술하는 보조 배기로(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 커버 부재(26)를 세척조(2)의 전벽(2a)에 나사식 붙이기할 때에는, 후기하는 이유에 의해 송풍로(20)의 하방측에 있어서 흡기 커버 부재(26)와 전벽(2a)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33)가 끼워진다.
흡기 커버 부재(26)에는 팬(23)을 둘러싸는 벽면인 팬 포위부(26a)와, 그 배면에 있어서 블로어 모터(24)를 둘러싸며 전방(전면 패널(4)측)이 개방된 모터 포위부(2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흡기 커버 부재(26)를 전벽(2a)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블로어 모터(24)는 노출되어 있다. 한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4)의 이면에는 상기 흡기 커버 부재(26)의 모터 포위부(26b)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4c)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리브(4c)는 우측방이 끊어진 절결부(4d)를 갖고, 모터 포위부(26b)도 마찬가지로 우측방이 끊어져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4)을 세척조(2)의 전벽(2a)에 장착하면, 리브(4c)가 모터 포위부(26b)의 입설벽을 사이에 끼우도록 끼워맞춰 기밀성이 높은 벽면을 형성하며, 우측방을 향해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가 상기 흡기구(21)로 되고, 전면 패널(4), 세척조(2)의 전벽(2a) 및 흡기 커버 부재(26)로 둘러싸인 팬실(20a)이 송풍로(20)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팬실(20a)에 있어서 흡기구(21)측에는, 블로어 모터(24)의 전자기 코일(24a)이 배치되어 있다. 송풍로(20)는 상기 팬실(20a)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거의 수평하게(도3에서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0b), 다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굴곡하는 굴곡부(20c), 송풍구(22)까지 곧장 내려뜨려지는 수직부(20d)를 갖고 있다.송풍로(20)의 수평부(20b)에는 축(25a)을 중심으로 접동이 자유로운 댐퍼(25)가 설치되어 있고, 팬(23)이 회전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자체 무게에 의해 도3 중에 C로 표시한 최하위치까지 내려가서 팬실(20a)과 수평부(20b)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송풍로(20)의 수평부(20b)의 상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배기로(32)가 형성되어 있고,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연장되어 배기로(28)에 접속되어 있다.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세척조(2)내에 저류된 물이 가열됨으로써 발생한 수증기가 송풍구(22)를 통해 송풍로(20)내로 역류해 올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들 운전시에는 팬(23)이 회전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댐퍼(25)가 닫혀 있으므로, 수증기는 댐퍼(25)에 차단되어 블로어 모터(24)에는 도달하지 않고 그대로 보조 배기로(32)내를 상승해서 배기로(28)로 빠져서 기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블로어 모터(24)가 습기에 노출되지 않아 그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단,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에서는, 블로어 모터(24)는 송풍로(20)의 수평부(20b)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송풍로(20)의 굴곡부(20c)와 보조 배기로(32)는 수평부(20b)를 사이에 두고 동일방향의 경사구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댐퍼(25)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또는 댐퍼(25)의 폐쇄가 불충분하였다 하더라도, 수직부(20d)→굴곡부(20c)→수평부(20b)로 상승해 온 수증기는 팬실(20a)을 향하지 않고 그 대부분이 보조 배기로(32)로 유입된다. 또한, 팬실(20a)측에서 연장되는 수평부(20b)와 보조 배기로(32)의 접속부위는 예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25)가 없었다 하더라도 팬(23)에 의해 발생된 공기류는 보조 배기로(32)로는 흘러들어가기 어렵고, 그 대부분이 송풍구(22)를 통해세척조(2)내로 향한다.
세정 운전이나 헹궁운전중 등에 운전을 일시정지하여 세척조(2)가 인출되면, 세척조(2) 저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이 물결친다. 이 물이 송풍구(22)를 통해 송풍로(20)내로 침입한 경우, 흡기 커버 부재(26)와 세척조(2)의 전벽(2a)의 밀착면을 통해 물이 누출되면 저부 커버(2c)나 그 외의 부분으로 물이 새어 고이게 된다. 따라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구(22)를 통해 송풍로(20)내로 물이 들어가기 어렵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구(22)를 저수수위(L)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척조(2) 저부에 물이 저류된 상태에서의 세척조(2)의 출입동작 뿐만 아니라, 통상의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도 송풍구(22)를 통해 송풍로(20)내로 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가령 송풍로(20)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로(20)의 하방측에서는 흡기 커버 부재(26)와 세척조(2)의 전벽(2a) 사이는 밀봉 부재(33)에 의해 수밀성이 매우 높아져 있기 때문에, 이 간극에서 물이 누출하는 것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구(22)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절결을 형성하여, 좁은 물의 안내로(22a)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송풍로(20)내로 침입한 물이 안내로(22a)를 따라 세척조(2)내로 신속하게 유출되어 송풍로(20)내(특히, 세척조(2)의 전벽(20a)과 흡기 커버 부재(26)의 밀착부분의 약간의 단차)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오염된 물이 고여 악취가 나는 일도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후의 건조 운전시에는, 팬(23)은 블로어 모터(24)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러면, 도3 및 도6 중에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21)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팬실(20a)에서 수평부(20b)로 압송한다. 흡기구(21)는 직접적으로 기외와는 연통되어 있지 않으며, 저부 커버(2c)내의 공간으로 연통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저부 커버(2c)에는 개구(2d)나 통기 구멍(2e)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에는 각부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기외의 신선한 외기는 원활하게 케이스(1)내로 유입되고, 이어서 개구(2d)나 통기 구멍(2e)을 거쳐 저부 커버(2c)내에 유입되고, 다시 흡기구(21)를 통해 송풍로(20)내로 유입되게 된다.
통상, 건조 운전시에는 펌프 모터는 정지하고 있으나, 그 이전의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에 의해 펌프 모터는 발열하여 뜨거워져 있다. 여기에서는, 통기 구멍(2e)을 저부 커버(2c)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저부 커버(2c)의 내부에서는 세정 겸 배수펌프(8)의 펌프 모터에 외부로부터 들어온 찬 공기류가 접촉하기 쉬우므로, 건조 운전시에는 펌프 모터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펌프 모터의 냉각은 건조 운전후에 계속해서 다음 식기의 세척을 실행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그리고,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송풍로의 흡기구를 세척조의 전벽과 전면 패널의 간극에 형성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 모터의 냉각을 행하기 위해서는, 흡기구는 저부 커버 내부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전방, 보다 정확하게는 펌프 모터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흡기구(2)에서 송풍로(20)내로 유입된 찬 공기는, 바로 블로어 모터(24)의 전자기 코일(24a)에 닿는다. 이에 따라, 전자기 코일(24a)을 냉각하여 그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모터(26b)의 입설벽과 전면 패널(4)의 리브(4c)의 끼워 맞춤에 의해 기밀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주위로부터 공기가 새어들어오는 일은 적고, 흡기구(21)로부터 확실하게 공기를 흡입하여 전자기 코일(24a)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팬(23)에 의해 이와 같은 공기류가 발생하면 댐퍼(25)는 이것에 밀려 개방되어(도3중에 D로 표시한 위치), 공기류는 송풍로(20)의 수평부(20b)→굴곡부(20c)→수직부(20d)를 통과하여 송풍구(22)에서 세척조(2)내로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세척조(2)내에서 시즈 히터(12)로 가열되어 상승하면서 식기류를 건조시킨다.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조(2)의 전벽(2a) 상부에는 배기 도입구(29)가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 전방측으로부터 배기 커버 부재(27)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배기로(28)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배기로(28)는 세척조(2)를 향해 개구하는 배기 도입구(29)와 기외를 향해 개구하는 배기구(30)를 갖고, 그 내부에 자체 무게에 의해 배기 도입구(29)와 배기로(28)를 차단하는 댐퍼(31)를 구비하고 있다. 건조 운전시 이외의 경우, 예컨대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댐퍼(31)가 폐쇄되어, 세척조(2)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배기로(28)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댐퍼(31)가 폐쇄됨으로써 세척조(2)내의 온수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는 송풍구(22)를 통해 송풍로(20)내로 유입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어 모터(24)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활하게 배기로(28)를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건조 운전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구(22)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에 의해 세척조(2)내의 공기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댐퍼(31)가 세척조(2)측에서 밀려 개방되어(도5 중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 식기류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습한 공기는 배기로(28)를 통과하여 배기구(30)에서 기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로(28) 중에는 수증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수증기를 응축·액화시켜 세척조(2)의 저부로 흘려 내려보내는 구조체를 배치하거나 또는 배기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제취수단을 배치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블로어 모터(24)의 고장을 경감시키도록 배려하고 있는데, 만일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전면 패널(4)을 장착하고 있는 나사를 분리하기만 하면, 도3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블로어 모터(24)가 노출된다. 또한, 흡기 커버 부재(26)도 세척조(2)의 전벽(2a)에 나사식으로 설치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나사를 분리하면 바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시스템 키친에 빌트인한 상태에서 고장의 수리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4)의 최상부에 비스듬하게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조작 패널(14)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 전원 스위치나 운전의 개시/일시정지를 위한 스위치, 세정 코스의 선택을 위한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류와, 이들 스위치를 통한 선택에 따른 표시를 실행하는 LED 표시기나 운전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기 등을 실장한 회로 유닛(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4)의 하측에 배기구(30)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배기구(30)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전방으로 크게 연장되어 차양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차양부(41)는 조작 패널(14)의 하측 가장자리부보다도 W1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있다. 따라서, 배기구(3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후방측으로는 돌아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조작 패널(14)에서 결로되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14)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이 식기 세척 건조기가 조립되는 시스템 키친의 전면(60)보다도 W2만큼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스듬하게 상측에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내려다 보았을 때에, 조작 패널(14)이 시스템 키친의 전면(60)에 가려지는 일이 없으므로, 표시를 보기 쉽고 키 조작도 행하기 쉽다.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비스듬하게 상측을 지향하는 조작 패널(14)을 실현하기 위해 특징적인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어서, 이 조작 패널(14)을 포함한 조작부의 구성에 대해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7은 전면 패널의 측면도, 도8은 전면 패널의 상부의 종단면도, 도9는 전면 패널 상부의 조작 패널부의 이면에 장착되는 회로 유닛의 정면도, 도10은 회로 유닛을 전면 패널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도9 중의 A-A'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11은 마찬가지로 도9 중의 B-B'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면 패널(4)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금형 성형품이다. 전면 패널(4)을 형성할 때의 금형의 탈거 방향은 도8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서, 조작 패널부(40)의 이면에 회로 유닛(50)을 나사로 장착하기 위한 보스(42)도 금형의 탈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워 형성된다. 한편, 회로 유닛(50)은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53)을 수납하는 하부 케이스(52)와, 이 하부 케이스(52)상에 나사(54)로 나사식 붙여지는 상부 케이스(51)로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51), 하부 케이스(52)는 모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금형 성형품이다. 회로 기판(53)에는 돌출된 조작자를 눌렀을 때에만 2개의 접점이 개폐되는 논 로크형 푸시 버튼 스위치(531)나 LED 어레이(532), 숫자 표시기(533)가 적절하게 실장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그 외의 회로부품도 실장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51)에는, LED 어레이(532) 및 숫자 표시기(5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개구(511)가 형성됨과 동시에, 대략 수직 상측으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아 이것을 푸시 버튼 스위치(531)의 조작자로 전달하는 압압력 전달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압압력 전달부(512)는 중앙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주위의 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조작 주체부(512a)와, 이 조작 주체부(512a)의 주위에서 압압력을 받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갖고 조작 주체부(512a)를 지지하는 소용돌이형상의 스프링부(512b)를 갖는다.
상부 케이스(51)에는 상하로 돌출하여 장착편(513)이 형성되어 있고, 도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편(513)을 보스(42)에 대해 나사(55)로 나사식 붙이기 함으로써 회로 유닛(50)을 전면 패널(4)의 조작 패널부(40) 이면에 고정하고 있다. 이 조작 패널부(40)에는 LED 어레이(532) 및 숫자 표시기(533)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부 케이스(51)의 조작 주체부(5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소정 크기의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 유닛(50)을 조작 패널부(40)의 이면에 고정하였을 때, LED 어레이(532)의 꼭대기 부분 및 숫자 표시기(533)의 표면은 상기 개구(43)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51)의 조작 주체부(512a)는 개구(43)의 가장자리와 적당한 간극을 가지며 삽입되고, 그 상면은 조작 패널부(40) 표면과 거의 면 하나로 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부(40)의 표면에, 조작면을 형성하는 막으로서 멤브레인 시트(44)가 접착제 등을 사용해서 점착되어 있다. 멤브레인 시트(44)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 시트로서, 조작 주체부(512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전방으로 팽출되면서 스위치의 표시(문자나 그림)가 그려진 팽출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LED 어레이(532)나 숫자 표시기(533)에 대응하는 위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어 있어서 하측의 표시가 투과하여 보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 멤브레인 시트(44)의 팽출부(44a)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조작 주체부(512a)를 통해 푸시 버튼 스위치(531)의 조작자가 눌린다. 사용자에 의한 압압이 해제되면, 스프링부(512b)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 주체부(512a)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푸시 버튼 스위치(531)의 조작자의 압압이 해제된다.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전면 패널(4)의 조작 패널부(40)가 금형의 탈거 방향에 대해 수직이 아니라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금형을 사용해서 압압력 전달부(512)에 상당하는 가동체를 조작 패널부(4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압압력 전달부(512)를 조작 패널부(40)와는 별도의 부재인 상부 케이스(51)에 형성하고, 조작 패널부(40)는 그 압압력 전달부(512)나 그 외의 표시기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43)를 형성함으로써, 조작 패널부(40)에 압압력 전달부(512)에 상당하는 가동체를 설치한 것과 동일한 조작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멤브레인 시트(44) 이면의 점착부위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압압력 전달부(512) 전체가 조작 패널부(4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부(512b)의 모든 부분에 접착제가 부착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 시트(44) 이면의 스위치부 주위의 넓은 면적에 비접착부(접착제를 부착하지 않은 부분)가 생기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조작 패널의 구조에서는, 조작 주체부(512a)만이 개구(43)로부터 돌출하여 주위의 스프링부(512b)는 개구(43)보다도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 시트(44) 이면의 스위치부 주위의 비접착부의 면적을 작게 해도, 스프링부(512b)에 접착제가 부착될 우려가 없다. 그 결과, 멤브레인 시트(44)의 점착성이 증가되어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 건조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구(3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직접 멤브레인 시트(44)의 표면에는 닿지 않지만, 그 표면 주위에서 습도가 높아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멤브레인 시트(44)와 조작 패널부(40) 표면의 점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그 사이로 미소 물방울이 침입하기 어려우므로 박리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식기 바스켓(70)에 대해 도12 내지 내지 1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2는 식기 바스켓(70)의 평면도, 도13은 식기 바스켓(70)의 정면도, 도14는 세척조(2)내에서의 식기 바스켓(70)과 아암(6)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식기 바스켓(70)의 특징의 하나는 세정용 세제 용기를 구비하는 점이다. 즉, 축(72)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상부 선반(71)의 전방측에 축(74)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세제 용기(73)가 설치되어 있다. 세제 용기(73)는 상면 전체가 개구된 접시 형상으로서, 한 방향으로 경사진 저면의 최저부에는 세제가 흘러나오는 유출 구멍(73a)이 개구하고, 이 유출 구멍(73a)의 하측에는 혀모양으로 연장되는 세제 낙하방지용 돌편(73b)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 운전의 개시전에는 사용자에 의해 이 세제 용기(73)내에 분말 세제가 투입된다. 세제의 일부는 유출 구멍(73a)을 통해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 하측에는 돌편(73b)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제는 그 돌편(73b)상으로 떨어져서 세척조(2)의 저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제 용기(73) 바로 아래에 있는 바구니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의 선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국그릇 탑재용 영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영역에 수용되는 식기류는 직경이 작기 때문에, 이러한 아래의 식기류에 방해받지 않고, 도1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 용기(73)를 수평하게 펴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선반(71)이 축(72)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워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 용기(73) 자체도 축(74)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용기(73)를 상부 선반(71)상에 덮어씌우도록 회동시킨 상태에서 아래의 바스켓에 식기류를 수용하고, 그 후에 세제 용기(73)를 수평하게 펴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정 운전시에 외부의 급탕기에서 온수화된 물이 공급되는 경우, 급수밸브를 열어서 물이 흐르기 시작하고 급탕기가 점화되었다 하더라도, 실제로 온수가 나오기 시작할 때까지는 약간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고, 그 때까지는 급탕 배관중에 고여 있던 차가운 물이 세척조(2)로 흘러들어온다. 따라서, 이러한 급탕기로부터의온수를 공급하도록 한 경우에는, 급수 초기에 배수도 병행해 감으로써, 급수 초기에 세척조(2)로 공급된 차가운 물은 기외로 배출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여 급탕기에서 가열된 온수가 세척조(2)내로 공급되게 된 후에 배수를 정지하여 그 온수를 저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세척조(2)내로 직접 세제가 투입되게 되면, 당초의 차가운 물에 용해(또는 혼입)된 세제의 일부가 그대로 기외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이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세제를 세제 용기(73)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시에는 세제가 물에 용해 또는 혼입되는 일이 없으므로 세제가 사용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세정 운전이 개시되어 아암(6)의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기 시작하면, 세제 용기(73)내로 물이 튀어 들어가고, 이 물이 유출 구멍(73a)을 통해 낙하할 때에 세제도 세척조(2)내로 낙하한다. 따라서, 세제가 낭비되지 않는다.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식기 바스켓(70)의 다른 특징은, 충분한 높이방향의 세척조(2)내의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성에 있어서, 큰 접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식기 바스켓(70)의 일부를 대형 접시의 수용에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있는 점이다. 즉,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바스켓(70) 저면의 선재의 일부를 다른 부분보다 1단 낮춰서 대형 접시 탑재부(75)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낮춘 분량만큼 상측의 상측 덮개(10)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져서 대형 접시(79)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반면 식기 바스켓(70)의 최저부와 아암(6)의 이간거리(d)가 작아져서 아암(6)이 회전할 때에 식기 바스켓(70)(또는 식기 바스켓(70)의 최저부에서 하측으로 튀어나온 식기)에 접촉할 위험성이 높아진다.그래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아암(6)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으로 인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져서 회전할 때에 접촉의 위험성이 가장 높아지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아암(6)의 경사에 의해 이간거리(d)가 보다 좁아지는 외주측에는 대형 접시 탑재부(75)를 설치하지 않고, 아암(6)의 내주측에 대형 접시 탑재부(7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암(6)이 경사지면서 회전할 때에도 식기 바스켓(70)의 저부나 그곳에서 튀어나온 식기에 아암(6)이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찌꺼기 포집 필터(1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5a는 이 찌꺼기 포집 필터(15)의 평면도이고, 도15b는 그 측면도이다. 이 찌꺼기 포집 필터(15)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쥐기 위한 손잡이부(153)를 메시형상의 스크린(152)과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손잡이부(153)는 외측 프레임(151)보다도 내측에 수납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물결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154)를 형성하고 있다. 통상, 이 찌꺼기 포집 필터(15)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쥘 때에는 도15b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이 위치하는데, 찌꺼기가 고여 있는 경우에는 그 무게로 인해 화살표 F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대해, 손잡이부(153)의 미끄럼 방지부(154)는 이 회전 방향에 대항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지만 효과적으로 미끄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154)의 파형형상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 찌꺼기 포집 필터(15)를 일체성형할 때에는 상하방향으로 탈거하는 금형을사용하면 되고, 수평방향으로 탈거하는 금형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시스템 키친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6은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시스템 키친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일부 투시도, 도17은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시스템 키친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8은 도17 중의 G부의 확대도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세척조(2)는 상당히 큰 중량을 갖기 때문에, 전방으로 인출할 때에 그 인출 종료시점에서 케이스(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큰 힘이 작용한다. 또한, 세척조(2)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는 전방에 중심이 옮겨지기 때문에, 앞으로 넘어질 듯한 큰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식기 세척 건조기가 이동하거나, 후부가 부상되거나 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하여 시스템 키친의 탑재대부(61)에 고정하고 있다. 즉,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케이스(1)의 전부 양측벽 내측에 좌우 1 쌍의 2 개 부분의 전방 고정부를 설치하고, 케이스(1)의 후부에는 대략 중앙에 1 개 부분의 후방 고정부를 설치하고 있다.
후방 고정부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부상 방지 금구(80)를 나사로 탑재대부(61)의 소정 위치에 나사식 붙이기 하고, 그 후 케이스(1)를 전방에서 거의 똑바로 수납한다. 그러면, 부상 방지 금구(80)의 걸림편(80a)이 케이스(1)의 후면판(1b)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개구(1c)에 삽입되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후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걸린다.
한편, 전방 고정부는 도17,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프레임(1a)의 후측에서, L자 형상의 전방 어긋남 방지 금구(81)를 나사(82)로 탑재대부(61)의 소정 위치에 나사식 고정하고, 전면 프레임(1a)의 전방에서 이 전면 프레임(1a)를 관통하는 나사(83)로 전방 어긋남 방지 금구(81)에 나사식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전방 어긋남 방지 금구(81)는 전면 프레임(1a)의 후측에 가려져서 나사(83)의 머리 부분만이 전면 프레임(1a)의 전방에서 보일 뿐이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양호하다. 그리고, 전면 프레임(1a)에 형성된 전면 개구를 통해 꺼내고 넣어지는 세척조(2)의 저부 커버(2c)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 하측 가장자리부가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어긋남 방지 금구(81)와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3 개 부분의 고정부에 의해, 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안정되게 또한 양호한 외관으로 시스템 키친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세척조(2)를 케이스(1)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케이스(1)의 전면 프레임(1a)의 전면과 이에 대향하는 전면 패널(4)(및 세척조(2))측의 당접 벽면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도19는 도17 중의 G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 도20은 도17 중의 H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1a)의 주위에는 방음 패킹으로서 기능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1d)를 장착하고 있다. 즉, 이 밀봉 부재(1d)를 장착하는 전면 프레임(1a)의 전면에는 장착홈(1aa)이 형성되고, 한편 전면 프레임(1a)의 주연부는 후방으로 돌출된 리브(1ab)로 되어 있고, 후면에 있어서는 그 리브(1ab)의 내측이 전방측으로 움푹패어 있다. 밀봉 부재(1d)는 전면 프레임(1a)의 주연부를 피복하면서 장착홈(1aa)에 끼워 넣어지는 손톱 형상으로 돌출된 돌편과 리브(1ab)에 걸어맞춰지는 마찬가지로 손톱 형상인 계합편을 구비하는 고정부(1da)와, 이 고정부(1da)와 일체화된, 만곡 형상으로 적당한 반발력을 갖고 전면 패널(4)의 후면에 밀착되는 기밀 유지부로서의 연장편(1db)을 갖고 있다. 밀봉 부재(1d)의 고정부(1da)는 이와 같은 형상을 갖고 전면 프레임(1a)에 끼워 넣어져 있고, 또한 고정부(1da)의 후면측의 가장자리 단부는 전면 프레임(1a)이 후방의 케이스(1)에 장착될 때에 양자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밀봉 부재(1d)를 전방이나 비스듬한 방향에서 잡아당기는 등의 힘을 가해도 전면 프레임(1a)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이 밀봉 부재(1d)는, 전면 프레임(1a)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차양부(1f)에 나사(84)로 고정되어 있다. 이 나사 고정 부분의 전방에서 밀봉 부재(1d)는 하수편(1f)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방 또는 경사 상측 전방으로부터 이 차양부(1f)를 보았을 때에, 나사(84)의 두부는 하수편(1e)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아 외관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연장편(1db)에 의해 전면 프레임(1a)과 전면 패널(4)(및 세척조(2))측의 당접 벽면 사이를 막음으로써,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척조(2) 내에서 발생하는 분사수에 의한 식기의 부딪치는 소리나 그 외의 각종 소리가 기외로 새어나가기 어려워져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동작시의 정숙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단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나 수정을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 건조기에 따르면, 인출식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충분한 세척조의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식기류를 한번에 수납하여 효율적으로 세정·건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건조 운전시에 상기 송풍로를 통해 세척조로의 송풍이 개시되면, 상기 통기용 개구를 거쳐 저부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찬 공기가 유입되어, 세정펌프의 근방을 통과하여 흡기구에 도달한다. 이로 인해, 가령 건조 운전 이전의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정펌프가 뜨거워져 있어도, 건조 운전시에 발생하는 상기 공기류에 의해 세정펌프는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건조 운전의 종료후에 계속해서 다른 식기류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세정펌프가 과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세정펌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세척조를 케이스 내에 수납하였을 때에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이측면 사이의 간극이 밀봉 부재에 의해 높은 기밀성을 갖고 폐색되기 때문에,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척조 내에서 분사수가 세척조 벽면이나 식기류와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물의 부딪히는 소리가 기외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세척조 내부에서 상기 이외에 발생하는 각종 소음의 누설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식기 세척 건조기의 운전시의 정숙화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5)
-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이 자유롭게 상면에 식기를 수납 및 꺼내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상측 덮개와, 상기 세척조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그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에 상기 상측 덮개를 위치시키고, 세척조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측 덮개를 케이스 내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경사 상측 전방의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는 상측 덮개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상기 상측 덮개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전벽과 상기 세척조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을 소정 거리 이간하여 배치하고,건조 운전시에 상기 세척조 내로 송풍을 행하기 위한 송풍 수단 및 송풍로를 상기 세척조 전벽과 전면판 사이의 간극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에 있어서 송풍 수단과 세척조 내를 향해 개구된 송풍구와의 사이에 기외로 연통하는 배출로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한 송풍시에 송풍로를 개방하고, 비송풍시에는 그 송풍로를 차단하는 풍로 개폐 수단을 상기 송풍로 내의 송풍 수단과 상기 배출로의 접속 부위와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로 개폐 수단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한 송풍시에 송풍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로를 폐쇄 또는 상기 배출로로의 유통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에 설치한 배기구와 세척조 내를 연통하는 배기로에 상기 배출로의 타단을 접속하고, 상기 접속 부위보다도 세척조측의 배기로 내에 건조 운전시에 개방하는 배기로 개폐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의 적어도 일부는 송풍 수단에서 송풍구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송풍 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이 자유롭게 상면에 식기를 수납 및 꺼내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상측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상기 세척조의 전벽에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간하여 전면판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세척조의 전벽과 전면판의 간극에 건조 운전시에 상기 세척조 내로 송풍을 행하기 위한 송풍 수단 및 송풍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팬 및 그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를 송풍로 내에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전자기 코일을 송풍로의 입구인 흡기구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모터를 내장하는 팬실은 상기 전면판의 이면을 벽면의 일부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의 입구인 흡기구는 세척조의 전벽과 전면판과의 간극에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의 출구로서 세척조 내를 향해 개구된 송풍구는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상기 세척조 내에 저류되는 물의 규정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식기 세척 건조기.
-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는 상기 세척조의 벽면 외측과 상기 벽면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송풍로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측 방향에 있어서 양자의 접촉부를 밀봉 부재로 수밀하게 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기류를 수용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세척조의 저벽 하측에 설치된 세정펌프와, 상기 케이스 내의 전방에 흡기구를 갖고 송풍 출구를 세척조 내로 개구한 송풍로와, 상기 세정펌프를 덮도록 설치된 저부 커버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상기 저부 커버의 내부와 상기 흡기구를 연통시켜, 상기 저부 커버에는 상기 흡기구를 향해 흐르는 공기류가 상기 세정펌프 근방을 통과하는 위치에 통기용 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상면에 식기를 수납 및 꺼내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를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개구를 설치한 프레임을 전면에 설치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세척조를 케이스 내에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대면하는 세척조와 일체로 이동하는 도어의 이면과의 사이에, 기밀성 밀봉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하여 그 주연부를 피복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설치된 탄성을 갖는 기밀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056235 | 2001-03-01 | ||
JPJP-P-2001-00056235 | 2001-03-01 | ||
JPJP-P-2001-00115646 | 2001-04-13 | ||
JP2001115646A JP2002325714A (ja) | 2001-03-01 | 2001-04-13 | 食器洗い乾燥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0846A KR20020070846A (ko) | 2002-09-11 |
KR100433777B1 true KR100433777B1 (ko) | 2004-06-04 |
Family
ID=2661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0754A KR100433777B1 (ko) | 2001-03-01 | 2002-02-28 | 식기 세척 건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2325714A (ko) |
KR (1) | KR100433777B1 (ko) |
CN (3) | CN1184925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38812A1 (de) * | 2022-01-24 | 2023-07-27 | BSH Hausgeräte GmbH | Geschirrspülmaschine mit zumindest einer trocknungseinrichtu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5266A (ja) * | 2003-03-13 | 2004-10-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食器洗浄乾燥機 |
ITBO20030610A1 (it) * | 2003-10-17 | 2005-04-18 | Premark Feg Llc | Macchina lavastoviglie con versatilita' di posizione. |
KR101054193B1 (ko) * | 2004-05-03 | 2011-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의 에어 덕트 구조 |
DE102004062767B3 (de) * | 2004-12-21 | 2006-05-11 | Miele & Cie. Kg |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chubladenartig aus dem Gehäuse ausziehbaren Spülbehälter |
JP2007054222A (ja) * | 2005-08-24 | 2007-03-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食器洗い機 |
TW200716044A (en) * | 2005-09-05 | 2007-05-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ishwasher |
JP2007236439A (ja) | 2006-03-06 | 2007-09-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食器洗い機 |
KR100831515B1 (ko) | 2006-04-04 | 2008-05-22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식기 세척기 |
US7568487B2 (en) | 2006-04-20 | 2009-08-04 | Maytag Corporation | Lid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
JP2008093196A (ja) | 2006-10-12 | 2008-04-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食器洗い機 |
ES2527651T3 (es) * | 2007-12-27 | 2015-01-28 | Arçelik Anonim Sirketi | Lavavajillas |
JP2009207796A (ja) * | 2008-03-06 | 2009-09-17 | Panasonic Corp | 食器洗い機 |
JP4508251B2 (ja) * | 2008-03-12 | 2010-07-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食器洗い乾燥機 |
DE102008016480B4 (de) * | 2008-03-31 | 2016-07-07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stand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
US10295256B2 (en) | 2009-02-04 | 2019-05-21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Dishwasher, a door assembly for the dishwasher,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drying dishware |
US8201570B2 (en) * | 2009-10-23 | 2012-06-19 | General Electric Company | Dishwasher drawer gasket system |
JP5257410B2 (ja) * | 2010-06-21 | 2013-08-0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US9848754B2 (en) | 2012-11-19 | 2017-12-26 | Whirlpool Corporation | Dish rack with dispenser unit |
PL3102084T3 (pl) * | 2014-02-05 | 2018-10-31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Zmywarka, zespół drzwiczek do zmywarki oraz związany z nim sposób suszenia naczyń |
JP2016054848A (ja) * | 2014-09-08 | 2016-04-21 | リンナイ株式会社 | 食器洗浄機 |
CN104939784A (zh) * | 2015-07-21 | 2015-09-30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一种洗碗机及其干燥辅助方法和装置 |
CN105919531B (zh) * | 2016-05-09 | 2020-01-07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洗碗机 |
CN105962869B (zh) * | 2016-05-09 | 2019-12-31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洗碗机的抽风装置及洗碗机 |
CN105996949B (zh) * | 2016-05-09 | 2020-02-07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
CN105962870B (zh) * | 2016-05-09 | 2019-11-05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洗碗机的抽风装置及洗碗机 |
CN105962863B (zh) * | 2016-05-09 | 2019-12-31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洗碗机的抽风装置及洗碗机 |
CN105942950A (zh) * | 2016-06-27 | 2016-09-21 | 杨晓东 | 自动洗锅器 |
JP6698472B2 (ja) * | 2016-08-18 | 2020-05-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CN106667409B (zh) * | 2016-12-30 | 2019-06-04 | 芜湖广盈实业有限公司 | 一种洗碗机用干燥系统 |
JP6883732B2 (ja) * | 2017-08-08 | 2021-06-09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JP6913855B2 (ja) * | 2017-10-27 | 2021-08-0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CN109199298B (zh) * | 2018-10-22 | 2024-01-23 | 东莞理工学院 | 一种除湿干燥装置及洗碗机 |
CN111603120A (zh) * | 2019-02-22 | 2020-09-01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一种洗碗机 |
CN113425220B (zh) * | 2021-06-30 | 2022-11-25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能自动投放洗碗块的清洗机及清洗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7735A (ja) * | 1989-07-17 | 1991-02-28 | Kazumasa Moriya | 複合材の接合方法とその装置 |
KR910008473A (ko) * | 1989-10-20 | 1991-05-31 | 원본미기재 |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사용한 영상 생성 |
KR940001044U (ko) * | 1992-06-23 | 1994-01-03 | 삼성코닝주식회사 | 유리의 금속 이온 용출장치 |
KR970016219U (ko) * | 1995-10-31 | 1997-05-23 | 살균식기건조기의 도어 밀폐장치 | |
KR20000019945U (ko) * | 1999-04-23 | 2000-11-25 | 유병진 |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 |
-
2001
- 2001-04-13 JP JP2001115646A patent/JP2002325714A/ja active Pending
-
2002
- 2002-02-28 CN CNB021065888A patent/CN118492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2-28 CN CNB2004100084874A patent/CN123554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2-28 CN CNB2004100084889A patent/CN124272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2-28 KR KR10-2002-0010754A patent/KR1004337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7735A (ja) * | 1989-07-17 | 1991-02-28 | Kazumasa Moriya | 複合材の接合方法とその装置 |
KR910008473A (ko) * | 1989-10-20 | 1991-05-31 | 원본미기재 |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사용한 영상 생성 |
KR940001044U (ko) * | 1992-06-23 | 1994-01-03 | 삼성코닝주식회사 | 유리의 금속 이온 용출장치 |
KR970016219U (ko) * | 1995-10-31 | 1997-05-23 | 살균식기건조기의 도어 밀폐장치 | |
KR20000019945U (ko) * | 1999-04-23 | 2000-11-25 | 유병진 |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38812A1 (de) * | 2022-01-24 | 2023-07-27 | BSH Hausgeräte GmbH | Geschirrspülmaschine mit zumindest einer trocknungseinrichtu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42724C (zh) | 2006-02-22 |
CN1526356A (zh) | 2004-09-08 |
CN1526357A (zh) | 2004-09-08 |
CN1184925C (zh) | 2005-01-19 |
JP2002325714A (ja) | 2002-11-12 |
CN1374068A (zh) | 2002-10-16 |
KR20020070846A (ko) | 2002-09-11 |
CN1235540C (zh) | 2006-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3777B1 (ko) | 식기 세척 건조기 | |
KR20070105055A (ko) | 식기 세척기 | |
CA2597854A1 (en) | Dishwasher | |
JP4567625B2 (ja) | 食器洗い乾燥機及びこれを組込んだ流し台 | |
KR101122830B1 (ko) |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 |
JP3548849B2 (ja) |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 |
JP4043487B2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101122837B1 (ko) |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 |
JP6913855B2 (ja) | 食器洗い機 | |
JP2003093318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20070062648A (ko) |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 |
JP3831625B2 (ja) | 食器洗い機 | |
JP3786005B2 (ja) | 食器洗い機 | |
KR101178680B1 (ko) | 식기 세척기의 건조 시스템 | |
KR20080083393A (ko) | 식기 세척기 | |
JP2006043123A (ja) |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 | |
KR101214705B1 (ko)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응축 어셈블리 | |
JP2003047582A (ja) | 食器洗い機 | |
JP3588708B2 (ja) |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 |
JP2003093313A (ja) | 食器洗い機 | |
JP3354415B2 (ja) | 送風ファンおよびこの送風ファンが備えられた食器洗い機 | |
KR101173697B1 (ko) | 식기 세척기 | |
JP2006075639A (ja) | 食器洗い機 | |
KR101268780B1 (ko) | 식기세척기의 증기 배출 구조 및 식기 세척기 | |
JP2007236800A (ja) | 食器洗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