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저온 슬라브가열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 0.020∼0.070%, Si: 2.90∼3.30%, Mn: 0.05∼0.30%, B: 0.0005∼0.005%, P: 0.03~0.09%, Al: 0.01%이하, S: 0.007%이하, Cu: 0.03∼0.30%, Sn: 0.04∼0.15%, Cr: 0.03∼0.2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 슬라브를 1,150∼1,320℃에서 가열하여 열간압연하고 열연판소둔한 다음 최종 두께가 0.4∼0.7mm가 되도록 냉간압연하고 탈탄소둔한 후, 이슬점 온도(T)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함질소 가스분위기하의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30초∼10분 동안 질화소둔처리하고, 소둔분리제를 도포한 다음 마무리 고온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슬라브가열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T(℃)=100t-5±2
(T:이슬점(℃), t:최종냉연판 두께(mm))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입계편석원소를 제어된 양으로 첨가하여 저온 슬라브가열시에도 입성장 억제력을 확보하여 0.4∼0.7mm의 후물두께에서도 방향성이 우수한 2차 재결정을 안정하게 일으킬 수 있도록 질화소둔시 이슬점을 강판두께에 따라 제어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자들은 0.4∼0.7mm의 후물두께에서 질화소둔시 기존 공지기술과 같이 건조한 분위기에서 함질소 가스분위기로 질화소둔을 행하게 되면, 적정량의 질소부화(富化)가 이루어지지 않아 충분한 입성장 억제력이 확보되지 않는 결과, 2차 재결정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난 것을 발견하고, 상기 후물 두께에서 적정량의 질소를 강판내 부화시키기 위해 수 많은 실험을 행한 결과, 분위기를 습윤분위기로 행하면, 탈탄소둔시 형성된 산화막의 치밀도가 감소하여 단시간내에 적정량의 질소부화(富化)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상기 '부화'는 풍부하게 포함시키는 것을 의미함).
그러나, 분위기의 이슬점온도가 너무 높게되면 질소부화(富化)는 보다 용이해지나 임계치 이상의 이슬점에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산화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FeO계 산화층의 양이 증가하여 마무리 고온소둔공정에서 형성되는 유리질 피막의 특성이 열화되는 불리한 결과도 동시에 초래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분위기의 이슬점을 강판두께에 따라 하기 관계식 1과 같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히기 관계식 1은 이슬점 온도(T)와 강판두께(t)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회귀분석한 결과이다. 즉, 이슬점 온도(T)와 강판두께(t)간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T=100t-5의 식이 도출되었으며, 상기와 같이 구해진 이슬점 온도는 ±2정도의 오차를 가지게 된다.
[관계식 1]
T(℃)=100t-5±2
(T: 이슬점(℃), t: 강판두께(mm))
이하, 강 성분범위의 제한 사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C는 0.02%미만 함유되면 슬라브가열시 결정립들이 조대하게 성장하여 최종 고온소둔시 2차 재결정의 발달이 불안정해지고, 그 함량이 0.07%를 초과하면 탈탄소둔시 장시간이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C의 함량은 0.02∼0.07%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은 전기강판의 기본성분으로 소재의 비저항치를 증가시켜 철손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지만, 그 함량이 2.90% 미만에서는 철손특성이 나쁘고, 3.30%를 초과할 경우에는 냉간압연성이 열화하므로, Si의 함량은 2.90∼3.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n은 전기저항을 높여 철손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지만, 그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자속밀도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상기 Mn의 함량은 0.05∼0.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정상입성장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입계편석 원소인 B, Sn, P등은 그 양이 부족하면 2차 재결정이 불안정해져서 우수한 자기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고, 적정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간취성을 증가시켜 압연시 판파단을 유발하거나 탈탄소둔시 강판표면에 치밀한 산화막을 형성하여 질화소둔시 질소부화(富化)를 어렵게 하므로, 각각 B:0.0005∼0.005%, P:0.03-0.09%, Sn:0.04∼0.15%의 범위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l은 AlN 및 (Al,Si)N 형태의 질화물로 되어 억제제로 작용하는 기존의 성분계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억제제의 관점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 그러나, Al은 Si과 마찬가지로 비저항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므로, 0.01%까지 첨가시키는 것은 자기적 특성에 유리하지만, 0.01%보다 많이 첨가되면 열간압연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Al의 함량은 비저항 및 열간압연의 작업성 측면에서 0.01%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은 과도하게 첨가하면 슬라브 중심부의 S편석이 심해지며, 이를 균질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범위 이상의 온도로 슬라브를 가열해야 하므로, 0.007%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u 및 Cr은 열연판 미세조직을 균질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탈탄소둔판의 1차 재결정 미세조직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중요한 성분들로서, 그 첨가량은 각각 Cu: 0.03∼0.3%, Cr: 0.03∼0.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들중 어느 한 성분이라도 그 첨가량의 하한치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탈탄소둔후 1차 재결정의 미세조직이 불균일해져서 2차재결정이 불안정하게 일어나 자기적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각 성분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그 첨가효과는 크지 않으며 탈탄을 어렵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규소강 슬라브를 이용하여 방향성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강 슬라브는 너무 얇은 경우 열간압연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너무 두꺼우면 슬라브 가열시간이 길어져야 하므로, 150∼350mm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소강 슬라브는 재가열하는데, 그 온도는 1150∼1320℃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가열온도가 1150℃ 미만인 경우에는 열간압연시 작업이 어려워지고 1320℃보다 높은 경우에는 자기적 특성에는 크게 영향이 없으나 슬라브의 저온가열에서 오는 이점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통상의 방법으로 열간압연후 열연판소둔을 행하는데, 이 때 열간압연은 후속의 최종 냉간압연 두께를 고려하여 보통 1.5∼3mm로 되도록 실시한다. 또한, 상기 열연판소둔은 후속되는 탈탄질화소둔 및 질화소둔후 적절한 입도의 1차재결정 조직형성과 표면층 결정립의 조대화 방지 측면을 고려하여 900∼1150℃에서 30초∼1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다.
상기 열연판소둔후에는 1회 냉간압연을 실시하는데, 이때 냉연판의 두께는 0.4∼0.7mm두께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최종냉연판의 두께가0.4mm미만의 경우에는 후물두께로의 제조시 잇점이 상실되며, 0.7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와류 철손특성이 열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냉간압연시 압하율은 70∼9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냉간압연된 냉연판은 탈탄소둔하는데, 800∼900℃ 온도에서 30초∼10분동안 이슬점이 40∼60℃인 함질소의 혼합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둔온도가 800℃미만이거나 시간이 30초미만인 경우에는 탈탄이 불충분하게 되고, 9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차재결정 조직이 너무 조대해져 2차재결정이 불안정하게 되어 우수한 자속밀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소둔시간이 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둔시간이 길어 비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탈탄소둔후 질화처리하는데 있어서, 분위기의 이슬점온도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함질소 가스분위기하의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30초 ∼10분 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T=100t-5±2℃
(T:이슬점온도(℃), t:최종냉연판 두께(mm))
상기 분위기의 이슬점온도가 본 발명범위 미만인 경우는 질소부화량이 불충분하게 되고, 본 발명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질소부화(富化)는 보다 용이해지나 임계치 이상의 이슬점에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산화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FeO계 산화층의 양이 증가하여 마무리 고온소둔공정에서 형성되는 유리질 피막의 특성이 열화되는 불리한 결과도 동시에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질화소둔온도가 750℃ 미만이거나, 균열시간이 30초 미만인 경우는 습윤분위기를 사용하여도 산화층의 치밀도가 충분히 감소하지 않아 충분한 양으로 질소가 부화되지 않으며, 그리고, 9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1차재결정 집합조직이 열화되어 2차재결정의 방향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질화소둔시 균열시간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10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둔분위기로는 질소부화(富化)를 위해 함질소가스 분위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지만, 공업적으로 질소부화량의 제어가 용이한 암모니아+수소+질소의 혼합가스 분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질화소둔처리하는 경우, 부화되는 총질소량을 150~250p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50ppm 미만의 경우에는 입성장 억제력이 불충분하여 2차 재결정이 불안정해지며, 250ppm을 초과하는 경우는 마무리 고온소둔 종료시점에서 강판 외부로 질소유출이 과다하여 유리질피막을 손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질화소둔한 다음, 강판의 표면에 MgO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분리제를 도포한 후, 마무리 고온소둔을 행한다.
상기 마무리고온소둔은 일반적으로, 2차 재결정 조직을 발달시키는 승온구간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순화소둔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온구간의 승온속도는 너무 빠르게 되면 2차재결정이 불안정해지고, 반면에 승온속도가 너무느리면 소둔시간이 길어져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승온속도는 10∼40℃/hr로 하면 좋다.
그 후, 상기와 같은 속도로 1150∼1250℃의 온도범위까지 승온한 다음, 1∼30시간 동안 순화를 위해 균열처리하는데, 이 때 승온과정의 분위기가스는 억제제로 사용되는 질소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질소가 포함된 분위기를 유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순화소둔의 분위기로는 유리질피막 형성과 N, S등 잔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한 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소둔에 의해 무기질의 유리질피막이 형성된 강판 표면에는 절연성 향상과 자구미세화에 의한 철손개선의 목적으로 고온소둔후 장력부여 코팅을 하여도 좋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중량%로, C:0.025%, Si:3.15%, Mn:0.23%, S:0.004%, 산가용성Al:0.008%, B:0.0035% , P:0.055%, Cu:0.05%, Sn:0.06% 및 Cr:0.11%, 나머지 Fe로 조성된 210mm두께의 슬라브를 제조하였다. 이 슬라브를 1200℃의 온도에서 2시간 30분동안 가열한 후 열간압연을 행하여 2.3mm두께의 열연판을 만들었다. 이어 900℃에서 3분간 질소가스분위기중에서 예비소둔한 후 산세하고, 1회압연하여 하기 표1과 같이 두께를 달리하여 최종 냉간압연판을 만들었다.
이 후 850℃에서 3분간 이슬점이 45℃인 습윤수소 및 질소의 혼합가스 분위기를 사용하여 탈탄소둔을 행한후, 연이어 질소부화(富化)를 위해 vol.%로 3%NH3, 25%H2및 75%N2혼합가스를 사용하여, 830℃에서 1분간 질화소둔을 실시하였다. 이 때, 분위기의 이슬점은 하기 표1과 같이 변화시켰다.
그 후, MgO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분리제를 강판 표면에 도포한 다음 마무리 고온소둔하였다. 이 때, 상기 마무리 고온소둔은 2차재결정을 일으키기 위해 20℃/hr의 승온속도로 1200℃까지 승온하고 15시간 균열한 후 냉각하는 열처리 사이클로 행하였으며, 승온중 분위기가스로는 25%N2+75%H2를 사용하고, 1200℃로 승온한 이후에는 순수소 가스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최종판두께 및 질화소둔조건을 변화시켜 제조한 시편들에 대하여 질화소둔후의 총질소량, 고온소둔후의 2차재결정 발달율 및 자기특성을 조사하고, 또한 강판표면의 유리질 피막 형성상태 및 판형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2차재결정 발달율은 고온소둔종료후 강판표면을 약 80℃의 20%염산용액으로 부식하여 노출한 마크로(Macro)조직을 관찰한 2차재결정 면적비율이며, 자기특성은 단판자성측정기로 B10과 W17/50을 측정한 값이다.
구분 |
강판두께(mm) |
질화소둔분위기이슬점(℃) |
적정이슬점온도(℃) |
총질소량(ppm) |
2차재결정발달율(%) |
유리질피막외관 |
자속밀도 |
철손 |
B10(Tesla) |
W17/50(W/Kg) |
비교재1 |
0.4 |
30 |
35±2 |
140 |
90 |
양호 |
1.85 |
1.36 |
발명재1 |
0.4 |
35 |
" |
210 |
100 |
양호 |
1.94 |
1.06 |
발명재2 |
0.4 |
37 |
" |
235 |
100 |
양호 |
1.94 |
1.06 |
비교재2 |
0.4 |
40 |
" |
245 |
100 |
불량 |
1.93 |
1.16 |
비교재3 |
0.5 |
40 |
45±2 |
145 |
95 |
양호 |
1.87 |
1.48 |
발명재3 |
0.5 |
45 |
" |
225 |
100 |
양호 |
1.94 |
1.16 |
발명재4 |
0.5 |
47 |
" |
238 |
100 |
양호 |
1.94 |
1.18 |
비교재4 |
0.5 |
50 |
" |
247 |
100 |
불량 |
1.93 |
1.26 |
비교재5 |
0.6 |
50 |
55±2 |
144 |
95 |
양호 |
1.85 |
1.66 |
발명재5 |
0.6 |
55 |
" |
220 |
100 |
양호 |
1.94 |
1.31 |
발명재6 |
0.6 |
57 |
" |
235 |
100 |
양호 |
1.94 |
1.32 |
비교재6 |
0.6 |
60 |
" |
246 |
100 |
불량 |
1.93 |
1.46 |
비교재7 |
0.7 |
60 |
65±2 |
135 |
85 |
양호 |
1.81 |
2.36 |
발명재7 |
0.7 |
65 |
" |
210 |
100 |
양호 |
1.94 |
1.46 |
발명재8 |
0.7 |
67 |
" |
225 |
100 |
양호 |
1.94 |
1.46 |
비교재8 |
0.7 |
70 |
" |
243 |
100 |
불량 |
1.91 |
1.76 |
* 적정 이슬점온도(T)=100t-5±2 |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화소둔시의 이슬점이 본 발명범위 미만인 비교재(1),(3),(5),(7)은 충분한 양의 질소부화(富化)가 이루어지지 않아 2차 재결정이 불안정해지는 결과 열등한 자기특성을 나타낸 반면에, 이슬점이 본 발명범위인 발명재(1)~(8)은 적절한 양으로 질소가 부화되어 2차 재결정이 완전하게 일어나는 결과 우수한 자기특성이 얻어졌다. 그러나, 이슬점이 본 발명범위를 초과하는 비교재(2),(4),(6),(8)은 2차 재결정은 잘 일어났지만 고온소둔후 유리질 피막이 불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