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21463B1 -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463B1
KR100421463B1 KR10-2001-0000877A KR20010000877A KR100421463B1 KR 100421463 B1 KR100421463 B1 KR 100421463B1 KR 20010000877 A KR20010000877 A KR 20010000877A KR 100421463 B1 KR100421463 B1 KR 10042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ng water
flue gas
concentration
ion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495A (ko
Inventor
김철수
최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티마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티마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티마그
Priority to KR10-2001-000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4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 보일러의 가동율과 중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순환수 수두의 높이를 연계 조절하여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SO3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NaOH나 Mg(OH)2를 중화제로 사용하는 습식 탈황장치에서순환수 중의 SO3이온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주므로서 낮은 pH에서도 안정적인 탈황 효율을 얻을 수 있고 배연 탈황공정의 스케일 방지 및 스크러버의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고, 동력비 및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 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Control method for sufite ion concentration in the circulation water of the flue gas disulfuriz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습식 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를 운전함에 있어서 탈황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용한 흡수탑(Scrubber) 순환수 중의 SO3이온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줄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습식흡수탑에서 SO2를 포집하는 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배연탈황장치는 보일러 등에서 석탄이나 벙커C유 등 황(Sulfur) 성분이 함유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함유되어 있는 아황산가스(SO2) 등의 황성분을 흡수하여 제거시켜주는 장치를 말한다.
아황산가스의 배출은 환경보전법 상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
배가스(排 gas) 중의 아황산가스 제거 방법에서 배가스의 배출 과정 중 배가스에 중화제인 소석회나 활성탄 등의 분말을 건식으로 분사, 접촉시켜 황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건식탈황법이라 하며 가성소다나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석회석의 수성 슬러리(Slurry)를 중화제로 사용하고 흡수액을 분무하여 배가스와 접촉시켜 황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습식탈황법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습식탈황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데 연소장치(1)에서 배출되는 황성분함유 배가스를 배가스인입장치(11)를 통하여 흡수탑(Sbrubber)(7) 하부로 주입하고 흡수탑 상부로부터 흡수액(12)을 분무시키고 흡수층(9)에서 접촉되도록 하여 황성분은 흡수액과 반응, 이 흡수액은 산성 성분으로 변환되어 탑하부로 떨어지게 하고 떨어진 하부흡수액은 중화제로 중화되며 황성분이 제거된 배출가스(10)만을 탑상부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흡수층은 라시히링(Rasching Ring)과 같은 충진물을 이용할 수도 있고, 체판(Sieve tray)이나 공탑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아황산 가스(SO2)가 포집되어 생성된 아황산 이온은 폐수처리시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원인 물질이며, 아황산 이온은 습식 배연탈황제로 많이 사용되는 Mg(OH)2와 반응할 경우, MgSO3침전물을 형성하여 슬러지 양을 늘리거나 스케일을 형성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아황산 염은 포집되는 아황산 가스를 안정화시키고, pH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탈황 효율을 증가시키는 긍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들의 화학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습식 배연탈황공정에 있어서 스크러버 순환수 중의 SO3이온의 농도가 배연탈황에 미치는 효과가 지대함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도 3은 스크러버 순환수 중의 SO3이온의 농도가 1g/ℓ 미만인 상태에서 연소장치에서 배출된 아황산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고, 도 4는 동일한 가동 조건에서 스크러버 순환수 중의 SO3이온의 농도가 7g/ℓ인 상태에서 연소장치에서 배출된 아황산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3의 경우 pH가 7 이상이 되어도 SOx 배출농도가 50 ppm 밑으로 낮아지지 않은 반면 도 4의 경우는 pH6.1∼6.3의 범위에서 50ppm의 SOx 배출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pH 6.5 이상에서는 배기가스 중의 CO2가 흡수되어 중화제의 이용 효율이 낮아지며, Mg(OH)2를 이용한 탈황일 경우 탄산염 스케일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많은 수의 설비 회사들이 탈황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스케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러버 순환수 속의 아황산 이온의 농도를 0.05∼0.1 mol/ℓ를 유지하여 운전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SO3이온 농도를 제어를 위하여 강제 산화공기를 주입하게 설비하고 있다. 종래에는 강제로 주입되는 산화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주므로서 순환수 중의 SO3이온 농도를 조절하여 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산기관(散氣菅)을 통하여 산화공기를 강제 주입하여 SO3이온과 산화공기를 버블링(bubbling)시켜 접촉시켜 주게 되면 약산인중아황산(HSO3 -) 이온이 산화되어 강산인 중황산(HSO4 -) 이온으로 되어버릴 경우 스크러버 순환수의 pH는 급격히 낮아진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일본 특허 특개평 7-136453 1995. 5. 30), 이는 스크러버에서 공급되는 알칼리성 중화제와 반응하여 황산염이 되고 이 황산염만이 존재하는 스크러버 순환수는 pH 완충역할을 할 수 없으며 SOx가스를 포집하는 순간부터 pH는 급격히 낮아지고 탈황효율이 저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상당수의 설비는 안정적인 SO3이온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효율적인 탈황을 이루지 못하거나 스케일이 생성되어 설비의 운전에 지장을 받기도 한다.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설비의 과대화, 가동율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설비 및 운전 기술에 기인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대개의 배연탈황 장치의 경우 최대 농도의 배출가스와 최대 가동율에서도 설비의 효율이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게 설계된다. 산업체의 경우 주로 이용되는 배연탈황장치는 B-C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이다. 대개 4% S를 함유하는 B-C를 연소하는 것을 기준으로 2,200 ppm(O24% 기준)의 아황산 가스가 100% 가동율로 배출되는 것을 포집하는 것으로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수년간 실제 유통되는 B-C유의 S 농도를 측정하고, 배연탈황장치 인입부에서의 SOx 농도를 측정한 결과 B-C유 중의 S 농도는 약 2.5∼2.8% 이고 배연탈황장치 인입부의 SOx 농도는 1,400∼1,500 ppm(O24% 기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일러의 평균 가동율은 50∼60% 전후가 많았다. 따라서 강제 산화공기의 주입은 설계 당시에는 100%의 아황산을 산화할 수 있는 기준이었다면, 실제 운전 상태에서는 SOx 발생량 70%(S 함량)×가동율 60%를 감안했을 때 약 40% 의 아황산을 산화하게 되므로 필요 공기량의 2.5배의 강제 산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크러버 순환수 중에서 SO3이온은 대부분 산화되어 버리고 정확한 농도를 유지할 수 없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 공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제 산화공기를 강제 배출(Vent) 시키기도 하지만 소음의 문제가 발생하며, 산기관의 산기 구멍(Air hole)은 소량의 공기가 투입되게 평형을 이루고 남은 부분은 염에 의해 막혀서 폐쇄될 수 있다. 낮은 가동율을 유지하던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져 다량의 공기를 투입하고자 할 때 이렇게 폐쇄된 산기 구멍은 필요한 공기를 제대로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스크러버에 스케일을 형성하였고,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게 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년간의 현장 보일러의 문제점을 수집하고, 실증실험을 통해 도 1과 같은 설비를 구성하여 보일러의 가동율과 산화공기와 접촉하는 순환수 수두(water head)의 높이를 연계하여 조절하여 주므로서 즉, 보일러의 가동율이 낮을때는 순환수 수두의 높이를 낮추어 주고 가동율이 높을 때는 순환수 수두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하여 주므로서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SO3이온의 농도를 정확히 관리하여 높은 탈황효율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운전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산화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주므로서 SO3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비하여 시설이 간단하고, 운전 및 보수가 용이하고 보일러의 가동율과 연계하여 순환수의 SO3이온농도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식 흡수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습식 흡수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순환수 중의 SO3이온농도가 1g/ℓ미만인 상태에서 pH에 따른 SOx의 배출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순환수 중의 SO3이온농도가 7g/ℓ인 상태에서 pH에 따른 SOx의 배출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소장치 2 : 습윤냉각부
3 : 배가스 4 : 공정수
5 : 흡수제 약품저장 탱크 6 : 약품 배합 탱크
7 : 흡수탑 8 : 분무노즐(Spray Nozzle)
9 : 흡수층 10 : 배출가스
11 : 배가스인입장치 12 : 순환흡수액
13 : 산화공기 공급장치 14 : 산기관
15 : 수두 감지 장치 16 : 순환수 배출 밸브
17 : 순환수 월류 장치
본 발명은 습식흡수탑의 설비 및 운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습식흡수탑의 설비는 도 2에서 처럼 강제 산화공기가 투입되는 흡수탑하부의 순환수 수두를 월류(over flow) 방식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도1]처럼 설비가 되어도 설정 값에 의해 수두를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운전되었으며, 수두 감지장치는 수두가 낮아질 때, 펌프나 설비의 오손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보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두 감지장치(5)와 순환수 배출용 컨트롤 밸브(16)를 상호 연결하여, 가동율에 따라 일정한 수두를 유지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강제 산화 공기는 항상 일정량이 공급될 수 있으며, 보일러의 가동율은 도 1의 1 연소장치(1)에 부착된 가동율 표시기로 감지되도록 하였다. 이 때 가동율 변화에 맞추어 수두 감지장치(15)의 설정 값을 조절해 주면, 콘트롤 밸브(16)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수두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강제 산화공기의 접촉시간이 수두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SO3이온의 산화 효율을 원하는 수준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스크러버 순환수의 수두는 높을수록 공기의 이용효율이 증가하지만 고압의 공기를 공급해야되므로 동력비 절감을 위하여 5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스크러버의 유효 수두를 2m보다 낮게 설계할 경우 공기의 접촉시간이 2/5 로 줄어들게 되는 만큼의 공급해야할 공기량이 늘어나므로 또한 경제적이지 못하다.
스크러버 순환수 중의 SO3이온 농도를 0.05~0.1 mol/ℓ로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강제산화공기량은 유효수두 4.5m를 기준으로, 포집되는 SOx를 산화할 수 있는 공기량의 약 3∼5배를 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보일러 설비용량 1톤/Hr 스팀생산량 당 약 10∼15 N㎥/Hr 의 비율이면 적합하다.
또한 기존 설비의 경우 강제 산화공기의 공급 설비는 100% 가동율에 맞추어 한 대만 설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 보일러의 가동율이 50% 미만일 경우에는 적절한 산화 운전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강제 산화공기의 공급장치를 50% × 3대로 구성하여 한 대는 예비용으로 사용하고, 보일러의 가동율이 50%에 미달할 경우, 한 대의 송풍기(Blower)만 가동될 수 있게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전이 될 수 있게 했다. 이 경우에도 적절히 SO3이온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낮은 pH에서도 원하는 탈황 효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스케일이 생겨 산기관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SO3이온농도는 HSO3 -및 SO3 -2이온의 농도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SO3이온이 적절히 존재할 경우 스크러버 순환수의 pH가 낮은 상황에서도 탈황 효율이 증가되는 이유는 SO3이온에 의한 아황산의 안정화 작용으로 SO2가스가 물에 용해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아황산 이온에 의한 pH 안정화 작용도 탈황 효율의 증가에 기여한다. 도 3, 4를 보면 배출되는 아황산 가스의 농도는 pH가 낮아질수록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약산인 아황산은 물의 pH에 따라 HSO3 -/SO3 2-가 비율을 바꾸어 존재하고 그 관계식은 log([HSO3 -]/[SO3 2-]) = -0.8752pH + 5.5202 가 됨이 밝혀졌다. 이 관계를 배연탈황 공정에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스크러버 순환수가 아황산 가스와 반응했을 경우 pH를 계산하면 SO3이온이 배연탈황 공정의 pH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알 수 있다. 즉, SO3이온이 충분히(4~8 g/ℓ) 존재할 경우 스크러버를 거치는 물의 pH는 변함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스크러버의 각 이론반응 단별로 일정한 탈황효율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SO3이온의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 SOX가스를 포집하는 순간부터 pH는 급격히 낮아지고 탈황효율이 저하된다.
어떤 배연탈황공정 스크러버 순환수의 pH는 6.0이고 총 SO3이온의 농도는 8g/ℓ였다. 이 탈황공정은 시간당 320 Kg의 SO2Gas를 포집하고, 스크러버 순환수의 양은 시간당 500 ㎥라고 한다. 이 경우 SOx를 포집한 물의 pH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단, SO3이온의 산화나 중화약품의 투입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계산 : 포집되는 SO2Gas의 양은 0.64 g/ℓ= 0.01 mol/ℓ가 되며. SO2Gas는 물에 포집되어 아래와 같이 반응하므로
SO2+ H2O → H2SO3, H2SO3+ SO3 2-→ 2 HSO3 -
이온 농도와 pH 관계에서 [HSO3 -] = 0.065 mol/ℓ이고, [SO3 2-] = 0.035 mol/ℓ 이던 성분은 [HSO3 -] = 0.085 mol/ℓ로, [SO3 2-] = 0.025 mol/ℓ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HSO3 -]/[SO3 2-] = 3.4 가 되므로 앞서의 식에 의해 pH는 5.7이 된다.
앞에서 총 SO3이온의 농도는 4g/ℓ일 때와, 2g/ℓ일 때의 결과 pH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포집되는 SO2Gas의 양은 0.64 g/ℓ= 0.01 mol/ℓ가 되며. SO2Gas는 물에 포집되어 아래와 같이 반응하므로
SO2+ H2O → H2SO3, H2SO3+ SO3 2-→ 2 HSO3 -
앞에서 SO3이온종의 농도가 4 g/ℓ일 때 [HSO3 -] = 0.033 mol/ℓ이고, [SO3 2-] = 0.017 mol/ℓ 이던 성분은 [HSO3 -] = 0.053 mol/ℓ로, [SO3 2-] = 0.007 mol/ℓ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HSO3 -]/[SO3 2-] = 7.6이 되므로 pH는 5.3이 된다. SO3이온의 농도는 8g/ℓ일 때와 비교하여 pH 변동폭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이 된다.
그러나 SO3이온종의 농도가 2 g/ℓ일 때는 [HSO3 -] = 0.016 mol/ℓ이고, [SO3 2-] = 0.009 mol/ℓ이므로 이 경우 반응 후 농도는 [H2SO3] = 0.001 mol/ℓ, [HSO3 -] = 0.034 mol/ℓ인 System의 pH 계산 문제가 된다. 아황산의 pH 계산법에 따라 계산하면
H2SO3+ H2O → HSO3 -+ H3O+
Ka1 = [ HSO3 -][ H3O+]/[ H2SO3] = (0.034 +x)(10-6+ x)/(0.001-x) = 1.72 × 10-2에서 x = 3.35 × 10-4가 되고 pH는 3.5가 된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이 pH에서는 탈황이 전혀 이루어 질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10톤/Hr 규모의 스팀을 생산하는 보일러의 배연탈황장치에 본 발명의 SO3이온 농도 조절법을 적용하여 시험하고, 기존의 운전 방법을 이용하여 탈황 효율을 비교하였다. 설비의 운전 방법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스크러버 순환수는 Mg(OH)2를 이용하여 pH를 조절하였으며 순환수 중의 염의 농도는 MgSO4기준 4~6%를 유지하였다.
구분 슬러리순환 유량(M3/Hr) 배가스 유량(M3/Hr) 강제산화공기(㎥/Hr) 유효수두(m) SO3이온농도(g/ℓ)
본 발명 방법 55 4,700 100 0.9 7
기존 방법 55 4,700 100 4.0 0.1
실시예에서 나타난 운전 결과는 표 2와 같다.
SO2의 측정은 흡수탑(7)을 거친 끝단에서 약 3m 아래에서 SO2, O2, CO2분석장비(Ultramat 23, Zimens, 독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월류(over flow) 형식으로 설비된 습식 탈황설비를 Mg(OH)2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개조하여 운전하였다. 평소 90% 정도의 가동율로 가동되던 설비가 가동율이 30% 정도로 저하되었을 때 표 3과 같은 운전 결과가 나타났다. 이 때 수두의 높이는 2.3 m, 공기의 공급량은 2,400㎥(1,200 ㎥/Hr ×2대) 였다. 이 설비를 본 발명의 운전법으로 운전을 하기 위해, 송풍기를 한 대 끄고 수두를 2.0 m로 낮추어 운전한 결과 배출되는 SOx의 농도가 안정하게 되었다(표 4).
본 발명에서는 순환수 수두의 높이를 보일러의 가동율과 연계하여 결정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며, 월류형식으로 설비된 습식 탈황설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월류장치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보일러의 가동율에 따라 수두의 높이를 조절하여 줄 수도 있다.
습식 배연탈황 장치의 운전 결과
기존방법 본 발명 방법
시간 pH SOx(ppm) 시간 pH SOx(ppm)
10:51:00 8.24 82.9 10:51:00 6.28 25.9
10:52:00 8.24 82.6 10:52:00 6.27 26.7
10:53:00 8.25 81.0 10:53:00 6.28 26.4
10:54:00 8.26 80.0 10:54:00 6.26 26.8
10:55:00 8.24 79.1 10:55:00 6.27 26.5
10:56:00 8.23 76.2 10:56:00 6.28 27.0
10:57:00 8.25 72.2 10:57:00 6.26 27.5
10:58:00 8.26 71.9 10:58:00 6.27 27.8
10:59:00 8.25 73.7 10:59:00 6.25 28.3
11:00:00 8.25 74.6 11:00:00 6.25 28.1
- 6.25 27.8
11:40:00 8.02 83.2 11:40:00 6.26 27.3
11:41:00 7.94 84.0 11:41:00 6.26 29.2
11:42:00 7.86 84.6 11:42:00 6.24 33.5
11:43:00 7.79 84.3 11:43:00 6.25 33.7
11:44:00 7.72 85.3 11:44:00 6.25 34.3
11:45:00 7.65 86.4 11:45:00 6.24 30.6
11:46:00 7.58 86.4 11:46:00 6.24 28.9
11:47:00 7.50 88.9 11:47:00 6.23 28.4
11:48:00 7.41 91.0 11:48:00 6.23 28.6
11:49:00 7.32 94.6 11:49:00 6.22 28.4
11:50:00 7.17 98.1 11:50:00 6.20 29.5
11:51:00 7.00 105.1 11:51:00 6.22 29.7
11:52:00 6.71 105.1 11:52:00 6.19 30.8
11:53:00 6.72 111.5 11:53:00 6.20 31.0
11:54:00 6.61 121.3 11:54:00 6.19 31.6
11:55:00 5.78 132.9 11:55:00 6.19 33.5
11:56:00 6.51 141.0 11:56:00 6.19 33.3
11:57:00 7.16 149.9 11:57:00 6.19 34.6
11:58:00 7.44 138.9 11:58:00 6.17 36.5
11:59:00 7.63 114.3 11:59:00 6.18 38.4
평균 7.35 95.38 6.23 30.02
기존 운전 방식의 운전결과
시간(분) pH(현장) SOX(ppm, 자동측정기) MgO(g/ℓ) SO3(g/ℓ)
- 6.02 482
0.5 6.00 486
1.0 6.04 473
1.5 6.05 459
2.0 5.97 441
2.5 5.90 426
3.0 5.83 418
3.5 5.78 411
4.0 5.83 408
4.5 5.81 417
5.0 5.86 430
5.5 5.86 445
6.0 5.91 459
6.5 5.91 468
7.0 5.93 471
7.5 5.96 465
8.0 5.99 457
8.5 5.97 448
9.0 5.92 442
9.5 5.83 436
10.0 5.71 430
10.5 5.66 424
11.0 5.58 425
11.5 5.67 433
12.0 5.75 449
12.5 5.93 464
13.0 6.01 478
13.5 6.03 489
14.0 6.03 491
14.5 6.01 478
15.0 6.01 454
15.5 6.01 430
16.0 5.96 416 6.2 0.30
평균 5.90 449
본 발명 실시예 2의 운전 결과
시간(분) pH(현장) pH(실험실) SOX(ppm, 자동측정) MgO(g/ℓ) SO3(g/ℓ)
0 5.99 41
1 5.97 41
2 5.95 40
3 5.93 43
4 5.92 44
5 5.90 46
6 5.92 48
7 5.94 50
8 6.02 50
9 6.09 50
10 6.09 45
11 6.06 6.01 41 6.6 5.16
12 6.02 37
13 5.98 37
14 5.97 40
15 5.95 42
16 5.93 5.88 43 6.8 5.17
17 5.92 44
18 5.91 44
19 5.92 45
20 5.97 48
21 6.00 48
22 6.05 48
23 6.07 45
24 6.04 42
25 6.00 5.94 40 6.6 5.14
26 5.98 39
27 5.95 40
29 5.93 44
30 5.92 45
평균 5.98 -0.05 44
본 발명의 방법은 NaOH나 Mg(OH)2를 중화제로 사용하는 습식 탈황장치에서순환수 중의 SO3이온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주므로서 낮은 pH에서도 안정적인 탈황효율을 얻을 수 있고 배연 탈황공정의 스케일 방지 및 스크러버의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고, 동력비 및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중화제를 함유하는 순환수를 이용하는 습식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 보일러의 가동율이 낮을 때는 순환수 수두의 높이를 낮추어주고 보일러의 가동율이 높을 때는 순환수 수두의 높이를 높아지게 조절하여 배연탈장치 순환수 중의 SO3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중화제가 NaOH, Mg(OH)2, NH4OH 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두의 높이를 수두 감지 장치(15)와 순환수 배출 밸브(16)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연계하여 조절하거나, 수두의 높이를 조절하는 월류장치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보일러 가동율에 따라 수두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KR10-2001-0000877A 2001-01-06 2001-01-06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KR10042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877A KR100421463B1 (ko) 2001-01-06 2001-01-06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877A KR100421463B1 (ko) 2001-01-06 2001-01-06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495A KR20020059495A (ko) 2002-07-13
KR100421463B1 true KR100421463B1 (ko) 2004-03-09

Family

ID=2769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877A KR100421463B1 (ko) 2001-01-06 2001-01-06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897B1 (ko) 2019-08-28 2021-02-19 (주)오성기업 습식 배연탈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40B1 (ko) * 2006-01-03 2007-03-20 박정봉 연소장치에서 황산화물, 바나듐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의저감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897B1 (ko) 2019-08-28 2021-02-19 (주)오성기업 습식 배연탈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495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17586A1 (ja) 海水排煙脱硫システムおよび発電システム
KR100188552B1 (ko)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
KR0145215B1 (ko)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
US20180229179A1 (en) Oxidation cont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US8425868B2 (en) Method for preventing re-emission of mercury from a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WO2015045957A1 (ja) 海水脱硫用散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海水脱硫装置
JP6462359B2 (ja) 亜硫酸ガス含有排ガスの脱硫方法および脱硫装置
US9321025B2 (en) Oxidation cont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JP5081000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酸化用空気供給量制御方法
JP3968457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
TW201339100A (zh) 氧化槽、海水排煙脫硫系統及發電系統
US9321006B2 (en) Oxidation cont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KR100421463B1 (ko)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JP3337382B2 (ja) 排煙処理方法
JP2003340238A (ja) 湿式排煙脱硫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248420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CN203507812U (zh) 一种单塔双介质脱硫装置
JP2003305332A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脱硫排水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049305B1 (ko) 배연탈황공정에서 탈황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JPH06210126A (ja) 排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6256776B (zh) 具有倾斜曝气和混合自动恢复的海水设备
JP3692219B2 (ja) 排煙処理方法及び排煙処理装置
WO2017046210A1 (en) Integrated air distributor arrangement for effluent seawater treatment basin
JPH10202050A (ja) 排煙脱硫装置におけるセレン酸化抑制方法及び装置
JP3878382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