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24290B1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290B1
KR100424290B1 KR10-2001-0018026A KR20010018026A KR100424290B1 KR 100424290 B1 KR100424290 B1 KR 100424290B1 KR 20010018026 A KR20010018026 A KR 20010018026A KR 100424290 B1 KR100424290 B1 KR 100424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mechanism
diagonal length
bile duct
wires
posi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128A (ko
Inventor
김창원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김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김창원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01-001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2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종래에는 담즙관을 통한 담즙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확장기구를 사용하여 시술을 행하는데, 오른쪽 담즙관 및 왼쪽 담즙관을 통하여 각각의 확장기구를 삽입하여 그 일부들은 주 담관에 삽입하는 형태로 시술하고 있다.
따라서 주 담관에는 두개의 확장기구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한 확장기구가 가지는 직경이 각각 1/2씩 줄어들고, 또한 기존의 형상으로 기억된 본래의 직경으로 확장하려는 자체 반력이 발생하여 주 담관을 강제로 압박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고, 주 담관에 두개의 확장기구가 삽입되는 관계로 주담관의 중앙에는 두개의 확장기구가 서로 겹쳐 시술되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담즙 찌꺼기가 쉽게 흡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담즙관의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하여 고탄성 형상기억합금을 그 직경이 0.1∼0.5㎜의 가는 와이어 3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확장기구를 제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것은 기본적으로는 2개의 와이어를 각각 이용하여 원주방향으로 ℓ∼ 3ℓ의 대각선의 길이를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교차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부에서 하부와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가변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를 갖는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각각제조하고, 나머지 1개의 와이어로 기 제조된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하부를 통과하거나 상부를 통과하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가 형성하는 가변형 마름모꼴 공간부를 균등하게 4개의 가변형 제2마름모형 공간부를 갖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가 상기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에 의한 확장기구를 제공함으로서 가능하였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FLEXIBLE SELF-EXPANDABLE STENT METHODS FOR BILE DUCT AND THE SELF-EXPANDABLE STENT THEREOF}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담즙관의 주변에 담즙 찌꺼기에 의한 협착이나 암세포와 같은 종양의 발생에 의하여 폐쇄되는 담즙관을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즙관의 흡착진행 또는 흡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로 외과적인 수술을 통하여 상기한 부위에 인조혈관 대치술 또는 우회적인 조성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과적 수술은 병변부위의 신체를 절개하여야 하므로 그 부위가 매우 넓어 큰 흉터를 남기게되고, 또한 많은 요양기간을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수술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절개수술을 행하지 않고 인체외부에서 담즙관의 내부로 확장기구를 삽입하여 담즙관을 확장하는 시술을 행하고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첨부한 도면 도 1및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선택하여 서로 다른위치에서 교차시키면서 엮어 다수의 마름모형상의 공간부(2)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中空)식 원통형몸체(3)를 구성하되, 그 양끝단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만곡형상을 갖는삽입단(4)과 배출단(5)을 형성하고, 상기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양끝단(6),(7)을 용접으로 연결한 확장기구(8)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기구(8)는 사용하고자 하는 담즙관의 직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제조되며, 이를 이용하여 담즙관을 확장하기 위해 시술을 행하는데 종래에는 첨부한 도면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담즙관은 오른쪽 담즙관(210)과 왼쪽 담즙관(240)와 이를 연결하는 주 담관(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오른쪽 담즙관(210), 왼쪽 담즙관(240) 및 주 담관(230)의 주변에 담즙 찌꺼기의 흡착 및 암세포(A)가 생성하여 상기한 담즙관을 통한 담즙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담즙관을 통한 담즙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한 확장기구(8)을 사용하여 시술을 행하는데, 오른쪽 담즙관(210) 및 왼쪽 담즙관(240)을 통하여 각각의 확장기구(8)을 삽입하여 그 일부는 주 담관(230)에 삽입하는 형태로 시술하고 있다.
따라서 주 담관(230)에는 두개의 확장기구(8)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한 확장기구(8)가 가지는 직경이 각각 1/2씩 줄어들고, 또한 기존의 형상으로 기억된 본래의 직경으로 확장하려는 자체 반력이 발생하여 주 담관(230)을 강제로 확장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고, 주 담관(230)에 두개의 확장기구(8)가 삽입되는 관계로 주 담관(230)의 중앙에는 두개의 확장기구(8)가 서로 겹쳐 시술되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담즙 찌꺼기가 쉽게 흡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담즙관의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하여 고탄성 형상기억합금을 그 직경이 0.1∼0.5㎜의 가는 와이어 3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확장기구를 제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것은 기본적으로는 2개의 와이어를 각각 이용하여 원주방향으로 ℓ∼ 3ℓ의 대각선의 길이를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교차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부에서 하부와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가변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를 갖는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각각 제조하고, 나머지 1개의 와이어로 기 제조된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하부를 통과하거나 상부를 통과하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가 형성하는 가변형 마름모꼴 공간부를 균등하게 4개의 가변형 제2마름모형 공간부를 갖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가 상기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에 의한 확장기구를 제공함으로서 가능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 기술인 확장기구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 구성도,
도 3a 및 3b는 담즙관에 도 1의 사용과정을 예시한 작동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기초 지그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
도 6a, 6b, 6c, 6d, 6e 및 6f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기구의 완성된 상태의 전개도,
도 8는 본 발명 확장기구의 실시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기구의 요부 확대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첫번째 와이어 11; 두번째 와이어
20 ; 가변형 마름모꼴형상의 공간부 60 ; 엇걸림부
70 ; 직선교차부 80 ; 확장기구
99 ; 고정핀 100 ; 기초지그
120; 돌출핀
이하 본 발명을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와이어 소재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금속을 이용하여 중공의 원통형 형태를 갖는 제품을 제조한 후 이를 열처리한 다음 일정한 온도가 되면 열처리 전에 제조한 형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한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의 종류는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후에도 고탄성을 유지하고 있고, 최초의 형상을 기억하는 효과가 월등한 니켈-티타늄(Ni-Ti)계 합금이 본 발명을 실현하기에는 가장 적합하였다.
이러한 고탄성 형상기억합금을 그 직경이 0.1∼0.5㎜의 가는 와이어 3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확장기구(80)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2개의 와이어를 각각 이용하여 원주방향으로 ℓ∼ 3ℓ의 대각선의 길이를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교차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부에서 하부와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가변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를 갖는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각각 제조하고, 나머지 1개의 와이어로 기 제조된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하부를 통과하거나 상부를 통과하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가 형성하는 가변형 마름모꼴 공간부를 균등하게 4개의 가변형 제2마름모형 공간부를 갖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가 상기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첨부한 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사용 지그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필요한 직경(; 원주율)과 길이(L)를 갖는 원통체(110)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원통체(110)는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a9)과 길이분할선(b0,b1,b2,b3,...b8)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원주분할선(a0,a1,a2,a3,...a9)을 따라 원통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조립홈(130)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분할선(b0,b1,b2,b3,...b8)과 교차하는 모든 지점에 각각 돌출핀(120)이 착탈가능하게 일단을 고정하여 본 발명의 기초 지그(100)를 구성한다.
이러한 설정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을 상기에서는 기초 지그(100)을 구성하는 원통체(110)를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a9)과 길이분할선(b0,b1,b2,b3,...b8)까지를 설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지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확장기구(80)의 크기 즉, 직경과 길이에 따라 얼마든지 임으로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한 원주분할선(a0,a1,a2,a3,...a9.... )으로, 원통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조립홈(130)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분할선(b0,b1,b2,b3,...b7...)와 같이 설정할 수도 있고, 그 이하로도 설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초 지그(100)의 최상단에는 별도의 고정용 돌출핀(99)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조립홈(130)과 조립홈(130)사이에는 각각 조립관통홈(130')를 설치한다.
이러한 기초 지그(100)는 본 발명자의 일부에 의하여 개발되었고, 통일자로 특허출원 하였다.
첨부한 도면 도 6a부터 도 6f는 본 발명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한 기초 지그(100)를 전개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기초지그(100)를 준비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확장기구(80)에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먼저 첨부한 도면 도 6a 및 6b에 의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첫번째 와이어(10)의 끝단을 둥굴게 묶는 방법에 의하여 매듭(98)을 형성하여 이 매듭(98)을 상기한 고정용 돌출핀(99)에 끼워 고정한다.
이를 편의상 시작점(S)로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에서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a9)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제1기준점(a0)으로 설정하고, 상기 첫번째 와이어(10)를 제1기준선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0)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 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1b1)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하는작업을 행한다.
이때 대각선상으로 이동한 길이를 편의상 대각선거리(ℓ)이라 한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1b1)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당연히 위로 향하면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걸어주는 작업으로 절곡을 다시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에는 3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3)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 절곡하여 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 다시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7b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한 다음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9b3)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0b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1b3)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하여 준다(화살표 a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3b3)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돌출핀(120; 위치점 a3b3)에서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5b1)에 걸어 절곡한다.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7b3)에 걸어 절곡한 다음,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9b1)에 걸어 절곡한다.
다음,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0b2)에 걸어 절곡한다(화살표 d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와이어(10)는 돌출핀(120; 위치점 a4b2), 돌출핀(120; 위치점 a6b2) 및 돌출핀(120; 위치점 a8b2)에 위치하면서 기 위치한 와이어(10)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돌출핀(120; 위치점 a4b2)에 위치한 와이어(10)의 상부를 통과하였으면, 다음번의 돌출핀(120; 위치점 a6b2)에 위치한 와이어(10)의 하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10)를 만나면 상,하부를 교대로 통과한다.
이러한 것은 상기한 기초 지그(100)에 형성된 조립관통홈(130')을 통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0b2)에서 절곡한 다음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1b1)에 걸쳐 절곡한다.
도 6b의 점선은 이미 상기한 과정을 거치면서 작업완료된 와이어(10)이고, 실선은 상기한 와이어(10)로 다음 작업을 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핀(120; 위치점 a1b1)에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걸어 절곡한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4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1), 돌출핀(120; 위치점 a6b0), 돌출핀(120; 위치점 a7b1), 돌출핀(120; 위치점 a8b0) 및 돌출핀(120; 위치점 a9b1)을 각각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절곡을 행한다.
이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1b1), 돌출핀(120; 위치점 a2b2), 돌출핀(120; 위치점 a5b1), 돌출핀(120; 위치점 a7b1) 및 돌출핀(120; 위치점 a9b1)은 반복하여 걸어지도록 사용되는 데 이때에는 첨부된 도 6b의 확대도에서 참고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존 걸쳐진 와이어(10)의 밑으로 이동시킨 다음 위를 통과시키는 형태인 엇걸기하는 형태로 절곡한다.
이렇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9b1)을 통해 절곡된 다음에는 최초의 제조작업이 시작되었던 돌출핀(120; 위치점 a0b0)에서 만나게 되는데 이렇게 서로 만나는 와이어(10)의 끝단을 서로 용접하거나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의 끝단을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 삽입, 압착하는 것에 의해 양단을 연결하는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지그(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제조과정을 거친다음,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조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한 다음에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이는 첨부한 도면 도 6c 및 도 6d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는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단지 최초 사용되는 돌출핀(120)의 위치가 상이하다.
이 역시 사용하고자 하는 두번째 와이어(11)의 끝단을 둥굴게 묶는 방법에 의하여 매듭(98)을 형성하여 이 매듭(98)을 상기한 고정용 돌출핀(99)에 끼워 고정하여 시작점(S)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번째 와이어(11)를 돌출핀(120; 위치점 a1b5)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 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2b6)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때 대각선상으로 이동한 길이를 역시 편의상 대각선거리(ℓ)이라 한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2b6)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당연히 위로 향하면서 돌출핀(120; 위치점 a3b5)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걸어주는 작업으로 절곡을 다시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에는 3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8)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 절곡하여 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 다시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8b6)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한 다음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0b8)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1b7)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다(화살표 c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8)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하여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3b7)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돌출핀(120; 위치점 a4b8)에서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6b6)에 걸어 절곡한다.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8b6)에 걸어 절곡한 다음, 다시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0b6)에 걸어 절곡한다.
다음,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돌출핀(120; 위치점 a1b7)에 걸어 절곡한다(화살표 d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와이어(10)는 돌출핀(120; 위치점 a5b7), 돌출핀(120; 위치점 a7b7) 및 돌출핀(120; 위치점 a9b7)에 위치하면서 기 위치한 와이어(10)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돌출핀(120; 위치점 a5b7)에 위치한 와이어(10)의 상부를 통과하였으면, 다음번의 돌출핀(120; 위치점 a7b7)에 위치한 와이어(10)의 하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10)를 만나면 상,하부를 교대로 통과한다.
그리고 도 6d의 점선은 이미 상기한 과정을 거치면서 작업 완료된 와이어(10)이고, 실선은 상기한 와이어(10)로 다음 작업을 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1b7)에서 절곡한 다음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6)에 걸쳐 절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핀(120; 위치점 a2b6)에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3b7)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5)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절곡한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6b6), 돌출핀(120; 위치점 a7b5), 돌출핀(120; 위치점 a8b6), 돌출핀(120; 위치점 a9b5) 및 돌출핀(120; 위치점 a0b6)을 각각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절곡을 행한다.
이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1b7), 돌출핀(120; 위치점 a2b6), 돌출핀(120; 위치점 a3b7), 돌출핀(120; 위치점 a6b6), 돌출핀(120; 위치점 a8b6) 및 돌출핀(120; 위치점 a0b6)은 반복하여 걸어지도록 사용되는 데 이때에는 첨부된 도 6d 확대도에서 참고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존 걸쳐진 와이어(10)의 밑으로 이동시킨 다음 위를 통과시키는 형태인 엇걸기하는 형태로 절곡한다.
이렇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0b6)을 통해 절곡된 다음에는 최초의 제조작업이 시작되었던 돌출핀(120; 위치점 a1b5)에서 만나게 된다(화살표 e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이렇게 서로 만나는 와이어(10)의 끝단을 서로 용접하거나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의 끝단을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 삽입, 압착하는 것에 의해 양단을 연결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제조한다.
이러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 및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제조한 다음에는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이는 첨부한 도면 도 6e 및 도 6f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는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았던 돌출핀(120)을 사용하게 된다.
이 역시 사용하고자 하는 세번째 와이어(12)의 끝단을 둥굴게 묶는 방법에 의하여 매듭(98)을 형성하여 이 매듭(98)을 상기한 고정용 돌출핀(99)에 끼워 고정하여 시작점(S)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번째 와이어(11)를 돌출핀(120; 위치점 a1b0)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 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기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10) 및 두번째 와이어(11)와 평행하게 이동시키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9b8)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1)지점].
이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9b8)까지 이동하면서 만나게 되는 기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10)를 첫번째 만나게 되었을 경우에는 그 하단을 통과시켰다면 두번째로 만나게 되는 첫번째 와이어(10)는 그 상단을 통과하는 형태로 교호로 통과하고 두번째 와이어(11)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의 마지막에 그 상부를 통과하였다면 두번째 와이어(11)에서는 하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교호로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9b8)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대각선 길이로 최상단인 돌출핀(120; 위치점 a7b0)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주는 작업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첨부한 도면 도 6e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7)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f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2)지점].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5b8)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3)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e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3)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g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3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4)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e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3)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h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1b8)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5)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e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7)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i를 도 6f의 화살표 i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8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6)지점].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7b8)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7)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f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1)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j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a5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8)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f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5)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k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3b8)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9)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f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3)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l을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1b0)인 최초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10)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6f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1)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m을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렇게 서로 만나는 두번째 와이어(11)의 끝단을 서로 용접하거나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의 끝단을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 삽입, 압착하는 것에 의해 양단을 연결하는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를 제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세번째 와이어(12)는 기존 설치된 첫,두번째와이어(10),(11)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두번째 와이어(10),(11)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 및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는 비교적 큰 마름모형 공간부가 형성한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를 제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 및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는 서로 별개로 작용하면서도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일정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조되고 있다.
이를 대별하여 살펴보면, 첫,두번째 와이어(10),(11)는 각각 먼저 시작점(S)을 통과한 다음 순서에 입각하여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3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및 대각선 길이 ℓ만큼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돌출핀(120)을 통과하면서 절곡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과정을 거친 본 발명의 확장기구(80)은 첨부한 도면 도 7에서는 제조가 완료된 것을 전개하여 도시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도 8 및 도9는 본 발명에의해 제조된 확장기구를 정면 및 그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이차 확장기구(X),(Y)는 각각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소재의 첫,두번째 와이어(10),(11)가 서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70)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60)를 형성하면서 가변형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20)를 구성하고,
삼차 확장기구(Z)를 구성하는 세번째 와이어(12)는 기존 설치된 첫,두번째 와이어(10),(11)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두번째 와이어(10),(11)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이차 원통형 확장기구(X),(Y)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20)을 균일하게 4등분함과 동시에 중앙에는 세번째 와이어(12)만에 의한 대형의 마름모형 공간부(50)가 형성되어 서로 별개로 작용하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과정을 거친 후에 시작점(S)의 고정핀(99)과 상기에서와 같이, 용접 또는 상기 와이어(10),(11),(12)의 각각 양끝단(10a),(11a),(12a).(10b),(11b),(12b)의 매듭연결은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서 삽입하고 압착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양단을 결합하고 남는 와이어(10),(11),(12)의 끝단부분을 절단한 다음, 기초 지그(100)에서 돌출핀(120)을 분리한 다음, 기초 지그(100)에서 완성된 본 발명의 제조물을 분리하여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고유의 형상을 기억시키는 것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의 확장기구(80)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처리는 본 발명의 확징기구가 가지는 재질의 탄성을 잃지 않는 정도의 온도에서 그 형상을 기억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의 열처리 온도는 본 발명인의 선 출원 기술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통상 350∼600℃에서 8∼30분간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확장기구(80)는 첨부한 도면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시술이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확장기구(80)을 사용하여 우측 담관(210)과 좌측 담관(240)에는 각각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와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가 위치하도록 시술한 다.
이때 삼차 확장기구(Z)가 구성하는 마름모형 공간부(50)는 상기 우측 담관(210)과 좌측 담관(24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확장기구(8)를 상기 본 발명의 확장기구(80)의 내부에서 삼차 확장기구(Z)가 구성하는 마름모형 공간부(50)의 일측면을 통해 주 담관(230)에 위치하도록 시술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한 종래의 확장기구(8)는 주 담관(230)에만 위치하여 주 담관(230)의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시술은 종래와 같이 카데터의 사용에 의하여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그 직경이 0.1㎜이하의 극세직경을 갖는 경우에는 자체탄성력이 현저히 약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확장기구를 제조한 후에도 흡착부위를 충분히 확장시킬 수 없어 그 효과를 예측할 수 없었고, 0.5㎜이상의 직경을 갖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마름모형상의 공간부(20)를 갖지 못해 사용할 때 확징기구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없는 단점으로 0.1㎜~0.5㎜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가 바람직하였다.
또한, 상기한 확장기구의 양 끝단에 형성하는 만곡형상의 절곡단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2개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사용하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직경에 관계없이 그 수가 많다는 것은 결국 상기한 마름모형상의 공간부의 넓이를 줄이는 것이 되어 사용시 그 많큼 체적을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수가 각각 3개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할 때 그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는 있으나 기억된 형상으로 복귀되었다하더라도 그 탄발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3개 이상을 유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전제하고는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서는 기초 지그(100)을 구성하는 원통체(110)를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a9)과 길이분할선(b0,b1,b2,b3,...b7)까지를 설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고,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확장기구(80)의 크기 즉, 직경과 길이에 따라 얼마든지 임으로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한 원주분할선(a0,a1,a2,a3,...a9.... )으로 원통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조립홈(130)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분할선(b0,b1,b2,b3,...b7...)와 같이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기초 지그를 구성하여 제조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개의 와이어(10),(11),(12)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통로가 "T"형 또는 "Y"형으로 이루어지는 담즙관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신체 부위에 시술할 수 있는 확장기구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부언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담즙관의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로서, 통로가 "T"형 또는 "Y"형으로 이루어지는 담즙관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신체 부위에 시술하여 담즙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면서도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담즙 찌꺼기의 재 흡착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신체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를 제조하려는 확장기구와 동일한 직경()과 길이(L)를 갖는 원통체의 원주율(W)과 길이(L)를 각각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과 길이분할선(b0,b1,b2,b3,...)을 교차하는 모든 설정점에 각각 돌출핀(120)의 일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원통체의 최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돌출핀(120)을 진행방향의 제1시작점(S1)으로 하여 확장기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첫,두번째 와이어(10),(11)는 각각 먼저 시작점(S)을 통과한 다음 순서에 입각하여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3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2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 대각선 길이 ℓ및 대각선 길이 ℓ만큼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돌출핀을 통과하면서 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 및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면서 가변 마름모형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양끝단을 이어주는 것에 의해 일,이차 확장기구(X),(Y)를 제조하고,
    이러한 세번째 와이어(12)로 상기한 일,이차 원통형 확장기구(X),(Y)의 제조시에 사용하지 않았던 돌출핀(120)을 따라 기 설치된 첫,두번째 와이어(10),(11)와 평행하게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두번째 와이어(10),(11)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이차 원통형 확장기구(X),(Y)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형성하면서 중앙에는 대형 마름모 공간부를 형성하여 양 끝단을 이어 주는 것에 의해 삼차 원통형 확장기구(Z)를 제조하여;
    상기 일,이차 확장기구(X),(Y)는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지 않도록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삼차 확장기구(Z)와 서로 결합 되어 분리될 수 없는 형태로 이루어 열처리하여 고유의 형상을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10),(11),(12)의 각 양끝단(10a,11a,12a),(10b,11b,12b)의 연결은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서 삽입하고 압착하여 매듭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
  3.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이루어진 첫,두번째 와이어(10),(11)가 서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상부에서 하부나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70)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60)를 형성하면서 가변형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20)를 구성하는 일,이차 원통형 확장기구(X)(Y)를 형성하고,
    세번째 와이어(12)는 기존 설치된 첫,두번째 와이어(10),(11)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두번째 와이어(10),(11)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이차 원통형 확장기구(X),(Y)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20)을 균일하게 4등분함과 동시에 중앙에는 세번째 와이어(12)만에 의한 대형의 마름모형 공간부(50)가 형성되어 서로 별개로 작용하는 삼차 확장기구(Z)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
KR10-2001-0018026A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2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026A KR100424290B1 (ko)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026A KR100424290B1 (ko)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128A KR20020078128A (ko) 2002-10-18
KR100424290B1 true KR100424290B1 (ko) 2004-03-24

Family

ID=2769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026A KR100424290B1 (ko)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2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31B1 (ko) * 2006-01-26 2007-01-0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DE102014115856A1 (de) 2013-11-06 2015-05-07 Bcm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 einem künstlichen Blutgefäß befestigten Stents und ein nach demselben hergestellter Stent, der an einem künstlichen Blutgefäß befestigt ist
US9320624B2 (en) 2011-01-14 2016-04-26 Taewoong Med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9373A (en) * 1994-03-17 1995-09-12 Medinol Ltd. Articulated stent
US5601593A (en) * 1995-03-06 1997-02-11 Willy Rusch Ag Stent for placement in a body tube
KR970061279A (ko) * 1997-06-20 1997-09-12 정명호 국소약물전달요법에 적합한 스텐트 (Stent)
JP2000005321A (ja) * 1998-06-24 2000-01-11 Atsusato Kitamura ステント
US6203568B1 (en) * 1996-04-05 2001-03-20 Medtronic, Inc. Endoluminal prostheses having position indicating markers
KR20020030442A (ko) * 2000-10-17 2002-04-25 김서곤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US6398807B1 (en) * 2000-01-31 2002-06-04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branching stent, method for treating a lumen therewith,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f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9373A (en) * 1994-03-17 1995-09-12 Medinol Ltd. Articulated stent
US5601593A (en) * 1995-03-06 1997-02-11 Willy Rusch Ag Stent for placement in a body tube
US6203568B1 (en) * 1996-04-05 2001-03-20 Medtronic, Inc. Endoluminal prostheses having position indicating markers
KR970061279A (ko) * 1997-06-20 1997-09-12 정명호 국소약물전달요법에 적합한 스텐트 (Stent)
JP2000005321A (ja) * 1998-06-24 2000-01-11 Atsusato Kitamura ステント
US6398807B1 (en) * 2000-01-31 2002-06-04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branching stent, method for treating a lumen therewith,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for
KR20020030442A (ko) * 2000-10-17 2002-04-25 김서곤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31B1 (ko) * 2006-01-26 2007-01-0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US9320624B2 (en) 2011-01-14 2016-04-26 Taewoong Med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DE102014115856A1 (de) 2013-11-06 2015-05-07 Bcm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 einem künstlichen Blutgefäß befestigten Stents und ein nach demselben hergestellter Stent, der an einem künstlichen Blutgefäß befestigt 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128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63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664531B1 (ko)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US9320627B2 (en) Flexible stent with torque-absorbing connectors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39;s lumen
US5860999A (en) St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6632241B1 (en) Self-expanding, pseudo-braided intravascular device
JP5777012B2 (ja) 屈曲特性の良好な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US20080294239A1 (en) Flexible stent with elevated scaffolding properties
JP2001137353A (ja) ジグザグ型曲折を有する医療用プロテーゼ
JP2022517181A (ja) 静脈狭窄管理の為のオーセチックステント
CN115553972A (zh)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629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2429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CN113347948B (zh) 支架及其制作方法
KR100424291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EP1542761B1 (en) A cylindrical stent
KR20150115163A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100548781B1 (ko) 원통형 스텐트
KR19990065081A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KR101187211B1 (ko)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5551A (ko) 담즙관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