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17632B1 -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632B1
KR100417632B1 KR10-2001-0013542A KR20010013542A KR100417632B1 KR 100417632 B1 KR100417632 B1 KR 100417632B1 KR 20010013542 A KR20010013542 A KR 20010013542A KR 100417632 B1 KR100417632 B1 KR 10041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hoderma harzianum
antagonist
incidence
present
sp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581A (ko
Inventor
정영륜
이선국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정영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륜 filed Critical 정영륜
Priority to PCT/KR2001/0006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1083706A1/en
Priority to DE60104425T priority patent/DE60104425D1/de
Priority to AT01922126T priority patent/ATE271602T1/de
Priority to US10/275,079 priority patent/US20040151698A1/en
Priority to AU2001248906A priority patent/AU2001248906A1/en
Priority to EP01922126A priority patent/EP1294850B1/en
Priority to JP2001580315A priority patent/JP3665295B2/ja
Publication of KR2001010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 식물병원균에 길항적인 신규한 트리코데르마속 미생물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KCTC 0772BP)로 명명하고 식물병을 방제하기에 적합한 미생물 제제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균주의 포자 현탁액을 주요 작물의 잎이나 재배토양에 처리할 경우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잎곰팡이병과 겹둥근무늬병을 50% 이상 억제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A novel Trichoderma harzianum YC459 active against plant fungal pathoge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microbial pesticide thereof}
본 발명은 트리코데르마속 미생물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식물병원균에 길항적인 트리코데르마속 미생물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 459로 명명하고 이를 대량 배양하여 제조한 포자 현탁액을 주요 작물의 잎이나 재배토양에 처리하므로써 잿빛곰팡이병(gray mold rot), 모잘록병(damping-off), 잎곰팡이병(leaf mold)및 겹둥근무늬병(early blight)등 다양한 식물병원진균을 방제하는 생물학적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병원진균에 의한 작물의 병은 해충, 잡초와 더불어 작물의 안정적 생산에 매우 큰 제한요인이 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식물병원진균 중에서도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와 같이 균핵을 형성하는 병균은 대부분이 토양전염성으로 여러 종류의 작물에 광범위하게 병을 일으켜 많은피해를 가져온다. 이들 병원균들은 균핵상태로 월동하여 다음해에 균핵이 1차 감염원이 되는데 균핵은 병든조직이나 토양 중에 있으면서 좋지않은 환경조건에서도 생존이 가능하고 포자나 균사형태보다 이웃 길항미생물에 의한 분해 및 포자나 억제에도 강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제가 더욱 어렵다. 잎곰팡이병균 크라도스포리움 풀붐(Cladosporium fulvum), 겹둥근무늬병균 알터나리아 솔라니(Alternaria solani)도 여러 채소작물에 병을 일으켜 많은 피해를 유발한다. 특히 이들 병원진균들의 방제를 위해 현재 여러 종류의 살균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살균제의 오용과 남용으로 약제 내성으로 인하여 방제효과가 감소함에 따라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제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제 방법으로는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중요한 바, 1970년대 초반 이후로 국내외에서 이에 관한 연구가 여러 연구자에 의해 많이 수행되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10종 이상의 미생물 제제가 상품화되었고 환경적으로 안전한 지속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을 지향하는 사회적 인식변화로 미생물 제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외국에서 개발되어 상품화된 대표적인 미생물 제제는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과 트리코데르마 폴리스포룸(T. polysporum)으로 만들어져 목재부후균을 억제하는 BINAB T(1988, E.R. Butts International), 글리오클라디움 비렌스(Gliocladium virens)를 이용한 온실화훼작물 유묘의 병 방제제인 GlioGard (1990, W. R. Grace Co.),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을 이용한 F-stop(1991, Kodak), Trichodex(1997년, 이스라엘에서 개발)과 길항세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종자처리제인 KODIAK (1990, Gustafson),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를 이용하여 목화의 리족토니아, 피티움(Rhizoctonia,Pythium) 모잘록병을 방제하는 DAGGER(1990, Ecogen Inc.),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 cepacia)를 이용한 여러작물의 종자처리제인 BLUE CIRCLE(1990, Stine Microbial Products), 그리고 길항방선균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오비리디스(Streptomyces griseoviridis)를 이용한 푸사리움 (Fusarium) 시들음병, 모잘록병 방제제인 MYCOSTOP(1985, Kemira Oy Biocontrol of Finland)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을 이용한 미생물 제제가 병 방제효과나 제품의 안정성 등이 뛰어나 여러 나라에서 지역 특성에 맞는 균주를 분리하여 상품으로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인삼뿌리썩음병의 생물학적 방제연구를 시작으로 고추역병, 오이 딸기 시들음병, 참깨 모잘록병과 잿빛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트리코데르마 종(Trichodermasp.)을 이용하여 상품화된 것은 아직 없다.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은 병원균의 균사와 접촉하여 구멍을 내어 침입한 뒤 병원균을 죽이는데, 접촉시 분비되는 효소로는 키티나제(chitinase), β-1,3-글루카나제(glucanase)가 있고 순수분리된 효소가 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와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를 비롯한 여러종류의 식물병원 진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외에도 트리코데르마 비리데(T. viride), 글리오클라디움 로세움(Gliocladium roseum), 페니실린 종(Penicilliumsp.)도 온실 및 포장실험에서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cinerea),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의 방제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의 환경내 잔효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균이 독특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을 선택하여 제제화 하거나 또는 기질자체를 길항미생물이 충분히 차지하여 다른 미생물이나 대상병원진균이 이를 이용할 수 없도록 사전에 처리해야만 한다. 길항미생물의 대량생산 및 제제화에 있어서도 생산시 경제성을 고려하여 배양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대상이 되는 길항미생물은 국내 토양에서 분리한 진균으로 실내온실과 포장 실험에서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 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 크라도스포리움 풀붐(C. fulvum), 알터나리아 솔라니(A. solani)에 대하여 탁월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종래의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 제제는 식물병원성 진균, 선충 및 바이러스(virus) 병의 방제와 해충방제, 넓게는 잡초방제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문헌에 의하면 길항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의 원리는 이들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에 의한 항생작용, 세포벽 분해효소에 의한 기생 또는 포식작용, 그리고 영양물 경쟁이나 거점(niche) 경쟁 등을 통한 병원균의 밀도감소 또는 발병능력감소 및 비병원성 균주 또는 약병원성 균주를 이용하는 교차보호(cross protection)와 기주저항성 유도 등에 주된 작용기작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트리코데르마 속(Trichodermasp.)과 글리오클라디움 속(Gliocladiumsp.)이 분비하는 항생물질 또는 휘발성물질, 독소, 특수한 저해물질에 의한 진균병의 억제작용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기생 또는 포식작용에 의한 길항작용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길항세균들이 분비하는 진균의 세포벽 분해효소인키티나제(chitinase), 글루카나제(glucanase), 셀룰라제(cellulase) 등에 의한 병원균의 용해작용이 주된 작용기작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주요 식물병의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상기 식물병원균의 억제능력이 우수한 길항 미생물을 분리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환경친화형 미생물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길항작용에 착안하여 종래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 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 크라도스포리움 풀붐(C. fulvum), 알터나리아 솔라니(A. solani)에 의해 발병하는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과 벼잎집무늬마름병, 잎곰팡이병, 겹둥근무늬병의 방제가 약제저항성 병원균의 발현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식물병원균에 길항적인 신규한 트리코데르마속 미생물 균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를 함유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식물병원진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 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 크라도스포리움 풀붐(C. fulvum), 알터나리아 솔라니(A. solani)에 대한 억제능력이 있는 우수한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속 미생물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를T. harzianumYC459로 명명하고 이를 순수 배양하여 미생물 제제화한 다음 식물병원균 방제효과를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 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 크라도스포리움 풀붐(C. fulvum), 알터나리아 솔라니(A. solani)에 길항력이 있는 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포자 현탁액을 오이에 처리한 후 곰팡이 병균을 접종하고 발병정도를 측정하여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길항력을 식물체를 이용하여 직접 검정하는 단계; 분리된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대량배양과 제제화 단계; 감자, 토양 및 증류수 혼합물에 모잘록병균을 배양하여 접종원을 만들어 토양에 접종한 후 무종자를 파종하고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를 처리한 다음, 모잘록병균의 발병정도를 조사하여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모잘록병 발병억제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 온실포장에서 토마토를 재배하면서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잿빛곰팡이병 발병정도를 조사하여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잿빛곰팡이병 발병억제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 온실포장에서 토마토를 재배하면서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잎곰팡이병 발병정도를 조사하여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잎곰팡이병 발병억제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 포장에서 감자를 재배하면서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YC459 균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겹둥근무늬병 발병정도를 조사하여 본 발명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균주의 겹둥근무늬병 발병억제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균주로부터 유래하는 진균은 물론 이들 실시예와 실험예를 변경하는 어떠한 발명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길항력 검정
실험예 1: 길항미생물 분리동정 및 길항력 검정(배양기내 검정)
본 실험예에서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에 길항력이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남 진주시, 남해군, 밀양군 등 5개 지역에서 토양 및 퇴비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 5g과 멸균수 45mL를 혼합하여 28℃에서 30분간 진탕한 후, 토양 희석 한천평판법으로 104배까지 희석하여 희석액 0.1mL를 100 ppm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된 감자설탕한천(PDA, Difco)에 분주하여 배지 전면에 골고루 편 다음, 28℃ 항온기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자란 진균의 단일 콜로니(single colony)를 순수 분리하여 PDA 사면배지에 옮겨 4℃에서 보관하였다. 분리된 진균의 길항력 검정은 병원균B. cinerea, R. solani, C. fulvum, A. solani와의 대치배양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병원균과 길항균의 접촉면 균사의 분해와 억제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가장 많이 억제하는 진균 YC459 균주를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균총과 분생포자, 분생포자경의 형태적 특성을 현미경으로 관찰, 동정한 결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Trichoderma harzianum)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균주를T. harzianumYC459로 명명하고 대전시 소재 생명공학원(KIRRB) 유전자은행에 2000년 4월 29일자 수탁번호 KCTC 0772BP로 기탁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의 식물체 상의 길항력 검정(생체내 검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1에의 배지상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가 실제 식물의 표면에 처리되었을 때 병원균의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길항미생물을 잎에 먼저 처리하고, 1일 경과 후, 병원균을 접종하여 발병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분리된 길항미생물을 PDA 배지에 옮기고 28℃ 항온기에서 10일간 배양 후 배양기 표면에 생겨난 포자를 수확하기 위하여 살균증류수를 4~5mL씩 첨가하면서 긁어 모아 포자현탁액을 만들었다. 이때 포자현탁액의 포자 농도는 평균 106-7개/ mL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렇게 수확한 포자현탁액을 플라스틱 폿트에서 재배한 2엽기 오이 잎에 흘러내리도록 분무하고 실온에서 1일 둔 뒤에 잿빛곰팡이병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 cinerea)의 포자현탁액(포자농도는 106-7개/ mL)을 흘러 내리도록 접종하였다. 병균을 접종한 오이 유묘가 담긴 폿트를 20℃의 습실상에 넣고 3일 둔 뒤에 잎에서의 발병정도를 병반면적율(%)로 조사하였다. 이때 사용된 병원균은 본 연구실에서 1994년도에 병든토마토잎에서 분리하여 보관 사용하고 있는 균주(JM42)를 이용하였으며, 배양 및 포자수확은 20℃ 항온기에서 14일간 배양 후 배양기 표면에 생겨난 포자를 상기 길항미생물의 현탁액 조제방법과 동일하게 준비하였다. 길항미생물의 병억제 효과(방제가)는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고, 모든 실험은 1폿트 당 오이 2주씩 식부하고 총 4폿트를 심어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T)를 이용하였다. 실험실내 결과 얻어진 발병억제효과는 표 1과 같았다.
방제가(%) = [1-(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 ×100
본 발명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의 오이잿빛곰팡이병 발병억제효과
처리농도(포자수/mL 현탁액) 발병률(%) 방제가(%)
104 32.9 C 66.1
105 40.0 C 58.8
106 19.1 B 80.3
107 9.9 A 89.8
0 (무처리) 97.0 D -
[주] *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본 발명 길항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의 경우 발병률이 97%로 거의 모든 잎이 죽어버렸으나 길항미생물 포자처리시는 포자농도가 높아질수록 발병률이 감소하였으며 107개/ mL 현탁액 포자처리시 89.8%의 높은 발병억제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2: 본 발명 길항미생물의 대량배양 및 제제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를 PDA에 접종하여 28℃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많은 양의 포자를 형성시킨 후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자현탁액을 만들어 대량배양용 종자 접종물(seed inoculum)로 사용하였다. 본 배양은 농산부산물인 밀기울, 톱밥, 미강, 왕겨 등을 밀기울 + 왕겨, 톱밥 + 왕겨, 미강 + 왕겨, 미강 + 톱밥 등으로 동량 혼합하고 효모추출물 0.5%(부피비)을 넣어 잘 섞은 후 수분함유량이 40%가 되도록 물을 넣은 뒤 살균 가능한 5L 용량의 비닐봉지 또는 삼각 프라스크 또는 봉인 가능한 통에 넣고 121℃에서 1시간 살균하였다. 배지를 살균한 후 무균적으로 포자현탁액 200mL를 넣고 잘 섞은 후 28℃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과정에서 2일에 한번 흔들어 주면서 균사의 고른 생장과 대량의 포자형성을 유도하였다. 배양된 길항미생물 균체를 상온에서 3일간 음건한 후 분쇄하여 구멍크기 1mm체로 걸러서 체를 통과한 미세한 균사 및 포자분말을 수확하였다. 수확 후 초탄(peat moss), 질석(vermiculite) 또는 활석(talc), 비석(zeolite), 고령토(kaolinite) 등의 증량제를 첨가하여 제제화하였다. 이때, 제제화에는 통상 미생물 제제에 사용되는 부형제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에 의한 모잘록병균의 발병억제 효과
본 실시예에서 모잘록병균 억제효과는 무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접종용 병원균은 감자 썰은 조각 50g, 밭토양 450g과 증류수 100mL을 혼합하여 2L 삼각플라스크에 담고 121℃에서 1시간동안 멸균한 뒤 PDA에서 5일간 배양한 리족토니아 솔라니(R. solani) 균사절편 20개를 접종하여 28℃에서 14일간 배양한 것을 그늘에서 건조후 분쇄하여 4℃에서 보관하면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병균 접종원 0.5g과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든 길항미생물 포자 현탁액을 비닐봉지에 담긴 상토 1L와 잘 섞어서 4개의 프라스틱 폿트(가로, 세로 각 7cm)에 담고 무 종자를 10개씩 파종한 후 온실에서 1주일간 재배하였다. 1주일 간 재배 후 발병되는 정도를 4단계(1: 건전, 2: 갈색병징이 약간 보이는 것, 3: 발병되어 발아후 죽은 것, 4: 발아전 발병되어 발아가 되지 않은 것)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백분율(%)로 환산하여 발병률을 계산하였다. 방제가는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한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의 포자현탁액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병이 억제되었으며 50mL, 100mL를 첨가하였을 때 각각 67%, 75.5%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의 무 모잘록병 발병억제효과
포자현탁액 처리양 (mL/토양 L) 발병률(%)* 방제가(%)
무처리 92.5 D -
5 75.6 D 18.3
10 60.8 C 34.3
50 30.5 B 67.0
100 22.7 A 75.5
[주] *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 방제가(%) = [1-(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 ×100
실시예 4: 본 발명 길항미생물 처리에 의한 온실포장효과
실험예 1: 본 발명 길항미생물 처리에 의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의 발병억제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YC459 처리가 온실내에서 잿빛곰팡이병(병원균:B. cinerea)발생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토마토를 재배하면서 방제실험을 수행하였다. 온실은 일반 농촌에서 사용하는 비닐하우스(길이 23.7m× 폭 7.0m× 높이 2.3m, 166m2)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재배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999. 9. 30. 토마토 파종 (품종: 서광)
10. 10. 제1차 가식
10. 22. 제2차 가식
11. 2. 정식(20cm간격으로 2조)
12. 22. 수정시작(토마토톤 처리)
2000. 2. 11. 제1차 길항미생물 처리 (살포량 300l/10a기준)
2. 20. 제2차 길항미생물 처리 (살포량 300l/10a기준)
3. 2. 제3차 길항미생물 처리 (살포량 300l/10a기준)
3. 22. 발병률 조사
이때 1 처리구 면적은 5.4m2였고,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약제로는 스미렉스(Procymidone)를 상용농도로 분무 사용하였다. 길항미생물 처리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조제한 포자 제제를 물로 500배, 1000배로 희석하여 분무하였고, 발병률은 처리구의 모든 토마토의 감염여부를 하나하나 조사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T)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 길항 미생물 처리의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발병억제 효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무처리구의 이병과율은 평균 17.4% 이었으며, 길항미생물 제제를 500배, 1,000배로 희석하여 처리시 각 처리구의 이병과율은 각각 5.4%, 6.6% 이었다. 대조약제인 스미렉스(Procymidne)의 경우 평균 발병률이 10.4%였다. 방제가로 보면 길항미생물 처리구가 평균 65.6%로 무처리나 스미렉스 처리구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본 발명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의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발병 억제효과
희석배수 이병과율 (%) 방제가(%)
1 2 3 평균*
1,000 4.5 8.3 7.1 6.6 A 62.1
500 4.6 5.6 6.1 5.4 A 69.0
스미렉스 12.3 10.6 8.2 10.4 B 40.2
무처리 18.5 19.2 14.4 17.4 C -
[주] *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 방제가(%) = [1-(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 ×100
실험예 2: 본 발명 길항미생물처리에 의한 잎곰팡이병균의 발병억제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YC459 처리가 온실내에서 잎곰팡이병(병원균:C. fulvum) 발생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토마토를 재배하면서 방제실험을 수행하였다.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약제로는 프로피(propineb)를 상용농도로 분무하였다. 발병조사는 반복 당 토마토 20주씩을 조사하였으며, 발병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발병도(%)= [∑(발병주수x계수)/4x총조사수] x 100 (계수 0: 발병이 안됨, 1: 전체 잎의 1/4 정도가 발병, 2: 전체 잎의 1/2 정도가 발병되고 때로는 일부의 잎이 고사, 3: 전체 잎의 3/4 정도가 발병되고 완전 고사된 잎이 1/2 정도, 4: 전체 잎의 2/3 이상이 완전 고사)
본 발명 길항미생물 처리의 토마토 잎곰팡이병 발병억제 효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무처리구의 발병도는 평균 21.9% 이었으며, 길항미생물 제제를 500배, 1,000배로 희석하여 처리시 각 처리구의 발병도는 각각 6.6%, 6.8% 이었다. 대조약제인 프로피(propineb)의 경우 평균 발병률이 21.9% 이었다. 방제가로 보면 길항미생물 처리구가 평균 69-70%로 무처리나 프로피 처리구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의 토마토 잎곰팡이병 발병억제 효과
희석배수 발병도 (%) 방제가(%)
1 2 3 평균*
1,000 6.5 6.9 7.1 6.8 A 69.0
500 6.6 6.2 7.0 6.6 A 69.9
프로피 10.3 11.2 14.5 12.0 B 42.9
무처리 18.8 22.4 24.4 21.9 C -
[주] *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 방제가(%) = [1-(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 ×100
실험예 3: 본 발명 길항미생물처리에 의한 겹둥근무늬병균의 발병억제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YC459 처리가 포장에서 겹둥근무늬병(병원균:A. solani) 발생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에서 감자를 재배하면서 방제실험을 수행하였다.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약제로는 오티바(azoxystrobin)를 상용농도로 분무하였다. 발병조사는 반복 당 감자 20주씩을 조사하였으며, 발병도는 실험예 2와 같이 계산하였다.
2000. 5. 4. 감자 파종 (품종: 대지마)
6. 28. 제1차 길항미생물 처리 (살포량 300l/10a기준)
7. 5. 제2차 길항미생물 처리 (살포량 300l/10a기준)
7. 13. 발병률 조사
본 발명 길항미생물 처리의 감자 겹둥근무늬병 발병억제 효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무처리구의 발병도는 평균 21.7% 이었으며, 길항미생물 제제를 500배, 1,000배로 희석하여 처리시 각 처리구의 발병도는 각각 9.2%, 9.5% 이었다. 대조약제인 오티바(azoxystrobin)의 경우 평균 발병률이 21.7% 이었다. 방제가로 보면 길항미생물 처리구가 평균 56.2-57.6으로 무처리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본 발명 길항미생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 harzianum) YC459의 감자 겹둥근무늬병 발병억제 효과
희석배수 발병도 (%) 방제가(%)
1 2 3 평균*
1,000 10.3 8.9 9.3 9.5 A 56.2
500 9.8 8.1 9.6 9.2 A 57.6
오티바 9.3 10.2 8.2 9.2 A 57.6
무처리 22.8 22.9 19.4 21.7 C -
[주] *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 방제가(%) = [1-(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 ×100
이상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토양에서 분리한 본 발명길항 미생물 균주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YC459(수탁번호 0772BP)는 식물병원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크라도스포리움 풀붐(Cladosporium fulvum), 알터나리아 솔라니(Alternaria solani) 등에 길항력을 나타내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잎곰팡이병 또는 겹둥근무늬병의 발병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어 환경친화적인 무공해 생물농약으로 사용할 경우, 생태계 파괴 및 인축 독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농약산업 및 환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YC459 (수탁번호 KCTC 0772BP).
  2. 삭제
  3. 제 1항에 의한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YC459 진균을 PDA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함으로써 포자를 얻고 살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포자 현탁액을 얻는 단계;
    상기 포자 현탁액을 밀기울, 왕겨, 미강 및 톱밥 중 선택된 2개를 동량 혼합하고 효모추출물 0.5%을 넣어 잘 섞은 후 수분함유량이 40%가 되도록 물을 넣어 살균한 배지에 넣어 대량으로 배양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의해 얻어진 배양균체를 분쇄한 후 체로 쳐서 미세한 균주 및 포자분말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의해 수확한 미세한 균주 및 포자분말을 초탄, 질석, 활석, 비석 또는 고령토 중 선택된 어느하나의 증량제에 첨가하여 제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2001-0013542A 2000-05-02 2001-03-16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1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60104425T DE60104425D1 (de) 2000-05-02 2001-04-13 Gegen pflanzliche pilzpathogene aktives, mikrobielles pestizi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AT01922126T ATE271602T1 (de) 2000-05-02 2001-04-13 Gegen pflanzliche pilzpathogene aktives, mikrobielles pestizi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10/275,079 US20040151698A1 (en) 2000-05-02 2001-04-13 Microbial pesticide active against plant fungal pathoge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U2001248906A AU2001248906A1 (en) 2000-05-02 2001-04-13 A microbial pesticide active against plant fungal pathoge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PCT/KR2001/000616 WO2001083706A1 (en) 2000-05-02 2001-04-13 A microbial pesticide active against plant fungal pathoge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P01922126A EP1294850B1 (en) 2000-05-02 2001-04-13 A microbial pesticide active against plant fungal pathoge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2001580315A JP3665295B2 (ja) 2000-05-02 2001-04-13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3498 2000-05-02
KR1020000023498 2000-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581A KR20010103581A (ko) 2001-11-23
KR100417632B1 true KR100417632B1 (ko) 2004-02-21

Family

ID=4581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542A Expired - Lifetime KR100417632B1 (ko) 2000-05-02 2001-03-16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76A (ko) 2014-10-17 2016-04-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트라이코데르마 하지아눔 mpa167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277B1 (ko) * 2004-07-05 2006-04-26 김영권 모잘록병 방제용 길항균 및 이를 이용한 항균상토 및 그제조방법
KR100851399B1 (ko) * 2006-06-23 2008-08-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작물을 위한 길항 미생물 트라이코델마 하르지아눔을이용한 미생물 제제
CN101696390B (zh) * 2009-10-29 2010-12-08 南京农业大学资产经营有限公司 连作黄瓜、西瓜枯萎病的生物防治菌株及其微生物有机肥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76A (ko) 2014-10-17 2016-04-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트라이코데르마 하지아눔 mpa167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581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ullah et al.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 with Trichoderma harzianum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US6495133B1 (en) Gliocladium roseum strains useful for the control of fungal pathogens in plants
CN102311925B (zh) 一种植物内生真菌球毛壳菌株、微生物菌剂及其应用
KR100868901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US6599503B2 (en) Biocontrol of plant diseases caused by Fusarium species with novel isolates of Bacillus megaterium
Elshahawy et al. Field application of sclerotial mycoparasites as biocontrol agents to Stromatinia cepivora, the cause of onion white rot
Wakelin et al. Biological control of Aphanomyces euteiches root-rot of pea with spore-forming bacteria
AU686311B2 (en)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KR20230105465A (ko) 고추 탄저병과 세균병 방제 및 생육촉진 효과를 가진 다기능 천연식물보호제 개발
JP5074866B2 (ja) マメ科植物の害虫による摂食を阻害する方法
JP3665295B2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5572B1 (ko)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스트렙토마이세스 파다누스 vsp-32 및 이를 이용한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JP5896643B2 (ja) 新規微生物及びこの新規微生物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資材
US5968504A (en) Fungus Gliocladium catenulatum for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KR100997677B1 (ko) 슈도모나스 제니큘라타 mh10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Theradimani et al. Biocontrol of Fusarium Wilt in Tomato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Mehmood et al. Effectiveness of resistant germplasm and biological control agents as a sustainable management for Fusarium wilt disease on chickpea
JP4310466B2 (ja) ダイズ黒根腐病を生物的に防除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0417632B1 (ko)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0726864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그리세오푸스쿠스 vsg―16 kctc 10930bp 및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제
KR100506721B1 (ko)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n1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Vignesh et al. Efficacy of PGPR Bacillus Subtilis against Fusarium Wilt of Tomato
Lewis et al. Introduced biocontrol agents to suppress diseases caused by Rhizoctonia
JP5052873B2 (ja) ダイズ茎疫病を生物的に防除するための防除剤及び方法
KR100236546B1 (ko) R.solani에 길향력이 있는 세균 및 그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구제용 미생물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9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