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07278B1 -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278B1
KR100407278B1 KR10-2001-0049282A KR20010049282A KR100407278B1 KR 100407278 B1 KR100407278 B1 KR 100407278B1 KR 20010049282 A KR20010049282 A KR 20010049282A KR 100407278 B1 KR100407278 B1 KR 10040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duct
conditioning duc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516A (ko
Inventor
이홍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2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2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덕트 내측에 조절막을 서리제거용배출구와 냉방용배출구의 입구에 풍량을 배분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하여 리벳으로 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별도의 에어컨덕트나 새로운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는 편리함과, 새로운 금형의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저가로 다양한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air volum-adjustment-duc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에어컨덕트 내측에 조절막을 서리제거용배출구와 냉방용배출구의 입구에 풍량을 배분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하여 리벳으로 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별도의 에어컨덕트나 새로운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는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장치는 한장소의 공기상태를 사람에게는 가장 쾌적한 상태로, 그 장소의 물품에 대해서는 사용목적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그 대상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대별된다. 주택, 사무실, 백화점, 극장 그리고 각종 버스, 승용차량 등의 보건용 공기조화와 섬유공장, 제과공장, 각종 냉동차량 등 실내에서 생산 혹은 물품의 적정유지 보존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공업용 공기조화가 있다.
여기서, 차량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장치 즉, 에어컨은 냉매의 작용에 따라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냉매의 증기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송출되어온 냉매의 증기를 물 또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적정량의 액체냉매를 저압인 증발기에 보내는 데 있으며 고압냉매는 급격히 저온저압의 습증기가 되도록 하는 팽창밸브와, 흡열증발하여 주위를 저온화시키는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차량에 사용되는 에어컨은 상술한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히터유닛과 결합되는 데 히터유닛은 열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 히터 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원을 강제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닥트에 히터유닛을 내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덕트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더운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의 히터배출구(1)의 내측에 히터 유닛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끼움요부(2)가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이 배출구의 좌측과 우측 중에 하나는 윈도우글라스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는 서리제거용배출구(3)를 형성하고 다른 쪽의 배출구는 냉기를 배출할 수 있는 냉방용배출구(4)가 형성되는 에어컨덕트(5)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덕트(5)는 중앙에 장착하는 히터유닛의 작동으로 고열의 열기가 배출되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온기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에어컨덕트(1)는 장착된 히터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서리제어용배출구(3)와 냉방용배출구(4)를 형성시켜 냉기를 제공하고 윈도우글라스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덕트는 각 배출구가 일체 형성되어 있어 배출구의 풍량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컨덕트 내측에 조절막을 서리제거용배출구와 냉방용배출구의 입구에 풍량을 배분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하여 리벳으로 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별도의 에어컨덕트나 새로운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금형의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저가로 다양한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턱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에어컨턱트의 정면도이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절막의 사시도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온기 또는 냉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1 : 히터배출구 2 : 끼움요부
3,20 : 서리제거용배출구 4,25 : 냉방용배출구
5,10 : 에어컨덕트 15 : 히터부
30 : 조절막 31,32,33 ; 세면35 : 브라켓트 40 ; 리벳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컨덕트의 배출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후단측으로 더운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히터배출구(11)가 형성되며 중앙 내측에 히터유닛(미도시)을 끼워장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히터부(15)와, 상기 히터부(15)의 좌측과 우측중에 하나는 윈도우글라스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는 서리제거용배출구(20)가 형성하고 다른 쪽에 냉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냉방용배출구(25)가 형성되는 에어컨덕트(1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에어컨덕트(10)의 히터부(15)는 좌측과 우측의 서리제거용배출구(20)와 냉방용배출구(25)의 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좌측과 우측 및 중앙의 히터배출구(11)의 입구의 면적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온기와 냉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막(30)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조절막(30)은 풍량배분이 조절된 위치에서 에어컨덕트(10)에 고정연결될 수 있도록 세면(31,32,33)이 형성된 전단과, 상하단측에 돌출형성된 브라켓트(35)에 각각 체결 수단인 리벳(40)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컨덕트의 배출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컨덕트(10)는 중앙에 공간부가 형성된 히터부(15)에 히터유닛(미도시)을 장착한 후 그 히터유닛에서 배출되는 온기를 전방측으로 길게 연결된 히터배출구(11)를 통해 온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히터부(15)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조절막(30)을 브라켓트(35)에 체결수단인 리켓(40)으로 체결하여 고정설치하게 된다.
조절막(30)은 세면(31,32,33)이 형성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측과 전단에 브라켓트(35)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인 리벳(40)을 사용하여 고정설치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각 배출구의 풍량을 재 배분한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서리제거용배출구(20)와 냉방용배출구(25)의 배출면적을 고려하여 조절막(30)을 고정설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컨덕트(10)는 조절막(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져 설치된 위치에 따라 풍량이 배분되어져 서리제어용배출구(20)와 냉방용배출구(25)를 통해서 배출되는 온기 또는 냉기의 배출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에어컨덕트 내측에 조절막을 서리제거용배출구와 냉방용배출구의 입구에 풍량을 배분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하여 리벳으로 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별도의 에어컨덕트나 새로운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금형의 에어컨덕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저가로 다양한 풍량을 재 배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중앙의 후단측으로 더운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히터배출구(11)가 형성되며 중앙 내측에 히터유닛를 끼워장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히터부(15)와, 상기 히터부(15)의 좌측과 우측중에 하나는 윈도우글라스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는 서리제거용배출구(20)가 형성하고 다른 쪽에 냉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냉방용배출구(25)가 형성되는 에어컨덕트(10)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덕트(10)의 히터부(15)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서리제거용배출구(20)와 냉방용배출구(25)의 입구에 각각 상기 서리제거용배출구(20)와 냉방용배출구(25)측으로 온기 또는 냉기를 안내하는 조절막(30)을 설치하여서 된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막(30)은 에어컨덕트(10)에 밀착되는 세면(31,32,33)이 형성된 전단과, 상기 전단의 상하단측에 돌출형성되어 리벳(40)으로 체결되는 브라켓트(35)를 갖는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KR10-2001-0049282A 2001-08-16 2001-08-16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40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82A KR100407278B1 (ko) 2001-08-16 2001-08-16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82A KR100407278B1 (ko) 2001-08-16 2001-08-16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16A KR20030015516A (ko) 2003-02-25
KR100407278B1 true KR100407278B1 (ko) 2003-11-28

Family

ID=2771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7278B1 (ko) 2001-08-16 2001-08-16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2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16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268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S6246706A (ja) 自動車用暖房兼空気調和装置
US6758740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11971179B2 (en) Air conditioner
US20190366890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0407278B1 (ko) 차량용 풍량조절 에어컨덕트
CN112644245B (zh) 一种空调箱结构
CN106042837B (zh) 电动汽车的空气调节系统的控制方法
US10449824B2 (en) Air conditioning module
JP3622425B2 (ja) バス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232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6114128B (zh) 电动汽车的空气调节系统的控制方法
KR100388741B1 (ko) 에어콘의 에어 흡입 및 토출구조
JP2001030739A (ja) ダンパ構造、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401121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190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35887B1 (ko) 에어덕트 도어자동개폐장치
KR101193637B1 (ko) 버스 사이드 글래스 성애 제거 시스템
CN212604367U (zh) 一种热泵用汽车空调箱
KR20100031822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0136894Y1 (ko)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JP2002225537A (ja) 車輌用空気調和ユニット
KR200148473Y1 (ko) 공기조절기의 송풍구조
KR200263461Y1 (ko) 제어부 지지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KR20160008405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