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93860B1 - 랜덤액세스메모리 - Google Patents

랜덤액세스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860B1
KR100393860B1 KR1019970033019A KR19970033019A KR100393860B1 KR 100393860 B1 KR100393860 B1 KR 100393860B1 KR 1019970033019 A KR1019970033019 A KR 1019970033019A KR 19970033019 A KR19970033019 A KR 19970033019A KR 100393860 B1 KR100393860 B1 KR 10039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ata
circuit
input
random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414A (ko
Inventor
히데까즈 히구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1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5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ultiport memories each having random access ports and serial ports, e.g. video R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0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comprising combined but independently operative RAM-ROM, RAM-PROM, RAM-EPROM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판독 및 기입 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메모리 셀 매트릭스는 기입 인에이블 신호 라인, 출력 인에이블 신호 라인, 데이타 입/출력 라인,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 판독/기입 제어 회로, 입력 데이타 버퍼 회로, 및 출력 데이타 버퍼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뱅크로 분할되거나, 또는 판독 및 기입용의 독립된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및 판독 및 기입용의 독립된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있어서의 판독 및 기입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각 사이클마다, 판독 모드 또는 기입 모드에 제한되고, 동일한 기간중에 판독 및 기입이 행해지는 모드로서는 "판독-변경-기입(read-modify-write)" 또는 직렬 포트를 이용한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이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대한 "판독-변경-기입"의 타이밍도이다.
외부 입력으로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전원 핀(VDD 및 GND),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51)(/RAS),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52)(/CAS), 복수의 어드레스 핀(53), 기입 인에이블 신호 핀(54)(/WE), 출력 인에이블 신호 핀(55)(/OE), 데이타 입력 핀(56)(/DIN), 및 데이타 출력 핀(57) (DOUT)을 포함하는데, 이들 핀들에 의해 동작 모드가 결정되어 데이타의 입/출력을 실행한다. 내부 회로는 주로 메모리 셀 매트릭스(61), 어드레스 판정 회로(62),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63),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64), 판독/기입 제어 회로(65), 입력 데이타 버퍼 회로(66), 및 출력 데이타 버퍼 회로(6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RAS"와 같은 표시(label)에 포함된 슬래시(/slash)는 로우(low) 레벨에서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의 판독-변경-기입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시각 t1에서,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51)이 활성화되면, 그 시각의 외부 어드레스 신호(53)의 데이타가 어드레스 판정 회로(62)에 입력되고,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63)에 의해 행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시각 t2에서, 열 어드레스스트로브 신호 핀이 활성화되면, 그 시각의 외부 어드레스 신호(53)의 데이타가 상기 행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어드레스 판정 회로(62)에 입력되고,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64)에 의해 열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판독-변경-기입 동작의 경우에, 시각 t2의 시점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 /OE가 인에이블되면 행 및 열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의 데이타가 입/출력 버스(68)를 통과한 후 데이타 출력 핀(57)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그 후, 기입 인에이블 신호 /WE가 인에이블 됨으로써 기입 동작이 지정되어, 데이타 입력 핀(56)의 데이타가 입력 버퍼 회로(66)에 입력된 다음, 입/출력 버스(68)로부터 지정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메모리 셀에 기입된다. 한편, 출력 버퍼 회로(67)는 판독/기입 제어 신호(65)를 활성화하여 출력 데이타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타이밍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일반적인 랜덤 액세스 메모리 이외에도, 직렬 포트 판독/기입 제어 회로(72), 외부 입력으로서 직렬 포트 인에이블 신호(73)(/SE), 직렬 포트 클럭 신호 핀(74)(/SC), 직렬 포트 데이타 입/출력 핀(71)(SI0), 및 직렬 포트 데이타 저장 버퍼 회로(75)를 갖추고 있다. 이 요소들은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데이타의 입/출력을 실행한다.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랜덤 액세스 유닛의 경우, 시각 t1에서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51)이 활성화되면, 그 시각의 외부 어드레스 신호(53)의 데이타가 어드레스 판정 회로(62)에 입력되고,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63)에 의해 행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시각 t2에서,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52)이 활성화되면, 그 시각의 외부 어드레스 신호(53)의 데이타가 상기 행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어드레스 판정 회로(62)에 입력되고,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64)에 의해 열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경우, 시각 t1의 시점에서, 외부 신호 SE가 인에이블 됨으로써 직렬 포트가 인에이블되고, 행 및 열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의 데이타는 직렬 포트 입/출력 핀(71)으로부터 직렬 포트 데이터 저장 버퍼 회로(75)로, 직렬 포트 클럭 신호(72)가 활성 기간 중에 비트 단위로 송출되는 한편, 직렬-판독 동작의 경우에는, 행 및 열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의 데이타가 데이타 저장 버퍼 회로(75)로 송출되어, 직렬 포트 클럭 신호(72)의 활성 기간 중에 비트 단위로 직렬 데이타 입/출력 핀(71)으로부터 출력된다. 직렬 포트 데이타 저장 버퍼 회로(75)를 제공하고, 그 버퍼 내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랜덤 액세스부와는 비동기로 직렬 포트 입/출력 핀(71)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랜덤 액세스부에서 판독시에 직렬 포트부에서의 기입 또는 랜덤 액세스부에서 기입시에 직렬 포트부에서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독-변경-기입 동작의 경우에는, 통상의 판독 동작을 종료하고, 메모리 셀로 부터의 데이타를 출력 핀으로부터 출력한 후, 기입 동작이 실행되어 동일한 어드레스에 대하여 새로운 데이타가 기입된다. 그러나, 어드레스 결정에 소요되는시간 이외에도 판독 동작 및 기입 동작에 대한 소요 시간이 필요할 뿐아니라, 동일한 기간 중에 판독 및 기입 동작이 가능한 어드레스는 상기 동일한 어드레스에 제한된다.
반면, 듀얼-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의한 동일 기간에서의 판독 및 기입 동작을 도시에 실행하는 경우는, 데이터 전송에 의해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직렬 포트부의 직렬 포트 데이터 저장 버퍼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전송 사이클에서 메모리 셀로 전송하므로, 소정 어드레스에 대한 동시 판독 동작 및 기입 동작이 복잡하게 될 뿐 아니라, 직렬 포트 섹션을 사용하는 페이지 모드에서는 동일한 주기 동안 판독 동작 또는 기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판독 및 기입 동작을 허가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메모리 셀 매트릭스는 복수의 뱅크로 분할되고, 각 뱅크는 기입 인에이블 신호 라인, 출력 인에이블 신호 라인, 데이타 입/출력 라인,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 판독/기입 제어 회로, 입력 데이타 버퍼 회로, 및 출력 데이타 버퍼 회로를 포함한다.
각 뱅크당 판독 동작 또는 기입 동작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판독 동작 또는 기입 동작이 동일한 주기 동안 복수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판독 및 기입용으로 사용되는 독립된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및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판독부와 기입부를 포함하는 입/출력 데이타 버스는 동일한 주기 동안, 소정의 판독 동작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판독 동작 Y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고(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로부터 메모리 셀로의 출력), 판독 동작을 실행하는 모드뿐 아니라, 소정의 기입 동작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기입 동작 Y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고 기입 동작을 실행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이 형태의 구조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섹션이 핵심을 이루는 주문자 LSI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섹션의 입/출력부가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동일한 사이클 동안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대한 하나의 기입 또는 판독 동작에 요구되는 사이클 시간과 동일한 주기에서 메모리 셀로의 데이타 기입 및 메모리 셀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을 동시에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입 동작 및 판독 동작을 병렬로 실행할 때 전체 사이클 시간이 감소되어 기입 인에이블 신호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타이밍 제어가 간소화되므로 메모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대한 타이밍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듀얼 포트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듀얼 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대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반도체 메모리의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12, 32 :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13, 33 : 어드레스 핀
14a, 14b : 기입 인에이블 신호
15a, 15b : 출력 인에이블 신호
16a, 16b: 입/출력 핀
21a, 21b : 메모리 셀 매트릭스
22, 42 : 어드레스 판정 회로
23a, 23b, 24a, 24b :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25a, 25b : 판독/기입 제어 회로
26a, 26b : 입력 데이타 버퍼 회로
27a, 27b : 출력 데이타 버퍼 회로
31, 32 :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34 : 기입 인에이블 신호
35 : 출력 인에이블 신호
36 : 데이타 입력 핀
37 : 데이타 출력 핀
43a, 43b :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44a, 44b :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
45 : 입력 데이타 버퍼 회로
46 : 출력 데이타 버퍼 회로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특성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기술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메모리 셀을 두개의 뱅크 a와 b 분할한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랜덤액세스 메모리와 유사하게 외부 입력으로서 전원 공급 핀(VDD 및 GND),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11)(/RAS),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12/CAS), 복수의 어드레스 핀(13), 각 뱅크마다 기입 인에이블 신호 핀(14a 및 14b)(/WE), 각 뱅크마다 출력 인에이블 신호 핀(15a, 15b)(/OE), 및 각 뱅크마다 데이타 입/출력용 핀으로서 제공되는 데이타 입/출력 핀(16a 및 016b)을 갖고, 내부 회로는 각 뱅크에 대한 메모리 셀 매트릭스(21a 및 21b), 어드레스 판정 회로(22), 각 뱅크마다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23a 및 23b), 각 뱅크마다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24a 및 24b), 각 뱅크마다 판독/기입 출력 제어 회로(25a 및 25b), 각 뱅크마다 입력 데이타 버퍼 회로(26a 및 26b), 및 각 뱅크마다 출력 데이타 버퍼 회로(27a 및 27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동작은 도 6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의 지정은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행해지고,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입/출력 버스(28b)에 메모리 셀로부터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시각 t1에서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11)의 지정이 뱅크마다 행해지고,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23a 및 23b)에 외부 어드레스 신호(13)의 데이타가 행 어드레스의 지정 신호로서 입력되고; 시각 t2에서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12)의 지정이 각 뱅크마다 행해져서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24a 및 24b)에 외부 어드레스 신호(13)의 데이터가 열 어드레스 지정 신호로서 취해진다.
시각 t3에서, 뱅크 a측이 기입 동작, 및 뱅크 b측이 판독 동작을 행함으로써, /출력 핀(16a)(DIO)에 입력된 데이타가 입력 버퍼 회로(26a), 및 입/출력 버스(28a)를 통과하여 지정된 어드레스(21a)에 기입되고, 지정 어드레스의 셀(21b)로 부터 판독된 데이타는 입/출력 버스(28b)로부터 출력 버퍼 회로(27b)를 통해 입/출력 핀(16b)(DIO)에 출력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제1 실시예에서의 뱅크 분할 대신,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타 버퍼 회로 및 입/출력 회로까지가 기록용, 판독용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외부 입력으로서 전원 공급 핀(VDD 및 GND),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31)(/RAS),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핀(32)(/CAS), 복수의 어드레스 핀(33), 기입 인에이블 신호 핀(34)(/WE), 출력 인에이블 신호 핀(35)(/OE), 데이타 입력 핀(36)(DIN), 및 데이타 출력 핀(37)(DOUT)을 갖고, 내부 회로는 메모리 매트릭스 1개에 판독과 기입을 분할한 형태의 예에 의해, 어드레스 판정 회로(42),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기입용(43a)과 판독용(43b),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도 기입용(44a)과 판독용(44b), 기입용 버스(48a)와 판독용 버스(48b), 입력 버퍼 회로(45)와 블록 버퍼 회로(4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동작은 도 8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입력 버스(48a)에서, 입력 핀(36)으로 부터의 데이타는 입력 버퍼 회로(45)를 경유하여 메모리 셀 매트릭스(41)로 전송되고, 출력 버스(48b)에서 메모리 셀 매트릭스(41)로부터의 데이타는 출력 버퍼 회로(46)를 경유하여 전송된 다음 출력 핀(37)으로부터 출력되며,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의 지정은 종래 기술의 예와동일하고 타이밍도는 제1 실시예의 도 6에서와 동일하다.
시간(t1)에서,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31)는 기입 및 판독용으로 지정되고, 이어서 외부 어드레스 신호(33)의 데이타가 행 어드레스 지정으로서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43a 및 43b)로 입력되고; 시간(t2)에서,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32)는 기입 및 판독용으로 지정되고, 이어서 외부 어드레스 신호(33)의 데이타가 열 어드레스 지정으로서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44a 및 44b)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뱅크들로 분할하고 각 뱅크당 기입 인에이블 신호 핀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 핀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지정 회로로부터 데이타 버스, 입/출력 버퍼, 및 외부 입/출력 핀까지의 요소들을 기입용 및 판독용으로 분할함으로써 동일한 주기동안 기입 동작 및 판독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판독-변경-기입"과는 대조적으로 동일한 주기동안 동일한 어드레스에 대한 판독 및 기입보다는 오히려 동일한 주기동안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대한 판독 및 기입을 허가하여, 결과적으로, 동시 기입/판독 동작 메모리로서 사용될 때, 이 메모리는 하나의 기입 또는 판독 동작 시간과 동일한 최소 사이클을 갖는 사이클 시간을 허가하여, 메모리의 기입/판독 데이타 전송 스피드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되었다 하더라도, 그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다음 청구항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사이클 동안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대한 하나의 기입 또는 판독 동작에 요구되는 사이클 시간과 동일한 주기에서 메모리 셀로의 데이타 기입 및 메모리 셀로 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동시에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입 동작 및 판독 동작을 병렬로 실행할 때 전체 사이클 시간이 감소되어 기입 인에이블 신호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타이밍 제어가 간소화되므로 메모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있어서,
    메모리 셀 매트릭스, 입력 버퍼 회로, 출력 버퍼 회로, 판독 동작용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및 기입 동작용 행 어드레스 지정 회로, 및 판독 동작용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 및 기입 동작용 열 어드레스 지정 회로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1019970033019A 1996-07-17 1997-07-16 랜덤액세스메모리 KR100393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87535 1996-07-17
JP8187535A JPH1031886A (ja) 1996-07-17 1996-07-17 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414A KR980011414A (ko) 1998-04-30
KR100393860B1 true KR100393860B1 (ko) 2003-10-17

Family

ID=1620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019A KR100393860B1 (ko) 1996-07-17 1997-07-16 랜덤액세스메모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864505A (ko)
JP (1) JPH1031886A (ko)
KR (1) KR100393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7572B2 (en) * 2002-06-28 2007-03-06 Rambus Inc. Early read after write operation memory device, system and method
US7380092B2 (en) * 2002-06-28 2008-05-27 Rambus Inc. Memory device and system having a variable depth write buffer and preload method
EP1981033B1 (en) * 1997-10-10 2011-08-24 Ramb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ipelined memory operations with write mask
JP2000148580A (ja) * 1998-11-09 2000-05-30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178129B1 (en) * 1999-10-19 2001-01-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parate output power supply to reduce output noise for a simultaneous operation
US6160750A (en) * 2000-02-04 2000-12-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Noise reduction during simultaneous operation of a flash memory device
JP4095751B2 (ja) * 2000-03-28 2008-06-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100699810B1 (ko) * 2000-08-0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메모리시스템
US6654848B1 (en) * 2000-09-15 2003-11-2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imultaneous execution command modes in a flash memory device
KR100382739B1 (ko) * 2001-04-13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대칭 데이터 경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587917B2 (en) * 2001-05-29 2003-07-01 Agilent Technologies, Inc. Memory architecture for supporting concurrent access of different types
KR100454144B1 (ko) * 2001-11-23 2004-10-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 뱅크 구조의 플래쉬 메모리 장치
US7366822B2 (en) 2001-11-26 2008-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data at the same time
US6580660B1 (en) * 2002-01-30 2003-06-17 Agilent Technologies, Inc. Circuit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ultiple digital data paths
US6775736B2 (en) * 2002-01-31 2004-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mbedded DRAM system having wide data bandwidth and data transfer data protocol
WO2004003700A2 (en) * 2002-06-28 2004-01-08 Rambus Inc. An early read after write operation memory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40004239A1 (en) * 2002-07-08 2004-01-08 Madurawe Raminda U.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s
KR100434112B1 (ko) * 2002-07-11 2004-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뱅크 구조의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US7280428B2 (en) 2004-09-30 2007-10-09 Rambus Inc. Multi-column addressing mode memory system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US8595459B2 (en) 2004-11-29 2013-11-26 Rambus Inc. Micro-threaded memory
US7660183B2 (en) 2005-08-01 2010-02-09 Rambus Inc. Low power memory device
JP2007188552A (ja) * 2006-01-11 2007-07-26 Sharp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7486111B2 (en) * 2006-03-08 2009-02-03 Tier Logic, Inc. Programmable logic devices comprising time multiplexed programmable interconnect
US20070260841A1 (en) * 2006-05-02 2007-11-08 Hampel Craig E Memory module with reduced access granularity
KR20100111990A (ko) * 2009-04-08 2010-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데이터 랜덤화 방법
US9268719B2 (en) 2011-08-05 2016-02-23 Rambus Inc. Memory signal buffers and modules supporting variable access granularity
TWI463432B (zh) * 2012-10-05 2014-12-01 Genesys Logic Inc 圖像資料處理方法
US9690510B2 (en) * 2014-04-23 2017-06-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Two-stage read/write 3D architecture for memory devices
KR102534825B1 (ko) * 2016-04-19 2023-05-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IT202100012395A1 (it) * 2021-05-13 2022-11-13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controllore, sistema e procedimento corrispondent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567A (ja) * 1992-04-27 199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H06150658A (ja) * 1992-11-04 1994-05-3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7498A (ja) * 1986-06-06 1987-12-14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H0793002B2 (ja) * 1987-06-04 1995-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集積回路
US4807189A (en) * 1987-08-05 1989-02-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ad/write memory having a multiple column select mode
US4875196A (en) * 1987-09-08 1989-10-17 Sharp Microelectronic Technology, Inc. Method of operating data buffer apparatus
JPH01307996A (ja) * 1988-06-07 1989-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US5200925A (en) * 1988-07-29 1993-04-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rial acces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5027326A (en) * 1988-11-10 1991-06-25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f-timed sequential access multiport memory
JP2993671B2 (ja) * 1989-01-07 1999-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809676B2 (ja) * 1989-03-23 1998-10-15 株式会社東芝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メモリ装置
JP2880547B2 (ja) * 1990-01-19 1999-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179791B2 (ja) * 1991-02-22 2001-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記憶装置
JPH04281287A (ja) * 1991-03-08 1992-10-06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US5490257A (en) * 1992-02-24 1996-02-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RAM based FIFO memory half-ful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950005095Y1 (ko) * 1992-03-18 1995-06-22 문정환 양방향성 그로벌 비트 라인을 갖는 dram
JPH05290573A (ja) * 1992-04-13 1993-11-05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US5384745A (en) * 1992-04-27 1995-01-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539696A (en) * 1994-01-31 1996-07-23 Patel; Vipul C.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data in a synchronous memory having column independent sections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rite mask oper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567A (ja) * 1992-04-27 199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H06150658A (ja) * 1992-11-04 1994-05-3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414A (ko) 1998-04-30
JPH1031886A (ja) 1998-02-03
US5864505A (en) 1999-01-26
US6018478A (en)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860B1 (ko) 랜덤액세스메모리
US6167487A (en) Multi-port RAM having functionally identical ports
US638119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use of cache can be selected
EP0199134B1 (en) High performance memory system
US530528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on the same chip a plurality of memory circuits among which data transfer is performed to each oth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EP0374829B1 (en) Dual port memory unit
US67891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data access using a memory array
DE60130437D1 (de) Simultaner mehrbank für flash-speicher
JPS62262294A (ja) メモリ・システム
KR100254752B1 (ko) 메모리 확장을 위한 로직을 갖는 동기식 sram
KR930024012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40006362B1 (ko)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KR100449401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563893B1 (ko) 공통의메모리영역을공유하는다중포트들을갖는램
US6138214A (en)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architecture for sequential burst mode
US5986953A (en) Input/output circuits and method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JPH1069430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1139857A (ja) メモリ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307626B1 (ko) 디램과버퍼메모리를갖는메모리로직복합집적회로장치
JPH04229488A (ja) 仮想マルチポートram構造
US5363337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with variable addressing of memory cells
JP3176144B2 (ja) 同期型スタチックメモリ
JPS61162886A (ja) メモリアクセス方式
EP0687984A1 (e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n address/data bus directly coupled to peripheral device
JPH10326491A (ja) メモリ装置、sramセル、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130

Effective date: 200303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10039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130

Effective date: 200303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