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89645B1 -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 Google Patents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645B1
KR100389645B1 KR10-1998-0047897A KR19980047897A KR100389645B1 KR 100389645 B1 KR100389645 B1 KR 100389645B1 KR 19980047897 A KR19980047897 A KR 19980047897A KR 100389645 B1 KR100389645 B1 KR 10038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reinforcing member
separator
locking
tigh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725A (ko
Inventor
아키라 가토
Original Assignee
아키라 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라 가토 filed Critical 아키라 가토
Priority to KR10-1998-004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6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6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2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14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좁은 구멍의 U자형 걸림 고정부(5)와 상기 좁은 구멍의 U자형 걸림 고정부(5)에서 U자면(5A)을 포함하는 평면(6) 보다 80˚∼130˚의 각도(α)만큼 구부려져 대략 수평하게 연속되는 연장 직선부(11)와 연장 직선부(11) 보다 85˚∼110˚의 각도(β)로 솟아오른 보강재 조임부(15) 및 보강재 조임부(15)의 기저부에서 U자면(5A)에 거의 평행하게 돌출된 수평 돌기부(20)를 구비하며, 위험하고 좁은 작업현장에서 특히 작업성과 작업 능률 및 콘크리트 형틀의 강도가 우수한 일체화된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본 발명은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콘크리트 형틀 등에 이용하는데 적합한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6에 나타낸 U클립이라고 불리우는 U자형 걸림 고정 부재(종래예)가 강제 콘크리트 형틀 등에 다수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형틀의 뒷면을 요소요소마다 강한 힘으로 지지하여 걸어 고정하는 편리한 걸림 고정 부재이며, 소재는 저탄소강 또는 중탄소강의 봉재로서 어느곳에서나 구입하기 쉽고 비교적 싼 가격이다.
통상, 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 경우, 취급상 단위 중량 10∼30kg 정도의 유닛 형틀을 다수 디딤대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조합 형틀 전체의 강도가 부족해지기 쉽기 때문에 자주 형틀 뒷면에 한쌍의 강관 등의 보강재를 수개 또는 수십개로 형틀에 우물정자 형상으로 걸쳐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였다.
이와같은 강제 형틀의 일반적인 조립 고정 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형틀과 보강재의 조임 부착 방법의 차이로 2가지 있다. 단 형틀 걸림 고정 부재 및 걸어 고정하는 방법 자체는 동일하다.
제 1 방법은 자주 이용되는 시공법이지만 형틀 면판에는 구멍을 뚫지 않고, 형틀 프레임에 뚫어 설치한 구멍(A)을 이용하여 선단부 판형상 세퍼레이터(separator)를 2개의 형틀 프레임에 끼우고, 이것들을 관통하는 걸어 고정 부재로 끼워 고착한다. 이 경우, 보강재의 조임 부착은 상기 프레임의 구멍(A)주변에 별도로 뚫어 설치한 구멍(B)에 조임 부재를 삽입하여 실시하였다. 이 방법으로는 구조상 세퍼레이터 동축 연장부에서 보강재를 조여 부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제 2 방법은 우선 형틀 면 판에 구멍(C)을 뚫어 양 면판의 구멍(C, C)에 로드형상 세퍼레이터 선단부를 삽입하고 면판 외부측에서 세퍼레이터 선단부의 나사에 로드형상 조임 부재를 삽입하여 보강재를 조여 부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는 세퍼레이터 동축 연장부에서 보강재를 조여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면판 자체에 구멍을 뚫기 때문에 콘크리트 고화후에 여분인 요철을 생기게 하고 마무리면의 평활성을 손상시켜 강제 형틀 자체의 수명(반복 사용 가능 횟수)를 저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강제 형틀용 걸림 고정 부재는 다른 보강재 조임 부재(고착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보강재와의 고착이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발디딜 곳이 나쁜 높은 곳 등의 위험한 장소나 좁은 장소에서는 이와같이 다른 조임부재를 이용하여 강제 형틀에 보강재를 고착하는데는 U자형 걸림고정부재와 직선 로드형상 조임 부재와 조임 와셔의 3종류의 부품이 필요하고, 또 이것들의 부품의 정확한 위치 결정에 손이 많이 가 작업이 매우 곤란하였다.
또, 프레임(40)이 연직으로 솟아올라 서로 겹쳐진 경우, 도 8과 같이 프레임(40)의 관통구멍(40B)에 삽입된 종래의 높이가 다른 형의 보강재 조임 부재(고착부재 metal tie)(201)(도 7 참조)은 한쪽이 반드시 길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머리부가 낮춰져 작업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의 걸림 고정 부재의 일부에 보강재 조임부를 디딤대로서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것에 착안하여 고안과 시험 작업을 반복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자는 기본적으로 제 1 방법을 채용하면서 걸림 고정 부재를 고안하여 걸림 고정 부재 자체에 보강재 조임 부재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세퍼레이터 연장선상에서 보강재를 조여 부착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하고 좁은 작업 현장에서 특히 작업성과 능률 및 형틀의 강도가 우수한 일체화된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보다도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취급이 용이한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사용 상태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보강재 체결 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예(U클립)의 사시도,
도 7은 높이가 다른 보강재 체결 구조체의(고착부재 metal tie) 종래예의 사시도, 및
도 8은 프레임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높이가 다른 보강재 체결 구조체(종래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5 : 좁은 구멍의 U자형 걸림 고정부
6 : U자면 10 : 직선부
11 : 연장 직선부 α : U자면(6)과 직선부(11)가 이루는 각
15 : 보강재 조임부 15A : 나사부
15B : 선단부 17 : 쐐기 삽입용 긴 구멍
18 : 쐐기 20 : 수평 돌기부
27 : 너트 28 : 스프링와셔
30 : 팔형상 부재 40 : 프레임
50 : 세퍼레이터 50A : 세퍼레이터 단부
40B : 프레임의 관통구멍 50B : 세퍼레이터 단부의 관통구멍
60A, 60B : 면판(面板) 70, 71 : 파이프(보강재)
100 : 콘크리트 200 : U클립
201 : 높이가 다른 보강재 조임 부재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는 구멍이 좁은 U자형 걸림 고정부(5)와 상기 구멍이 좁은 U자형 걸림 고정부(5)에서 U자면(5A)을 포함하는 평면(6) 보다 80˚∼130˚의 각도(α)만큼 구부려져 대략 수평하게 연속되는 연장 직선부(11)와 연장 직선부(11) 보다 85˚∼110˚의 각도(β)만큼 솟아오른 보강재 조임부(15)와 보강재 조임부(15)의 기저부에서 U자면(5A)에 거의 평행하게 돌출된 수평 돌기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재 조임부(15)의 선단부가 나사 부착 볼트 형상 선단부(15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재 조임부(15)의 선단부가 쐐기 삽입용 긴 구멍(17)을 가진 선단부(15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단에 판형상 단부를 가진 세퍼레이터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해 상기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과 0˚ 내지 50˚로 교차 걸어 맞추는 한쌍의 형틀의 접합부에 있어서,
형틀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의 판형상 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이들 프레임과 판형상 단부와 프레임을 관통하여 뚫어 설치한 구멍에 수평 돌기부(20)를 삽입하여 이것을 축으로서 회전하고, U자형 걸림 고정부(5)에서 프레임 사이를 걸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퍼레이터가 직선 로드 형상, 평판형상 또는 단면 U자형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사용 상태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보강부재 조임부의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예(U클립)의 사시도, 도 7은 높이가 다른 보강재 조임 부재(고착부재 metal tie) 종래예의 사시도, 도 8은 프레임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높이가 다른 보강재 조임 부재(종래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5”는 구멍이 좁은 U자형 걸림 고정부, “6”은 U자면, “10”은 직선부, “11”은 연장 직선부, α는 U자면(6)과 직선부(11)가 이루는 각,“15”는 보강재 조임부, “15A”는 나사부, “15B”는 선단부, “17”은 긴 구멍, “18”은 쐐기, “20”은 수평 돌기부, “27”는 너트, “28”은 스프링 와셔, “30”은 팔형상 부재, “40”은 프레임, “50”은 세퍼레이터, “50A”는 세퍼레이터 단부, “40B, 50B”는 각각 프레임과 세퍼레이터 단부의 관통구멍, “60A, 60B”는 면판, “70, 71”은 파이프(보강재), “100”은 콘크리트, “200”은 종래예인 U클립.
도 1에 있어서, 보강재 조임부(15)는 상부에 나사골을 낸(열간 프레스가공으로도 가능) 원주형상으로 그 기저부에서 각도 β, γ로 각각 수평 돌기부(20)와 연장 직선부(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장 직선부(11)에서 솟아오른 각(α)(80˚≤α≤130˚)으로 (γ,δ는 대략 90˚) 연속해서 좁은 구멍 U자형 걸림부(5A)를 포함하는 평면(6)상에 그 중심축이 존재하고, 상기 솟아오른 각(α)은 평면(6)과 직교하는 보강재 조임부(15)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이 평면(6)과 연장 직선부(11)가 이루는 각이다. 또, 보강재 조임부(15)와 연장 직선부(11)가 이루는 각(β)은 85˚≤β≤110˚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β가 85˚미만이면 좁은 구멍 U자형 걸림부(5)를 힘껏 두드려 박았을 때, 보강재 조임부(15)에 여분인 경사가 남고, 반대로 β가 110˚를 초과하면 α를 작게 하든지 좁은 구멍 U자형 걸림부(5)의 U자부 깊이를 크게 하지 않는 한, 보강재 조임부(15)에 여분인 경사가 남아 실용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 주로 작업성의 견지에서 β의 범위가 결정된다.
U자면(5A)은 수평 돌기면(20)과 대략 평행한 것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4)을 끼우는 작용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하다.
또한, 솟아오른 각(α)은 80˚보다 적으면 한쌍의 프레임(40)을 끼우는데 곤란하고, 130˚를 초과하면 반대로 끼워넣는 깊이가 적어져 한쌍의 프레임을 끼우는 것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80˚≤α≤130˚가 바람직하다.
또 좁은 구멍의 U자형 걸림부(5)의 직선부(10), 도면부호 “5C”는 서로 거의 평행하고, 틈(5D)은 한쌍의 프레임(40)과 세퍼레이터 단부(50A)의 합의 두께 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틈(5D)에 3장의 판(프레임(40), 세퍼레이터 단부(50A), 프레임(40))이 삽입된 상태(끼운 상태)에서는 탄성 변형에 의해 외부로 확장되고, 너트(27) 및 스프링 와셔(28)에 의한 보강재 걸림부(15)의 인장응력과 아울러 형틀(프레임), 세퍼레이터, 보강재의 삼자간을 빈틈없이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도 1, 도 2 참조).
이 고착에 이르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있어서 60A, 60B를 각각 콘크리트벽의 뒷면 면판, 정면면판으로 하면 우선 한쌍의 면판(60A, 60B)의 프레임(40) 사이에 세퍼레이터(50)의 단부(50A)를 끼워 각각의 구멍(40B, 50B, 40B)(이하, 이것을 “중공”이라고 부름)을 맞춰 상기 중공에 본 발명의 걸림 고정 부재의 수평 돌기부(20)를 삽입한다. 통상 이 삽입은 도 1의 화살표 X방향(수평 돌기부축 방향)으로 햄머로 힘껏 두드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 돌기(20)를 그 기저부까지 중공에 힘껏 두드려 넣은 후 도 1에서 U자면(5A)에 대해 거의 수직인 화살표 Y방향으로 햄머 타격에 의해 좁은 구멍 U자형 걸림 고정부를 중판에 두드려 넣는다. 즉, 보강재 조임부(15)는 수평 돌기부(20)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 Z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거의 수평 또는 콘크리트 벽면 예정부에 수직이 되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가로지른 보강재(70(이 도면에서 각관), 71(이 도면에서는 둥근관))을 겹친 상태로 가압하여 걸림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강재(각관)(70)는 도 3에서는 1개이지만 평행한 2개라도 좋다.
그리고, 이 때 동시에 콘크리트(100) 가운데(단, 생콘크리트는 나중에 주입하기 때문에 이 때는 아직 비어있음)를 거쳐 세퍼레이터(50)에 의해 대향면인 정면면판(60B)의 접합부에 연결되기 때문에(정면 면판 사이의 접합은 상기한 뒷면 면판사이와 동일), I자형에 각 콘크리트 형틀이 고착됨과 동시에 각 콘크리트벽 뒷면 외측과 정면 외측에는 가로지른 보강재가 강고하게 조여져 고착된다. 이 작업을 반복하는 것에 이해 팽대한 벽 면적의 강고한 조립형틀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또한 보강재는 벽 두께, 벽면적에 따라서 가로지르지 않고 한 방향으로 할 수도 있고, 각각 한쌍으로 하지 않고 각 1개로 해도 좋다(도 5 참조).
또한, 콘크리트 고화후 콘크리트 형틀은 너트(27)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어 다른 사이트로 운반 재이용이 가능하다. 단, 세퍼레이터만은 콘크리트벽중에 잔류된다.
또한 보강부재 조임부(15)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나타내는 것으로 쐐기(18)를 보강재 조임부(15)의 선단부(15B)에 뚫어 설치한 쐐기 삽입용 긴 구멍(17)(조임 부착 스트로크 조절을 위해 통상 2개 이상 설치함)에 햄머에 의해 W방향으로 때리는 힘에 의해 넣어져 간단하여 조립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쐐기(18)의 상사면에는 기어형상 로렛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면 걸림 고정은 더욱 강고해져 조임후 쐐기(18)는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분해할 때는 W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햄머로 두드리는 것에 의해 쐐기(18)를 뺄 수 있다. 이와같이 쐐기를 이용하는 보강재 조임 부착부는 악환경의 건설 환경에 아주 적합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 전부가 달성된다. 즉, 위험하고 좁은 작업현장에서 특히 작업성과 작업 능률 및 콘크리트 형틀의 강도가 우수한 일체화된 보강재 조임부 부착(형틀등의) 걸림 고정 부재가 제공된다.

Claims (5)

  1. 좁은 구멍의 U자형 걸림 고정부(5);
    상기 좁은 구멍의 U자형 걸림 고정부(5)에서 U자면(5A)을 포함하는 평면(6) 보다 80˚∼130˚의 각도(α)만큼 구부려져 대략 수평하게 연속되는 연장 직선부(11);
    연장 직선부(11) 보다 85˚∼110˚의 각도(β)로 솟아오른 보강재 조임부(15); 및
    보강재 조임부(15)의 기저부에서 U자면(5A)에 거의 평행하게 돌출된 수평 돌기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재 조임부(15)의 선단부가 나사부착 볼트형상 선단부(1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재 조임부(15)의 선단부가 쐐기 삽입용 긴 구멍(17)을 가진 선단부(15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양 단에 판형상 단부를 가진 세퍼레이터와 조합하여 사용하기위해 상기 세퍼레이터의 길이방향과 0˚ 내지 50˚로 교차하여 걸어맞추는 한쌍의 형틀의 접합부에 있어서, 형틀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의 판형상 단부를 끼우고, 이들 프레임과 판형상 단부와 프레임을 관통하여 뚫어 설치한 구멍에 수평 돌기부(20)를 삽입하여 이것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U자형 걸림 고정부(5)에서 프레임 사이를 걸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가 직선 로드 형상, 평판형상 또는 단면 U자형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
KR10-1998-0047897A 1998-11-06 1998-11-06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Expired - Fee Related KR10038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897A KR100389645B1 (ko) 1998-11-06 1998-11-06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897A KR100389645B1 (ko) 1998-11-06 1998-11-06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725A KR20000031725A (ko) 2000-06-05
KR100389645B1 true KR100389645B1 (ko) 2003-08-19

Family

ID=1955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9645B1 (ko) 1998-11-06 1998-11-06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8571B2 (en) 2020-08-07 2023-10-17 Peri Se Multi-head bolt and fastener system
USD990301S1 (en) 2020-08-07 2023-06-27 Peri Se Multi-head bo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725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645B1 (ko) 보강재 조임부에 부착된 걸림 고정 부재_
JP3771105B2 (ja) コンクリート棒状構造体の補強器具および補強方法
CN211114759U (zh) 新型悬挑脚手架
JP7486784B2 (ja) 建築部材の接合構造、建築構造体、及び建築部材の接合構造の施工方法
US6193210B1 (en) Fastening fitting with a reinforcing member-tightening portion
KR100342878B1 (ko) 격자형 보강근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면보강방법
JP3609167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工法
US7162843B2 (en) Bolts with connected anchor
JP2000240196A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のタイバー取付方法およびタイバー
JP3547823B2 (ja) 角締め用金具
JP2001279818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の接合構造と接合ボルト
JP3048341B2 (ja) 補強材締付部付き係止具
JPH0416662A (ja) 壁材の取付構造
JP4616060B2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KR101761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장치
CN221481405U (zh) 一种框架式建筑梁、柱模板的节点加固装置
CN119041581B (zh) 一种抗拉型预埋件
CN219637823U (zh) 一种伸缩缝处止水铜板加固工具
CN219691932U (zh) 一种用于被动式建筑的断热桥固定卡箍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JP7628455B2 (ja) 緊結金具
JP2784546B2 (ja) 支保工用の連結金具
JPS62264234A (ja) 角鋼管コンクリ−ト柱
KR20250076809A (ko) 확대마디와 확대머리 철근용 현장 체결식 정착장치
JPH05425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